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1204Y1 - 자동차용 전조등의 벌브고정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전조등의 벌브고정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1204Y1
KR200231204Y1 KR2020010002897U KR20010002897U KR200231204Y1 KR 200231204 Y1 KR200231204 Y1 KR 200231204Y1 KR 2020010002897 U KR2020010002897 U KR 2020010002897U KR 20010002897 U KR20010002897 U KR 20010002897U KR 200231204 Y1 KR200231204 Y1 KR 20023120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lb
fixing
ring
fixed
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0289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정길
Original Assignee
최정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정길 filed Critical 최정길
Priority to KR202001000289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120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120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1204Y1/ko

Links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용 전조등의 벌브고정구조에 관한 것으로, 베이스의 개구부에 일단이 삽입되는 벌브가 상기 개구부에 삽입·고정된 지지수단에 의해 지지됨과 더불어, 상기 지지수단의 내측에 접합됨과 더불어 상기 벌브의 일측에서 베이스에 고정된 절연관에 지지된 고정수단에 의해 고정됨에 따라 상기 벌브의 베이스에 대한 고정력이 향상되도록 됨은 물론, 상기 지지수단이 상기 베이스의 개구부에 형성된 삽입홈의 양측단에 고정날 및 고정돌기를 매개로 고정됨과 더불어 상기 고정수단의 다수부가 용접되어 고정됨에 따라 상기 벌브의 베이스에 대한 고정력이 더욱 향상되도록 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용 전조등의 벌브고정구조{A BINDING STRUCTURE OF A BULB FOR A HEADLIGHT IN A CAR}
본 고안은 자동차용 전조등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조등의 베이스에 장착되는 벌브가 자동차의 유동에 관계없이 고정되도록 된 자동차용 전조등의 벌브고정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전방 및 후방에는 야간 등의 조도가 낮은 상태에서 상기 자동차의 전방 및 후방에 위치한 사물을 운전자가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조명하는 전조등 및 후미등이 구비된다.
상기 전조등은 자동차의 전원장치 혹은 전원장치에 연결된 전원수단을 통해 전류를 인가받아 빛을 발하고, 이 발생한 빛을 상기 자동차의 전방 혹은 후방으로 조사하도록 상기 전원수단과, 이 전원수단에 연결한 벌브 및 상기 벌브에서 발생한 빛을 원하는 방향으로 조사하도록 구성된 반사경 등으로 구성되는 것이 보편화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벌브는 필라멘트 등의 외부전류의 인가에 따라 발열 및 발광되면서 빛을 발생시키는 벌브나, 상기 전류의 인가에 따라 유동하는 전하와 발광물질의 충돌을 통해 빛을 발하는 형광등 방식의 벌브를 사용하는 것 역시 보편화되어 있다.
종래의 전조등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벌브(40)와, 이 벌브(40)를 지지함과 더불어 전원과 연결되는 베이스(200)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벌브(40)는 유리관의 양측에 전원이 인가되도록 도선(41)이 설치되고, 이 도선(41)에서 인가되는 전원에 따라 일정방향으로 유동되는 전하와 충돌하면서 빛을 발생시키도록 상기 유리관의 내측에 충진 혹은 도포된 발광물질로 구성된다.
또, 상기 벌브(40)는 상기 전조등 및 전조등하우징 등의 형상과, 빛의 조사영역설정에 따라 빛을 조사하려는 방향과 일직선을 이루도록 배열되며, 이에 따라 원통형상을 이루고 형성된 상기 베이스(200)의 중앙부에 형성된 벌브삽입구에 상기 벌브(40)의 일측단이 삽입되어 지지된다.
이때, 상기 벌브(40)의 일측단에 연결된 도선(41)은 상기 베이스(200)의 벌브삽입구를 통해 관통되면서 상기 벌브삽입구의 반대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전원과 연결되며, 상기 벌브(40)의 타 측단에 연결된 도선(41)은 상기 벌브(40)의 원통형 외형에 따라 상기 벌브(40)와 수평을 이루면서 상기 베이스(200)방향으로 굴곡되어 연결된다.
