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0324Y1 - 타워 크레인의 무선 영상감시장치 - Google Patents

타워 크레인의 무선 영상감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0324Y1
KR200230324Y1 KR2020010004059U KR20010004059U KR200230324Y1 KR 200230324 Y1 KR200230324 Y1 KR 200230324Y1 KR 2020010004059 U KR2020010004059 U KR 2020010004059U KR 20010004059 U KR20010004059 U KR 20010004059U KR 200230324 Y1 KR200230324 Y1 KR 20023032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less
tower crane
trolley
camera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0405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선
Original Assignee
김종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선 filed Critical 김종선
Priority to KR202001000405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032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032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0324Y1/ko

Links

Landscapes

  • Closed-Circuit Televis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건설현장의 공사에 필요한 각종 기자재들을 운송하는데 사용되는 타워크레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고공의 운전실에 위치한 타워크레인 운전자가 장애물 또는 지상으로부터 먼거리 등의 이유로 시야가 확보되지 않더라도 지상 인양물의 크기, 위치 및 주변상황을 운전실의 비디오 모니터를 통하여 확실하게 파악할 수 있는 타워크레인의 무선 영상감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고안은 타워크레인의 지브상에서 수평 이동하는 트롤리에 줌기능과 회전기능을 갖는 CCTV카메라를 장착하고, 영상을 타워크레인 운전실의 모니터에 보내기 위한 무선 영상송신기와 카메라의 줌기능, 회전기능, 카메라의 전원을 ON/OFF하는 기능을 제어하는 무선 콘트롤 수신기, 트롤리 상의 CCTV카메라 전원공급을 위한 태양전지판과 파워 콘터롤러를 설치하고 타워크레인의 운전실에 상기 CCTV카메라를 제어하는 카메라 무선 콘터롤러와 영상신호를 받기 위한 무선 영상수신기와 촬영된 피사체를 화상으로 나타내주는 비디오 모니터를 설치하여, 인양작업시 타워크레인 운전자가 카메라 무선 콘터롤러를 조작하여 상기 CCTV카메라의 줌기능과 회전기능을 동작시키면서, 그 초점을 지상으로 접근시키거나 멀어지게 하며, 인양물의 가장자리를 확대하여 볼 경우, 회전기를 사용하여 위치를 조정하면서 인양물의 위치, 크기 및 주변상황을 촬영하여 상기 비디오 모니터의 화상을 통하여 작업상황을 파악하도록 한 특징으로, 타워크레인을 안전하고 편리하게 운전할 수 있으며, 작업능률을 크게 향상시키는 등의 효과를 나타낸다.

Description

타워 크레인의 무선 영상감시장치{WIRELESS CCTV SYSTEM for tower crane}
이 고안은 건설현장에서 공사에 필요한 각종 기자재들을 운송하는데 사용되는 타워크레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타워크레인의 지브상을 수평 이동하는 트롤리에 줌기능과 회전기능이 있는 CCTV카메라를 설치하고, 운전실에 비디오 모니터를 설치하여 카메라가 촬영한 영상과 카메라의 줌기능과 회전기능의 조작을 무선으로 송수신하고, 카메라의 전원을 태양전지판을 사용하여 고공의 운전실에 위치한 타워 크레인 운전자가 장애물 또는 먼거리등의 이유로 시야가 확보되지 않더라도 지상의 인양물의 크기, 위치 및 주변상황을 비디오 모니터의 화상을 통하여 확실하게 파악함으로써, 타워크레인을 보다 안전하고 편리하게 운전할 수 있도록 한 타워크레인의 무선 영상감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설현장에서는 공사에 필요한 철근, H빔 등의 각종 기자재들을 목표지점으로 운송하기 위한 타워크레인을 설치하여 운용하고 있다.
