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3386Y1 - 팩시밀리의 커버패널 개폐장치 - Google Patents

팩시밀리의 커버패널 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3386Y1
KR200233386Y1 KR2019980012082U KR19980012082U KR200233386Y1 KR 200233386 Y1 KR200233386 Y1 KR 200233386Y1 KR 2019980012082 U KR2019980012082 U KR 2019980012082U KR 19980012082 U KR19980012082 U KR 19980012082U KR 200233386 Y1 KR200233386 Y1 KR 20023338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panel
opening
path
facsimile
clos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1208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02316U (ko
Inventor
김기용
Original Assignee
이정태
대우통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정태, 대우통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정태
Priority to KR201998001208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3386Y1/ko
Publication of KR2000000231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231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338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3386Y1/ko

Links

Landscapes

  • Facsimiles In General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팩시밀리의 커버패널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팩시밀리의 커버패널을 개방시키게 되면 개방된 커버패널이 다시 닫혀지지 않고 개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커버패널의 개폐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커버패널 측면으로 돌출된 가이드핀과, 일단부가 상기 프레임에 회동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고 내측 벽면에는 상기 가이드핀을 결합 안내하는 가이드홈을 구비하되 상기 가이드홈에는 상기 커버패널이 일정각도로 개방되었을 때 걸릴 수 있는 단차부를 갖는 스톱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팩시밀리의 커버패널 개폐장치
본 고안은 팩시밀리의 커버패널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팩시밀리의 커버패널을 개방시키게 되면 개방된 커버패널이 다시 닫혀지지 않고 개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 커버패널의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팩시밀리는 본체의 상부에 수신자의 팩시밀리 전화번호를 누르기 위해 그리고, 그 외의 기능을 조작하기 위해 작동버튼이 구비된 커버패널이 본체 프레임과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도 1은 종래 커버패널의 개폐장치를 분해한 사시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양측 프레임(10)의 후측 상단을 연결하는 횡바아(12)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횡바아(12)의 일측 단부에는 상부로 절곡되어 그 상단부에 힌지축(14)을 구비한 연결구(13)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횡바아(12)의 타측 단부에는 착탈 가능하게 체결되는 연결구(13)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프레임(10) 선단쪽 외측에는 힌지 결합된 후크(16)가 구비되어 있는데, 상기 후크(16)는 그 중앙의 힌지 결합부를 중심으로 상부에 걸림턱(17)과 개방버튼(18)이 구비되고, 그 하부에는 후방으로 당겨지도록 프레임(10)에 결합된 스프링이 연결되어 있다.
커버패널(30)의 양측 후단에는 상기 힌지축(14)에 끼워지는 결합홈(34)을 구비하면서 일정길이 후방으로 연장된 아암(33)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커버패널(30)의 선단부에는 상기 프레임의 후크(16)에 걸려지는 록킹돌기(36)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상기 커버패널(30)이 양측 프레임(10)에 결합되는 방식에는 상기 힌지축(14)에 토션스프링(15)이 설치된 탄력 개방 방식과, 토션스프링(15)이 설치되지 않은 수동개방 방식이 있다.
이때, 상기 탄력개방 방식의 토션스프링(15)은 그 일측단이 아암(33)을 탄지하고 타측단은 연결구(13)에 고정되어 상기 커버패널(30)이 개방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작용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상기 수동개방 방식은 커버패널(30)의 힌지 결합부에 상기 토션스프링(15)을 설치하지 않음으로써, 제조 및 조립공정을 줄이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2는 종래 팩시밀리의 커버패널이 개방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요부 측면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상기 팩시밀리에 기록지를 교환하거나, 잼을 제거하기 위해 상기 커버패널(30)을 개방시키게 된다.