또, 상기 벌브(40)의 타측단에 연결되어 상기 베이스(200)방향으로 굴곡된 도선(41)은 상기 벌브삽입구의 일측에서 상기 벌브삽입구와 반대방향 일측으로 관통된 도선구(23)를 통해 상기 베이스(200)의 외주에 접해 설치된 전극띠(42)에 접하도록 된다.
또한, 상기 벌브(40) 외주의 측부에서 상기 베이스(200)로 연결된 도선(41)의 절연을 위해 상기 도선(41)을 감싸도록 관형상을 이룬 절연관(43)이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벌브(40)의 일측단에 연결된 도선(41)에 전원을 연결하고, 상기 벌브(40)의 타측단에서 연결된 도선(41)과 접한 전극띠(42)에 각각 전원을 인가하면 상기 벌브(40)내에 충진된 발광물질을 통해 빛이 발생되어 상기 전조등의 전방에 대한 조명을 이루도록 된다.
여기서, 상기 베이스(200)의 벌브삽입구에 삽입되어 지지되는 벌브(40)의 고정을 위해 종래에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리형상을 이룬 지지고리(300)가 사용된다.
상기 지지고리(300)는 상기 벌브(40)의 일측단 외주부를 지지하도록 고리형상을 이룸과 더불어, 상기 베이스(200)의 벌브삽입구의 내주에 밀착되도록 상기 고리형상의 외형이 연장되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베이스(200)의 벌브삽입구에 상기 지지고리(300)가 삽입되어, 상기 벌브삽입구 내주면에 상기 지지고리(300)의 일측단 외주부가 접하면서 고정되고, 이 고정된 지지고리(300)의 타측단 내주면에 상기 벌브(40)의 일측단 외주면이 밀착되면서 고정되어 상기 벌브(40)의 지지를 이룬다.
종래기술에 따라 벌브(40)가 베이스(200)의 벌브삽입구에 삽입되어 지지되는 것에 있어서, 상기 벌브(40)의 외주형상과 상기 벌브삽입구의 내주형상이 불균일하게 제작되는 것에 의해 상기 벌브(40)와 벌브삽입구의 체결이 불가능한 것이 방지되도록 상기 벌브(40)의 외경이 상기 벌브삽입구의 내경보다 작게 형성됨에 따라,상기 벌브삽입구의 내주와 상기 벌브(40)의 외주가 밀착되지 않아 상기 벌브(40)의 베이스(200)에 대한 고정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종래기술에 따라, 상기 벌브(40)의 일측에 접함과 더불어, 베이스(200)의 벌브삽입구에 고정되는 지지고리(300)를 구비함에 있어서, 상기 벌브삽입구와 벌브(40)의 일측단 사이에 지지고리(300)가 삽입되어 상기 벌브(40)의 일측단이 지지되지만, 상기 벌브(40)가 설치된 자동차의 유동에 의해 상기 벌브(40)의 타측단이 유동되면서 벌브(40)에서 조사하는 빛의 방향이 변경되거나, 상기 벌브(40) 타측단의 유동으로 인해 벌브(40)가 베이스(200)에서 이탈되거나, 상기 벌브(40)의 양측단에 연결된 도선(41)과 벌브(40)의 고정부가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고안된 것으로, 벌브의 외주가 베이스에 고정됨과 더불어 고리형상을 이룬 지지수단에 의해 고정됨은 물론, 상기 지지수단의 선단내측에 밀착되는 고정수단에 의해 2중으로 고정되는 자동차용 전조등의 벌브고정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벌브의 일측단이 지지수단 및 이와 결속된 고정수단에 의해 고정됨과 더불어, 상기 벌브의 타측단이 제2고정수단에 의해 더욱 견고히 고정되는 자동차용 전조등의 벌브고정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벌브의 일측단에 연결되어 베이스로 굴곡되는 도선의 외주를 감싸도록 상기 베이스에 고정된 절연관과 상기 벌브가 고정수단에 의해 상호 지지되는 자동차용 전조등의 벌브고정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전조등의 분리·결합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전조등의 부분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지지수단의 측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고정수단의 정면도.
