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4373Y1 - 철분 제거기 - Google Patents

철분 제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4373Y1
KR200234373Y1 KR2020010006609U KR20010006609U KR200234373Y1 KR 200234373 Y1 KR200234373 Y1 KR 200234373Y1 KR 2020010006609 U KR2020010006609 U KR 2020010006609U KR 20010006609 U KR20010006609 U KR 20010006609U KR 200234373 Y1 KR200234373 Y1 KR 20023437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ron
powder
magnetic body
plate
filter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0660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내성
Original Assignee
박내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내성 filed Critical 박내성
Priority to KR202001000660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437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437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4373Y1/ko

Links

Landscapes

  • Combined Means For Separation Of Solid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본 고안은 철분 제거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진동하는 걸름판에 상부로 돌출된 자성체를 설치하고, 상기 걸름판의 일측부에 투입구를 형성하여 철분이 함유된 분체를 투입하고, 상기 걸름판의 타측부에 배출구를 형성하여 상기 분체가 상기 배출구로 배출되도록 하므로써 상기 자성체에 상기 철분이 부착되어 제거되도록 하는 철분 제거기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은 고춧가루나 미숫가루등의 식품과 유리가루등의 분체에 함유된 철분을 완벽하게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철분 제거기{APPARATUS REMOVING IRON FILINGS}
본 고안은 철분 제거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진동하는 걸름판에 상부로 돌출된 자성체를 설치하고, 상기 걸름판의 일측부에 투입구를 형성하여 철분이 함유된 분체를 투입하고, 상기 걸름판의 타측부에 배출구를 형성하여 상기 분체가 상기 배출구로 배출되도록 하므로써 상기 자성체에 상기 철분이 부착되어 제거되도록 하는 철분 제거기에 관한 것이다.
여기서, 철분(鐵粉)은 분말의 철 즉 쇳가루를 가리키는 용어로 사용되며, 이하 본 명세서에서 동일한 의미로 사용된다.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1996-4151호(출원번호 20-1994-17898호, 이하 인용실용신안)에는 고추분쇄기의 배출부의 바닥면의 하부에 자성체를 부착하여 고춧가루에 함유된 철분을 제거하는 고추분쇄기가 개시되어 있고,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0-42540호(출원번호 10-1998-58762호, 이하 인용특허)에는 고추분쇄기의 배출부에서 배출되는 고춧가루에 자성체가 직접 접촉되도록 하여 고춧가루에 함유된 철분을 제거하는 고추분쇄기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인용실용신안과 인용특허는 분쇄된 고춧가루 중 자성체에 직접 접촉되는 것은 일부분에 불과하여 일부분의 철분만이 제거되었으며, 고춧가루가 수분에 의하여 엉겨있는 경우에는 자성체와 접촉하더라도 철분이 제거되지 않으며, 자성체에 부착된 철분도 고춧가루와의 마찰에 의해 다시 이탈되는 문제점등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철분을 함유한 분체가 자성체에 충분히 접촉되도록 하며, 수분에 의해 엉긴 철분과 분체가 충분히 분리되어 철분이 제거되도록 하는 철분 제거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개념도.
도2a는 본 고안에 따른 일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
도2b는 본 고안에 따른 일실시예를 도시한 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
10. 지지대 12. 탄성수단 20. 걸름판
22. 투입구 24. 배출구 26. 바닥면
28. 수납공간 30. 바이브레이터 40. 자성체
본 고안에 의한 철분 제거기는,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의 상부에 탄성수단으로 연결되어 안착되는 걸름판과;상기 걸름판의 소정의 위치에 부착되어 상기 걸름판을 진동시켜, 상기 걸름판의 상부에 투입된 철분이 함유된 분체를 유동시키는 바이브레이터와; 상기 걸름판의 일측부에 형성된 투입구와; 상기 걸름판의 타측부에 형성된 배출구와; 상기 걸름판의 바닥면에 형성된 자성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자성체는, 상기 바닥면에서 상부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기도 하며,
상기 자성체는, 상기 투입구와 상기 배출구를 연결하는 선에 교차하도록 위치하여 형성된 봉상의 자성체로서, 상기 분체가 돌출된 상기 자성체를 월류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기도 하며,
상기 자성체는 영구자석이며, 상기 바닥면에는 상기 자성체가 상기 바닥면에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수납공간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기도 하며,
상기 걸름판은, 상기 일측부가 높고, 상기 타측부가 낮도록 경사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기도 하며,
상기 투입구에는, 철분이 함유된 엉긴 분체를 풀어주는 풀림수단이 추가로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기도 한다.
