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1918Y1 - 에어로졸 용기용 분무캡의 버튼 잠금/해제 구조 - Google Patents

에어로졸 용기용 분무캡의 버튼 잠금/해제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1918Y1
KR200231918Y1 KR2020010002817U KR20010002817U KR200231918Y1 KR 200231918 Y1 KR200231918 Y1 KR 200231918Y1 KR 2020010002817 U KR2020010002817 U KR 2020010002817U KR 20010002817 U KR20010002817 U KR 20010002817U KR 200231918 Y1 KR200231918 Y1 KR 20023191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ray
button
guide
spray button
c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0281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희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륙제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륙제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륙제관
Priority to KR202001000281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191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191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1918Y1/ko

Links

Abstract

본 고안은 에어로졸 용기용 분무캡의 버튼 잠금/해제 구조에 관한 것으로, 용기본체의 상측에 결합되는 분무캡의 캡 하우징의 가이드홈에 안내돌부를 형성하고, 이동부의 일측에는 안내부를 경사지게 형성하며, 공간부의 일측으로는 개구부를 형성하고, 분무버튼의 외주면에는 경사진 가이드부를 형성하여 분무버튼이 눌려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 구성으로, 본 고안에 따르면 용기본체 내부에 저장된 내용물을 장시간 분무하고자 할 경우 분무관이 안내부를 따라 이동되고, 가이드부는 안내돌부를 따라 회전 슬라이딩 하면서 분무버튼이 하방으로 눌려짐과 동시에 잠금되어져 내용물이 연속적으로 분무가 이루어짐으로써, 장시간 사용하여도 분무버튼의 잠금작용에 의해 사용자의 손가락이 저리거나 아프지 않게 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분무버튼을 잠금시키지 않고 에어로졸을 단시간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분무버튼을 필요한 시간만큼 눌러 내용물을 분사시켜 사용하면 되는 것으로, 장시간 및 단시간 사용시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어 사용상의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에어로졸 용기용 분무캡의 버튼 잠금/해제 구조{BUTTON LOCKING/UNLOCKING STRUCTURE FOR SPRAY CAP FOR AEROSOL CAN}
본 고안은 에어로졸 용기용 분무캡의 버튼 잠금/해제 구조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용기본체에 저장된 내용물을 외부로 분무시켜주기 위하여 사용되는 분무버튼을 눌려진 상태를 계속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장시간 사용할 경우 사용자의 손에 무리 없이 연속적으로 분무되도록 한 에어로졸 용기용 분무캡의 버튼 잠금/해제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에어로졸은 분무용액을 분사제 액화가스와 더불어 미세입자 상태로 분무하는 것으로, 파리, 모기, 바퀴벌레 등의 살충제용과, 향수등의 화장품용과, 방청윤활제 등의 공업용 등에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다.
도 1은 종래 에어로졸 용기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로써, 도시된 바와 같이 내용물이 저장되는 용기본체(100)와, 상기 용기본체(100)의 상측에 설치되어 눌림에 따라 용기본체(100)에 저장되어 있는 내용물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밸브(110)와, 상기 용기본체(100)의 상측에 결합되고 분무되는 내용물 용액의 분무위치를 안내하는 분무캡(120)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밸브(110)는 스템(112)과 밸브 마우팅 컵(114)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분무캡(120)은 용기본체(100)의 상부 및 밸브(110)를 덮는 캡 하우징(130)과, 상기 밸브(110)의 스템(112)을 눌러주어 내용물을 외부로 분무시키는 분무버튼(140)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상기 캡 하우징(130)의 외주연 전면에는 공간부(131)가 형성되어 있고, 이 공간부(131)의 내측에는 분무관(141)이 끼워져 상하로 이동될 수 있게 이동부(132)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캡 하우징(130)의 중앙측 상부에서 하방으로는 가이드 홈(133)이 형성되어 있고, 하단부에는 밸브 마운팅 컵(114)과 착탈되어 캡 하우징(130)을 용기본체(100)의 상부에 결합하기 위한 착탈부(134)가 연장 형성되어 있다.
