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0758Y1 - 선바이저 겸용 화상전화 디스플레이 - Google Patents

선바이저 겸용 화상전화 디스플레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0758Y1
KR200230758Y1 KR2020010004039U KR20010004039U KR200230758Y1 KR 200230758 Y1 KR200230758 Y1 KR 200230758Y1 KR 2020010004039 U KR2020010004039 U KR 2020010004039U KR 20010004039 U KR20010004039 U KR 20010004039U KR 200230758 Y1 KR200230758 Y1 KR 20023075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n visor
communication module
bluetooth communication
terminal
vide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0403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성인
Original Assignee
고성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성인 filed Critical 고성인
Priority to KR202001000403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075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075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0758Y1/ko

Links

Landscapes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선바이저 겸용 화상전화 디스플레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블루투스 통신모듈을 내장한 IMT-2000용 단말기와 무선으로 화상 및 음성데이터를 송수신하여 화상전화용 단말기를 운전자가 손에 휴대하지 않고서도 화상전화통화를 할 수 있도록 된 선바이저 겸용 화상전화 디스플레이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선바이저 겸용 화상전화 디스플레이는, 차량의 운전석 상부측에 설치되어 태양광을 차단하는 선바이저에 있어서, 상기 선바이저가 : 선바이저(10)의 내부에 설치되어 IMT-2000용 단말기(20)에 내장된 블루투스 통신모듈로부터 전송되는 신호를 수신하는 블루투스 통신모듈(16)과, 상기 블루투스 통신모듈(16)을 통하여 입력된 신호중의 비디오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것으로 선바이저의 표면에 설치되는 디스플레이창(14)과, 상기 블루투스 통신모듈(16)을 통하여 입력된 신호중의 오디오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스피커(19)와, 통화자의 음성을 입력받아서 블루투스 통신모듈(16)로 전달하는 것으로 선바이저의 표면에 설치되는 마이크(18)와 디지털카메라(1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선바이저 겸용 화상전화 디스플레이{Sunvisor equipped with moving picture telecommunication display}
본 고안은 선바이저 겸용 화상전화 디스플레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블루투스 통신모듈을 내장한 IMT-2000용 단말기와 무선으로 화상 및 음성데이터를 송수신하여 화상전화용 단말기를 운전자가 손에 휴대하지 않고서도 화상전화통화를 할 수 있도록 된 것으로 특히 차량의 햇빛을 차단하는 선바이저에 구비된 선바이저 겸용 화상전화 디스플레이에 관한 것이다.
통신기술의 발달로 인하여 동화상과 음성데이터를 고속으로 송수신하여 화상을 보는 것과 동시에 음성통화를 할 수 있는 IMT-2000 단말기가 개발되고 있으며, 상용서비스준비중에 있다.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 2000 서비스는 전세계 동일표준에 의하여 하나의 단말기로서 전세계의 어디에서나 통화가 가능한 글로발 로밍(Global Roaming)을 구현하기 위한 것으로서, 초고속 정보통신망을 기반으로하여 유선망, 무선망, 위성망이 유기적으로 결합된 시스템을 통하여 인터넷, 영상전송 등 멀티미이어 통신서비스를 제공하는 차세대 종합통신 서비스 개념이다.
IMT 2000의 특징은, 하나의 단말기를 이용하여 언제 어디서나 원하는 서비스를 받을 수 있으며, 기존의 음성 및 저속 데이터 통신 이외에 최대 2Mbps 속도의 인터넷 접속, 영상회의등의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한다. 또한 기술적 특성으로서는 사용주파수대역이 1.9~2.2GHz, 대역폭이 5/10/200MHz, 데이터전송속도가 이동시에는 144~384KHz, 실내에서는 2Mbps, 음성보코더는 8~32Kbps, 제공서비스는 고속멀티미디어(음성, 데이터, 영상)등이 된다.