도 5는 종래기술에 따른 전조등의 부분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전조등 20 - 베이스
21 - 개구부 22 - 삽입홈
23 - 고정돌기 24 - 도선구
30 - 지지수단 31 - 몸체
32 - 고정판 33 - 고정날
34 - 압착판 35 - 용접점
40 - 벌브 41 - 도선
42 - 전극띠 43 - 절연관
50 - 고정수단 51 - 절연관고리
52 - 연결판 53 - 벌브고리
54 - 용접판 55 - 이격부
고안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벌브의 일측단에 밀착·고정되는 지지수단에 고정판 및 고정날이 형성되어 상기 베이스의 삽입홈에 견고히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다른 특징은, 벌브의 일측 외주에 밀착되는 지지수단의 압착판과 상기 벌브의 일측 외주에 밀착되는 고정수단이 상호 용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은, 벌브의 외주와 절연관의 외주에 각각 고정되어 상호 지지되는 고정수단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다른 특징은, 벌브의 외주와 절연관의 외주에 각각 고정되는 고정수단이 2개 이상 다수개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전조등을 나타낸 것으로, 본 고안은 베이스(20)와, 지지수단(30)과, 벌브(40)와, 고정수단(5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베이스(20)는 자동차의 전조장치에 장착되도록 대략 원통형상을 이룸과 더불어, 2 이상의 지점에서 상기 자동차의 전원과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또, 상기 베이스(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중심부에 원통형상을 이루고 내측으로 관통된 개구부(21)가 형성되고, 이 개구부(21)의 타측 선단에서 외측으로 상기 자동차의 전원과 연결되는 전극봉이 돌출·형성된다.
또한, 상기 개구부(21)의 선단에서 내측으로 일정폭을 이루고 다수개의 원호형상으로 굴곡된 판이 삽입되도록 원호형 판상의 삽입홈(22)이 상기 개구부(21)의내주에 다수개 형성된다.
또, 상기 삽입홈(22)의 양측단에서 외측으로 적어도 1개 이상의 절곡부를 갖는 고정돌기(23)가 돌출된다.
여기서, 상기 고정돌기(23)는 상기 개구부(21)의 선단방향에서 그 반대방향으로 가면서 그 돌출폭이 넓어지도록 상기 개구부(21)를 상방향으로 하는 직각삼각형 형상을 이루고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개구부(21)의 일측부에 상기 벌브(40)에 연결되는 도선(41) 및 후술되는 절연관(43)이 관통되도록 개구된 도선구(24)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도선구(24)는 상기 절연관(43)이 상기 도선구(24)의 전체길이만큼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상기 도선구(24)의 내경과 상기 절연관(43)의 외경이 일치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벌브(40)는 상기 베이스(20)의 개구부(21)에 일측단이 삽입되도록 원통형 관형상을 이룸과 더불어, 그 내측에 전하의 유동에 따라 빛을 발하는 발광물질이나, 전원의 인가에 따라 상기 전하간의 충돌을 통해 방전 빛을 발하는 발광체가 내설된다.
또, 상기 벌브(40)는 상기 관형상의 양측단에서 내측으로 전원을 인가하도록 상기 벌브(40)의 양측단에 도선(41)이 연결되며, 상기 개구부(21)에 삽입되는 벌브(40)의 일측단에 연결된 도선(41)은 상기 베이스(20)의 개구부(21) 반대방향으로 돌출된 전극봉에 연결되어 상기 자동차의 전원과 연결되고, 상기 벌브(40)의 타측단에 연결된 도선(41)은 상기 자동차의 전원이 연결된 베이스(20)의 방향으로 상기 벌브(40)의 타측단에서 약 180˚방향으로 굴곡되면서 상기 베이스(20)로 연장된다.