이하 도면을 통하여 본 고안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도면은 예시적인 목적일 뿐 본 고안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개념도이다.
도1을 살펴보면, 본 고안은 지면위에 설치된 지지대(10)에 의하여 기계가 지지된다. 도면에서는 지지대(10)를 금속이나 나무등의 구조물로 구성하였지만, 콘크리트로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지지대(10)의 상부에는 네 꼭지점에 탄성수단(12, 여기서는 스프링)이 부착된다. 상기 탄성수단(12)은 스프링이외에도 탄성고무, 실리콘등을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탄성수단(12)의 상부에는 걸름판(20)이 안착된다. 상기 걸름판(20)은 철분이 함유된 분체(미도시)가 담겨 철분을 제거하는 공간이다.
상기 지지대(10)과 탄성수단(12)과 걸름판(20)의 연결방법은 다양하게 구현할 수 있다. 예를들면, 지지대(10)를 더 높이 세우고, 상기 지지대(10)의 네 꼭지점의 하부에 탄성수단(12)을 하향하도록 매달고, 상기 탄성수단(12)의 하단에 상기 걸름판(20)이 매달리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상기 걸름판(20)은 일측부(도면상으로는 좌측)에 분체를 투입하는 투입구(22)가 형성되며, 타측부(도면상으로는 우측)에 분체가 배출되는 배출구(24)가 형성된다. 상기 투입구(22)는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도면표시를 생략하였다. 상기 투입구(22)와 배출구(24)는 도면에 표시된 것 이외에도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걸름판(20)의 좌측면에는 바이브레이터(30)가 부착되어 있다. 상기 바이브레이터(30)는 상기 걸름판(20)을 진동시킬 수 있다면 이미 공지된 많은 바이브레이터 중 어느 것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예를들면, 전자석을 응용한 전자식(電磁式) 바이브레이터로 전류를 1초 동안에 수십 번 또는 수백 번 단속(斷續)해서 코일에 흘려서 철심을 진동시키는 것과, 소형 모터를 이용한 바이브레이터로 모터의 회전을 코일스프링에 의해 분동축(分銅軸)에 전달하고, 무게중심이 한쪽으로 치우치게 장치된 분동이 회전하여 헤드 부분을 진동시키는 것등이 있으며, 이외에도 진동시킬수 있는 도구라면 어느것이라도 무방하다. 도면에서는 관측의 편의를 위하여 걸름판(20)의 좌측면에 바이브레이터(30)를 부착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실제로는 상기 걸름판(20)의 하부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바이브레이터 (30)는 상기 걸름판(20)을 진동시키며 상기 걸름판(20)의 투입구(22)에 투입된 분체가 상기 배출구(24) 쪽으로 이동시키기만 한다면 어떠한 종류나 위치라도 무방하다.
또한 상기 걸름판(20)의 바닥면(26)에는 자성체(40)를 수납할 수 있는 수납공간(28)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수납공간(28)에는 자성체(40)를 삽입하여 상기 바닥면(26)의 상부에 접촉되어 유동하는 분체에 함유된 철분을 자력에 의하여 포집하도록 되어 있다. 도면상에서 상기 수납공간(28)과 상기 수납공간(28)에 수납된 자성체(40)가 노출되어 있으나 이는 이해의 편의를 위한 것이며, 수납공간(28)에는 상기 자성체(40)가 상기 수납공간(28)에 수납되어 고정되거나 필요에 의하여 탈부착시키도록 하는 여러 고정수단들을 부착할 수 있다.
상기 수납공간(28)에 수납되는 상기 자성체(40)는 봉상의 영구자석으로 구성하였다. 그러나 상기 자성체(40)를 전자석으로 구성하여 상기 바닥면(26)의 하부에 상기 수납공간(28)없이 고정시킬 수도 있으며, 영구자석으로 하는 경우에도 수납공간(28)없이 고정시킬 수도 있다. 상기 자성체(40)를 영구자석으로 하는 경우에는, 본 고안에 의한 철분 제거기를 사용하다보면 중간에 상기 바닥면(26)의 상부에 부착된 철분을 제거하기 위하여 상기 영구자석으로 된 자성체(40)를 상기 수납공간(28)으로부터 제거하고 철분을 제거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을 수 있으나, 전자석에 비하여 저렴하며 전력을 소비하지 않는 장점이 있다. 반면, 상기 자성체(40)를 전자석으로 하는 경우에는, 전력을 소비하는 단점은 있으나, 본 고안에 의한 철분 제거기를 사용시에 청소가 손쉬운 장점이 있다.