상기와 같은 편리한 기능을 제공하는 IMT 2000용 단말기(20)는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안테나(200)를 통하여 무선데이터를 송수신하며, 수신된 데이터중의 동영상데이터는 디스플레이창(204)을 통하여 표시되고 스피커(미도시됨)을 통하여 음성이 출력된다. 또한 디지털 카메라(202)를 통하여 사용자의 동영상이 전송되고 또한 마이크(208)를 통하여 사용자의 음성이 전송되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단말기(20) 사용자가 운전중에 화상전화통화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한 손으로 단말기(20)를 휴대한 상태에서 통화를 하여야 하기 때문에 집중력이 떨어져서 사고발생의 요인이 된다.
이러한 문제점의 해결을 위하여 종래 핸드폰의 핸드프리와 같은 장치를 구비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별도의 디스플레이창을 대시보드에 설치하는 경우에 핸드프리와 같은 거치대를 부착하여야 하는데 이것은 차량에 나사방식으로 고정되므로 차량에 손상을 초래한다. 또한 설치후에도 운전자나 탑승자의 시야를 제한하는 불편함을 초래한다. 또한 화상전송을 위한 디지털 카메라를 설치하는 위치가 운전자의 정면에 위치하여야 하므로 별도의 유선장치 또는 블루투스 통신모듈을 설치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종래 차량에 장착된 액정TV나 차량항법 시스템을 이용하고자 하여도, 주로 차량항법시스템이 대시보드나 운전자의 측면 중앙 하부에 부착되므로 운전자가 통화를 위해서는 시선을 하부측으로 이동시켜야 하기 때문에 운전집중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종래 음성신호만을 위한 핸드프리와는 다른 구조의 화상전화용 핸드프리장치의 개발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블루투스 통신모듈을 내장한 IMT-2000용 단말기와 무선으로 화상 및 음성데이터를 송수신하여 화상전화용 단말기를 운전자가 손에 휴대하지 않고서도 화상전화통화를 할 수 있도록 된 선바이저 겸용 화상전화 디스플레이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운전자의 집중력을 저하시키지 않고서도 자연스럽게 시선을 유도하여 화상전화통신을 할 수 있도록 선바이저에 일체화된 선바이저 겸용 화상전화 디스플레이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블루투스 통신모듈을 장착한 IMT 2000용 단말기와의 무선데이터송수신을 통하여 화상전화를 핸드프리형식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운전자의 시야를 방해하지 않는 선바이저 겸용 화상전화 디스플레이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선바이저 겸용 화상전화 디스플레이는, 선바이저의 내부에 설치되어 IMT-2000용 단말기에 내장된 블루투스 통신모듈로부터 전송되는 신호를 수신하는 블루투스 통신모듈과, 상기 블루투스 통신모듈을 통하여 입력된 신호중의 비디오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것으로 선바이저의 표면에 설치되는 디스플레이창과, 상기 블루투스 통신모듈을 통하여 입력된 신호중의 오디오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스피커와, 통화자의 음성을 입력받아서 블루투스 통신모듈로 전달하는 것으로 선바이저의 표면에 설치되는 마이크와 디지털카메라를 포함하는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종래 사용되는 IMT 2000용 단말기의 외관사시도,
도 2는 차량에 설치된 본 고안의 선바이저와 단말기의 배치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선바이저의 외관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화상전화 디스플레이의 블럭회로도,
도 5는 본 고안의 선바이저의 이동설치예,
도 6은 본 고안에 의한 다이알신호입력부의 일실시예.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0': 선바이저 12: 디지털카메라
14: 디스플레이창 16: 블루투스 통신모듈
16a: 안테나 17: 다이알신호입력부
17a: 터치스크린 18: 마이크
19: 스피커 20: IMT2000용 단말기
22: 네비게이션 디스플레이창 200: 안테나
202: 디지털카메라 204: 디스플레이창
206: 버튼입력부 208: 마이크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고안의 선바이저 겸용 화상전화 디스플레이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선바이저 겸용 화상전화 디스플레이의 설치상태를 나타내는 차량의 내부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IMT 2000용 단말기(20)가 거치대에 삽입, 고정되어 있으며, 통상 햇빛차단을 위하여 설치되는 선바이저의 위치에 본 고안에 의한 선바이저(10)가 설치됨을 알 수 있다. 단말기(20)는 거치대에 장착되지 않고 사용자의 주머니속에 있어도 본 고안에 의하면 정상적인 통화를 수행할 수 있다.
