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68437B1 - 유체이송관용 연결커플러 - Google Patents

유체이송관용 연결커플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68437B1
KR101368437B1 KR1020130090558A KR20130090558A KR101368437B1 KR 101368437 B1 KR101368437 B1 KR 101368437B1 KR 1020130090558 A KR1020130090558 A KR 1020130090558A KR 20130090558 A KR20130090558 A KR 20130090558A KR 101368437 B1 KR101368437 B1 KR 1013684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uid
flow path
connection
state
body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905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용기
Original Assignee
장용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용기 filed Critical 장용기
Priority to KR10201300905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6843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84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84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 F16L37/084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 F16L37/086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by means of latching members pushed radially by spring-like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2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with fluid cut-off means
    • F16L37/3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with fluid cut-off means with fluid cut-off means in only one of the two pipe-end fittings
    • F16L37/4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with fluid cut-off means with fluid cut-off means in only one of the two pipe-end fittings with a lift valve being opened automatically when the coupling is appli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Quick-Acting Or Multi-Walled Pipe Joi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체이송관용 연결커플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유체가 유입되는 유입관측에 연결설치되는 몸체부와 유체가 유출되는 유출관측에 연결설치되는 연결부의 결합시 상기 연결부의 일측을 상기 몸체부의 내측으로 삽입하는 동작만으로 상기 연결부와 몸체부를 간단히 결합할 수 있도록 하는 유체이송관용 연결커플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일측에 유입관이 연결되고, 타측에 결속수단이 설치된 상태로 상기 유입관으로부터 유입된 유체가 내측을 유동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타측에 일측이 삽입되어 상기 몸체부와 연통되게 설치되되 일측의 삽입동작시 상기 결속수단에 의해 상기 몸체부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되고, 타측에 유출관이 연결되는 연결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유체이송관용 연결커플러{CONNECTION COUPLER FOR FLUID TRANSFERING PIPE}
본 발명은 유체이송관용 연결커플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유체가 유입되는 유입관측에 연결설치되는 몸체부와 유체가 유출되는 유출관측에 연결설치되는 연결부의 결합시 상기 연결부의 일측을 상기 몸체부의 내측으로 삽입하는 동작만으로 상기 연결부와 몸체부를 간단히 결합할 수 있도록 하는 유체이송관용 연결커플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커플러는 관과 관 또는 호스와 호스를 연결하는 장치로써, 한 쌍의 연결부재가 상호 연결되어 관과 관 또는 호스와 호스를 상호 연결하도록 구성된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커플러는 제1 및 제2관형 연결부재(1, 5)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1,2관형 연결부재(1,5)는 각각 대응 호스의 단부에 연결된다. 상기 제1관형 연결부재(1)는 수용단부(2) 및 상기 수용단부(2)로부터 외향으로 돌출한 2쌍의 대향 피복 귀(3)를 포함한다. 방사형 개구부(4)가 각 쌍의 피봇 귀(3) 사이에 형성된다.
상기 제2관형 연결부재(5)는 상기 수용단부(2)로 연장되고 주변 홈(6)을 갖도록 형성된 외면을 포함한다. 상기 제2관형 연결부재(5)는 내향으로 절곡된 내부 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방사형 개구부(4)에 맞추어진다. 종래의 커플러는 한 쌍의 압착 아암(7)을 더 포함한다. 상기 한 쌍의 압착 아암(7)은 각각 상기 피봇 귀(3)에 피봇 가능하게 장착된 단부 및 캠 면(8)을 포함한다.
상기 압착아암(7)이 잠금 위치로 피봇하면, 상기 캠 면(8)이 방사형 개구부(4)를 통하여 상기 주변 홈(6)으로 연장되어, 주변 홈(6)에서 상기 제2관형 연결부재(5)을 압착함으로써, 상기 제2관형 연결부재(5)를 상기 제1관형 연결부재(1)에고정시킨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커플러는 상기 제1,2관형 연결부재(1,5)를 상호 연결한 후, 상기 압착아암(7)을 별도로 조작하여 하는 불편이 따르게 되고, 상기 압착 아암(7)의 작업자의 부주의로 다소 느슨하게 조작된 상태가 되면 상기 제1,2관형 연결부재(1,5)가 상호 분리되는 문제가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정을 감안하여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연결부의 일측을 몸체부의 내측에 삽입시 상기 몸체부에 설치되는 결속수단이 상기 연결부의 삽입동작에 반응하여 상기 연결부의 일측을 자동으로 고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연결부와 몸체부의 연결 고정 작업을 손쉽게 이룰 수 있도록 하는 유체이송관용 연결커플러를 제공하는 데 있다.
