KR20180001534U - 파이프 연결장치 - Google Patents

파이프 연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1534U
KR20180001534U KR2020160006651U KR20160006651U KR20180001534U KR 20180001534 U KR20180001534 U KR 20180001534U KR 2020160006651 U KR2020160006651 U KR 2020160006651U KR 20160006651 U KR20160006651 U KR 20160006651U KR 20180001534 U KR20180001534 U KR 2018000153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circumferential surface
ring
pressing member
cap n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665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채갑
Original Assignee
임채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채갑 filed Critical 임채갑
Priority to KR202016000665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01534U/ko
Publication of KR2018000153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1534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9/00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 F16L19/08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with metal rings which bite into the wall of the pipe
    • F16L19/083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with metal rings which bite into the wall of the pipe the longitudinal cross-section of the ring not being modified during clamping
    • F16L19/086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with metal rings which bite into the wall of the pipe the longitudinal cross-section of the ring not being modified during clamping with additional seal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7/00Joints with packing adapted to sealing by fluid pressure
    • F16L17/02Joints with packing adapted to sealing by fluid pressure with sealing rings arranged between outer surface of pipe and inner surface of sleeve or socke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9/00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 F16L19/06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in which radial clamping is obtained by wedging action on non-deformed pipe ends
    • F16L19/061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in which radial clamping is obtained by wedging action on non-deformed pipe ends a pressure ring being arranged between the clamping ring and the threaded member or the connecting memb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9/00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 F16L19/06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in which radial clamping is obtained by wedging action on non-deformed pipe ends
    • F16L19/07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in which radial clamping is obtained by wedging action on non-deformed pipe ends adapted for use in socket or sleeve connec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5/00Constructive types of pipe joi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16L13/00 - F16L23/00 ; Details of pipe joi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electrically conducting or insulating means
    • F16L25/14Joints for pipes of different diameters or cross-section

Abstract

본 고안은 파이프 연결 부위를 통한 유체의 누출을 완벽하게 방지할 수 있도록 된 파이프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파이프 연결장치는 파이프가 삽입되는 삽입구가 구비되고, 내주면에 오링을 지지하기 위한 제1 단턱과, 제1 가압 부재를 지지하기 위한 제2 단턱 및, 캡 너트가 체결되는 제1 나사부가 구비되는 본체와, 상기 제1 단턱과 제1 가압 부재의 사이에 배치됨과 더불어 제1 가압 부재에 의해 가압되며, 본체의 내주면과 파이프의 외주면 사이를 기밀하기 위한 제1 오링, 링 형상으로 이루어짐과 더불어 외주면에 상기 제2 단턱에 의해 지지되는 걸림턱이 형성되며, 조임 부재와 대향하는 측면에 제1 경사부가 구비되는 제1 가압 부재, 링 형상으로 이루어짐과 더불어 제1 및 제2 경사부의 경사면을 따라 하측으로 가압되어 내주면이 파이프 외주면측으로 가압되는 조임 부재, 중심 부분에 파이프가 삽입되는 제1 중공부가 구비되고, 조임 부재와 캡 너트의 사이에 배치되며, 조임 부재에 대향하는 측면에 제2 경사부가 구비되는 제2 가압 부재 및, 상기 본체의 삽입구에 체결됨과 더불어 중심 부분에 파이프가 삽입되는 되는 제2 중공부가 구비되고, 외주면에 상기 제1 나사부와 체결되는 제2 나사부가 구비되는 캡 너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파이프 연결장치{PIPE COUPLING APPARATUS}
본 고안은 유체 등의 유동 통로로서 제공되는 파이프를 결합하기 위한 파이프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파이프 연결 부위를 통한 유체의 누출을 완벽하게 방지할 수 있도록 된 파이프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수돗물이나 가스 등과 같은 유체의 공급에는 통상 파이프라 칭하는 내부가 중공된 유동관이 채용되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파이프와 더불어 유체의 흐름을 개폐하기 위한 밸브 등이 채용된다. 파이프와 파이프를 연결하거나 파이프와 밸브 등을 연결하는 부위에는 적절한 파이프 연결장치가 채용된다.
