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2099Y1 - 화살용 살대 - Google Patents

화살용 살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2099Y1
KR200232099Y1 KR2020010000280U KR20010000280U KR200232099Y1 KR 200232099 Y1 KR200232099 Y1 KR 200232099Y1 KR 2020010000280 U KR2020010000280 U KR 2020010000280U KR 20010000280 U KR20010000280 U KR 20010000280U KR 200232099 Y1 KR200232099 Y1 KR 20023209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bon sheet
hollow tube
aluminum hollow
layer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0028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덕열
차도순
Original Assignee
이덕열
차도순
이달영
전용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덕열, 차도순, 이달영, 전용우 filed Critical 이덕열
Priority to KR202001000028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209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209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2099Y1/ko

Links

Landscapes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화살용 살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알류미늄중공관체에 카본시트를 씌우고 이를 테핑한 후 가열경화시켜서 연삭하여 제조하므로서 직진도가 우수하고 전단강도가 높은 살대를 제조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본 고안은 알류미늄중공관(10)에 카아본시트(21)를 피복한 후 가열경화시키고 이를 연마하여서 알류미늄중공관(10)의 외주연에 열경화된 카아본시트층(11)을 복층으로 형성하고, 상기 카아본시트층(11)과 알류미늄중공관(10) 사이에 망직물층(12)을 형성한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심재를 알류미늄중공관으로 하므로서 살대가 경량화되며, 그 외주연에 복층의 카아본시트층을 형성하므로서 전단강도와 진선도가 우수하며, 상기 카아본시트층과 알류미늄중공관의 사이에 망직물층을 구비하므로서 카아본시트의 결합력이 향상되는 것이다.

Description

화살용 살대{A shaft of an arrow}
본 고안은 화살용 살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알류미늄중공관체에 카본시트를 씌우고 이를 테핑한 후 가열경화시켜서 연삭하여 제조하므로서 직진도가 우수하고 전단강도가 높은 살대를 제조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살용 살대는 대나무로 이용하여 제작하거나, 단순히 중공관체로 형성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화살용 살대로 대나무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살대의 수요에 비하여 대나무의 확보가 용이하지 못하며, 온도와 습도에 따라 쉽게 변형되고 사용과정에 파손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단순히 중공관체로 형성하는 경우에는 온도 등에 의하여 쉽게 변형되고 사용과정에 쉽게 벤딩되어 직선도가 떨어지고 강도가 약한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중공관체의 외주연에 카아본시트층을 형성하여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도 1 은 본 고안에 있어서 접착제 도포공정부터
테핑공정까지를 보인 주요 공정도.
도 2 는 본 고안에 있어서 가열경화공정부터
테입제거공정까지를 보인 주요 공정도.
도 3 은 본 고안에 있어서 일차 직선화공정부터
이차 직선화공정까지를 보인 주요 공정도.
도 4 는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예를 보인 측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알류미늄중공관
11 : 카아본시트층 12 : 망직물층
21 : 카아본시트 22 : 망직물
31 : 합성수지테입 41 : 다이알게이지
110 : 접작체 도포공정 120 : 카아본시트 피복공정
130 : 롤링공정 140 : 테핑공정
150 : 가열경화공정 160 : 테입제거공정
170 : 일차 직선화 공정 180 : 연삭공정
190 : 이차 직선화 공정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알류미늄중공관의 외주연에 카아본시트층을 형성하여 살대의 강도와 직선도를 향상시키고 경량화 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알류미늄중공관(10)의 외주연에 시효경화성 접착제를 도포하는 접착제 도포공정(110)과, 상기 접착제 도포공정(110)을 통하여 도포된 접착제가 원활하게 경화되게 32~37℃로 가열하며 알류미늄중공관(10)에 카아본시트(21)를 가압 피복하는 카아본시트 피복공정(120)과, 상기 카아본시트 피복공정(120)을 통하여 카아본시트(21)가 피복된 알류미늄중공관(10)을 정반위에서 가압하며 굴려 피복된 카아본시트(21)가 밀착 피복되게 하는 롤링공정(130)과, 상기 롤링공정(130)을 통하여 밀착 피복된 카아본시트(21)가 다음 공정에서 들뜨지 않게 합성수지테입 으로 테핑하는 테핑공정(140)과, 상기 테핑공정(140)이 완료된 알류미늄중공관(10)을 직립 상태로 매달은 상태에서 100~120℃의 온도로 2~3 시간동안 가열하여 카아본시트(21)를 가열 경화시키는 가열경화공정(150)과, 상기 가열경화공정(150)이 완료된 알류미늄중공관(10)에 테핑된 합성수지테입(31)을 제거하는 테입제거공정(160)과, 상기 테입제거공정(160)을 통하여 합성수지테입(31)이 제거된 알류미늄중공관(10)을 회동시키면서 다이알게이지(41)로 벤딩량을 측정한 후 밴딩부위를 가압하여 직선화하는 일차 직서화공정(170)과, 상기 일차 직서화공정(170)이 완료된 관체의 외주연을 매끄럽게 연삭하는 연삭공정(180)과, 상기 연삭공정(180)이 완료된 알류미늄중공관(10)을 회동시키며 다이알게이지(41)로 밴딩량을 측정한 후 밴딩부를 가압하여 직선화하는 이차 직서화공정(190)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여기서, 상기 카아본시트 피복공정(120)에 사용되는 카아본시트(21)는 알류미늄중공관(10)을 4 회 이상 피복할 수 있는 폭으로 형성하되, 전단측의 표면에 알류미늄중공관(10)과의 원활한 접합과 결합상태의 견고성을 위하여 상기 관체를 1 회 피복할 수 있는 폭의 망직물(22)이 접합 구비되고, 이면에는 접착제가 도포되어 있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제조공정을 통하여 제조된 본 고안은 알류미늄중공관(10)의 외주연에 열경화된 복층의 카아본시트층(11)이 형성되고, 상기 알류미늄중공관(10)과 카아본시트층(11)의 사이에는 적층형성되는 카아본시트(21)의 원활한 접합을 위한 망직물층(12)이 형성된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제조과정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한 바와 같이 알류미늄중공관(10)의 외주연에 열경화된 카아본시트층(11)을 복층으로 형성하고, 상기 카아본시트층(11)과 알류미늄중공관(10) 사이에 망직물층(12)을 형성한 본 고안은 접착제 도포공정(110)을 통하여 시효경화성 접착제를 알류미늄중공관(10)의 외주연에 도포하고, 카아본시트 피복공정(120)을 통하여 알류미늄중공관(10)을 32~37℃로 가열하면서 전단 표면에 망직물(22)이 접착되어 있는 카아본시트(21)를 가압하여 피복하며, 카아본시트(21)의 피복이 완료된 알류미늄중공관(10)을 롤링공정(130)을 통하여 피복된 카아본시트(21)가 원활하게 접합되게 정반위에 올려놓고 가압롤링하고, 테핑공정(140)을 통하여 가압롤링된 카아본시트(21)가 들뜨지 않게 합성수지테입(31)으로 테핑을 한다.
이상과 같이 테핑이 완료된 알류미늄중공관(10)은 가열경화공정(150)을 통하여 가열실에 직립상태로 매달은 후 100~120℃의 온도로 2~3 시간동안 가열하여 열경화시키고, 테입제거공정(160)을 통하여 열경화가 완료된 알류미늄중공관(10)에 테핑되어 있는 합성수지테입(31)을 제거하며, 일차 직서화공정(170)을 통하여 브이형 다이에 알류미늄중공관(10)을 올려놓고 다이알게이지(41)로 밴딩량을 측정하여 밴딩된 부위를 가압절곡시켜 진선화하고, 연삭공정(180)을 통하여 외주연에 테핑흔전을 연삭제거하며, 이차 직서화공정(190)을 통하여 일차 직서화공정(170)과 동일한 공정을 통하여 직선화 하므로서 그 제조가 완료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심재를 알류미늄중공관으로 하므로서 살대가 경량화되며, 그 외주연에 복층의 카아본시트층을 형성하므로서 전단강도와 진선도가 우수하며, 상기 카아본시트층과 알류미늄중공관의 사이에 망직물층을 구비하므로서 카아본시트의 결합력이 향상되는 매우 유용한 것이다.