이를 위해 사용자가 양측 프레임(10) 전방에 형성된 개방 버튼(18)을 누르게 되면 상기 커버패널(30)의 록킹돌기(36)를 홀딩하고 있던 후크(16)가 풀리게 된다.
동시에, 상기 탄력개방 방식에 있어서는 커버패널(30)이 토션스프링(15)의 탄력에 의해 자동적으로 개방되며, 수동개방 방식에 있어서는 사용자가 수동으로 상기 커버패널(30)을 개방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한 바와 같이, 팩시밀리 내부의 기록지를 교환하거나 잼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상기 커버패널(30)이 일정각도 이상으로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어야 한다.
따라서, 상기 수동개방방식에 있어서는 사용자가 한 손으로 상기 커버패널(30)을 잡고, 다른 한 손으로 기록지를 교환하거나 잼을 제거하는 등의 작업을 수행하여야 함으로 매우 불편하다.
또한, 상기 탄력개방방식에 있어서도, 상기 토션스프링(15)에 의해 개방되는 각도는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개방 각도보다 작게 설계된다.
이와 같은 이유는, 토션스프링(15)이 상기 목적을 달성할 수 있을 정도로 설계되면, 과도한 탄성력이 상기 커버패널(30)에 작용하게 되어 커버패널(30)이 개방되는 속도에 의해 반동을 일으켜 심하게 흔들리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 커버패널(30)을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커버패널(30)을 더 개방시켜 한 손으로 잡고 다른 한 손으로 작업을 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더욱이 수동개방 방식에 있어서, 사용자가 부주의나 실수로 상기 커버패널(30)을 놓치게 되면, 상기 커버패널(30)이 자중에 의해 낙하되어 닫혀지면서 그 충격이 기기 내부로 전달되어 부품들을 파손시킬 우려가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팩시밀리의 커버패널을 일정각도 이상으로 개방시키게 되면, 상기 커버패널의 개방된 상태가 그대로 유지되도록 하므로써, 기록지 교환작업이나 잼 제거작업이 편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더욱이 커버패널이 자중에 의해 낙하되는 것을 방지하여 기기 내부의 부품들이 훼손되지 않도록 한 팩시밀리의 커버패널 개폐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커버패널의 개폐장치를 분해한 사시도,
도 2는 종래 팩시밀리의 커버패널이 개방된 모습을 나타내는 요부 측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커버패널 개폐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스톱퍼의 제 1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스톱퍼의 제 2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커버패널이 개방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요부 측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프레임 16 : 후크
20 : 스톱퍼 25 : 가이드홈
26 : 열림경로 27 : 단차부
28 : 닫힘경로 29a : 상부 가이드벽
29b : 하부 가이드벽 30 : 커버패널
35 : 가이드핀 36 : 록킹돌기
본 고안은 양측 프레임 후단의 힌지 결합부를 중심으로 개폐되는 커버패널을 갖는 팩시밀리에 있어서, 상기 커버패널 측면으로 돌출된 가이드핀과, 일단부가 상기 프레임에 회동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고 내측 벽면에는 상기 가이드핀을 결합 안내하는 가이드홈을 구비하되 상기 가이드홈에는 상기 커버패널이 일정각도로 개방되었을 때 걸릴 수 있는 단차부를 갖는 스톱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서, 상기 가이드홈은 일정길이 상방향으로 연장되어 일정 위치에 상기 단차부를 구비한 열림경로와, 상기 열림경로의 상사점에서 연장되어 다시 시작점으로 복귀되는 닫힘경로로 구성되었다.
상기 단차부는 상기 열림경로를 일측면으로 만곡시켜 상기 가이드핀이 걸려지는 걸림턱을 이루고 있다. 이때, 상기 단차부는 상기 열림경로상에 다단계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사점에는 경로를 이루는 하부 가이드 벽면이 열림경로 방향에서 닫힘경로 방향으로 하향 경사를 이루고 있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커버패널 개폐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상기 커버패널(30)의 양측면에는 상향으로 절곡된 측벽면이 있으며, 상기 측벽면 후방에는 가이드핀(35)이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또한, 상기 커버패널(30)의 전방에는 하향 절곡된 측벽면이 구비되어 그 측벽면에 외측으로 형성된 록킹돌기(36)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스톱퍼(20)는 좁은 폭으로 연장된 하향 연장부(23)와 상부에는 상기 연장부(23) 보다는 비교적 넓은 폭으로 형성된 경로 변환부(24)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하향 연장부(23) 하단에는 관통공(21)이 형성되어 상기 양측 프레임(10)에 회동 가능하게 힌지 결합된다.