파이프 연결장치는 파이프 연결을 용이하게 실행할 수 있으면서도 연결 부위에서 발생될 수 있는 유체의 누출을 방지하고, 또한 파이프 연결부위로부터 파이프가 부적절하게 이탈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는 구조가 요구된다.
종래의 파이프 연결장치에 있어서는 파이프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적절한 조임 부재를 채용하고 있다. 조임 부재는 파이프를 체결할 때 내경이 축소되어 파이프의 외주면을 조임으로써 파이프가 조임 부재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된 것이다.
특허등록 10-0958816호(명칭: 파이프 연결장치) 및 특허등록 10-0315341호(명칭: 파이프 연결구조)에는 파절된 경사단부를 갖는 파절링 형상의 조임 부재와 코일 형상을 갖는 조임 부재가 개시되어 있고, 특허등록 10-0485948호(명칭: 농업용수 연결부재 파이프 결합구조)와 특허공개 10-2004-0041866호(명칭: 파이프 연결장치)에는 단면이 반원 형상을 가짐과 더불어 파이프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내측면에는 파이프의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한 돌기가 구비되는 조임척 2개를 한 조로 하여 파이프의 외관을 감싸서 조이도록 구성된 조임 부재가 개시되어 있다.
또한 특허공개 특2002-0011000호(명칭 : 파이프 연결소켓의 협지링 구조)와 특허공개 10-2009-0035941호(명칭 : 파이프 연결구조), 특허등록 10-1329279호(명칭 : 파이프 연결구조 및 파이프 연결방법) 및 실용신안등록 20-0246583호(명칭: 플라스틱 관 연결구)에는 링 형상으로 이루어짐과 더불어 중간 부분에 절개부를 갖춘 조임 부재가 개시되어 있다.
그런데 상술한 종래의 파이프 연결장치에 있어서는 관 접속구나 소켓 본체와 여기에 결합되는 파이프 사이의 밀폐력이 부족하여 파이프 연결 부위를 통해 유체가 누출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파이프 연결장치와 파이프 사이의 밀폐력을 향상시켜 그 연결 부위에서 발생될 수 있는 유체의 누출 문제를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도록 된 파이프 연결장치를 제공함에 기술적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구현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파이프 연결장치는 유체를 유동하기 위한 파이프와 결합되거나, 파이프와 파이프를 결합하기 위한 파이프 연결장치에 있어서, 파이프가 삽입되는 삽입구가 구비되고, 내주면에 오링을 지지하기 위한 제1 단턱과, 제1 가압 부재를 지지하기 위한 제2 단턱 및, 캡 너트가 체결되는 제1 나사부가 구비되는 본체와, 상기 제1 단턱과 제1 가압 부재의 사이에 배치됨과 더불어 제1 가압 부재에 의해 가압되며, 본체의 내주면과 파이프의 외주면 사이를 기밀하기 위한 제1 오링, 링 형상으로 이루어짐과 더불어 외주면에 상기 제2 단턱에 의해 지지되는 걸림턱이 형성되며, 조임 부재와 대향하는 측면에 제1 경사부가 구비되는 제1 가압 부재, 링 형상으로 이루어짐과 더불어 제1 및 제2 경사부의 경사면을 따라 하측으로 가압되어 내주면이 파이프 외주면측으로 가압되는 조임 부재, 중심 부분에 파이프가 삽입되는 제1 중공부가 구비되고, 조임 부재와 캡 너트의 사이에 배치되며, 조임 부재에 대향하는 측면에 제2 경사부가 구비되는 제2 가압 부재 및, 상기 본체의 삽입구에 체결됨과 더불어 중심 부분에 파이프가 삽입되는 되는 제2 중공부가 구비되고, 외주면에 상기 제1 나사부와 체결되는 제2 나사부가 구비되는 캡 너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조임 부재의 내주면에는 파이프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스토퍼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가압 부재의 외주면에 제2 오링이 설치되고, 상기 제2 오링의 후단에 제1 단차부가 형성되며, 상기 캡 너트의 선단부에는 상기 제1 단차부를 통해서 제2 오링을 가압하기 위한 제1 가압 돌기가 추가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 관통공의 내주면에 제3 오링이 설치되고, 상기 제3 오링의 전단에는 제2 단차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2 가압 부재의 후단부에는 상기 제2 단차부를 통해 제2 오링을 가압하기 위한 제2 가압 돌기가 추가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구성으로 된 본 고안에 의하면, 파이프 연결수단에 대한 파이프의 결합 및 해제가 용이하고, 본체에 결합되는 파이프가 임의적으로 이탈되는 것이 확실하게 방지되며, 본체와 파이프 사이의 결합 부위를 통해 유체가 누출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는 파이프 연결장치를 구현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파이프 연결장치의 일부 단면 분해도.