상기 캡 하우징(130)의 가이드 홈(133)에 삽입되는 분무버튼(140)은 외주면 전방에 상기 이동부(132)에 삽입되는 분무관(141)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때, 분무관(141)은 이동부(132)에서 분무버튼(140)의 작동에 따라 상하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분무버튼(140)의 내측에는 밸브(110)의 스템(112)이 삽입될 수 있게 삽지구(142)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데, 이 삽지구(142)는 분무관(141)과 연통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한편, 상기 분무관(141)의 전방에는 노즐(143a)이 구비된 보조분무관(143)이 연결구(144)에 의해 결합되어져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에어로졸 용기를 조립하기 위해서는 분무관(141)과 보조분무관(143)이 연결구(144)에 의해 결합된 분무버튼(140)을 분무캡(120)에 결합시킨다.
그러면, 분무버튼(140)은 캡 하우징(130)의 가이드 홈(133)에 삽입되고, 전방 외주면에 형성된 분무관(141)은 캡 하우징(130)에 형성된 이동부(132)에 위치하면서 외부로 노출된다.
이와 같이 결합된 상태에서 분무캡(120)을 용기본체(100)의 상부에 결합시키면 상기 캡 하우징(130)의 하단은 용기본체(100)의 상부측 외주를 감싸면서 착탈부(134)가 밸브 마운팅 컵(114)에 장착·고정된다.
상기와 같이 결합된 상태에서 분무버튼(140)을 누르게 되면 분무버튼(140)은 하방으로 이동하면서 분무버튼(140)의 삽지구(142)가 밸브(110)의 스템(112)을 눌러주게 되고, 스템(112)이 눌러짐에 따라 용기본체(100)에 저장된 내용물이 상기 밸브(110)와 삽지구(142)를 거치면서 분무관(141) 및 보조분무관(143)을 통해 외부로 분무된다. 이때, 상기 분무관(141)은 분무버튼(140)의 누름동작에 의해 이동부(132)를 따라 하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사용이 완료되면 누르고 있던 분무버튼(140)의 가압력을 해제하게 되면, 상기 밸브(110) 내부에 내설된 탄성부재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밸브(110)의 스템(112)이 상부로 이동하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밸브(110)가 결합된 삽지구(142) 및 분무버튼(140)이 원상태로 복귀되면서 분무가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이때, 상기 분무관(141)은 분무버튼(140)의 이동에 의해 이동부(132)를 따라 상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에어로졸 용기는 연속적으로 사용할 경우 사용상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즉, 사용용도에 따라 단시간 또는 장시간 분무버튼(140)을 눌러 사용하게 되는데, 단시간 분무버튼(140)을 눌러 분무할 경우에는 별 지장이 없으나, 오랜시간 분무버튼(140)을 눌러 분무할 경우 사용자가 분무버튼(140)을 손가락으로 계속 눌러주어야 하는데, 이럴 경우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분무버튼(140)을 누르고 있는 손가락이 저리거나 아프게 되는 등 사용상의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기술적 과제는 분무캡의 분무버튼이 눌려진 상태에서 잠금/해제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분무버튼을 계속 눌러주지 않아도 용기본체에 저장된 내용물을 원하는 시간동안 분무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시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의 기술적 과제는 내용물이 저장되는 용기본체와, 외주면 전방에 공간부가 형성되고 이 공간부의 내측에는 이동부가 형성되며 중앙측 상부에서 하방으로 가이드 홈이 형성된 캡 하우징 및 상기 가이드 홈에 삽입 설치되는 분무버튼으로 이루어진 분무캡에 있어서, 상기 캡 하우징의 가이드 홈 양측에 안내돌부가 돌출 형성되고, 이동부의 상단 일측으로는 상기 분무버튼에 형성된 분무관이 위치될 수 있게 안내부가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공간부 일측으로는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분무버튼의 외주면 양측에는 상기 안내돌부를 따라 슬라이딩 되어 분무버튼이 눌려진 상태를 유지될 수 있게 가이드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로졸 용기용 분무캡의 버튼 잠금/해제 구조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되어 진다.
상기 가이드부는 일측으로 경사진 경사면과, 상기 경사면의 상,하단부에 수평으로 제 1,2수평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종래 에어로졸 용기를 도시한 분리사시도.