Claims (1)

  1. 알류미늄중공관(10)의 외주연에 열경화된 복층의 카아본시트층(11)이 형성되고, 상기 알류미늄중공관(10)과 카아본시트층(11)의 사이에는 적층형성되는 카아본시트(21)의 원활한 접합을 위한 망직물층(12)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살용 살대.
KR2020010000280U 2001-01-05 2001-01-05 화살용 살대 KR20023209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0280U KR200232099Y1 (ko) 2001-01-05 2001-01-05 화살용 살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0280U KR200232099Y1 (ko) 2001-01-05 2001-01-05 화살용 살대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00649A Division KR20020057554A (ko) 2001-01-05 2001-01-05 화살용 살대와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32099Y1 true KR200232099Y1 (ko) 2001-07-19

Family

ID=730945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00280U KR200232099Y1 (ko) 2001-01-05 2001-01-05 화살용 살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209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593920B2 (en) 2013-07-11 2017-03-14 Jin Hee Song Arrow shaft with straightness marking thereo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593920B2 (en) 2013-07-11 2017-03-14 Jin Hee Song Arrow shaft with straightness marking there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711382A (en) Method of forming and applying metal heat exchange fins
KR102602877B1 (ko) 스테이터용 접착 적층 코어 및 회전 전기 기기
KR101387001B1 (ko) 적층 콘덴서, 그 제조 방법, 회로 기판 및 전자기기
JP6524191B2 (ja) 炭素繊維プレートを具えるゴルフクラブヘッドの製造方法
JP6256612B2 (ja) 巻線型コイル部品の製造方法
KR200232099Y1 (ko) 화살용 살대
KR20020057554A (ko) 화살용 살대와 그 제조방법
CN114300249A (zh) 一种大功率复合成型电感的制造方法
JPH02239607A (ja) アモルファス金属製巻きコアを有する変圧器の製造方法
JP3366445B2 (ja) ポストフォーム化粧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GB1303301A (ko)
CN215619979U (zh) 一种用于集电环绝缘套筒的热压模
CN111785489A (zh) 一种变压器、非晶合金立体卷铁芯及其制备方法
KR20130001375A (ko) 부분점착 테이프 제조방법
US4160639A (en) Manufacturing process and straightening jig for hollow tapered rods
JP3833641B2 (ja) ドラム型コアと外装コアの組立接着方法及び組立接着治具
JPH04278504A (ja) 樹脂モールドコイルとその製造方法
US2434628A (en) Method of making strain gages
JP6841635B2 (ja) 磁心の製造方法
CN107680792B (zh) 变压器撑条帘加工工装及加工方法
TW202023833A (zh) 組合式散熱熱沉複合材料製程及其成品製造方法
CN114635191A (zh) 一种组合式硬质碳纤维保温筒及其制备方法和应用
JP3416856B2 (ja) トルクセンサ
KR102408962B1 (ko) 무선 충전 코일의 제조 방법 및 이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무선 충전 코일
JPS6328489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430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