도 2는 도 1에서 제1 가압 부재(120)의 일부 단면 사시도.
도 3은 도 1에서 조임 부재(130)의 일부 단면 사시도.
도 4는 도 1에서 제2 가압 부재(140)의 일부 단면 사시도.
도 5는 파이프 연결장치에 파이프를 결합한 상태에서의 단면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 예를 설명한다. 다만 이하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구현 예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이러한 실시 예의 예시는 본 고안의 권리 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고안은 그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시켜 실시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파이프 연결장치의 의미는 파이프 연결에 사용되는 T형, L형 및 십자형 등을 포함하는 일체의 파이프 연결구나, 이들 파이프 연결구와 파이프의 체결에 추가적으로 채용되거나 파이프 사이의 연결에 채용될 수 있는 일체의 소켓 구조를 포함하는 것으로서, 본 고안의 파이프 연결장치는 파이프의 결합에 채용될 수 있는 일체의 기구 및 구조를 포함하는 것이다.
도 1 내지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파이프 연결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 1은 파이프 연결장치의 일부 단면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에서 제1 가압부재(120)의 일부 단면 사시도, 도 3은 도 1에서 조임 부재(130)의 외관 형상을 나타낸 일부 단면 사시도, 도 4는 도 1에서 제2 가압 부재(140)의 일부 단면 사시도, 도 5는 파이프 연결장치에 파이프를 결합한 상태에서의 단면도이다.
또한 본 실시 예는 파이프(200)가 결합되는 삽입구가 3개 구비되면서 이들 삽입구가 내부적으로 서로 연통되도록 구성되는 T형 파이프 연결구에 본 발명을 적용시킨 경우를 예로 들어 나타낸 것이다. 본 실시 예에서 3개의 파이프 삽입구에 대한 각각의 파이프 연결 구조는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하나의 파이프 삽입구에 대한 연결구조에 대해서만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면에서 본 실시 예에 따른 파이프 연결장치는 본체(100)와 제1 가압 부재(120), 조임 부재(130), 제2 가압 부재(140) 및 캡 너트(170)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본체(100)는 파이프(200)를 삽입하기 위한 적어도 1개의 삽임구(101)를 구비한다. 삽입구(101)의 입구측 내주면에는 캡 너트(170)를 체결하기 위한 나사부(102)가 구비되고, 내주면에는 외측방향으로 순차 제1 및 제2 단턱(103, 104)이 구비된다. 제1 및 제2 단턱(103)은 각각 이후에 설명할 오링(110)과 제1 가압 부재(120)를 지지하기 위한 것이다.
오링(110)은 고무 등의 탄력적인 재질로 구성된다. 오링(110)은 본체(100)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파이프(200)의 외주면에 체결되고, 제1 가압 부재(120)에 의해 내측 방향으로 가압된다. 오링(110)은 가압되면 제1 단턱(103)에 밀착되면서 그 가압 방향과 수직방향으로 팽창되어 본체(100)의 내주면과 파이프(200)의 외주면과의 사이 공간을 완전하게 밀폐시키게 된다.
도 2에서, 제1 가압 부재(120)는 중공부(121)가 구비된 링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제1 가압 부재(120)의 외주면에는 외주연을 따라 걸림턱(122)이 형성된다. 제1 가압 부재(120)가 본체(100)의 삽입구(101)를 통해 내측 방향으로 계속 진입하게 되면 걸림턱(122)이 본체(100)의 제2 단턱(104)과 맞대여서 제1 가압 부재(120)는 그 이상 내측으로 진입할 수 없게 된다. 이는 제1 가압 부재(120)가 내측 방향으로 과도하게 진입하는 것에 의해 오링(110)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제1 가압 부재(120)의 후단에는 이후에 설명할 조임 부재(130)를 내향 방향, 즉 파이프(200)의 외주면 방향으로 가압하기 위한 제1 경사부(123)가 구비된다.