타워 크레인의 주요 구성부를 살펴보면, 지상으로부터 수직으로 올라간 마스트와 마스트의 상부에 지표면과 수평으로 길게 설치되어 회전 운동하는 지브와 지브상에서 수평 이동하는 트롤리와 트롤리에 연결 설치되어 그 말단에 설치된 후크가 트롤리와 함께 수평 이동하는 동시에, 수직운동 하면서 인양물을 운반하여 주며, 상기 지브의 하부에 설치되는 운전실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타워크레인은 지브를 회전시키고, 트롤리를 지브상에서 직선운동 시키면서 후크를 인양할 중량물의 상부에 위치시키고, 후크를 하강시켜 인양물을 건 후 상승시키고, 지브를 회전시키고 트롤리를 이동시키면서 인양물을 목표지점의 상부에 위치한 다음, 후크를 하강하여 인양물을 목표지점에 내려놓는 과정을 통하여 인양물을 목표지점으로 운반한다.
이러한 인양물 운반작업은 운전자가 고공의 운전실에서 타워크레인을 조종하여 수행하므로, 타워크레인 운전자가 지상의 작업자로부터 수신호나 무전기를 통하여 작업상황을 전달받아 지브의 회전과 트롤리의 직선운동, 후크의 상승, 하강운동 등의 타워크레인 운전을 수행한다.
따라서, 건물의 시공이 진행되면서 점차 높아지는 건물의 층고에 따라 타워크레인도 주기적으로 높이를 올려 주어야 하며, 이에 따라 운전실도 지상으로부터 높아지게 되어 운전자의 시각이 지상과는 멀리 떨어지게 되고, 층고의 공정진행으로 건물에 의해 운전자의 시각이 가려지는 사각지대의 범위는 확대되며, 사각지대에서의 트롤리 및 후크의 상승, 하강작업은 신호수와의 수신호나 무전기 통화에 전적으로 의존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이 수행되는 종래의 타워크레인 운전방법은 운전자가 지상과 멀리 떨어진 고공에서 지상의 상황을 어렴풋이 확인하거나 전혀 보이지 않는 상태에서 신호수의 지시를 받고 운전해야 하므로, 운전하는데 매우 불편하고, 작업능률이 크게 떨어질 뿐만 아니라, 안전사고의 위험이 상존하는 등의 여러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이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실용신안공고 제20-0191025호(2000. 5.22)와 같이 운전자의 시야을 확보하기 위해, CCTV카메라를 이용하여 유선으로 설치하여 운용하였다. 그러나, 운전실에서 트롤리의 CCTV카메라 쪽으로 전원케이블, 영상신호용 동축케이블, 카메라 줌렌즈 및 회전기제어용 제어케이블을 연결하여야 하므로, 트롤리가 직선운동 하면서 접히거나 펼쳐지거나 하면서 신축하도록, 3종류의 케이블을 모두 고정홀더에 묶고 고정홀더를 등간격으로 고정하는 한편, 상기 지브의 일측 수평재에서 상기 트롤리와 상기 운전실의 상부지점에 각각 와이어 로우프의 양끝을 고정하여 일종의 레일을 형성하고, 이 와이어 로우프를 따라 이동하도록 다수의 도르레를 걸어서 설치하고, 이 도르레를 상기 3종류의 케이블에 등간격으로 고정되어 있는 고정홀더와 연결 고정하여 작동하면, 케이블이 도6과 같이 접히지 않고, 도7과 같이 케이블의 접히는 정도가 달라, 접혀있을 때 3종류의 케이블끼리 서로 꼬이며, 트롤리의 직선운동 속도가 1단에서 4단까지의 변속이 가능해 빠르게 앞으로 전진할 경우 케이블이 끊어졌으며, 도8과 같이 3종류의 케이블을 하나의 열 수축 튜브에 같이 넣어 상기 방법으로 설치하면, 케이블이 잘 접히지 않아서 둥글게 원형으로 말려 있다가 인접 고정홀더의 케이블과 간섭이 생기며, 이 상태에서 트롤리가 앞으로 빠르게 전진하면 간섭된 케이블끼리 꼬여서 케이블이 끊어지고, 트롤리가 운전실 쪽으로 더 후진하여 고정홀더와 연결된 도르레와 도르레의 간격이 케이블의 접히는 정도보다 좁아지면, 로우프를 따라 이동하는 도르레는 도6과 같이 케이블이 접히지 않아 로우프에서 탈선하여, 트롤리가 다시 전진할 때 도르레가 와이어 로우프 위를 구르지 못하고, 도르레와 고정홀더의 연결부위에 로우프가 끼이게 되어 트롤리가 직선운동 하면 케이블이 끊어져서 올바르게 기기를 동작할 수가 없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타워크레인에 폐쇄회로 텔레비젼(CCTV)을 설치하여서, 고공의 운전실에 위치한 타워크레인 운전자가 장애물 또는 먼거리 등의 이유로 인해 시야가 확보되지 않더라도 지상의 인양물의 크기, 위치 및 주변상황을 