그리고, 상기 연결부와 몸체부의 분리시 상기 결속수단에 의해 손쉽게 이룰 수 있도록 하여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유체이송관용 연결커플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연결부와 몸체부의 잦은 분리 결합동작을 수행하더라도 제1,2유도구에 설치되는 패킹부재의 손상을 최소화하여 연결커플러의 장기간 사용에도 상기 연결부와 몸체부의 분리 상태에서 유체의 누수가 방지될 수 있도록 하는 유체이송관용 연결커플러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일측에 유입관이 연결되고, 타측에 결속수단이 설치된 상태로 상기 유입관으로부터 유입된 유체가 내측을 유동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타측에 일측이 삽입되어 상기 몸체부와 연통되게 설치되되 일측의 삽입동작시 상기 결속수단에 의해 상기 몸체부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되고, 타측에 유출관이 연결되는 연결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결속수단은, 상기 몸체부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상기 연결부의 삽입동작시 상기 연결부의 외주연에 형성된 걸림홈에 걸림되어 상기 연결부가 상기 몸체부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한다.
또한, 상기 결속수단은, 상기 몸체부의 타측에 외측으로 돌출되게 설치되되 탄성력에 의해 상하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눌림부재; 상기 눌림부재에 연결된 상태로 상기 몸체부의 타측단에 단면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연결부의 일측에 걸림되는 걸림판; 상기 걸림판에 연결된 상태로 상기 몸체부에 설치되어 누름동작시 상기 걸림판의 걸림력을 해제하여 상기 연결부를 상기 몸체부에서 분리할 수 있도록 하는 조작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몸체부에는, 상기 조작부의 조작을 제어하는 제어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몸체부는, 일측에 제1연결너트를 매개로 상기 유입관이 연결되고, 내주연에 형성된 돌출턱에 의해 제1유로와 제2유로가 상호 연통되게 형성되는 중공형의 바디; 상기 바디의 내측에 형성된 돌출턱에 걸림된 상태로 상기 제2유로에 설치되는 탄성스프링; 및 외주연에 내측과 연통되는 다수개의 제1유체유도공이 형성된 상태로 상기 탄성스프링의 내측에 설치되되 상기 연결부의 삽입시 상기 탄성스프링을 가압하면서 상기 바디의 제1유로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제1유체유도공이 상기 제2유로와 연통되는 통체의 제1유도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연결부는, 내측에 서로 다른 내경을 갖는 제3유로와 제4유로가 상호 연통되게 형성되는 중공형의 연결몸체; 외주연에 다수개의 제2유체유도공이 형성된 상태로 일측이 상기 제3유로에 수용되고, 타측이 상기 제3,4유로를 구분하는 경계턱에 걸림되어 상기 제3유로와 제4유로를 폐쇄하되 상기 몸체부에 삽입시 상기 제4유로 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제2유체유도공과 제4유로가 연통되게 설치되는 통체의 제2유도구; 상기 제2유도구에 일측이 연결되는 탄성부재; 상기 탄성부재의 타측이 상기 연결몸체의 내측에서 요동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탄성부재의 타측에 설치되는 요동방지구; 상기 요동방지구가 걸림되는 돌출걸림턱이 형성된 상태로 상기 연결몸체에 결합되고, 상기 유출관이 연결되는 제2연결너트;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연결부의 일측을 몸체부에 삽입시 상기 몸체부에 설치된 결속수단이 상기 연결부의 삽입동작에 반응하여 몸체부로 삽입된 연결부를 자동으로 고정함으로써 연결부와 몸체부의 연결 고정작업을 손쉽게 이룰 수 있음은 물론 분리시에도 상기 결속수단에 의해 분리작업을 손쉽게 이룰 수 있어 작업성이 향상된다.