상기 베이스(20)로 연장된 도선(41)은 상기 베이스(20)의 개구부(21) 일측에 관통된 도선구(24)로 삽입·관통되면서 상기 개구부(21)의 타단에 설치됨과 더불어 상기 자동차의 전원과 연결되는 전극띠(42)에 접속된다.
또, 상기 벌브(40)의 타단에 연결된 도선(41)은 상기 벌브(40)의 일측 외부에서 상기 베이스(20)에 이르도록 외부에 노출됨에 따라 상기 도선(41)을 통한 방전 등의 오동작을 방지하도록 상기 도선(41)의 외부를 감싸도록 형성된 절연관(43)을 구비한다.
상기 절연관(43)은 상기 벌브(40)의 타단에서 베이스(20)에 이르도록 연장된 도선(41)의 길이와 동일한 길이를 이루고 상기 도선(41) 전체를 감싸도록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베이스(20)에 형성된 도선구(24) 전체에 삽입되도록 상기 도선구(24)의 길이와 동일한 길이 만큼이 더 연장된 관형상을 이루고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절연관(43)의 외경은 상기 도선구(24)의 내경과 동일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도선구(24)의 내주와 상기 절연관(43)의 외주가 압착되면서 상기 도선구(24)에 절연관(43)이 압입되어 고정된다.
상기 지지수단(30)은 상기 개구부(21)의 내주에 형성된 삽입홈(22)에 끼워지도록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개구부(21)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벌브(40)의 일측단 외주부를 고정하도록 관통부를 갖는 고리형상을 이루고 형성된다.
또, 상기 지지수단(3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31)와, 고정판(32)과, 고정날(33)과, 압착판(34)과, 용접점(35)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몸체(31)는 상기 개구부(21)에 삽입되도록 금속판재를 굴곡시켜 원형의 고리형상을 이루도록 형성한 것이고, 상기 고정판(32)은 상기 몸체(31)의 일단 다수지점에서 상기 개구부(21)의 삽입홈(22) 방향으로 원호형 판상을 이루고 돌출되며, 이때 상기 고정판(32)은 상기 삽입홈(22)의 형상과 동일한 형상을 이루면서 상기 삽입홈(22)의 양측면과 상기 고정판(32)의 양측면이 상호 밀착되도록 형성된다.
또, 상기 고정날(33)은 상기 삽입홈(22)의 양측면에서 내측으로 돌출된 고정돌기(23)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을 이루도록 상기 고정판(32)의 양측면에서 외측으로 상기 몸체(31)방향으로 가면서 그 폭이 넓어지는 직사각형 판형상을 이루고 돌출된다.
또한, 상기 고정날(33)이 고정돌기(23)에 걸쳐 더욱 견고히 고정되도록 상기 고정날(33)의 개구부(21) 내로의 삽입방향과 반대방향 절곡부의 각이 예각으로 형성되어 상기 고정날(33)은 갈고리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여기서, 상기 고정판(32)은 상기 삽입홈(22)에 대한 지지력이 유지되도록 상호 소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며, 이에 따라 본 고안의 고정판(32)은 상호 동일한 간격으로 이격된 3∼4개의 고정판(32)으로 형성된다.