도 3에서, 조임 부재(130)는 예컨대 스프링강으로 이루어진다. 도 3에서 보다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는 바와 같이 조임 부재(130)는 링 형상으로 이루어짐과 더불어 중간 부분에 절개부(131)가 구비된다. 이 절개부(131)에 의해 조임 부재(130)는 외부 압력에 의해 용이하게 압축되어 내경이 축소된다. 조임 부재(130)의 외주면에는 중앙부(132)를 기준으로 하여 양단부로 갈수록 내향 방향으로 경사지는 경사면(133, 134)이 구비된다. 이들 경사면(133, 134)은 상기 제1 경사부(123)와 이후에 설명할 제2 경사부(142)에 대응하는 것이다. 경사면(133, 134)은 각각 제1 및 제2 경사부(123, 142)와 서로 접촉되고, 제2 경사부(142)가 수평 방향, 즉 파이프(2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삽입구(101) 내측 방향으로 가압되면 제1 및 제2 경사부(123, 142)의 경사면을 따라 내향 방향, 즉 파이프(200)의 외주면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하게 된다. 이에 따라 조임 부재(130)는 내향 방향으로 압축된다.
또한 조임 부재(130)의 내주면에는 원호 방향을 따라 홈(135)이 형성된다. 그리고 이 홈(135)의 양측에는 원호 방향을 따라 스토퍼(136)가 형성된다. 스토퍼(136)는 단면이 예컨대 블레이드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이 스토퍼(136)는 조임 부재(130)가 내향 방향으로 압축될 때 블레이드 부분이 파이프(200)의 외주면을 강하게 압박하거나 파고듦으로써 조임 부재(130)와 파이프(200) 사이의 밀착력을 증가시키게 된다. 본 실시 예에서 스토퍼(136)의 구조는 특정한 것에 한정되지 않고 조임 부재(130)와 파이프(200) 사이의 밀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어떠한 구조도 동일한 방식으로 채용할 수 있다.
도 4에서, 제2 가압 부재(140)는 조임 부재(130)와 캡 너트(170)의 사이에 배치된다. 제2 가압 부재(140)는 중심 부분에 파이프(200)를 삽입하기 위한 중공부(141)가 설치되고, 선단부에는 제2 경사부(142)가 구비된다. 제2 경사부(142)는 조임 부재(130)의 경사면(134)에 대응하여 선단 측으로 가면서 외향 방향, 즉 파이프(200)의 외주면 측과 반대 방향으로 경사지는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제2 가압 부재(140)의 외주면에는 오링홈(143)이 설치되고, 여기에 오링(150)이 설치된다. 오링(150)은 제2 가압 부재(140)의 상면과 삽입구(101)의 내주면 사이를 기밀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오링홈(143)의 후단에는 단차부(144)가 형성된다. 이 단차부(144)는 삽입구(101)의 내주면과 함께 제2 가압 부재(140)의 후단으로부터 오링(150)으로 연통되는 가이드홈을 구성하게 된다. 이후에 설명하는 바와 같이 이 단차부(144)에는 캡 너트(170)의 제2 가압 돌기(173)가 진입된다. 그리고 중공부(141)의 내주면 후단에는 제1 가압 돌기(145)가 형성된다. 제1 가압 돌기(145)는 캡 너트(170)의 오링(160)을 가압하기 위한 것이다.