그리고, 연결부와 몸체부의 잦은 분리 결합동작을 수행하더라도 제1,2유도구에 설치되는 패킹부재의 손상이 최소화되어 연결커플러의 장기간 사용에도 상기 연결부와 몸체부의 분리상태에의 유체의 누수가 방지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유체이송관용 연결커플러의 분리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몸체부에 설치되는 결속수단의 분리 상태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눌림부재의 상태를 확대 도시한 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걸림판의 안내홈을 확대 도시한 상태도,
도 5a는 본 발명에 따른 연결부가 몸체부에 결합되지 않는 상태에서의 눌림부재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5b은 본 발명에 따른 연결부가 몸체부에 결합시 눌림부재의 상태 및 걸림판의 이동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재의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몸체부의 분리 상태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
도 8는 본 발명에 따른 몸체부의 단면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제1유도구의 상태를 확대도시한 상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바디의 단면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연결부의 단면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12은 본 발명에 따른 제2유도구의 상태를 확대도시한 상태도,
도 13a은 본 발명에 따른 연결몸체의 단면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13b는 본 발명에 따른 제2연결너트의 단면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요동방지구의 상태를 확대도시한 상태도,
도 15은 본 발명에 따른 몸체부와 연결부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16은 종래 커플러의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유체이송관용 연결커플러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것이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용어들로서 이 용어들은 제품을 생산하는 생산자나 제조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을 것이며,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고,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유체이송관용 연결커플러의 분리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몸체부에 설치되는 결속수단의 분리 상태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눌림부재의 상태를 확대 도시한 상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걸림판의 안내홈을 확대 도시한 상태도이며, 도 5a는 본 발명에 따른 연결부가 몸체부에 결합되지 않는 상태에서의 눌림부재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5b은 본 발명에 따른 연결부가 몸체부에 결합시 눌림부재의 상태 및 걸림판의 이동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재의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몸체부의 분리 상태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며, 도 8는 본 발명에 따른 몸체부의 단면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제1유도구의 상태를 확대도시한 상태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바디의 단면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연결부의 단면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12은 본 발명에 따른 제2유도구의 상태를 확대도시한 상태도이며, 도 13a은 본 발명에 따른 연결몸체의 단면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13b는 본 발명에 따른 제2연결너트의 단면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며,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요동방지구의 상태를 확대도시한 상태도이고, 도 15은 본 발명에 따른 몸체부와 연결부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상기 도 1 내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유체이송관용 연결커플러는 일측에 유입관이 연결되고, 타측에 결속수단(200)이 설치된 상태로 상기 유입관으로부터 유입된 유체가 내측을 유동하는 몸체부(100); 상기 몸체부(100)의 타측에 일측이 삽입되어 상기 몸체부(100)와 연통되게 설치되되 일측의 삽입동작시 상기 결속수단(200)에 의해 상기 몸체부(100)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되고, 타측에 유출관이 연결되는 연결부(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종래에는 유입관과 연결된 연결부와 유출관이 연결된 몸체부를 상호 연결한 후, 별도의 고정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연결부와 몸체부가 견고히 고정될 수 있도록 하고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상기 연결부의 일측을 상기 몸체부에 삽입시 상기 결속수단이 상기 연결부의 삽입동작에 반응하여 상기 몸체부로 삽입된 상기 연결부의 일측을 자동으로 고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연결부와 몸체부의 연결 고정 작업을 손쉽게 이룰 수 있도록 하고 있는 것이다.