상기 압착판(34)은 상기 고정판(32)이 돌출된 상기 몸체(31)의 타단에서 직사각형 판형상을 이루고 돌출되어 형성되며, 그 선단부가 상기 개구부(21)에 삽입되는 벌브(40)의 외주방향으로 소정각도 굴곡되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압착판(34)은 상기 원통형상의 벌브(40) 외주면을 압착하도록3개 이상 다수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본 고안에서는 상기 각 압착판(34)의 지지력이 상호 대응되도록 2개의 쌍 즉, 4개로 형성됨과 더불어 상호 대응되는 지점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용접점(35)은 후술하는 고정수단(50)의 외주와 스폿용접 등의 용접이 용이하도록 상기 압착판(34)의 선단에서 상기 벌브(40)의 방향으로 원형을 이루고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고정수단(5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수단(30)의 압착판(34) 내측에 접합되어 상기 개구부(21)에 삽입되는 벌브(40)의 외주면에 압착되도록 원형의 고리형상을 이루고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벌브(40) 외주부에서 유동이 가능하도록 그 일측단이 개방된 이격부(55)가 구비된다.
또, 상기 고정수단(50)은 상기 벌브(40)의 외주면에 밀착됨과 동시에 상기 벌브(40)의 일측 외부에 구비된 절연관(43)에 압착되도록 한 쌍의 고리가 상호 연결된 형상을 이루고 형성된다.
상기 고정수단(50)은 절연관고리(51)와, 연결판(52)과, 벌브고리(53)와, 용접판(54)과 이격부(5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절연관고리(51)는 상기 절연관(43)의 외주부에 밀착되도록 상기 절연관(43)의 직경과 동일한 직경을 이루고 띠형의 판재가 굴곡되어 형성된 것이며, 그 일측단이 상호 분리되어 형성되고, 그 재질이 금속판재로 구성되어 상기 상호 분리된 지점에 대한 외부압력에 대해 탄발력을 갖도록 형성된다.
상기 연결판(52)은 상기 절연관고리(51)의 분리지점 양단에서 상기 벌브(40)의 방향으로 직사각형 판형상을 이루고 돌출되어 형성되며, 상기 분리지점이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연결판(52)은 상호 밀착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각 분리지점에서 돌출된 한 쌍의 연결판(52)은 그 외부에서 스폿용접 등을 통해 두 개의 연결판(52)이 상호 접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벌브고리(53)는 상기 개구부(21)에 삽입되는 벌브(40)의 일측 외주부에 밀착되도록 원형의 고리형상을 이룸과 더불어, 상기 연결판(52)의 선단에서 반호형 단면형상을 이룬 한 쌍의 띠형 판재가 굴곡되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벌브고리(53)는 상기 각 연결판(52)의 선단에서 각각 반원형으로 굴곡된 반원형 고리가 상기 연결판(52)과 접한 일단과 그 반대방향 타단이 상호 접해 원형의 고리형상을 이루도록 구성된다.
상기 용접판(54)은 상기 연결판(52)과 접합된 일단의 반대편 타단에서 외측으로 각각 판 형상을 이루고 돌출되며, 상기 벌브고리(53)의 상호 접합과 동시에 접합되도록 구성된다.
다음에는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전조등 벌브고정구조의 조립과정 및 작용을 설명한다.
최초 베이스(20)의 개구부(21)에 지지수단(30)이 삽입되어 고정된다.
이때, 상기 지지수단(30)의 각 고정판(32)이 상기 개구부(21)의 내주에 형성된 각 삽입홈(22)에 밀착되어 압입되면서 고정된다.
또, 상기 고정판(32)의 양측단에서 외측으로 돌출된 고정날(33)이 상기 삽입홈(22)의 측단에 형성된 고정돌기(23)에 접해 압박되면서 상기 지지수단(30)을 개구부(21)의 내측으로 압입하는 외압에 의해 상기 개구부(21)의 내측으로 이동된다.
또한, 상기 고정날(33)의 최외돌출부와 고정돌기(23)의 최외돌출부가 상기 외부 압입력에 의해 상호 압박되면서 이동되고, 상기 소정폭 이동된 고정날(33)의 최외돌출부가 상기 고정돌기(23)의 최외돌출부에 대해 상대적으로 함몰되어 형성된 부분에 삽입되면서 고정된다.
또, 상기 고정날(33)이 상기 개구부(21) 삽입방향을 상방향으로 하는 직각삼각형 형상을 이루고 돌출됨에 따라, 상기 고정날(33)의 개구부(21) 삽입방향과 반대방향으로의 이동이 저지(沮止)된다.