도 2는 도 1이 결합된 상태의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분무캡에 있어서, 캡 하우징과 분무버튼의 조립관계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 4는 도 3이 결합된 상태의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분무버튼이 작동되기 전 상태의 도면으로써, 도 5a는 사시도이고, 도 5b는 평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분무버튼이 잠금된 상태의 도면으로써, 도 6a는 사시도이고, 도 6b는 평면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용기본체 30 : 분무캡
40 : 캡 하우징 41 : 공간부
42 : 개구부 43 : 이동부
44 : 안내부 46 : 가이드 홈
46a : 안내돌부 50 : 분무버튼
55 : 가이드부 55a : 경사면
55b : 제 1수평면 55c : 제 2수평면
이하, 본 고안에 대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 도 3 내지 도 4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분무캡에 있어서, 캡 하우징과 분무버튼의 조립관계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이 결합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로졸 용기는 용기본체(10)와, 캡 하우징(40)과 분무버튼(50)으로 이루어진 분무캡(30)으로 크게 이루어져 있다.
미설명 부호 (51)은 분무버튼(50)에 형성된 분무관이고, (53)은 상기 분무관(51)에 연결되는 연결구이며, (56)은 연결구(53)에 연결 설치되는 보조분무관이다.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내용물이 저장되는 용기본체(10)는 상측에 후술할 분무버튼(50)의 눌림에 따라 용기본체(10)에 저장되어 있는 내용물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밸브(2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밸브(20)는 스템(22)과 밸브 마운팅 컵(24)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분무캡(30)은 용기본체(10)의 상측에 결합되고 분무되는 내용물 용액의 분무위치를 안내하는 것으로, 용기본체(10)의 상부 및 밸브(20)의 스템(22)을 덮는캡 하우징(40)과, 상기 밸브(20)의 스템(22)을 눌러주어 내용물을 외부로 분무시키는 분무버튼(50)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캡 하우징(40)의 전방에는 공간부(41)가 형성되어 있고, 이 공간부(41)의 일측으로는 개구부(42)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공간부(41)의 내측에는 분무관(51)이 끼워져 상하로 이동될 수 있게 이동부(43)가 형성되어 있고, 이 이동부(43)의 상부 일측으로는 분무버튼(50)의 분무관(51)이 이동될 수 있게 안내부(44)가 경사지게 연장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캡 하우징(40)의 중앙측 상부에서 하방으로는 가이드 홈(46)이 형성되어 있고, 이 가이드 홈(46) 양측에는 안내돌부(46a)가 형성되어 있으며, 하단부에는 밸브 마운팅 컵(24)과 착탈되어 캡 하우징(40)을 용기본체(10) 상부에 결합하기 위한 착탈부(47)가 연장 형성되어 있다.
상기 캡 하우징(40)의 가이드 홈(46)에 삽입되는 분무버튼(50)은 외주면 전방에 상기 이동부(43)에 삽입되는 분무관(51)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외주면 양측에는 상기 안내돌부(46a)를 따라 슬라이딩 되어 분무버튼(50)이 눌려지고, 눌려진 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가이드부(55)가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가이드부(55)는 단이지고 경사면(55a) 및 제 1,2수평면(55b)(55c)이 형성되어 있다. 즉, 상기 가이드부(55)는 일측으로 경사진 경사면(55a)과, 상기 경사면(55a)의 상,하단부에 수평으로 형성된 제 1수평면(55b) 및 제 2수평면(55c)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분무버튼(50)의 내측에는 밸브(20)의 스템(22)이 삽입되는 삽지구(52)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데, 이 삽지구(52)는 분무관(51)과 연통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한편, 상기 분무관(51)의 전방에는 노즐(56a)이 구비된 보조분무관(56)이 연결구(53)에 의해 결합되어져 있다. 이때, 연결구(53)는 상기 분무관(51)에 결합되어 360˚회전하여 분사위치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고, 상기 연결구(53)에 연결된 보조분무관(56)도 연결구(53)를 기점으로 회전하여 분사위치를 조절할 수 있을 뿐더러 에어로졸 용기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 노즐(56a)을 용기본체(10) 하방으로 회전시켜 보관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에어로졸 용기를 조립하기 위해서는 분무관(51)과 보조분무관(56)이 연결구(53)에 의해 결합된 분무버튼(50)을 분무캡(30)에 결합시킨다. 그러면, 상기 분무버튼(50)은 캡 하우징(40)의 가이드 홈(46)에 삽입되면서 가이드부(55)가 안내돌부(46a)에 접촉되고 분무버튼(50)의 전방 외주면에 형성된 분무관(51)은 캡 하우징(40)에 형성된 이동부(43)에 위치하면서 외부로 노출된다.