본 고안에 의한 선바이저(10)는 차량의 실내측으로 대면한 부분에 화상신호를 실시간으로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창(14)이 위치하고 있으며, 사용자의 음성을 입력받기 위한 마이크(18)와, 화상전화통화 상대방의 음성을 출력시키기 위한 스피커(19)와, 디지털카메라(12)가 설치되어 있다. 실제 마이크(18)와 스피커(19)는 선바이저(10)의 내부 또는 외부에 설치되며 스피커창, 마이크창에 의하여 차단되어서 외부적으로 표시되지 않지만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스피커창, 마이크창 부분을 스피커, 마이크로 지칭한다. 선바이저(10)의 외측면에는 종래와 같이 햇빛을 차단할 수 있는 차단막이 형성된다.
또한 선바이저(10)의 내부에는 단말기(20)와의 무선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기 위한 블루투스 통신모듈(16)이 장착된다. 도면에서 블루투스 통신모듈(16)은 점선으로 표시되어 있다.
블루투스 통신모듈(16)은 블루투스 통신규격을 만족하는 근거리용 무선송수신장치이다. 블루투스 1.0 사양은 1999년 7월에 블루투스 SIG에서 발표, 공표되었다. 책정된 규격내에서는 전세계적으로 별다른 면허없이 사용할 수 있도록 2.46GHz대역의 ISM(Industrial, Scientific, Medical) 밴드를 이용하고 있다.
블루투스에서 사용되는 주파수대역은 2400~2483.5MHz, 스펙트럼확산방식은 주파수 호핑(frequency hopping), 호핑 채널은 1MHz 간격으로 97파(2402~2480MHz), 호핑 속도는 1600호프/초, 정보변조방식은 G-FSK(Gaussian Frequency Shift Keying), 전송속도는 물리층에서 1MHz, 출력전력은 1㎽(0㏈m)의 규격을 가진다.
블루투스 통신모듈(16)은 한 쌍의 모듈의 상호간 통신에 의하여 수행되며, 처음에 통신을 개시한 블루투스 통신모듈이 마스터가 되며, 다른 블루투스 통신모듈은 슬레이브가 된다. 본 고안에서 사용되는 블루투스 통신모듈(16)은 슬레이브가 되어 단말기(20)에 내장되는 블루투스 통신모듈과의 무선데이터송수신을 수행하게 된다.
블루투스 통신모듈의 특성에 의하여 블루투스 통신모듈은 무선부분과 호스트와의 인터페이스를 포함한 모듈을 소형으로 제작할 수 있으며, PC와 휴대전화의 접속, 프린터, 디지털카메라등과의 데이터송수신, PDA와의 데이터 동기등에 적용예정이다. 본 고안에서도 휴대전화(IMT 2000용 단말기)에 장착된 블루투스 통신모듈을 이용하여 안전운전이 가능한 선바이저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고안에서와 같이 블루투스 통신모듈(16)을 채택한 선바이저(10)의 사용상의 이점은 다음과 같다.
즉 디스플레이창이 운전자의 시야를 차단하지 않는 위치, 즉 종래 선바이저에 설치되어서 운전중의 시야방해가 거의 없으므로 운전중 운전자의 집중력을 떨어뜨리지 않고 화상통화가 가능하다.
또한 운전중에 걸려온 화상전화를 받는 경우에도 단말기(20)를 손에 휴대하지 않고 통화가 가능하다. 즉, 단말기(20)가 도 2에서와 같이 거치대에 거치되지 않고 운전자의 주머니속에 있더라도 블루투스 통신모듈(16)에 의한 무선데이터의 송수신이 가능하기 때문에 자연스러운 화상통화가 가능하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한 디스플레이창(14)은 통상적으로 차량에 설치되는 선바이저(10)의 크기를 고려하면 약 4' 이상의 크기를 가진 것을 사용할 수 있으므로, 넓은 화면을 제공하여 운전집중력을 저하시키지 않는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창(14)은 LCD 또는 유기 EL방식의 디스플레이를 사용하여 구성할 수 있다. 각각의 경우에 디스플레이창(14)에는 각각 구동부를 더 추가할 수 있다.