상기 지지수단(30)이 내주부에 고정된 개구부(21)에 원통형상 벌브(40)의 일측단이 삽입되는 바, 이때 상기 지지수단(30)의 압착판(34)이 삽입되는 벌브(40)의 외주를 압박함과 더불어, 상기 개구부(21) 내로 소정폭 삽입된 벌브(40)의 소정지점이 압박되면서 상기 벌브(40)가 베이스(20)에 대해 삽입·고정된다.
또, 상기 베이스(20)에 상기 벌브(40)의 타단에 연결되는 도선(41)이 상기 베이스(20)에 삽입된 벌브(40)의 일측 외부에서 절연관(43)에 의해 감싸져 상기 베이스(20)의 도선구(24)에 삽입된다.
이때, 상기 절연관(43)의 직경과, 상기 도선구(24)의 직경이 상호 동일하게 형성됨에 따라 상기 절연관(43)의 도선구(24)내로의 압입에 의해 절연관(43)의 외주와 도선구(24)의 내주는 상호 압박되면서 고정된다.
여기서, 상기 벌브(40)의 타측에 연결되는 도선(41)의 연결은 상기 벌브(40)의 타측에 기 연결된 리드선을 구비하고, 이 리드선과 상기 도선(41)을 상호 용접하여 연결하는 것이 상기 벌브(40)와 도선(41)의 별도 조립에 용이하다.
상기 도선(41) 및 절연관(43)과 벌브(40)가 베이스(20)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절연관(43)과 벌브(40)의 베이스(20) 삽입방향과 반대방향 선단에서 고정수단(50)이 삽입된다.
상기 고정수단(50)의 절연관고리(51)가 상기 절연관(43)의 타단에 삽입되고, 상기 고정수단(50)의 벌브고리(53)가 상기 벌브(40)의 타단에 삽입되며, 상기 고정수단(50)에 대한 지속적인 외압에 의해 상기 벌브고리(53)와 절연관고리(51)는 상기 벌브(40)와 절연관(43)의 베이스(20) 근접부로 이동된다.
상기 벌브(40)와 절연관(43)의 베이스(20) 근접부로 이동된 고정수단(50)은 상기 외압에 의해 상기 지지수단(30)의 압착판(34)이 벌브(40)에 접한 지점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압착판(34)과 벌브(40)의 외주 사이로 상기 벌브고리(53)가 삽입된다.
상기 압착판(34)과 벌브(40)의 외부 사이로 삽입된 고정수단(50)은 상기 고정수단(50)의 연결판(52)과 용접판(54) 및 상기 압착판(34)의 용접점(35)과 상호 용접되어 고정된다.
여기서, 상기 고정수단(50)의 벌브(40) 및 절연관(43)으로의 삽입 시에 상기 고정수단(50)의 양 용접판(54)이 외압에 의해 상호 소정간격 이격되면서 이격부(55)가 형성되고, 이 이격부(55)의 형성에 의해 상기 벌브고리(53)와 절연고리의 직경이 확장된 상태에서 상기 벌브(40)와 절연관(43)의 외부를 따라 삽입되고, 상기 고정수단(50)과 지지수단(30)의 접합지점에서 상기 양 용접판(54)에 대한 외압에 의해 상기 벌브고리(53)와 절연관고리(51)가 각각 벌브(40)와 절연관(43)의 직경과 동일한 직경을 이루도록 축소되면서 고정된다.