도 1에서, 캡 너트(170)는 중심 부분에 파이프(200)를 삽입하기 위한 중공부(171)가 형성되고 외주면에는 캡 너트(170)를 본체(100)에 체결하기 위한 나사부(172)가 구비된다. 이 나사부(172)는 본체(100)의 나사부(102)와 체결된다. 캡 너트(170)의 선단측에는 제2 가압 부재(140)의 오링(150)을 가압하기 위한 제2 가압 돌기(173)가 구비된다. 또한 중공부(171)의 내주면에는 오링홈(174)이 설치된다. 이 오링홈(174)에는 오링(160)이 설치된다. 오링(160)은 중공부(171)의 내주면과 파이프(200)의 외주면 사이를 기밀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오링(160)의 선단측에는 단차부(175)가 형성된다. 이 단차부(175)는 파이프(200)의 외주면과 함께 캡 너트(170)의 전단으로부터 오링(160)으로 연통되는 가이드홈을 구성하게 된다. 이 가이드홈에는 제2 가압 부재(140)의 제1 가압 돌기(145)가 진입된다.
이어 본 실시 예에 따른 파이프 연결장치를 이용하여 파이프(200)를 체결하는 동작을 설명한다.
파이프 연결장치에 파이프(200)를 체결하는 경우에는 파이프(200)의 외측에 오링(110), 제1 가압 부재(120), 조임 부재(130), 제2 가압 부재(140) 및 캡 너트(170)를 순차적으로 배치한 상태에서 파이프(200)의 선단부를 본체(100)의 삽입구(101)에 삽입한 후 캡 너트(170)의 나사부(172)를 본체(100)의 나사부(102)에 체결하게 된다. 캡 너트(170)를 체결함에 따라 오링(110)과 제1 가압 부재(120), 조임 부재(130) 및 제2 가압 부재(140)는 삽입구(101)의 내측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러한 이동에 의해 우선적으로 오링(110)이 가압된다. 오링(110)은 제1 가압 부재(120)에 의해 가압되고, 이러한 가압력에 의해 오링(110)은 본체(100)의 내측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오링(110)의 이동은 제1 단턱(103)에 의해 강제적으로 제한되고, 오링(110)은 제1 가압 부재(120)의 가압력에 의해 수평 방향, 즉 파이프(200)의 길이 방향으로 압축된다. 이 압축에 의해 오링(110)은 수직 방향, 즉 파이프(200)의 길이 방향과 직각 방향으로 팽창하게 되고, 이에 따라 본체(100)의 내주면과 파이프(200)의 외주면 사이의 공간이 견고하게 밀폐된다. 제1 가압 부재(120)의 본체(100)의 내향 방향으로의 이동은 제2 단턱(104)에 의해 제한된다. 제2 단턱(104)은 바람직하게 제1 가압 부재(120)의 가압력에 의해 오링(110)이 파괴되지 않으면서 적절하게 팽장되는 위치에 마련된다.
제1 가압 부재(120)의 이동이 오링(110)의 대항력이나 제2 단턱(104)에 의해 제한되면, 캡 너트(170)에 의한 가압력은 제1 가압 부재(120)와 조임 부재(130) 및 제2 가압 부재(140)에 가해지게 된다. 이때 조임 부재(130)는 상측의 경사면(133, 134)이 제1 및 제2 가압 부재(120, 140)의 제1 및 제2 경사부(123, 142)와 접촉되므로, 캡 너트(170)에 의한 수평 방향으로의 가압력은 조임 부재(130)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가해지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조임 부재(130)의 경사면(133, 134)이 제1 및 제2 경사부(123, 143)를 따라 하측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하게 됨으로써 조임 부재(130)는 수직 방향, 즉 파이프(200)의 외주면 방향으로 가압된다, 조임 부재(130)가 가압되면 절개부(131)의 절개 폭이 축소되면서 조임 부재(130)의 내경이 작아지게 되고, 이에 따라 조임 부재(130)는 파이프(200)의 외주면에 강한 조임력을 가하게 된다. 그리고 이에 따라 조임 부재(130)의 내주면에 구비되는 스토퍼(136)의 톱니 부분이 파이프(200)의 외주면을 강하게 압박하거나 파고듦으스로써 조임 부재(130)와 파이프(200)가 강하게 결합된다.