상기 프레임(10) 선단쪽 외측에는 힌지 결합된 후크(16)가 구비되어 있는데, 상기 후크(16)는 그 중앙의 힌지결합부를 중심으로 상부에 걸림턱(17)과 개방버튼(18)이 구비되고, 그 하부에는 후방으로 당겨지도록 프레임(10)에 결합된 스프링이 연결되어 있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스톱퍼의 제 1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상기 스톱퍼(20)의 내측 벽면에는 일정 깊이를 갖도록 파여진 일정 궤적의 가이드홈(25)이 구비되어 상기 커버패널의 가이드핀(35)을 결합시켜 안내할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 가이드홈(25)은 일정길이 상방향으로 연장된 열림경로(26)와, 상기 열림경로(26)의 상사점에서 연장되어 다시 시작점으로 복귀되는 닫힘경로(28)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열림경로(26)의 일정 위치에는 상기 커버패널이 일정각도로 개방되었을 때 가이드핀(35)이 걸릴 수 있는 단차부(27)를 이루고 있는데 상기 단차부(27)는 상기 열림경로(26)를 일측면으로 만곡시켜 상기 가이드핀(35)이 걸려지는 걸림턱을 이루고 있다.
상기 가이드홈의 열림경로(26)는 연장부(23) 하단에서 시작되어 연장부(23)를 따라 상부로 이어지며, 이어서 상기 경로 변환부(24)의 일정 위치에서 좌측으로 만곡되어 상기 가이드핀(35)이 걸려질 수 있도록 걸림턱을 형성하였다.
이어서, 상기 열림경로(26)는 상부로 이어지면서 상사점에 이르게 된다. 이때, 상기 상사점에서는 가이드핀(35)이 경로를 이루고 있는 상부 가이드벽(29a)을 따라 이동하면서 상사점에 이르게 되는데 이때, 상사점의 경로를 이루는 하부 가이드벽(29b)은 열림경로(26) 방향에서 닫힘경로(28) 방향으로 하향 경사를 이루고 있다.
따라서, 상기 상사점에서 커버패널을 누르게 되면, 상기 가이드핀(35)이 하부 가이드벽면(29b)을 타고 닫힘경로(28)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어서, 상기 닫힘경로(28)는 열림경로의 단차부(27) 밑에서 상기 연장부(23)의 열림경로(26) 우측면과 이어져 시작점으로 되돌아간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스톱퍼의 제 2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상기 가이드홈(26)의 닫힘경로(28)는 도 4의 제 1실시예와 같은 구성으로 형성되어 있으나, 열림경로(26)에는 단차부(27)가 상·하로 다수개의 층을 이루며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제 1실시예에서는 커버패널의 가이드핀(35)이 상기 단차부(27)에 걸려 일정한 개방 상태만을 유지하게 되나, 본 제 2실시예에서는 다단의 단차부(27)가 형성되어 있음으로 필요에 따라 상기 커버패널의 개방정도를 선택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상의 구성에 의한 본 고안의 작동예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커버패널이 개방된 모습을 나타내는 요부 측면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상기 팩시밀리에 기록지를 교환하거나, 잼을 제거하기 위해 사용자가 양측 프레임(10) 전방에 형성된 개방 버튼(18)을 누르게 되면, 상기 커버패널(30)의 록킹돌기(36)를 홀딩하고 있던 후크(16)가 풀리게 된다.
동시에, 상기 탄력개방 방식에 있어서는 커버패널(30)이 토션스프링(15)의 탄력에 의해 자동적으로 개방되며, 수동개방 방식에 있어서는 사용자가 수동으로 상기 커버패널(30)을 개방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커버패널(30) 측면의 가이드핀(35)은 양측 프레임(10)에 힌지 결합된 스톱퍼(20)의 열림경로를 따라 상부로 이동하게 되고, 계속해서 상기 커버패널(30)이 더욱 개방되어 상기 가이드핀(35)이 열림경로의 단차부(27)를 지나게 되면, 상기 커버패널(30)이 다시 닫혀지더라도 상기 가이드핀(35)에 의해 열림경로의 단차부(27)에 지지되어 더 이상 닫혀지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커버패널(30)이 일정각도로 개방된 상태에서 사용자는 기록지를 교환하거나 잼을 제거하게 된다.
제 2실시예에서는 상기 커버패널(30)이 다단계로 열려질 수 있음으로 필요에 따라 적절한 각도로 개방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커버패널(30)을 더 개방시키게 되면, 상기 가이드핀(35)이 열림경로의 상부 가이드벽을 따라 상사점까지 이르게 되며, 이때 사용자는 상기 커버패널(30)이 더 이상 열리지 않는다는 것을 느끼게 된다.
이어서, 사용자가 상기 커버패널(30)을 닫게 되면, 도 6에서 처럼 커버패널의 가이드핀(35)이 하부 가이드벽(29b)을 따라 이동하게 되는데, 상기 하부 가이드벽(29b)이 열림경로(26)에서 닫힘경로(28) 방향으로 하향 경사를 이루고 있음으로, 상기 가이드핀(35)은 닫힘경로(28)를 따라 시작점까지 되돌아가면서 상기 커버패널(30)을 닫혀지게 한다.
동시에 상기 스톱퍼(20)는 하부의 힌지 결합부를 중심으로 전후방향으로 회동되면서 상기 커버패널의 가이드핀(35)을 안내하게 된다.
이상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상기 커버패널을 일정각도 이상으로 개방시키게 되면, 상기 커버패널의 가이드핀이 가이드홈의 단차부에 걸려 커버패널을 개방된 상태로 유지시켜 줌으로써, 내부의 기록지 교환작업이나 잼 제거작업시 양손을 다 사용할 수 있어 편리하다.
더욱이, 토션스프링이 없는 수동개방 방식에 있어서는 상기 커버패널이 개방된 상태에서 낙하되지 않기 때문에 기기 내부의 부품들이 커버패널이 닫혀지는 충격에 의해 훼손되지 않게 된다.