도면에서는 봉상의 자성체(40)를 부착하는 것으로 구성하였으나,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바닥면(26)의 하부에 플레이트자석을 부착시킬 수도 있다. 상기 자성체(40)은 분체에 포함된 철분을 부착시키는 역할을 하므로 상기 바닥면(26)에 자성체가 위치하기만 하면 된다. 그러나, 청소의 편의와, 자성체(40)와 분체와의 원활한 접촉을 위하여는 봉상의 자성체(40)가 바람직하다. 플레이트자석으로 구성하는 경우에는 상기 바닥면(26)의 상부에 상기 수납공간(28)의 다른 역할인 분체이동의 차단을 위하여 추가로 턱을 설치할 수도 있다.
상기 걸름판(20)의 바닥면(26)에는 상기 수납공간(28)에 의하여 상부로 돌출되어 있으나, 필요에 따라서는 상부로 돌출되지 않고 편평하게 구성할 수도 있다.
도면에서는 상기 걸름판(20)이 수평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필요에 따라서 일측부(좌측)가 타측부(우측)보다 높게 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으며, 상기 걸름판(20)의 경사각을 조절할 수 있는 장치를 부수적으로 추가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걸름판(20)의 투입구(22)에는 수분에 의하여 엉긴 분체를 풀어주는 풀림수단(미도시)을 추가로 부착할 수도 있다. 상기 걸름판(20)은 진동에 의하여 엉긴 분체를 풀어주는 역할을 하지만 보다 높은 효율을 위하여 풀림수단(예를들면 로울러등)을 추가로 설치할 수도 있다.
이하, 도1을 참조하며 작동을 설명한다.
상기 바이브레이터(30)에 의하여 진동하는 걸름판(20)에 철분이 함유된 분체가 투입구(22)로 투입되면, 상기 분체는 바닥면(26)을 따라 배출구(24)로 이동한다. 상기 분체에 함유된 철분은 진동에 의하여 분리된다. 또한 상기 분체는 이동중에 상기 바닥면(26)에 돌출된 자성체(40) 또는 수납공간(28)에 의해 형성된 돌출부를 월류(越流)하여야 하며, 이 과정에서 상기 자성체(40) 또는 수납공간(28)와 긴밀하게 접촉하고 분리된 철분은 상기 자성체(40)의 자력에 의하여 포집된다. 철분이 분리된 분체는 상기 자성체(40) 또는 수납공간(28)을 월류하여 배출구(24)로 배출된다.
상기와 같은 작업을 계속하면, 상기 자성체(40) 또는 수납공간(28)에는 많은 철분이 부착되며, 일정시간 또는 일정량의 작업후에는 상기 자성체(40) 또는 수납공간(28)에 부착된 철분을 제거하여야 한다. 도1에서는 수납공간(28)에 수납된 자성체(40)을 빼면 수월하게 부착된 철분을 제거할 수 있다. 통상 자력선안에 머물던 철분은 자성을 띠게 되므로 상기 걸름판(20) 또는 적어도 상기 바닥면(26)이나 수납공간(28)은 비철금속(예를들면 스테인레스) 또는 비철재질(예를들면 플라스틱)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실제 제작 물건을 설명한다. 그러나, 이 실시예는 예시적인 목적일 뿐 본 고안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도2a는 본 고안에 따른 일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2b는 본 고안에 따른 일실시예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2a와 도2b를 동시에 참조하며 도1과의 차이점을 설명한다.
걸름판(20)에는 상부에 덮개(도면부호 미표시)가 덮여 있다. 상기 덮개는 분체에 먼지등의 이물질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이에따라 투입구(22)는 상기 덮개의 상부에 설치된다.
또한 지지대(10)와 탄성수단(12)은 생략되어 있다.
바이브레이터(30)는 걸름판(20)의 하부 중앙에서 좌측으로 사선으로 부착되어 있다. 실시예에서는 상기 바이브레이터(30)가 상당한 무게를 가지므로 이를 지지하는 행거볼트(도면부호 미표시)에 의하여 지지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덮개 또는 바이브레이터(30)의 위치의 차이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영향을 미치는 것은 아니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고춧가루나 미숫가루등의 식품과 유리가루등의 분체에 함유된 철분을 완벽하게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의 상부에 탄성수단으로 연결되어 안착되는 걸름판과;
    상기 걸름판의 소정의 위치에 부착되어 상기 걸름판을 진동시켜, 상기 걸름판의 상부에 투입된 철분이 함유된 분체를 유동시키는 바이브레이터와;
    상기 걸름판의 일측부에 형성된 투입구와;
    상기 걸름판의 타측부에 형성된 배출구와;
    상기 걸름판의 바닥면에 형성된 자성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분 제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성체는,
    상기 바닥면에서 상부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분 제거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자성체는,
    상기 투입구와 상기 배출구를 연결하는 선에 교차하도록 위치하여 형성된 봉상의 자성체로서, 상기 분체가 돌출된 상기 자성체를 월류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특징으로 하는 철분 제거기.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자성체는 영구자석이며, 상기 바닥면에는 상기 자성체가 상기 바닥면에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수납공간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분 제거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걸름판은,
    상기 일측부가 높고, 상기 타측부가 낮도록 경사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분 제거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투입구에는,
    철분이 함유된 엉긴 분체를 풀어주는 풀림수단이 추가로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분 제거기.