운전실에서 비디오 모니터의 영상을 통하여 확실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함에 있어서, 무선으로 영상신호를 주고 받으며, 카메라의 줌렌즈 및 회전기의 제어를 무선으로 제어하고, 전원도 트롤리 내에서 태양전지판을 사용하여 자가발전 하도록 하여 상기 케이블에 의한 문제점을 해결하여, 타워크레인을 보다 안전하고 편리하게 운전할 수 있게 하여, 작업능률을 크게 향상시켜 주는 타워크레인의 무선 영상감시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케이블을 사용한 유선으로 CCTV카메라를 설치해 보면, 앞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트롤리가 변속하여 빠르게 직선 운동할때 케이블이 끊어져서 기기를 동작할 수가 없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타워크레인의 지브상에서 수평 이동하는 트롤리에 줌기능 및 회전기능을 갖는 CCTV카메라, 무선 영상송신기, 무선 콘터롤 수신기, 태양전지판, 파워 콘터롤러 및 밧데리를 장착하고, 타워크레인의 운전 실에 상기 CCTV카메라를 제어하는 카메라 무선 콘터롤러, 촬영된 피사체의 영상신호를 수신하는 무선 영상수신기 및 영상신호를 화상으로 재현해 주는 비디오 모니터를 설치하여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워크레인의 무선영상감시장치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타워크레인의 무선 영상감시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타워크레인을 나타낸 일측면도
도 3은, 도2의 'B'부 확대도
도 4는, 도2의 'B'부 X-X단면 확대도
도 5는, 도2의 'A'부 확대도
도 6은, 실용신안공고 제20-0191025호에 도시된 도6으로 유선방식으로 케이블이 접혔을 때의 타워크레인 작업을 표현한 도면
도 7은, 동축케이블, 제어케이블, 카메라용 전원케이블을 고정홀더에 묶어, 도6과 같은 방법으로 설치했을 때 실제 나타난, 케이블의 엉키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동축케이블, 제어케이블, 전원케이블을 하나의 열 수축 튜브에 넣어서 설치했을 때 실제 나타난, 인접 고정홀더의 케이블과의 간섭현상을 나타낸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지브 2:트롤리 3:후크
4:트롤리 작업대 5:운전실 10:CCTV 카메라
11:무선 영상송신기 12:무선 콘트롤 수신기 13:태양전지판
14:파워 콘터롤러 15:밧데리 16:영상용 안테나
17:제어용 안테나 20:무선 영상수신기 21:비디오 모니터
22:카메라 무선 콘터롤러 23:조작 버튼부 51:제1통신 케이블
52:제2통신 케이블 53:전원 케이블
이하, 본 고안의 기술 구성을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한 타워 크레인의 영상감시장치는 도2의 도시와 같이, 트롤리(2)에 설치되는 기기들을 보면, 타 워크레인의 지브(1)상에서 수평이동 하는 트롤리(2)는, 그 트롤리(2)에 연결 설치되어 각종 기자재를 들어올리는 후크(3)와 함께 수평 이동하며, 또 그 트롤리(2)에는 트롤리(2), 지브(1), 후크(3)와 연결된 와이어 로우프 등의 보수를 위해 트롤리 작업대(4)가 있으며, 도3과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트롤리 작업대(4)발판 하부에 줌기능 및 회전기능을 갖춘 CCTV카메라(10)를 설치하고;
상기 CCTV카메라(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운전실(5)의 무선 영상수신기(20) 쪽으로 영상신호를 RF신호로 변환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된 영상용 안테나(16)를 통해 공중에 송출하는 무선 영상송신기(11)와,
줌렌즈, 회전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운전실(5)의 카메라 무선 콘터롤러(22)로부터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어용 안테나(17)를 통해 제어신호를 RF신호로 수신하여 디지털 신호로 변환, 분석하여 전기적 신호를 내주는 무선 콘터롤수신기(12)와 ;