다시 말해, 상기 결속수단(200)은 상기 연결부(400)의 일측을 상기 몸체부(100)의 내측으로 밀어넣어 삽입하는 과정에서 상기 연결부(400)의 눌림력에 의해 작동되어 상기 연결부(400)의 외주연에 형성된 걸림홈(413)에 걸림됨으로써 상기 연결부(400)가 상기 몸체부(100)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결속수단(200)에 대해 상세히 살펴보면, 상기 결속수단(200)은 상기 몸체부(100)의 타측에 외측으로 돌출되게 설치되되 탄성력에 의해 상하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눌림부재(210), 상기 눌림부재(210)에 연결된 상태로 상기 몸체부(100)의 타측단에 단면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연결부(400)의 일측에 걸림되는 걸림판(220), 상기 걸림판(220)에 연결된 상태로 상기 몸체부(100)에 설치되어 누름동작시 상기 걸림판(220)이 걸림력을 해제하여 상기 연결부(400)를 상기 몸체부(100)에서 분리할 수 있도록 하는 조작부재(2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눌림부재(210)는, 상기 몸체부(100)의 타측단에 천공된 천공홀(150) 내측에 설치되는 작동스프링(211)과 일측이 상기 천공홀(150)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상기 작동스프링(211)을 수용하고, 타측이 상기 몸체부(100)에서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방향을 따라 제1단턱(213) 및 제2단턱(214)이 순차적으로 형성되는 왕복이동구(212)와 상기 왕복이동구(212)에 연장구(215)를 매개로 일체로 형성되는 걸림헤드(216)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연장구(215)의 직경은 상기 걸림헤드(216) 및 상기 왕복이동구(212)의 직경보다는 작은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걸림판(220)은 상기 눌림부재(210)의 연장구(215)와 상기 몸체부(100)의 외측으로 돌출된 왕복이동구(212)의 타측을 수용하는 안내홈(221)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400)의 일측이 관통하도록 상기 몸체부(100)의 내경보다 크거나 동일한 내경을 갖는 통공(225)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걸림판(220)은 상기 몸체부(100)의 타측단에 형성된 한 쌍의 가이드홈(160)에 양측이 삽입되어 왕복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상기 안내홈(221)은 상기 연장구(215)를 수용하는 연장구수용홈(222) 및 상기 왕복이동구(212)의 타측을 수용하는 이동구수용홈(223)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연장구수용홈(222)은 상기 연장구(215)의 외경보다는 크고 상기 왕복이동구(212)의 외경보다는 작은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이동구수용홈(223)은 상기 제1단턱(213)과 제2단턱(214)사이의 상기 왕복이동구(212)의 외경보다는 크고, 상기 걸림헤드(216)의 외경보다는 작은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조작부재(230)는 상기 몸체부(100)의 외주연에 설치되는 조작스프링(231)과 상기 걸림판(220)에 일측이 연결된 상태로 상기 조작스프링(231)에 연결되는 누름면체(232)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눌림부재, 걸림판, 조작부재로 구성된 결속수단(200)의 작동상태를 살펴보면, 먼저 상기 연결부(400)가 상기 몸체부(100)에 결합되지 않는 상태에서는 상기 조작부재(230)의 조작스프링(231)이 압축된 상태로 상기 걸림판(220)의 통공(225)과 상기 몸체부(100)의 내측이 연통된 상태에 있게 된다.
이때, 상기 눌림부재(210)는 상기 작동스프링(211)의 신장에 의해 상기 몸체부(100)의 외측으로 돌출된 상태에 있게 되고, 그와 동시에 상기 눌림부재(210)의 왕복이동구(212)가 상기 안내홈(221)의 연장구수용홈(222)에 수용된 상태로 상기 걸림판(220)이 상기 제1단턱(213)에 걸림되어 있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연결부(400)가 상기 몸체부(100)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상기 눌림부재(210)의 걸림헤드(216)를 누르게 되면, 상기 조작스프링(231)의 신장에 의해 상기 걸림판(220)이 이동하면서 상기 연결부(400)에 형성된 걸림홈(413)에 걸림됨으로써 상기 연결부(400)를 고정하게 된다.