특히 조임 부재(130)의 중심 부분에는 내주면 측으로 개구되는 홈(135)이 구비된다. 조임 부재(130)가 내향 방향으로 가압되면 홈(135)은 폭이 넓어지는 방향, 즉 확장 방향으로 힘을 받게 되고, 역으로 홈(135)은 이러한 확장 방향과 역방향, 즉 파이프(200)의 외주면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게 된다. 따라서 본 실시 예에서는 조임 부재(130)가 내향 방향으로 가압됨과 더불어 그러한 가압력이 홈(135)에 의한 탄성력에 의해 항상 높은 상태로 유지됨으로써 파이프(200)에 대한 조임 부재(130)의 조임력이 매우 높게 발휘되게 된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 조임 부재(130)에 구비되는 스토퍼(136)는 특정한 구성의 것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형시켜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제2 가압 부재(140)가 조임 부재(130)를 가압하는 상태에서는 캡 너트(170)의 제2 가압 돌기(173)가 제2 가압 부재(140)의 단차부(144)와 삽입구(101) 내주면이 형성하는 가이드홈을 따라 오링(150)을 수평 방향, 즉 파이프 길이 방향으로 가압하게 되므로 오링(150)이 수평 방향으로 압축되고, 이어 오링(150)의 수평 방향의 폭이 좁아지면서 수직 방향으로 두께가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제2 가압 부재(140)의 외주면과 삽입구(101) 내주면 사이의 기밀력이 대폭 증가하게 된다.
그리고 이와 더불어 제2 가압 부재(140)의 제1 가압 돌기(145)가 캡 너트(170)의 단차부(175)와 파이프(200) 외주면이 형성하는 가이드홈을 따라 오링(160)을 수평 방향으로 가압하게 되므로 오링(160)의 수직 방향으로의 두께가 증가되어 캡 너트(170)의 내주면과 파이프(200)의 외주면 사이의 기밀력이 대폭 증가하게 된다.
상기한 과정을 통해 체결된 파이프(200)를 본체(100)로부터 분리하는 경우에는 본체(100)에 대해 캡 너트(170)를 해제 방향으로 회전시켜 조임 부재(130)에 가해지는 가압력을 해제하게 된다. 조임 부재(130)는 제1 및 제2 가압 부재(120, 140)에 의한 가압력이 제거되면 자체 탄성력에 의해 경사면(133, 134)이 제1 및 제2 경사부(123, 142)를 상술한 동작과 역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면서 내경이 원래의 크기로 복원되게 된다. 따라서 조임 부재(130)와 파이프(200) 사이의 결합력이 해제됨으로써 파이프(200)를 본체(100)로부터 용이하게 이탈시킬 수 있게 된다.
본 실시 예에 있어서는 우선 조임 부재(130)에 의해 파이프(200)가 본체(100)에 안정적으로 체결된다. 특히, 캡 너트(170)가 체결될 때 일차적으로 오링(110)이 가압되어 본체(100)의 내주면과 파이프(200)의 외주면 사이 공간이 견고하게 밀폐되고, 또한 제1 및 제2 가압 부재(120, 140)에 의해 조임 부재(130)가 가압되는 상태에서 제2 가압 부재(140)의 외주면에 구비되는 오링(150)과 캡 너트(170)의 내주면에 구비되는 오링(160)이 가압되어 이차적으로 본체(100)의 내주면과 제2 가압 부재(140)의 사이와 캡 너트(170)의 내주면과 파이프(200)의 외주면의 사이 공간이 견고하게 밀폐되므로 본체(100)와 파이프(200) 사이의 기밀력이 대폭 향상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파이프 연결장치의 본체에 대한 파이프의 결합 및 해제가 용이하고, 본체에 결합되는 파이프가 임의적으로 이탈되는 것이 확실하게 방지되며, 본체와 파이프 사이의 결합 부위를 통해 유체가 누출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는 파이프 연결장치를 구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고안은 상술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시켜 실시할 수 있다.
100: 본체, 110: 오링,
120: 제1 가압 부재, 130: 조임 부재,
140: 제2 가압 부재, 150, 160: 오링,
170: 캡 너트.