Claims (5)

  1. 양측 프레임(10) 후단의 힌지(14) 결합부를 중심으로 개폐되는 커버패널(30)을 갖는 팩시밀리에 있어서,
    상기 커버패널(30) 측면으로 돌출된 가이드핀(35)과;
    일단부가 상기 프레임(10)에 회동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고, 내측 벽면에는 상기 가이드핀(35)을 결합 안내하는 가이드홈(25)을 구비하되, 상기 가이드홈(25)에는 상기 커버패널(30)이 일정각도로 개방되었을 때 걸릴 수 있는 단차부(27)를 갖는 스톱퍼(2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팩시밀리의 커버패널 개폐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홈(25)은 일정길이 상방향으로 연장되어 일정 위치에 상기 단차부(27)를 구비한 열림경로(26)와;
    상기 열림경로(26)의 상사점에서 연장되어 다시 시작점으로 복귀되는 닫힘경로(28)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팩시밀리의 커버패널 개폐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단차부(27)는 상기 열림경로(26)를 일측면으로 만곡시켜 걸림턱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팩시밀리의 커버패널 개폐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단차부(27)는 상기 열림경로(26)상에 상·하로 다단계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팩시밀리의 커버패널 개폐장치.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상사점에는 경로를 이루는 하부 가이드 벽면(29b)이 열림경로(26) 방향에서 닫힘경로(28) 방향으로 하향 경사를 이루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팩시밀리의 커버패널 개폐장치.
KR2019980012082U 1998-07-02 1998-07-02 팩시밀리의 커버패널 개폐장치 KR20023338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2082U KR200233386Y1 (ko) 1998-07-02 1998-07-02 팩시밀리의 커버패널 개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2082U KR200233386Y1 (ko) 1998-07-02 1998-07-02 팩시밀리의 커버패널 개폐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2316U KR20000002316U (ko) 2000-02-07
KR200233386Y1 true KR200233386Y1 (ko) 2001-08-07

Family

ID=695187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12082U KR200233386Y1 (ko) 1998-07-02 1998-07-02 팩시밀리의 커버패널 개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3386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4291B1 (ko) * 2013-01-09 2019-12-11 웅진코웨이 주식회사 회전식 커버 결합구조
KR102087394B1 (ko) * 2018-07-24 2020-03-10 주식회사 빅솔론 인쇄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2316U (ko) 2000-0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11770B2 (en) Battery casing with an ejector
JP5247244B2 (ja) 画像形成装置
JP3807830B2 (ja) ナイフ保持具
JP6210480B2 (ja) 原稿圧着板開閉装置
KR20020084992A (ko) 잉크젯 프린터의 잉크카트리지 착탈장치
KR200233386Y1 (ko) 팩시밀리의 커버패널 개폐장치
KR970061535A (ko) 잠금기구
US6925933B1 (en) Portable stamp
KR20000012852U (ko) 팩시밀리의 커버패널 개폐장치
KR200206164Y1 (ko) 팩시밀리의 오퍼레이팅패널 개폐장치
JP4943375B2 (ja) 飲料抽出機
JP2001161618A (ja) モップハンドル
JP6713697B2 (ja) 引戸用指挟み防止具、およびそれを用いた引き戸装置
KR0128146Y1 (ko) 세탁기의 도어
JP3683244B2 (ja) 蓋付き鍋
JPH1014784A (ja) 液体容器の蓋ヒンジ部のロック装置
JP4003518B2 (ja) 洗濯機
KR100205686B1 (ko) 진공청소기의 필터커버 걸림장치
KR890004975Y1 (ko) 전기 전자 기기의 콘트롤 스위치 개폐 도어
KR200165516Y1 (ko) 휴대폰용 플립개방장치
KR200358815Y1 (ko) 진공 청소기
JP2001298282A (ja) 小型電子機器
KR900003617Y1 (ko) 키보드 경사 조절장치
JP2944951B2 (ja) コンパクト容器の開閉装置
KR940001834Y1 (ko) 휴대용 퍼스널 컴퓨터의 덮개 개폐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