이때, 상기 눌림부재(210)의 왕복이동구(212)는 상기 작동스프링(211)을 압축하면서 상기 몸체부(100)의 천공홀(150) 내측으로 인입되고, 그와 동시에 상기 연장구(215)가 상기 연장구수용홈(222)에 수용되며, 상기 걸림판(220)은 단면상 상기 걸림헤드(216)와 제2단턱(214)사이에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다시 상기 연결부(400)를 상기 몸체부(100)에서 분리하는 경우에는 상기 조작부재(230)의 누름면체(232)를 눌러 상기 걸림판(220)을 상기 연결부(400)의 걸림홈(413)으로부터 이탈되게 하여 상기 눌림부재(210)가 돌출되게 하고, 돌출되는 상기 눌림부재(210)는 상기 연결부(400)를 밀어 올려 상기 몸체부(100)로부터 쉽게 분리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유체이송관용 연결커플러는 연결부와 몸체부의 연결 고정 작업을 상기 결속수단에 의해 손쉽게 이룰 수 있음은 물론 연결부와 몸체부의 분리 또한 간단하고 손쉽게 이룰 수 있어 작업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상기 몸체부(100)에는, 상기 조작부재(230)의 조작을 제어하는 제어부재(300)가 설치되는데, 상기 제어부재(300)는 상기 몸체부(100)의 바디(110)에 고정볼트(350)을 매개로 고정되는 판상으로, 그 제어부재(300)에는 상기 고정볼트(350)의 설치를 위한 장공(310)이 형성된다.
즉, 상기 제어부재(300)는 상기 몸체부(100)에 상기 연결부(400)의 일측이 삽입되어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결속수단(200)의 걸림판(220)의 이동을 제한하도록 상기 몸체부(100)의 바디(110)와 상기 조작부재(230)의 누름면체(232)사이에 삽입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몸체부(100)는 일측에 제1연결너트(170)를 매개로 상기 유입관이 연결되고, 내주연에 형성된 돌출턱(112)에 의해 제1유로(111)와 제2유로가 상호 연통되게 형성되는 중공형의 바디(110), 상기 바디(110)의 내측에 형성된 돌출턱(112)에 걸림된 상태로 상기 제2유로(113)에 설치되는 탄성스프링(120), 외주연에 내측과 연통되는 다수개의 제1유체유도공(131)이 형성된 상태로 상기 탄성스프링(120)의 내측에 설치되되 상기 연결부(400)의 삽입시 상기 탄성스프링(120)을 가압하면서 상기 바디(110)의 제1유로(111)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제1유체유도공(131)이 상기 제2유로(113)와 연통되는 통체의 제1유도구(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바디(110)의 제2유로(113)에는 고무패킹(114)이 설치되고, 상기 제1유로(111)는 상기 제2유로(113)의 내경보다 큰 내경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상기 탄성스프링(120)과 제1유도구(130)는 상기 고무패킹(114)과 상기 돌출턱(112)사이의 상기 바디(110)의 제2유로(113)에 위치되게 설치된다.
상기 제1유도구(130)의 일측 외주연에는 실링패킹(133)이 설치되고, 타측 외주연에는 상기 탄성스프링(120)의 단부가 접촉되는 접촉돌출구(132)가 일정간격으로 상호 이격되게 복수개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몸체부(100)의 바디(110) 내측에 상기 탄성스프링(120)과 제1유도구(130)가 설치된 상태를 살펴보면, 상기 탄성스프링(120)은 상기 바디(110) 내측의 돌출턱(112)에 일측이 접촉된 상태로 상기 제2유로(113)에 위치하게 되고, 상기 제1유도구(130)는 상기 실링패킹(133)이 설치된 일측이 상기 제1유로(111)상에 위치한 상태로 상기 돌출턱(112)에 걸림되고 타측은 상기 제2유로(113)상에 위치한 상태로 상기 탄성스프링(120)의 내측에 수용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는 상기 제1유로(111)와 상기 제1유도구(130)의 제1유체유도공(131)이 상호 연통되지 않는 상태를 유지하게 되어 유입관으로부터 상기 제1유로(111)로 유입된 유체가 타측으로 이송되는 것을 차단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연결부(400)는 내측에 서로 다른 내경을 갖는 제3유로(411)와 제4유로가 상호 연통되게 형성되는 중공형의 연결몸체(410), 외주연에 다수개의 제2유체유도공(421)이 형성된 상태로 일측이 상기 제3유로(411)에 수용되고, 타측이 상기 제3,4유로(411,417)를 구분하는 경계턱(414)에 걸림되어 상기 제3유로(411)와 제4유로(417)를 폐쇄하되 상기 몸체부(100)에 