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2256Y1 - 에어로졸 분무캡의 버튼 잠금 및 해제구조 - Google Patents

에어로졸 분무캡의 버튼 잠금 및 해제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2256Y1
KR200222256Y1 KR2020000032860U KR20000032860U KR200222256Y1 KR 200222256 Y1 KR200222256 Y1 KR 200222256Y1 KR 2020000032860 U KR2020000032860 U KR 2020000032860U KR 20000032860 U KR20000032860 U KR 20000032860U KR 200222256 Y1 KR200222256 Y1 KR 20022225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tton
spray
cap
aerosol
lo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3286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염돈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대륙제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대륙제관 filed Critical 주식회사대륙제관
Priority to KR202000003286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225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225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2256Y1/ko

Links

Landscapes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에어로졸 캔에 저장된 분무용액을 외부로 분무시키기 위하여 눌러주게 되는 분무캡의 버튼을 눌려진 상태에서 잠금 및 해제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분무용액의 분무를 일정시간 연속해야 할 경우, 계속해서 버튼을 누르고 있지 않아도 사용자가 원하는 시간동안 분무용액이 분무되도록 한 에어로졸 분무캡의 버튼 잠금 및 해제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캡 하우징(22)과, 버튼(40)이 조립체로 이루어진 에어로졸 분무캡(20)에 있어서, 상기 캡 하우징(22)에 형성된 개방부(24)의 상측부위에 버튼(40)의 상부가 걸림되기 위한 걸림턱(90)을 형성함으로써, 분무용액을 일정시간 연속 분무시키고자 할 경우, 버튼을 한 번만 눌러주어도 상기 버튼의 잠금작용에 의하여 분무가 연속되는 바, 손가락으로 계속해서 버튼을 누르지 않아도 됨으로써, 연속적인 버튼 누름작용에 따라 손가락이 아프게 되는 등의 문제가 해소되고, 다시한번 누르면 잠금상태가 해제되어 연속 분무시간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는 등, 사용상의 편의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에어로졸 분무캡의 버튼 잠금 및 해제구조{STRUCTURE FOR LOCKING AND UNLOCKING BUTTON OF SPRAY CAP IN AEROSOL}
본 고안은 에어로졸 분무캡의 버튼 잠금 및 해제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에어로졸 캔에 저장된 분무용액을 외부로 분무시키기 위하여 눌러주게 되는 분무캡의 버튼을 눌려진 상태에서 잠금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분무용액의 분무를 일정시간 연속해야 할 경우, 계속해서 버튼을 누르고 있지 않아도 사용자가 원하는 시간동안 분무용액이 분무되도록 한 에어로졸 분무캡의 버튼 잠금 및 해제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에어로졸은 분무용액을 분사제 액화가스와 더불어 미세입자 상태로 분무하는 것으로, 상기 분무용액의 성분에 따라 다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일 예로, 상기 분무용액을 살충제로 하여 해충을 제거하는 용도로 사용하기도 하며, 방향 또는 방청제로도 많이 사용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에어로졸(1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무용액 및 분사제 액화가스가 저장되는 캔(12)과, 이 캔(12)의 상부측에 설치되어서 눌림에 따라 상기 캔(12)에 저장되어 있는 분무용액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스템(14)과, 이 스템(14)을 덮고, 선택적으로 눌러주어 분무되는 용액의 분무위치를 안내하는 분무캡(20)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상기 분무캡(20)은 대부분 합성수지재로 제조되며, 그 형상에 따라 다양한 제품이 선보이고 있으나, 대체적으로 에어로졸 캔(12)의 밸브 마운팅 컵(16) 및 스템(14)을 덮는 캡 하우징(22)과, 사용자의 누름에 따라 상기 스템(14)을 눌러주어 분무용액을 외부로 분무시키도록 하는 버튼(40)으로 이루어진 것이 일반적이다.