상기와 같이 결합된 상태에서 분무캡(30)을 용기본체(10)의 상부에 결합시키면, 상기 캡 하우징(40)의 하단은 용기본체(10)의 상부측 외주를 감싸면서 착탈부(47)가 밸브 마운팅 컵(24)에 장착·고정된다.
상기와 같이 조립된 본 고안의 작용을 첨부된 도면 도 5 내지 도 6을 토대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용기본체(10)에 저장된 내용물을 연속 분무하기 위해 분무버튼(50)을 잠금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먼저 분무관(51)를 용기본체(10)의 전면에서 일측 즉, 안내부(44)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다시말해서 분무관(51)을 도 5a,b인 상태에서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그러면 분무버튼(50)에 형성된 가이드부(55)는 안내돌부(46a)를 따라 회전 슬라이딩되고 분무버튼(50)은 가이드 홈(46)을 따라 하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한 분무관(51)의 회전에 의해 분무관(51)이 안내부(44)의 일측 끝단에 위치하게 되면, 상기 안내돌부(46a)는 가이드부(55)의 경사면(55a)을 따라 상부에 형성된 제 1수평면(55b)에 위치하게 되고, 분무버튼(50)은 가이드 홈(46)을 따라 하방으로 완전히 이동하게 되어 분무버튼(50)이 계속 눌려진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연결구(53)는 공간부(41)의 일측에 형성된 개구부(42)의 근접 위치에 위치하게 된다.(도 6a,b 참조)
상기 분무관(51)의 이동에 의해 분무버튼(50)이 가이드 홈(46)을 따라 하방으로 이동되면, 분무버튼(50)의 내측에 형성된 삽지구(52)가 밸브(20)의 스템(22)을 눌러주게 되고, 상기 스템(22)이 눌러짐에 따라 용기본체(10)에 저장된 내용물이 상기 밸브(20)와 삽지구(52)를 통해 분무관(51) 및 보조분무관(56)을 통해 외부로 연속적으로 분무된다.
그리고, 사용이 완료되어 내용물의 연속 분무를 중지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전술한 바의 반대로 하면된다. 즉, 도 6a,b와 같이 안내부(44)의 일측 끝단에 있는 분무관(51)을 용기본체(10)의 전면측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그러면, 분무관(51)은 안내부(44)의 일측 끝단에서 타측으로 이동하게 되고, 안내돌부(46a)는 가이드부(55)의 경사면(55a)을 따라 하부에 형성된 제 2수평면(55b)에 위치하게 되며, 분무버튼(50)은 가이드 홈(46)을 따라 상부로 이동하게 되면서 분무버튼(50)의잠금상태가 해제된다.
다시말해서 분무관(51)을 용기본체(10)의 전면측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분무버튼(50)은 가이드 홈(46)을 따라 상방으로 이동하게 되는데, 상기 분무버튼(50)에 형성된 분무관(51)은 안내부(44)를 따라 슬라이딩 되면서 상방으로 이동된다.