삽입시 상기 제4유로(417) 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제2유체유도공(421)과 제4유로(417)가 연통되게 설치되는 통체의 제2유도구(420), 상기 제2유도구(420)에 일측이 연결되는 탄성부재(430), 상기 탄성부재(430)의 타측이 상기 연결몸체(410)의 내측에서 요동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탄성부재(430)의 타측에 연결되게 설치되는 요동방지구(440), 상기 요동방지구(440)가 걸림되는 돌출걸림턱(451)이 형성된 상태로 상기 연결몸체(410)에 결합되고, 상기 유출관이 연결되는 제2연결너트(4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연결몸체(410)는 상기 몸체부(100)의 내측으로 삽입되되 내측에 상기 제3유로(411)가 형성되는 삽입구(412)와 상기 제2연결너트(450)가 결합되되 내측에 상기 제4유로(417)가 형성되고 일측단에 상기 요동방지구(440)의 고정을 위한 고정홈(419)이 형성되는 결합구(418)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제3유로(411)의 내경은 상기 제4유로(417)의 내경보다는 작은 내경을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3유로(411)와 제4유로(417)는 상기 경계턱(414)에 의해 구분되어 진다. 또한, 상기 삽입구(412)의 외주연에는 상기 결속수단(200)의 걸림판(220)이 걸림되는 걸림홈(413)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2유도구(420)의 일측은 상기 제3유로(411)에 수용되게 설치되되 일정길이 상기 삽입구(412)의 외측으로 노출된 상태로 설치되고, 타측 외주연에는 차단패킹(422)이 설치되고, 타측단에는 상기 탄성부재(430)의 내측으로 수용되는 돌출수용구(423)가 일체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연결몸체(410)의 내측에 상기 제2유도구(420)와 탄성부재(430)가 설치되는 상태를 살펴보면, 상기 제2유도구(420)의 타측은 상기 제3유로(411)에 수용되게 설치되되 일정길이 상기 삽입구(412)의 외측으로 노출된 상태로 설치된다.
이때, 상기 제2유도구(420)의 일측은 외주연에 설치되는 차단패킹(422)이 상기 경계턱(414)에 걸림 됨으로써 상기 제4유로(417)에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탄성부재(430)의 일측은 상기 제2유도구(420)의 일측단에 접촉된 상태로 상기 돌출수용구(423)를 수용하게 된다.
또한, 상기 탄성부재(430)의 타측은 상기 요동방지구(440)에 연결되는데, 상기의 탄성부재(430)의 일측과 타측이 상기 돌출수용구(423)와 요동방지구(440)에 연결되게 설치됨으로서 유체의 유동에 따른 상기 탄성부재(430)의 요동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요동방지구(440)는 상기 탄성부재(430)의 타측에 수용되는 수용판(441)과 상기 수용판(441)에 결합된 상태로 상기 결합구(418)의 고정홈(419)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고정구(442)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제2연결너트(450)는 상기 연결몸체(410)의 결합구(418)에 나사 결합되는 것으로, 그 내측에는 상기 돌출걸림턱(451)이 형성되는데, 상기 제2연결너트(450)가 상기 연결몸체(410)에 나사결합시 상기 돌출걸림턱(451)에 의해 상기 요동방지구(440)의 고정구(442)가 상기 고정홈(419)으로 삽입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연결부를 몸체부의 결합하는 상태를 살펴보면, 상기 연결부(400)의 일측을 상기 몸체부(100)의 내측에 삽입하게 되면 상기 연결부(400)의 제2유도구(420)가 상기 몸체부(100)의 내측에 설치된 제1유도구(130)를 밀게 되고, 그와 동시에 상기 제1유도구(130)또한 상기 탄성부재(430)를 압축하면서 상기 제4유로(417)방향으로 밀리게 된다.
이후, 상기 연결부(400)가 상기 결속수단(200)의 눌림부재(210)를 눌러 상기 걸림판(220)이 상기 연결부(400)의 걸림홈(413)에 걸림되게 하여 상기 몸체부(100)에 고정되게 결합된다.
이러한 상태가 되면 상기 제1유로(111)와 제1유도구(130)의 제1유체유도공(131)이 연통되어 유입관으로부터 유입된 유체가 상기 몸체부(100)에서 상기 연결부(400)로 유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1유도구(130)의 실링패킹(133)은 상기 몸체부(100)의 내주연에 간섭되지 않는 상태로 이동된다.