도 1은 이러한 에어로졸 분무캡 중 캡 하우징과, 버튼이 조립체로 이루어진 것을 일 예로 든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서 캡 하우징과 버튼의 조립관계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에서 캡 하우징과 버튼이 조립된 상태의 저면도이고, 도 4는 도 1에서 분무캡의 종단면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캡 하우징(22)의 전면측에는 분무용액이 분무되기 위한 개방부(24)가 형성되어 있는데, 이 개방부(24)는 캡 하우징(22)의 전면측으로부터 일정거리만큼 들어간 위치의 수평면상에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캡 하우징(22)의 중앙측 상부로부터 가이드 홈(28)이 형성되어 있고, 이 가이드 홈(28)의 양면에는 단속편(30)이 형성되어 있으며, 그 외부측으로는 밸브 마운팅 컵(16)과 착탈되어 스템(14)을 덮기위한 착탈부(26)가 하방향으로 연장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캡 하우징(22)의 가이드 홈(28)에 삽착되는 버튼(40)은 상기 가이드 홈(28)의 단속편(30)과 대응되게 양측면에 각각 걸림요부(42)가 형성되어 있고, 그 단부에는 외주에 걸쳐 단턱부(44)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버튼(40)의 내측에는 스템(14)이 삽입되는 소켓(46)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데, 이 소켓(46)은 전방측의 분무구(48)와 직각방향으로 연통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버튼(40)이 캡 하우징(22)의 가이드 홈(28)에 삽착된 상태에서는 상기 버튼(40)의 걸림요부(42)와 단턱부(44)가 캡 하우징(22)의 단속편(30) 및 가이드 홈 단부(32)에 걸림됨으로써, 캡 하우징(22)에 대하여 버튼(40)의 이탈이 방지되고, 상기 걸림요부(42)의 길이만큼 상하로 유격을 가지게 되며, 이 상태에서 상기 버튼(40)의 분무구(48)는 캡 하우징(22)의 개방부(24)내에서 상하로 유동하면서 외부로 노출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분무캡(20)을 캔(12)의 상부에 씌우게 되면, 캡 하우징(22)의 하단이 캔(12)의 상부측 외주를 감싸면서 착탈부(26)가 밸브 마운팅 컵(16)과 장착·고정되고, 이때 상기 버튼(40)의 내측에 일체로 형성된 소켓(46)에는 캔(12)의 스템(14)이 삽입되어 감싸지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버튼(40)을 누르게 되면, 이 버튼(40)의 소켓(46)이 스템(14)을 눌러주게 됨으로써, 에어로졸 캔(12)내의 분무용액이 상기 스템(14)과 소켓(46)을 거친 후, 분무구(48)를 통해 외부로 분무된다.
이때, 누르고 있던 버튼(40)에 대하여 가압력을 해제하게 되면, 상기 스템(14) 하부의 밸브 마운팅 컵(16)에 내설된 탄성수단(미도시됨)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상기 스템(14)이 원상태로 올라오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 스템(14)을 덮는 소켓(46) 및 버튼(40)이 원상태로 복귀하게 되면서, 더 이상의 분무가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에어로졸 제품은 단시간 분무하여야 하는 용도에는 별 지장이 없으나, 공업용 페인트나 에어컨 세척제 등과 같이 일정시간 분무를 연속하여야 하는 에어로졸 제품의 경우에는 사용자가 장시간 버튼을 누르고 있어야 함으로써, 손가락에 계속 힘을 주어야 하는 바, 손가락이 아프게 되는 등, 사용상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에어로졸 캔에 저장된 분무용액을 외부로 분무시키기 위하여 눌러주게 되는 분무캡의 버튼을 눌려진 상태에서 잠금 및 해제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분무용액의 분무를 일정시간 연속해야 할 경우, 계속해서 버튼을 누르고 있지 않아도 사용자가 원하는 시간동안 분무용액이 분무되도록 한 에어로졸 분무캡의 버튼 잠금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에어로졸 분무캡의 버튼 잠금 및 해제구조는, 캡 하우징와, 버튼이 조립체로 이루어진 에어로졸 분무캡에 있어서, 상기 캡 하우징에 형성된 개방부의 상측부위에 버튼의 상부가 걸림되기 위한 걸림턱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종래의 에어로졸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분무캡에서 캡 하우징와, 버튼의 조립관계를 나타낸 분리사시 도.