상기 분무관(51)의 이동에 의해 분무버튼(50)이 가이드 홈(46)을 따라 상방으로 이동되고 분무버튼(50)의 잠금이 해제되면, 상기 밸브(20) 내부에 내설된 탄성부재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밸브(20)의 스템(22)이 상부로 이동하고, 이에 따라 상기 밸브(20)의 스템(22)이 결합된 삽지구(52) 및 분무버튼(50)이 원상태로 복귀되면서 분무가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한편,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다른 실시예로써, 그 설명함에 있어서 도 3 내지 도 6에 있어서와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로써, 상기 분무버튼(50)에 형성된 가이드부(55)는 계단식으로 걸림홈부(55d)와 상기 걸림홈부(55d)의 상측에 형성되고 분무관(51)의 회전에 의해 분무버튼(50)이 눌려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형성된 고정홈부(55e)로 이루어져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기술은 용기본체(10)에 저장된 내용물을 연속 분무하기 위해 분무버튼(50)을 잠금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분무버튼(50)을 가이드 홈(46)의 하방으로 누른 다음 상기 분무버튼(50)에 형성된 분무관(51)을 안내부(44)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그러면 분무버튼(50)에 형성된 가이드부(55)는 안내돌부(46a)를 따라수평 이동하게 되면서 고정홈부(55e)가 안내돌부(46a)에 위치하게 되고, 이에 따라 분무버튼(50)이 눌려진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때도 전술한 바와 같이 분무버튼(50)이 눌려지고 분무관(51)이 회전되면 분무버튼(50)의 내측에 형성된 삽지구(52)가 밸브(20)의 스템(22)을 눌러주게 되고, 상기 스템(22)이 눌러짐에 따라 용기본체(10)에 저장된 내용물이 상기 밸브(20)와 삽지구(52)를 통해 분무관(51) 및 보조분무관(56)을 통해 외부로 연속적으로 분무된다.
그리고, 사용이 완료되어 연속적으로 분무되는 내용물을 중지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분무관(51)을 용기본체(10)의 전면측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그러면 분무관(51)은 안내부(44)의 일측 끝단에서 타측으로 이동하게 되고, 분무버튼(50)에 형성된 가이드부(55)는 안내돌부(46a)를 따라 수평 이동하면서 걸림홈부(55d)가 안내돌부(46a)에 위치하게 됨과 동시에 상기 밸브(20) 내부에 내설된 탄성부재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밸브(20)의 스템(22)이 상부로 이동하고, 이에 따라 상기 밸브(20)의 스템(22)이 결합된 삽지구(52) 및 분무버튼(50)이 원상태로 복귀되면서 분무가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한편, 에어로졸을 단시간 분무하고자 할 경우에는 종래와 동일한 방법으로 사용하면 된다. 즉, 에어로졸을 필요한 시간만큼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먼저, 사용자가 분무버튼(50)을 눌러준다. 그러면 분무버튼(50)은 가이드 홈(46)을 따라 하방으로 이동하게 됨과 동시에 분무버튼(50)에 형성된 분무관(51)은 이동부(43)를 따라 하방으로 이동하게 되며, 상기 분무버튼(50)의 동작에 의해 분무버튼(50)의삽지구(52)가 밸브(20)의 스템(22)을 눌러주게 되며, 스템(22)의 눌러짐에 따라 용기본체(10)에 저장된 내용물이 상기 밸브(20)와 삽지구(52)를 거치면서 분무관(51) 및 보조분무관(56)을 통해 외부로 분무된다.
그리고, 사용이 완료되면 누르고 있던 분무버튼(50)을 놓게되면 분무버튼(50)의 가압력이 해제되면서 분무가 이루어지지 않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내용물을 장시간 사용하고자 할 경우 분무관(51)을 안내부(44)의 일측으로 이동시켜 분무버튼(50)이 잠금되어지도록 하여 장시간 사용할 때 사용자의 손가락이 저리거나 아프지 않게 하고, 단시간 사용시에는 종래 기술과 같이 필요한 시간만큼 분무버튼(50)을 눌러 사용하면 되는 것으로 에어로졸의 사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용기본체의 상측에 결합되는 분무캡의 캡 하우징의 가이드홈에 안내돌부를 형성하고, 이동부의 일측에는 안내부를 경사지게 형성하며, 공간부의 일측으로는 개구부를 형성하고, 분무버튼의 외주면에는 경사진 가이드부를 형성하여 분무버튼이 눌려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 구성으로, 본 고안에 따르면 용기본체 내부에 저장된 내용물을 장시간 분무하고자 할 경우 분무관이 안내부를 따라 이동되고, 가이드부는 안내돌부를 따라 회전 슬라이딩 하면서 분무버튼이 하방으로 눌려짐과 동시에 분무버튼이 잠금되어져 내용물이 연속적으로 분무가 이루어짐으로써, 분무버튼의 잠금작용에 의해 사용자의 손가락이 저리거나 아프지 않게 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분무버튼을 잠금시키지 않고 에어로졸을 단시간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분무버튼을 필요한 시간만큼 눌러 내용물을 분사시켜 사용하면 되는 것으로, 장시간 및 단시간 사용시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어 사용상의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제공된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2)