또한, 상기 제4유로와 제2유도구(420)의 제2유체유도공(421)이 연통되게 되므로 상기 몸체부(100)로부터 유입된 유체가 상기 제2유체유도공(421)과 제4유로(417)를 거쳐 유출관으로 유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2유도구(420)의 차단패킹(422)은 상기 연결부(400)의 내주연에 간섭되지 않는 상태로 이동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유체이송관용 연결커플러는 연결부와 몸체부의 결합 및 분리를 손쉽게 이룰 수 있어 작업성이 향상됨은 물론 연결부와 몸체부의 분리시 유체의 유동을 차단하게 되어 유체의 유출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연결부와 몸체부의 잦은 분리 결합동작을 수행하더라도 제1,2유도구에 설치되는 패킹의 손상이 최소화되어 장기간 사용에 따른 유체의 누수를 방지할 수 있게 되고, 그로 인해 유체이송관용 연결커플러의 장기간 사용이 가능하게 된다.
즉, 상기 제1,2유도구에 설치되는 패킹에 손상이 발생한 경우 상기 연결부와 몸체부가 분리된 상태에서 상기 제1,2유도구에 설치되는 패킹의 손상부위를 통해 유체의 누수가 발생되어 연결부와 몸체부의 결합 및 분리에 상당한 어려움이 따름은 물론 유체의 누수로 인한 경제적 손실이 있으므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1,2유도구에 설치되는 패킹의 손상을 최소화하여 상기 연결부와 몸체부가 분리되더라도 유체의 누수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고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관해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하지 않고,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몸체부 110: 바디
120: 탄성스프링 130: 제1유도구
200: 결속수단 210: 눌림부재
220: 걸림판 230: 조작부재
300: 제어부재 400: 연결부
410: 연결몸체 420: 제2유도구
430: 탄성부재 440: 요동방지구
450: 제2연결너트

Claims (6)

  1. 일측에 유입관이 연결되고, 타측에 결속수단이 설치된 상태로 상기 유입관으로부터 유입된 유체가 내측을 유동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타측에 일측이 삽입되어 상기 몸체부와 연통되게 설치되되 일측의 삽입동작시 상기 결속수단에 의해 상기 몸체부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되고, 타측에 유출관이 연결되는 연결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결속수단은, 상기 몸체부의 타측에 외측으로 돌출되게 설치되되 탄성력에 의해 상하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눌림부재; 상기 눌림부재에 연결된 상태로 상기 몸체부의 타측단에 단면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연결부의 일측에 걸림되는 걸림판; 상기 걸림판에 연결된 상태로 상기 몸체부에 설치되어 누름동작시 상기 걸림판의 걸림력을 해제하여 상기 연결부를 상기 몸체부에서 분리할 수 있도록 하는 조작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이송관용 연결커플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속수단은, 상기 몸체부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상기 연결부의 삽입동작시 상기 연결부의 외주연에 형성된 걸림홈에 걸림되어 상기 연결부가 상기 몸체부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이송관용 연결커플러.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에는, 상기 조작부의 조작을 제어하는 제어부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이송관용 연결커플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일측에 제1연결너트를 매개로 상기 유입관이 연결되고, 내주연에 형성된 돌출턱에 의해 제1유로와 제2유로가 상호 연통되게 형성되는 중공형의 바디; 상기 바디의 내측에 형성된 돌출턱에 걸림된 상태로 상기 제2유로에 설치되는 탄성스프링; 및 외주연에 내측과 연통되는 다수개의 제1유체유도공이 형성된 상태로 상기 탄성스프링의 내측에 설치되되 상기 연결부의 삽입시 상기 탄성스프링을 가압하면서 상기 바디의 제1유로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제1유체유도공이 상기 제2유로와 연통되는 통체의 제1유도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이송관용 연결커플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내측에 서로 다른 내경을 갖는 제3유로와 제4유로가 상호 연통되게 형성되는 중공형의 연결몸체; 외주연에 다수개의 제2유체유도공이 형성된 상태로 일측이 상기 제3유로에 수용되고, 타측이 상기 제3,4유로를 구분하는 경계턱에 걸림되어 상기 제3유로와 제4유로를 폐쇄하되 상기 몸체부에 삽입시 상기 제4유로 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제2유체유도공과 제4유로가 연통되게 설치되는 통체의 제2유도구; 상기 제2유도구에 일측이 연결되는 탄성부재; 상기 탄성부재의 타측이 상기 연결몸체의 내측에서 요동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탄성부재의 타측에 설치되는 요동방지구; 상기 요동방지구가 걸림되는 돌출걸림턱이 형성된 상태로 상기 연결몸체에 결합되고, 상기 유출관이 연결되는 제2연결너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이송관용 연결커플러.