도 3은 도 2에서 캡 하우징과 버튼이 조립된 상태의 저면도.
도 4는 도 3의 종단면도.
도 5a는 본 고안에 따른 에어로졸 캡의 단면도로서, 버튼이 눌려지지 않은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5b는 도 5a에서 버튼을 누르기 위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5c는 도 5a 및 도 5b에서 버튼이 눌려져 잠금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에어로졸 12 : 에어로졸 캔
14 : 스템 16 : 밸브 마운팅 컵
20 : 분무캡 22 : 캡 하우징
28 : 가이드 홈 40 : 버튼
42 : 걸림요부 46 : 소켓
48 : 분무구 90 : 걸림턱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종래에 있어서와 동일한 부분에 대하여는 동일부호를 부여하여 설명하고, 그 반복되는 설명은 생략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5a는 본 고안에 따른 에어로졸 분무캡의 종단면도로서, 버튼이 눌려지지 않은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고, 도 5b 및 도 5c는 버튼을 눌러 잠금시키는 사용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측에 개방부(24)가 형성되고, 종방향으로 가이드 홈(28)이 형성된 캡 하우징(22)과, 이 캡 하우징(22)의 가이드 홈(28)에 삽착되어 일정간격만큼 상하 및 전후유격을 갖는 버튼(40)이 조립체로 이루어진 에어로졸 분무캡(20)에 있어서, 상기 캡 하우징(22)에 형성된 개방부(24)의 상측부위에 버튼(40)의 상부가 걸림되기 위한 걸림턱(9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걸림턱(90)은 수평면으로부터 상방향으로 갈수록 그 단면적이 좁아져서 그 외면이 경사면을 이루는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버튼(40)을 눌러 일시적으로 잠금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버튼(40)이 전후로 소정의 유격을 갖는 바,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버튼(40)의 상부를 전측으로 밀면서 하방으로 누름으로써,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전방의 상부가 걸림턱(90)에 걸려 눌려진 상태로 잠금되게 한다.
이때, 상기 버튼(40)의 내측에 일체로 형성된 소켓(46)이 캔의 스템을 눌러주게 되는 바, 에어로졸 캔내의 분무용액이 상기 스템과 소켓(46)을 거친 후, 상기 소켓(46)과 연통되는 분무구(48)를 통해 외부로 분무된다.
이와 같이 분무용액이 연속적으로 분무되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분무됨을 중지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전술한 바의 반대로 버튼(40)의 상부를 뒤로 당겨서 그 전방의 상부가 걸림턱(90)으로부터 해제되도록 한 후, 살며시 손을 떼면 상기 스템하부의 밸브 마운팅 컵에 내설된 탄성수단(미도시됨)의 복원력에 의해 스템이 올라오게 됨에 따라, 소켓(46)이 일체로 형성된 버튼(40)이 원상태로 올라오게 됨으로써, 스템은 폐쇄되고, 더 이상의 분무가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에어로졸 분무캡의 버튼 잠금 및 해제구조를 사용할 필요가 없을 경우에는, 상기 버튼을 누르거나 놓을 때 버튼이 후방으로 밀착되게 하면서 누르거나 놓게 되면, 상기 에어로졸 분무캡의 버튼 잠금 및 해제구조가 없는 것과 같이, 즉 종래와 동일한 방법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에어로졸 분무캡의 버튼 잠금구조에 따르면, 일정량의 분무용액을 장시간 분무시키고자 할 경우, 버튼을 한 번만 눌러주어도 상기 버튼의 잠금작용에 의하여 손가락으로 계속해서 버튼을 누르지 않아도 분무가 연속됨으로써, 연속적인 버튼 누름작용에 따라 손가락이 아프게 되는 등의 문제가 해소되고, 다시한번 버튼을 누르면 잠금상태가 해제되어 연속 분무시간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는 등, 사용상의 편의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은 기재된 구체적인 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고안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Claims (1)

  1. 전방측에 개방부(24)가 형성되고, 종방향으로 가이드 홈(28)이 형성된 캡 하우징(22)와, 이 캡 하우징(22)의 가이드 홈(28)에 삽착되어 일정간격만큼 상하 및 전후유격을 갖는 버튼(40)이 조립체로 이루어진 에어로졸 분무캡(20)에 있어서,
    상기 캡 하우징(22)에 형성된 개방부(24)의 상측부위에 버튼(40)의 상부가 걸림되기 위한 걸림턱(90)이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로졸 분무캡의 버튼 잠금 및 해제구조.