또한 종래의 선바이저와 같이 사용중이 아닌 경우에는 위쪽으로 젖혀둠으로서 시야차단을 방지할 수 있으며, 화상통화를 하지 않고 햇빛을 차단하는데 사용할 수 있음은 명백하다.
본 고안에 의한 선바이저는 또한 위치를 운전자석 전방에서 후방으로 위치시킴으로써 뒷좌석에 탑승한 승객도 역시 사용할 수 있다. 이것은 블루투스 통신모듈의 마스터, 슬레이브 작동상태에서 뒷좌석에 착석한 사람이 휴대한 단말기(20)의 블루투스 통신모듈과 선바이저(10)의 블루투스 통신모듈(16)간의 무선데이터송수신에 의하여 통화가 수행된다.
선바이저(10)에 설치된 디지털카메라(12)는 선택적으로 설치가능하다. 즉 IMT2000 단말기(20)에 장착된 디지털카메라(202)를 이용하여 화상정보를 전송하거나 디지털카메라(12)를 이용하여 화상정보를 전송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디지털카메라(12)는 선바이저(10)에 위치시키거나 운전석의 전방, 즉 운전자의 얼굴을 잘 잡을 수 있는 위치에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후자의 경우에는 유, 무선으로 디지털카메라(12)를 연결하여 신호를 입력시킨다.
도 5에는 선바이저(10)의 이동설치시의 일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운전석 전방의 위치에서 뒷좌석의 전방으로 선바이저(10)의 설치위치가 변경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뒷좌석에 착석한 승객의 단말기(20)에 전화호출신호가 입력되면 단말기(20)에 기장착된 블루투스 통신모듈이 작동하여 선바이저(10)의 블루투스 통신모듈(16)과의 무선 데이터 송수신이 이루어지면서 선바이저(10)의 디스플레이창(14)과 마이크(18), 스피커(19)를 통한 화상통화가 이루어진다. 단말기(20)에 호출신호가 입력되는 경우에 선바이저(10)를 이용한 통화모드는 사용자에 의하여 미리 설정되어서 단말기(20)의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다.
선바이저(10)의 위치이동시에 고정하는 방식은 뒷좌석의 상부표면에 선바이저(10)의 고정부재(회전용바)를 착탈시킬 수 있는 결합부재를 미리 형성하였다가, 필요한 경우에 선바이저(10)를 결합부재에 고정시킨다. 또다른 방식으로는 선바이저(10)의 고정위치 사이에 가이드레일, 또는 가이드홈을 형성하여 활주방식으로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는 2개의 선바이저(10)를 사용하여 위치이동없이 고정시킬 수 있다.
도 3은 본 고안의 선바이저(10)의 부분확대도이다. 선바이저(10)는 상단부에 돌출된 회전용바에 의하여 회전가능하게 고정됨을 알 수 있다. 운전자는 햇빛을 차단하거나 또는 단말기(20)를 통하여 입력되는 무선데이터송수신신호를 이용하여 화상통화를 하기 위하여 선바이저(10)를 수평위치에서 수직위치로 이동시킨다. 회전용바의 단부는 직사각형 형태(스피커(19)의 상부측에 표시됨)를 가지고 있으며 선바이저(10)를 고정하고 회전시에 지지대역할을 한다.
이 때 운전중 사용상의 편리성을 제공하기 위하여 선바이저(10)의 회전용바의 타단부(즉 직사각형 형태의 반대측단부)에 기어와 모터를 이용한 메카니즘을 설치하여 선바이저(10)를 자동으로 회동시킨다. 즉 수동조작을 모터를 이용한 자동조작으로 변경하는 것이다. 선바이저(10)의 위치변경용 버튼(모터구동용버튼)은 차량의 대시보드 또는 운전자의 조작이 편리한 위치에 설치한다.
또한 선바이저(10)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전화를 걸기 위한 다이알신호입력부가 더 설치된다. 다이알신호입력부는, 키패드 또는 터치스크린과 같은 입력수단으로 구성된다.
도 4는 본 고안의 화상전화 디스플레이의 블록회로도이다.