또, 상기 압착판(34)과 벌브고리(53) 외주간의 용접은 상기 2개 부재의 조립 이전에 상기 압착판(34)에 형성된 용접점(35)과 상기 벌브고리(53)의 외주가 상호 스폿용접되어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베이스(20)에 삽입되고, 상기 지지수단(30)과 고정수단(50)이 베이스(20)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벌브(40) 및 절연관(43)이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각 압착판(34)과 벌브고리(53)의 용접은 상기 각 압착판(34)의 고정력이 균일하게 발생되도록 상기 벌브고리(53)의 각 4분지점의 중심에 위치됨과 더불어, 상기 각 4분 지점의 중심점간의 중심과 상기 절연관고리(51)의 중심이 일치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벌브(40)의 일측단이 상기 개구부(21)의 내주에 의해 고정됨과 더불어, 상기 개구부(21)에 고정된 지지수단(30)의 내주 및 지지수단(30)의 압착판(34)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압착판(34)의 내측면에 용접된 벌브고리(53)에 의해 압박되면서 고정된다.
또, 상기 벌브고리(53)는 상기 베이스(20)에 압입된 절연관(43)의 외주에 고정된 절연관고리(51)와 일체로 형성됨에 따라, 상기 절연관고리(51)가 절연관(43)에 대해 고정되면서 상기 절연관고리(51)와 연결판(52)에 의해 일체로 형성된 벌브고리(53)가 외압에 대해 지지된다.
또한, 상기 고정수단(50)이 2개 이상 다수개로 구비되어, 상기 지지수단(30)의 압착판(34) 내측에 용접되면서 상기 벌브(40)를 지지함과 동시에, 상기 벌브(40)의 베이스(20)방향 일측과 반대방향 타측부에 상기 고정수단(50)이 별도로 삽입되어 상기 절연관(43)의 타단부와 벌브(40)의 타단부가 상호 지지·고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상기 베이스(20)의 개구부(21)에 삽입된 벌브(40)는 자동차의 유동 등에 의해 발생하는 외압에 대해 상기 지지수단(30)이 벌브(40)의 일단을 지지함과 더불어 상기 지지수단(30)과 접합된 고정수단(50)에 의해 상기 벌브(40)의 일측단이 고정되면서 상기 자동차의 유동 등 외압이 지지된다.
또, 상기 고정수단(50)에 의해 고정된 벌브(40)는 상기 절연관(43)에 의해 지지된 절연관고리(51)와 벌브고리(53)의 일체형성에 따라 상기 외압에 대해 2차로 지지된다.
또한, 상기 지지수단(30)이 상기 베이스(20)의 내주에 고정날(33) 및 고정돌기(23)의 상호 압입고정에 의해 고정되어 상기 지지수단(30)의 이탈이 방지됨은 물론, 이에 따라 상기 지지수단(30)의 벌브(40) 일측단에 대한 지지력이 유지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의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벌브의 일측단을 지지하는 지지수단이 지지수단의 고정날과, 베이스의 고정돌기에 의해 상호 견고히 고정됨에 따라 상기 지지수단의 고정위치 이탈이 방지됨은 물론, 상기 지지수단의 위치고정에 따라 상기 벌브에 대한 지속적인 지지력을 발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의 다른 효과는, 베이스에 고정된 절연관과 벌브가 고정수단에 의해 상호 지지됨에 따라 상기 벌브 및 절연관의 지지력이 더욱 증가되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효과는, 상기 지지수단에 의해 지지되는 벌브의 일측단이 상기 지지수단의 압착판 내측에 용접된 고정수단에 의해 재차 고정됨에 따라 상기 벌브에 대한 고정력이 더욱 증가되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의 다른 효과는, 상기 고정수단에 이격부가 형성되면서 벌브고리 및 절연관고리의 직경 확대/축소가 가능하도록 되어 상기 벌브 및 절연관에 대한 삽입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베이스의 개구부에 벌브의 일단이 삽입되어 고정되는 벌브고정구조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에 고리형상을 이룬 지지수단의 고정판이 삽입되면서 상기 지지수단이 베이스에 고정되고, 상기 베이스에 고정된 지지수단의 관통부를 통해 상기 벌브가 삽입되어 고정되며;