KR2020010006609U 2001-03-12 2001-03-12 철분 제거기 KR20023437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6609U KR200234373Y1 (ko) 2001-03-12 2001-03-12 철분 제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6609U KR200234373Y1 (ko) 2001-03-12 2001-03-12 철분 제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34373Y1 true KR200234373Y1 (ko) 2001-10-06

Family

ID=730636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06609U KR200234373Y1 (ko) 2001-03-12 2001-03-12 철분 제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4373Y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6383B1 (ko) 2007-06-25 2008-12-31 이왕주 식품 분쇄가루의 금속 이물질 제거장치
KR100948174B1 (ko) * 2008-05-14 2010-03-16 박내성 분말가루의 금속류 분리장치
KR100986813B1 (ko) * 2008-05-30 2010-10-08 몽 필 김 고추가루 살균 및 철분제거기
KR101095953B1 (ko) 2010-06-24 2011-12-19 신진출 고추분쇄기의 고춧가루 공급장치
KR101370051B1 (ko) 2012-06-07 2014-03-06 경북 친환경 영농조합법인 분말제재 쇳가루 제거장치
KR20190097584A (ko) * 2018-02-12 2019-08-21 (주)은성도료 액체 페인트의 폐분진 페인트 재활용 장치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6383B1 (ko) 2007-06-25 2008-12-31 이왕주 식품 분쇄가루의 금속 이물질 제거장치
KR100948174B1 (ko) * 2008-05-14 2010-03-16 박내성 분말가루의 금속류 분리장치
KR100986813B1 (ko) * 2008-05-30 2010-10-08 몽 필 김 고추가루 살균 및 철분제거기
KR101095953B1 (ko) 2010-06-24 2011-12-19 신진출 고추분쇄기의 고춧가루 공급장치
KR101370051B1 (ko) 2012-06-07 2014-03-06 경북 친환경 영농조합법인 분말제재 쇳가루 제거장치
KR20190097584A (ko) * 2018-02-12 2019-08-21 (주)은성도료 액체 페인트의 폐분진 페인트 재활용 장치
KR102020028B1 (ko) * 2018-02-12 2019-09-10 (주)은성도료 액체 페인트의 폐분진 페인트 재활용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S6346124Y2 (ko)
KR200234373Y1 (ko) 철분 제거기
US5652993A (en) Knife cleaner
CN206454780U (zh) 一种振动筛鱼机
CN205851345U (zh) 一种用于瓷砖生产的除铁筛
CN218014055U (zh) 一种用于陶粒生产的筛选制粒装置
RU2452176C2 (ru) Фильтрационный картридж
CN207046921U (zh) 一种易清洗型渠道式重介质粉捕捉器
CN214862512U (zh) 一种用于干法脱硝的辅助下料装置
US3432148A (en) Vibratory devices for cleaning dentures or the like
JPS61118112A (ja) 磁気分離装置
JPS6119773Y2 (ko)
JP2577301B2 (ja) 混入磁性体の除去装置
CN216324927U (zh) 一种铸造用铸造砂振动筛
CN204523662U (zh) 一种敞口容器的批量超声清洗系统
CN210787731U (zh) 一种辊式干法磁选机
CN218395027U (zh) 一种四爪钉震动筛洗机
CN213467270U (zh) 一种多功能除尘器
CN204107653U (zh) 一种混凝土膨胀剂原材料除铁装置
JP2007327226A (ja) 気泡除去装置
CN208429057U (zh) 一种智能快速汽车洗车机
KR100804034B1 (ko) 정제용 탈분기
JPH04346808A (ja) 粉粒体のフィルター
CN204523663U (zh) 适用于超声清洗仪的三角瓶固定装置
DE29700914U1 (de) Vorrichtung zum Spülen und Reinigen von mit wäßrigen Trennmedien benetztem Trenngu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531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