구성은 무선데이터를 송수신하는데 사용되는 안테나(16a)와, 블루투스 통신모듈(16)과, 블루투스 통신모듈(16)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비디오, 오디오신호)를 각각 출력하기 위한 디스플레이창(14)과, 스피커(19)가 연결되어 있다. 또한 마이크(18)와 디지털카메라(12)를 통하여 입력되는 신호는 블루투스 통신모듈(16)로 입력되어서 무선으로 전송된다. 전송된 무선데이터는 사용자의 단말기(20)로 전송된 후에, 이동통신회사의 기지국으로 전송되어서 화상전화통화가 이루어진다.
블루투스 통신모듈(16)에 입력되는 신호들은 미리 단말기(20)의 내부에서 신호처리된 상태로서, 단말기(20) 자체의 디스플레이창(14), 마이크(18), 스피커(19)등을 동작시킬 수 있는 크기의 신호이므로 블루투스 통신모듈(16)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들은 디스플레이창(14), 마이크(18), 스피커(19)를 정상적으로 작동시킨다. 물론 필요한 경우에는 디스플레이창(14), 스피커(19)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부를 더 설치하고, 디지털카메라(12), 마이크(18)에도 신호처리부를 더 추가하여 설치할 수 있음은 명백하다.
또한 사용자는 다이알신호입력부(17)를 통하여 전화를 걸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전화번호를 입력하면 다이알신호입력부(17)에서 톤펄스가 발생되고, 발생된 톤펄스는 블루투스 통신모듈(16)을 통하여 단말기(20)의 블루투스 통신모듈에 전송된다. 이때 선바이저(10)의 블루투스 통신모듈(16)은 마스터, 단말기(20)의 블루투스 통신모듈은 슬레이브 상태가 된다. 단말기(20)에서는 전송된 톤펄스를 이용하여 단말기(20)로부터 전화 통화에 필요한 무선신호를 이동통신회사로 송출한다. 전화 통화가 정상적으로 연결되면 사용자는 선바이저(10)의 마이크(18)와 스피커(19)를 이용하여 전화통화를 한다. 상기 다이알신호 입력부(17)는 전화기의 키패드와 톤발생부를 이용하여 구성하거나, 터치스크린을 이용하여 구성할 수 있다.
도 6은 터치스크린(17a)을 이용하여 구성된 다이알신호입력부(17)의 일실시예이다. 터치스크린(17a)에는 전화번호 입력을 위한 번호표시용 아이콘들이 표시되고, 사용자는 해당 번호아이콘을 눌러서 전화번호를 설정한다. 전화번호용 아이콘 이외에도 단축 다이알을 위한 '단축아이콘'을 지정할 수 있음은 명백하다.
상기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디스플레이가 운전자 시야의 상측에 있어서 운전중에 운전자의 집중력을 저하시키지 않고 화상 통화가 가능하다. 또한 운전중에 걸려온 화상전화를 받을 때에도 종래와 같이 핸드프리와 같은 장치에 거치시키거나 손으로 휴대하지 않고서도 통화가 가능하기 때문에 사고예방 및 안전운전에 도움이 된다. 더욱이 본 고안에 의한 화상전화 디스플레이는 디스플레이의 면적이 종래보다 크기 때문에 운전집중력을 저해하지 않는다. 또한 화상전화 디스플레이가 설치된 선바이저의 고정위치를 전후로 이동시킬 수 있으므로 운전자 뿐만 아니라 뒷좌석에 탑승한 승객도 역시 화상전화 디스플레이를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위쪽으로 젖혀두게 되므로 운전자나 합승자의 시야를 가리지 않는 이점이 있는 것이다.