태양으로부터 햇빛을 받아 직류전기를 발생하는 태양전지판(13)을 트롤리작업대(4)의 안전망에 설치하고;
상기 태양전지판(13)으로부터 공급받은 직류전원을 일조량이 부족한 동절기, 장마철, 흐린 날을 대비하여 일주일 이상 기기를 작동할 수 있는 전원을 충전할 수 있는 밧데리(15)에 충전하고, 그 밧데리(15)의 충전량을 체크하여, 과방전이 일어나면 전기적으로 연결된 CCTV카메라(10), 무선 영상송신기(11), 무선 콘터롤 수신기(12)로의 전원을 차단하고, 과충전이 일어나면 충전을 정지하여 밧데리(15)를 보호하며, 흐린 날에 태양전지판으로부터 공급받는 전류는 정격출력 전류의 약 40%정도밖에 안되므로 전압과 전류를 자동 조정(AVR기능)하여 충전하는 기능을 가진 파워 콘터롤러(14)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상기 기술 구현에 있어서 CCTV카메라(10)의 회전기는 상용전원 AC 110V나 220V를 사용하는 제품 또는 AC 24V를 사용하는 제품이 주종을 이루고 있어, 이를 직류전기로 동작할려면 직류전기를 교류전기로 바꿔 승압시켜 주는 인버터 기능을 파워 콘터롤러(14)에 추가해야 하나, 그럴 경우 회전기가 작동하지 않을 때에도 인버터는 계속 작동하여 밧데리(15)의 충전전류를 소비하며, 그 소비전류가 많아 태양전지판(13)의 발전용량이 커져야 함으로, 태양전지판(13)의 크기를 크게 제작해야 되어 트롤리(2)에 설치할 공간이 없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회전기의 동작 전압이 DC 12V, 500mA로 가능한 모터를 사용하고, 모터의 부하를 줄이기 위해 CCTV카메라(10)와 줌렌즈, 회전기를 일체형으로 하여 돔(DOM)형의 소형으로 제작하는게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CCTV카메라(10)의 소비전류가 DC 12V, 500mA와 무선 영상송신기(11)의 소비전류 DC12V, 500mA와 무선 콘트롤 수신기(12)의 소비전류는 무신호일 때에는 DC12V, 100mA를 사용하고, 카메라 무선 콘터롤러(22)로부터 제어신호가 있을 때에만 회전기에 DC 12V, 500mA를 사용하므로, 트롤리(2)에 설치한 기기들의 전체 소비전류는 DC 12V, 1.1A ∼ 1.6A이며, 항상 회전기를 사용하지 않으므로, 평소에는 DC 12V, 1.1A의 소비전류를 사용한다.
따라서, 태양전지판(13)을 DC 12V, 2.6A의 출력을 내는 제품의 크기는 가로 50Cm × 세로 80Cm로 제작되어 트롤리 작업대(4)의 난간에 설치 가능하고, 밧데리(15)의 용량을 DC 12V, 60A ∼ 90A의 자동차용 밧데리를 사용하여 태양이 없는 흐린 날에도, 7 ∼ 10일 동안 기기를 사용할 수 있게 함으로써 하루 8시간의 일조량을 기준으로, 트롤리(2)의 기기들을 동작시키면서도 10A이상의 전류를 충전할 수 있어, 무선 영상감시장치를 구성하는 가장 큰 문제점인 전원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또,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운전실(5) 쪽에 설치된 기기들을 보면, 상기의 무선 영상송신기(11)가 송출한 영상신호를 전기적으로 연결된 영상용 안테나(16)를 통해 RF신호로 수신하여, 비디오 신호로 변환하여 주는 무선 영상수신기(20)와;
상기 무선 영상수신기(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CCTV카메라(10)가 촬영한 영상신호를 시각적으로 표현해 주는 비디오 모니터(21)와;
운전자의 조작 버튼부(23) 조작에 의한 전기적 신호를 분석하여, 미리 입력된 코드로 디지털 출력하여, 이를 다시 RF신호로 변환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어용 안테나(17)를 통해 공중에 송출하는 카메라 무선 콘터롤러(22)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여서 본 고안의 기술사상을 구현하고 있다.