  1. 내용물이 저장되는 용기본체(10)와, 외주면 전방에 공간부(41)가 형성되고 이 공간부(41)의 내측에는 이동부(43)가 형성되며 중앙측 상부에서 하방으로 가이드 홈(46)이 형성된 캡 하우징(40) 및 상기 가이드 홈(46)에 삽입 설치되는 분무버튼(50)으로 이루어진 분무캡(30)에 있어서,
    상기 캡 하우징(40)의 가이드 홈(46) 양측에 안내돌부(46a)가 돌출 형성되고, 이동부(43)의 상단 일측으로는 상기 분무버튼(50)에 형성된 분무관(51)이 위치될 수 있게 안내부(44)가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공간부(41) 일측으로는 개구부(42)가 형성되고, 상기 분무버튼(50)의 외주면 양측에는 상기 안내돌부(46a)를 따라 슬라이딩 되어 분무버튼(50)이 눌려진 상태를 유지될 수 있게 가이드부(55)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로졸 용기용 분무캡의 버튼 잠금/해제 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55)는 일측으로 경사진 경사면(55a)과, 상기 경사면(55a)의 상,하단부에 수평으로 제 1,2수평면(55b)(55c)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로졸 용기용 분무캡의 버튼 잠금/해제 구조.
KR2020010002817U 2001-02-06 2001-02-06 에어로졸 용기용 분무캡의 버튼 잠금/해제 구조 KR20023191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2817U KR200231918Y1 (ko) 2001-02-06 2001-02-06 에어로졸 용기용 분무캡의 버튼 잠금/해제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2817U KR200231918Y1 (ko) 2001-02-06 2001-02-06 에어로졸 용기용 분무캡의 버튼 잠금/해제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31918Y1 true KR200231918Y1 (ko) 2001-07-19

Family

ID=730628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02817U KR200231918Y1 (ko) 2001-02-06 2001-02-06 에어로졸 용기용 분무캡의 버튼 잠금/해제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1918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73868B1 (en) Nasal sprayer with folding actuator
JP4679142B2 (ja) ロック可能な分配ヘッド
US5228600A (en) Child resistant nozzle for trigger sprayer
EP1197266B1 (en) Actuation device for manually operated pump sprayer
US6290103B1 (en) Collapsible cap mechanism for shielding pump actuator and liquid material-dispensing container including the same
US7850046B2 (en) Nebuliser micro-pump
EP0409497A1 (en) Aerosol container cap
US7140518B2 (en) Atomizer
CZ20041046A3 (cs) Spušťadlový rozprašovač zabezpečený před dětmi a způsob jeho ovládání
JPH0335403Y2 (ko)
KR200231918Y1 (ko) 에어로졸 용기용 분무캡의 버튼 잠금/해제 구조
JP2008081123A (ja) トリガースプレー、及びそれを備えたスプレー容器
KR200235827Y1 (ko) 에어로졸 용기용 분무캡의 버튼 잠금/해제 구조
KR200231917Y1 (ko) 에어로졸 용기용 분무캡의 버튼 잠금/해제 구조
JP3442583B2 (ja) 噴霧器
KR200231916Y1 (ko) 에어로졸 용기용 분무캡의 버튼 잠금/해제 구조
JPH06284925A (ja) 携帯用スプレ―容器
JP2001354256A (ja) 噴出容器
KR200240759Y1 (ko) 에어로졸 분무캡의 버튼 잠금 및 해제장치
JP2003020085A (ja) 噴出容器
KR850001008Y1 (ko) 분무기
KR200286043Y1 (ko) 에어졸 용기용 분무장치의 잠금/해제 구조
KR200222256Y1 (ko) 에어로졸 분무캡의 버튼 잠금 및 해제구조
GB2099513A (en) A cap for an aerosol can
KR850001005Y1 (ko) 분무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210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