Claims (5)

  1. 차량의 운전석 상부측에 설치되어 태양광을 차단하는 선바이저에 있어서,
    상기 선바이저가 : 선바이저(10)의 내부에 설치되어 IMT-2000용 단말기(20)에 내장된 블루투스 통신모듈로부터 전송되는 신호를 수신하는 블루투스 통신모듈(16)과, 상기 블루투스 통신모듈(16)을 통하여 입력된 신호중의 비디오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것으로 선바이저의 표면에 설치되는 디스플레이창(14)과, 상기 블루투스 통신모듈(16)을 통하여 입력된 신호중의 오디오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스피커(19)와, 통화자의 음성을 입력받아서 블루투스 통신모듈(16)로 전달하는 것으로 선바이저의 표면에 설치되는 마이크(1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바이저 겸용 화상전화 디스플레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선바이저(10)를 회동가능하게 고정하는 회전용바아의 내측단부에 기어를 설치하고, 상기 기어에 맞물리며 모터의 회전축에 축설된 형합기어를 결합하여 선바이저(10)를 모터에 의하여 회동가능하게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바이저 겸용 화상전화 디스플레이.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선바이저의 표면에 화상용 디지털카메라(12)가 더 설치되어, 운전자의화상신호를 블루투스 통신모듈(16)에 입력시켜서 단말기(20)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바이저 겸용 화상전화 디스플레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바이저(10)가 운전석의 전방 또는 뒷좌석의 전방 천정에 결합부재를 형성하고, 상기 결합부재에 선바이저(10)를 결합시켜서 위치를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바이저 겸용 화상전화 디스플레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바이저 겸용 화상전화 디스플레이가, 전화번호신호를 발생시키는 다이알신호 입력부(17)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바이저 겸용 화상전화 디스플레이.
KR2020010004039U 2001-02-17 2001-02-17 선바이저 겸용 화상전화 디스플레이 KR20023075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4039U KR200230758Y1 (ko) 2001-02-17 2001-02-17 선바이저 겸용 화상전화 디스플레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4039U KR200230758Y1 (ko) 2001-02-17 2001-02-17 선바이저 겸용 화상전화 디스플레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30758Y1 true KR200230758Y1 (ko) 2001-07-19

Family

ID=730962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04039U KR200230758Y1 (ko) 2001-02-17 2001-02-17 선바이저 겸용 화상전화 디스플레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0758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80072A (ko) * 2001-04-11 2002-10-23 넷코덱(주) 무선 전화 기능을 갖는 영상 전화기
KR100691173B1 (ko) 2005-05-17 2007-03-09 삼성전기주식회사 차량용 위성 디지탈 라디오방송 수신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80072A (ko) * 2001-04-11 2002-10-23 넷코덱(주) 무선 전화 기능을 갖는 영상 전화기
KR100691173B1 (ko) 2005-05-17 2007-03-09 삼성전기주식회사 차량용 위성 디지탈 라디오방송 수신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191458B1 (ko) 거울 표면을 포함하는 무선 주파수 통신장치
JP2503906B2 (ja) 携帯無線機
WO2004040433A1 (en) Display visible from two opposite sides with automatic orientation adjustment of the displayed image
WO1999066647A1 (en) Mobile telephone docking station
JP2008003093A (ja) 携帯情報通信装置、該携帯情報通信装置用外部出力ユニット又は入出力ユニット、該携帯情報通信装置を中核とする車載情報通信システム及び該車載情報通信システムに情報を提供する道路交通情報提供システム
KR200230758Y1 (ko) 선바이저 겸용 화상전화 디스플레이
US8140125B2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20050105715A1 (en) Mobile terminal device
JP3746284B2 (ja) 携帯電話機
RU58828U1 (ru) Универсальное автомобильное телекоммуникационное устройство
JP2010183142A (ja) 携帯電話を用いたカーナビゲーション装置
JPH10243060A (ja) 自動車電話装置
JP2002077327A (ja) 映写装置付き携帯電話
EP1959648A2 (en) Foldable portable terminal
JP3110855U (ja) 多機能複合装置
KR101046032B1 (ko) 화상 통신 가능한 분리형 휴대용 단말기
KR100365852B1 (ko) 듀얼 엘씨디를 가진 휴대 전화기
WO2002058964A1 (en) Telematic rear view mirror and telephone
JP2012040992A (ja) 車載装置
KR200193178Y1 (ko) 오디오를 이용한 핸즈프리
JPH04290044A (ja) 自動車電話装置
KR200193177Y1 (ko) 휴대폰의 원격 출력장치
KR20100030926A (ko) 블루투스를 이용한 차량의 통화시스템
KR20010109628A (ko) 키패드가 구비된 핸드프리
KR200376789Y1 (ko) 상하 슬라이딩 방식의 이동통신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427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