Claims (4)

  1. 유체를 유동하기 위한 파이프와 결합되거나, 파이프와 파이프를 결합하기 위한 파이프 연결장치에 있어서,
    파이프가 삽입되는 삽입구가 구비되고, 내주면에 오링을 지지하기 위한 제1 단턱과, 제1 가압 부재를 지지하기 위한 제2 단턱 및, 캡 너트가 체결되는 제1 나사부가 구비되는 본체와,
    상기 제1 단턱과 제1 가압 부재의 사이에 배치됨과 더불어 제1 가압 부재에 의해 가압되며, 본체의 내주면과 파이프의 외주면 사이를 기밀하기 위한 제1 오링,
    링 형상으로 이루어짐과 더불어 외주면에 상기 제2 단턱에 의해 지지되는 걸림턱이 형성되며, 조임 부재와 대향하는 측면에 제1 경사부가 구비되는 제1 가압 부재,
    링 형상으로 이루어짐과 더불어 제1 및 제2 경사부의 경사면을 따라 하측으로 가압되어 내주면이 파이프 외주면측으로 가압되는 조임 부재,
    중심 부분에 파이프가 삽입되는 제1 중공부가 구비되고, 조임 부재와 캡 너트의 사이에 배치되며, 조임 부재에 대향하는 측면에 제2 경사부가 구비되는 제2 가압 부재 및,
    상기 본체의 삽입구에 체결됨과 더불어 중심 부분에 파이프가 삽입되는 되는 제2 중공부가 구비되고, 외주면에 상기 제1 나사부와 체결되는 제2 나사부가 구비되는 캡 너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연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임 부재의 내주면에는 파이프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스토퍼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연결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압 부재의 외주면에 제2 오링이 설치되고, 상기 제2 오링의 후단에 제1 단차부가 형성되며, 상기 캡 너트의 선단부에는 상기 제1 단차부를 통해서 제2 오링을 가압하기 위한 제1 가압 돌기가 추가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연결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중공부의 내주면에 제3 오링이 설치되고, 상기 제3 오링의 전단에는 제2 단차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2 가압 부재의 후단부에는 상기 제2 단차부를 통해 제2 오링을 가압하기 위한 제2 가압 돌기가 추가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연결장치.
KR2020160006651U 2016-11-16 2016-11-16 파이프 연결장치 KR20180001534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6651U KR20180001534U (ko) 2016-11-16 2016-11-16 파이프 연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6651U KR20180001534U (ko) 2016-11-16 2016-11-16 파이프 연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1534U true KR20180001534U (ko) 2018-05-25

Family

ID=622965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6651U KR20180001534U (ko) 2016-11-16 2016-11-16 파이프 연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01534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1492B1 (ko) * 2019-05-03 2020-08-06 주식회사 에너맥스 난방용 전열온수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1492B1 (ko) * 2019-05-03 2020-08-06 주식회사 에너맥스 난방용 전열온수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95881B2 (ja) 高圧流体用管継手部材
US6681803B2 (en) Socket and plug attachment mechanism for tube joint
US7673911B2 (en) Safety type quick connector
US7926783B1 (en) Safety type quick release connector
KR101575896B1 (ko) 배관용 압착체결구
JP2009041776A (ja) ボールバルブ
US10989343B2 (en) Push-to-connect and pull-to-disconnect quick coupling
KR101756526B1 (ko) 파이프 연결장치
WO2016052222A1 (ja) 樹脂製管継手
US20190293179A1 (en) Seal structure, sealing method, and coupling equipped with said seal structure
JP4226406B2 (ja) ボールバルブ
KR20180001534U (ko) 파이프 연결장치
JP2008106920A (ja) 管継手
JP5923578B2 (ja) 樹脂製管継手
JP5923579B2 (ja) 樹脂製管継手
KR100764877B1 (ko) 탄성튜브 시일시스템
TWI751821B (zh) 流體連接器
KR20120008422U (ko) 기밀성을 갖는 호스연결구
US11041566B2 (en) Seal structure, sealing method, and coupling equipped with said seal structure
KR100537777B1 (ko) 원터치 튜브커넥터
KR20180065986A (ko) 파이프 연결장치
JP2001304469A (ja) ワンタッチ継手構造
JPH0633280Y2 (ja) 管継手
KR20090011628A (ko) 관이음부재의 패킹 결합구조
KR20130006665A (ko) 반경 방향 밀봉부를 갖는 위생 클램프 커플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