또, 상기 기술한, 트롤리에 설치되는 기기들 중에서 무선 영상송신기(11)와 무선 콘터롤 수신기(12)와 파워 콘터롤러(14) 그리고, 밧데리(15)는 별도의 통합박스를 제작하여, 그 박스 내부에 모두 설치하고, 통합박스를 트롤리 작업대(4)의 안전망 난간에 견고히 고정하여, 운전자가 트롤리 작업대(4)에서 지브의 보수작업을 행할 때, 본 고안에 의해 행동이 제한되지 않도록 하며 눈, 비, 먼지 등으로부터 기기를 보호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무선 영상감시장치는 인양작업시 타워크레인 운전자가 상기 카메라 무선 콘터롤러(22)를 조작하여 CCTV카메라(10)의 줌기능과 회전기능을 무선으로 동작시키면서, 그 초점을 지상으로 접근시키거나 멀어지게 하며, 상하좌우로 회전기를 동작하면서 인양물의 크기, 위치 및 주변상황을 촬영한 영상신호를 무선으로 수신하여 상기 비디오 모니터(21)에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영상을 통해 파악하게 된다.
상기에서, CCTV카메라(10)는 줌렌즈만 장착하여 지상의 직하방으로 초점을 맞추고 있도록 고정할 수도 있으나, 건축물의 층고로 타워크레인의 운전실(5)이 고공에 위치하면 철근, H빔과 같은 길이가 긴 인양물의 양쪽 가장자리를 묶어 후크(3)에 걸 경우, 양쪽 가장자리의 묶은 상태를 운전자가 확대하여 볼려면, 고정된 카메라의 경우 줌렌즈를 작동하면 인양물의 정중앙만 확대하므로, 가장자리를 볼 수가 없어 회전기능을 갖추어야 하고, 실제로 한국산업안전공단의 건설사망재해사례 제2001-25호(2001. 2. 5.) 등에 의하면, 타워크레인에 의한 사고중, 인양물 가장자리의 묶음이 불안하여 인양하역작업 중에 인양물이 낙하하여 발생한 산재사고가 많이 보고되었다.
한편, 상기 무선 영상송신기(11)와 무선 영상수신기(20)의 영상용 안테나(16)를 통한 RF방식의 통신과, 카메라 무선 콘터롤러(22)와 무선 콘터롤수신기(12)의 제어용 안테나(17)를 통한 RF방식의 통신은 각각의 안테나를 적외선 센서로 바꾸고, 무선 영상송신기(11)와 무선 영상수신기(20)와 카메라 무선 콘터롤러(22) 그리고, 무선 콘터롤 수신기(12)를 RF통신 방식에서 적외선 빔 통신방식의 기기로 바꿔, 전체적으로 RF통신 방식에서 적외선통신 방식으로 바꿀 수도 있다.
또한, 조작 버튼부(23)는 음성인식 기능을 추가하여, CCTV카메라(10)의 줌기능 및 회전기능의 조작명령을 운전자의 음성으로 미리 샘플 녹음하여 CCTV카메라(10)의 줌기능 및 회전기능을 음성으로 조작할 수 있도록 하여 운전자가 타워 크레인을 운전하면서, CCTV카메라(10)를 동작하기 위한 별도의 손동작이 없도록 함으로써, 운전자의 양손은 타워 크레인의 제어에만 전념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타워크레인 영상감시장치의 운용 및 작동에 대하여 설명한다.
운전자가 타워크레인을 운전하여 지브(1)를 회전시키면서 트롤리(2)를 인양물의 상부로 이동시키면 CCTV카메라(10)가 트롤리(2)와 함께 상기 인양물의 상부로이동하게 된다.