KR1020130090558A 2013-07-31 2013-07-31 유체이송관용 연결커플러 KR1013684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0558A KR101368437B1 (ko) 2013-07-31 2013-07-31 유체이송관용 연결커플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0558A KR101368437B1 (ko) 2013-07-31 2013-07-31 유체이송관용 연결커플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68437B1 true KR101368437B1 (ko) 2014-02-28

Family

ID=502721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90558A KR101368437B1 (ko) 2013-07-31 2013-07-31 유체이송관용 연결커플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6843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18627A (ko) * 2015-04-02 2016-10-12 장용기 분리방지기능을 구비한 연결커플러
CN112213166A (zh) * 2020-09-16 2021-01-12 内蒙古电力(集团)有限责任公司内蒙古电力科学研究院分公司 标准油样自动输出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135884U (ko) * 1979-03-22 1980-09-27
KR20030030834A (ko) * 2001-10-09 2003-04-18 가부시키카이샤 나브코 배관 조인트
JP2004125158A (ja) * 2002-07-31 2004-04-22 Mym Corp 管継手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135884U (ko) * 1979-03-22 1980-09-27
KR20030030834A (ko) * 2001-10-09 2003-04-18 가부시키카이샤 나브코 배관 조인트
JP2004125158A (ja) * 2002-07-31 2004-04-22 Mym Corp 管継手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18627A (ko) * 2015-04-02 2016-10-12 장용기 분리방지기능을 구비한 연결커플러
KR101710447B1 (ko) * 2015-04-02 2017-02-27 장용기 분리방지기능을 구비한 연결커플러
CN112213166A (zh) * 2020-09-16 2021-01-12 内蒙古电力(集团)有限责任公司内蒙古电力科学研究院分公司 标准油样自动输出装置
CN112213166B (zh) * 2020-09-16 2024-03-26 内蒙古电力(集团)有限责任公司内蒙古电力科学研究院分公司 标准油样自动输出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75896B1 (ko) 배관용 압착체결구
JP3354574B2 (ja) 迅速連結式継手
JPH0712694U (ja) 管継手
CN101617162A (zh) 具有公差适应的快速连接的连接器
RU2400324C2 (ru) Улучшенный обжимной инструмент
JP2710466B2 (ja) 高い流量と低いこぼれ率を有する弁付き継手部品
EP2514563A1 (en) Spring actuated link clamp
KR100683478B1 (ko) 수도꼭지와 급수호스의 연결용 홀더장치
KR101368437B1 (ko) 유체이송관용 연결커플러
CN111828761A (zh) 一种快速接头
JP6273592B1 (ja) 管継手
TW201739650A (zh) 用於液壓制動系統的連接器
RU2644603C2 (ru) Жидкостная муфта
CN110966474B (zh) 一种具有快接水嘴的电磁阀
KR101843005B1 (ko) 퀵 커플러
US10527213B2 (en) Wedge clamp quick release connector
CN214008429U (zh) 一种可旋转快速接头
KR101962939B1 (ko) 커플링 장치
KR101277814B1 (ko) 에어커플러 어셈블리
US10190375B2 (en) Connection device for connecting a secondary circuit to a drilling element for the circulation of drilling fluids in an oil well
JP2008540958A (ja) 流水システム
US20170307123A1 (en) Connector assembly
KR20200015004A (ko) 분리방지형 유압커플러
WO2012003248A1 (en) Connector
KR101710447B1 (ko) 분리방지기능을 구비한 연결커플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