KR2020000032860U 2000-11-23 2000-11-23 에어로졸 분무캡의 버튼 잠금 및 해제구조 KR20022225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2860U KR200222256Y1 (ko) 2000-11-23 2000-11-23 에어로졸 분무캡의 버튼 잠금 및 해제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2860U KR200222256Y1 (ko) 2000-11-23 2000-11-23 에어로졸 분무캡의 버튼 잠금 및 해제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22256Y1 true KR200222256Y1 (ko) 2001-05-02

Family

ID=730606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32860U KR200222256Y1 (ko) 2000-11-23 2000-11-23 에어로졸 분무캡의 버튼 잠금 및 해제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225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6434B1 (ko) * 2000-12-09 2004-02-05 임성근 원터치식 연속분사용 스프레이 레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6434B1 (ko) * 2000-12-09 2004-02-05 임성근 원터치식 연속분사용 스프레이 레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28600A (en) Child resistant nozzle for trigger sprayer
KR100775776B1 (ko) 에어러졸 인간 공학적 분무기
US5169032A (en) Tamper evident sprayer/nozzle assembly
EP1103308B1 (en) Sprayer comprising a nozzle cover
JP2857032B2 (ja) 手動式トリガ−タイプディスペンサ−およびそのノズル
EP0042039A1 (en) Push-button type sprayer
KR200222256Y1 (ko) 에어로졸 분무캡의 버튼 잠금 및 해제구조
US3318493A (en) Handle and actuating device for attachment to aerosol containers
KR200240759Y1 (ko) 에어로졸 분무캡의 버튼 잠금 및 해제장치
KR200222255Y1 (ko) 에어로졸 분무캡의 버튼 잠금 및 해제구조
JP3940252B2 (ja) 噴出容器
USD357973S (en) Hose end trigger nozzle
USD319188S (en) Combined aerosol valve lever and cap
JPH09215952A (ja) トリガー式噴霧器用キャップ
KR200231918Y1 (ko) 에어로졸 용기용 분무캡의 버튼 잠금/해제 구조
JP2002029582A (ja) エアゾール容器の噴射装置
CN218622454U (zh) 一种可喷香的马桶按钮装置
JP3016325U (ja) エアゾール用スプレーノズル
JPS6024444Y2 (ja) 噴霧弁の倒立噴霧を可能にする部材
KR200235827Y1 (ko) 에어로졸 용기용 분무캡의 버튼 잠금/해제 구조
KR200286043Y1 (ko) 에어졸 용기용 분무장치의 잠금/해제 구조
JP3655333B2 (ja) 内容物放出用容器のキャップ
JPS5821555Y2 (ja) 噴霧器
KR970001373Y1 (ko) 무스통의 무스 분출뚜껑
JPS6027466Y2 (ja) プツシユボタン式噴霧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107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