    상기 지지수단과 벌브의 외주 사이지점에 상기 벌브의 외주를 감싸도록 고리형상을 이룬 고정수단이 삽입되어 상기 지지수단과 접합되면서 상기 벌브의 일단 외주부를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전조등의 벌브고정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수단은 고리형상의 몸체와, 상기 개구부의 내주에 내측으로 함몰되어 형성된 삽입홈에 삽입되도록 상기 몸체의 일단에서 돌출된 고정판과, 상기 고정판이 돌출된 몸체의 반대방향 선단에서 상기 벌브의 외주를 지지하도록 판상을 이루고 다수개 돌출·형성된 압착판을 포함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전조등의 벌브고정구조.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판의 양측단에 1개 이상의 절곡부를 갖는 고정날이 돌출되고, 상기개구부의 내주에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고정판의 양측단이 접하는 삽입홈의 양측단에 상기 고정날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 고정돌기가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전조등의 벌브고정구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벌브의 외주를 감싸도록 고리형상을 이룬 벌브고리와, 상기 벌브의 일측에서 상기 베이스에 압입되는 절연관의 외주를 감싸도록 고리형상을 이룬 절연관고리 및 상기 벌브고리와 절연관고리의 각 반구형띠 선단을 상호 연결하는 연결판을 포함하여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전조등의 벌브고정구조.
  5. 제 1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벌브고리의 선단이 양측으로 이격되고, 상기 벌브고리의 이격에 따라 한 쌍의 연결판 및 절연관고리가 탄발적으로 이격되도록 상기 벌브고리의 선단이 절개되어 이격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전조등의 벌브고정구조.
KR2020010002897U 2001-02-07 2001-02-07 자동차용 전조등의 벌브고정구조 KR20023120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2897U KR200231204Y1 (ko) 2001-02-07 2001-02-07 자동차용 전조등의 벌브고정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2897U KR200231204Y1 (ko) 2001-02-07 2001-02-07 자동차용 전조등의 벌브고정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31204Y1 true KR200231204Y1 (ko) 2001-07-19

Family

ID=730808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02897U KR200231204Y1 (ko) 2001-02-07 2001-02-07 자동차용 전조등의 벌브고정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1204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15014B2 (ja) 車両用前照灯
US4769574A (en) Incandescent lamp with a metal coupling to a plastic lamp base for automotive headlamp and like lighting applications
JP4662524B2 (ja) 前照灯用ランプ
CN1880842B (zh) 灯头与灯
EP1776545B1 (en) Lamp having improved vibration damping
HU222629B1 (hu) Villanylámpa
US7659656B2 (en) Vehicle headlight bulb
US20110235344A1 (en) Lamp with a Built-in Lamp
NL8801326A (nl) Gesokkelde elektrische lamp.
US4634920A (en) Electrical lamp having a sleeve mounted in a lamp cap of synthetic material
KR200231204Y1 (ko) 자동차용 전조등의 벌브고정구조
JPH11329370A (ja) ハロゲンランプ
EP2425442B1 (en) An apparatus for fastening the burner of a discharge lamp
US5187405A (en) Double filament incandescent lamp
JP2005209650A (ja) 車両前照灯ランプ、車両前照灯ランプ用の取付補助具、および車両前照灯ランプと取付補助具を有する照明ユニット
US20110241530A1 (en) Electrical lamp having an outer bulb and a built-in lamp
EP0522362A1 (en) Electric lamp, particularly for vehicle headlamps
JP5074517B2 (ja) フィラメントを備えた遮光キャップ
US7358673B2 (en) Electric lamp which is closed on two sides
KR200332234Y1 (ko) 자동차용 헤드램프
JP2007520031A (ja) 二重フィラメントのランプ
JP2006080088A (ja) 白熱電球
US5410214A (en) Electric lamp
JP2013089587A (ja) 放電ランプの組立方法及び放電ランプ
KR200452390Y1 (ko) 진동 내구성이 강화된 자동차용 할로겐 전조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42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