이때 본 고안에 의한 CCTV카메라(10)는 인양물이 있는 지상을 촬영하여 무선 영상송신기(11)와 영상용 안테나(16)를 통해 무선으로 운전실(5)의 영상용 안테나(16)와 무선 영상수신기(20)를 거쳐 비디오 모니터(21)로 전송하여 주며, 운전자는 비디오 모니터(21)를 통하여 인양물의 직상부로 트롤리(2)가 이동되는 것을 확인하면서 조정한다.
인양물의 직상부로 트롤리(2), 후크(3) 및 CCTV카메라(10)의 이동이 완료되면, 후크(3)를 인양물의 위치로 내리게 된다. 후크(3)가 내려가는 도중에 건축물에 의해 운전자의 시야가 확보되지 않더라도 장애물이 존재하는 여부를 본 고안을 통해 인지하여 이와 충돌되는 것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게 된다.
운전자는 카메라 무선 컨터롤러(22)의 조작 버튼부(23)를 조작하여 CCTV 카메라(10)의 줌기능 및 회전기능을 동작시키면서 지상의 신호수와 무전기를 통해 의사소통 하면서 보다 신속, 정확하게 인양물의 정위치로 후크(3)를 조정할 수 있게 된다.
후크(3)의 하강이 완료되면 지상의 작업자들이 인양물을 후크(3)에 걸게 되며, 운전자는 비디오 모니터(21)를 통해 인양물을 거는 작업이 완료되었는지, 인양물의 묶음상태, 묶음위치가 올바른지를 확인하고 상승을 시작할수 있고, 인양도중 주변상황을 신속,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기 때문에 작업속도가 빠르게 이루어질 뿐 아니라, 안전사고를 완벽하게 예방할 수 있게된다.
또한, 이와 같이 최상부까지 인양된 인양물을 목표지점에 내릴 때에도 들어올릴 때와 마찬가지로, 본 고안에 의한 영상감지장치는 CCTV카메라(10)의 줌렌즈와 회전기를 동작하면서 비디오 모니터(21)를 통해 신속, 정확하게 현장상황을 전달하여 준다.
상기 기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고 작용하는 본 고안에 의하면, 타워크레인에 폐쇄회로 텔레비젼(CCTV)을 설치하여, 고공의 운전실에 위치한 타워크레인 운전자가 장애물 또는 먼거리 등의 이유로 인해 시야가 확보되지 않더라 도 지상의 인양물의 크기, 위치 및 주변상황을 운전실에서 비디오 모니터를 통해 신속,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게 함에 있어, 케이블을 이용한 유선방식에서 트롤리의 빠른 직선운동으로 발생한 케이블의 끊어짐을 극복하기 위해 무선으로 영상신호의 송수신 및 CCTV카메라의 줌렌즈와 회전기를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무선으로 송수신하여, 안정적으로 CCTV카메라를 사용할 수 있게 하여, 타워크레인에 의한 안전사고의 위험성이 크게 줄어들고, 보다 편리하게 운전할 수 있으며, 인양작업 능률이 대폭적으로 향상되는 등 여러 효과를 나타내는 매우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1)

  1. 타워 크레인의 지브(1)상에서 수평 이동하는 트롤리(2)는, 그 트롤리(2)에 연결 설치되어 각종 기자재를 들어올리는 후크(3)와 함께 수평 이동하며, 트롤리(2)에는 트롤리(2), 지브(1), 후크(3)와 연결된 와이어 로우프 등의 보수를 위해 트롤리 작업대(4)가 있으며, 트롤리 작업대(4) 발판 하부에 줌기능 및 회전기능을 갖춘 CCTV카메라(10)를 설치하고;
    상기 CCTV카메라(10) 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운전실(5)의 무선 영상수신기(20) 쪽으로 영상신호를 RF신호로 변환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된 영상용 안테나(16)를 통해 공중에 송출하는 무선 영상송신기(11)와;
    줌렌즈, 회전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운전실(5)의 카메라 무선 콘터롤러(22)로부터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어용 안테나(17)를 통해 제어신호를 RF신호로 받아 디지털 신호로 변환, 분석하여 전기적 신호를 내주는 무선 콘터롤 수신기(12)와;
    태양으로부터 햇빛을 받아 직류전기를 발생하는 태양전지판(13)을 트롤리작업대(4)의 안전망에 설치하고, 상기 태양전지판(13)으로부터 공급받은 직류전원을 일조량이 부족한 동절기, 장마철, 흐린 날을 대비하여 일주일이상 기기를 작동하는 전원을 충전할 수 있는 밧데리(15)에 충전하고, 그 밧데리(15)의 충전량을 체크하여 과방전이 일어나면, 전기적으로 연결된 CCTV카메라(10)와 무선 영상송신기(11) 그리고, 무선 콘터롤 수신기(12)로의 전원을 차단하고, 과충전이 일어나면 충전을정지하여 밧데리(15)를 보호하며, 흐린 날에는 태양전지판으로부터 공급받는 정격출력 전류가 약해 전압과 전류를 자동 조정하여 충전하는 기능을 가진 파워 콘터롤러(14)와;
    운전실(5) 쪽에 상기의 무선 영상송신기(11)가 송출한 영상신호를 전기적으로 연결된 영상용 안테나(16)를 통해 RF신호로 수신하여 비디오 신호로 변환하여 주는 무선 영상수신기(20)와;
    상기 무선 영상수신기(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CCTV카메라(10)가 촬영한 영상신호를 시각적으로 표현해 주는 비디오 모니터(21)와;
    운전자의 조작 버튼부(23) 조작에 의한 전기적 신호를 분석하여 미리 입력된 코드로 디지털 출력하여, 이를 다시 RF신호로 변환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어용 안테나(17)를 통해 송출하는 카메라 무선 콘터롤러(22)로; 구성되어서,
    타워크레인 운전자가 상기 카메라 무선 콘터롤러(22)를 통하여 상기 CCTV카메라(10)의 줌기능과 회전기능을 동작시키면서 인양물의 크기, 위치 및 주변상황을 촬영하여 상기 비디오 모니터(21)의 영상을 통하여 파악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워크레인의 무선 영상감지장치.
KR2020010004059U 2001-02-17 2001-02-17 타워 크레인의 무선 영상감시장치 KR20023032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4059U KR200230324Y1 (ko) 2001-02-17 2001-02-17 타워 크레인의 무선 영상감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4059U KR200230324Y1 (ko) 2001-02-17 2001-02-17 타워 크레인의 무선 영상감시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07939A Division KR100390525B1 (ko) 2001-02-16 2001-02-16 타워 크레인의 무선 영상감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30324Y1 true KR200230324Y1 (ko) 2001-07-19

Family

ID=730962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04059U KR200230324Y1 (ko) 2001-02-17 2001-02-17 타워 크레인의 무선 영상감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032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539886A (zh) * 2017-10-24 2018-01-05 清华大学合肥公共安全研究院 一种基于物联网感知预警的智能安全塔吊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539886A (zh) * 2017-10-24 2018-01-05 清华大学合肥公共安全研究院 一种基于物联网感知预警的智能安全塔吊
CN107539886B (zh) * 2017-10-24 2024-01-26 清华大学合肥公共安全研究院 一种基于物联网感知预警的智能安全塔吊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90525B1 (ko) 타워 크레인의 무선 영상감시장치
CN106142049B (zh) 带电作业机器人
CN106886225B (zh) 一种多功能无人机智能起降站系统
KR102088793B1 (ko) 외부환경 반응형 감시카메라
CN105856186A (zh) 一种带机械手臂的变电站智能巡检机器人及巡检方法
CN104986676A (zh) 塔吊综合智能监控装置
CN108847615B (zh) 一种可调节激光除障的无人机及其除障方法
CN115561584B (zh) 一种与站内设备配合的配电网接地故障定位设备
CN215974639U (zh) 一种塔机远程驾驶遥控系统
KR200230324Y1 (ko) 타워 크레인의 무선 영상감시장치
CN210061146U (zh) 一种变电站机器人挂拆接地线控制系统
CN209890103U (zh) 一种新型溜绳装置
CN106025924A (zh) 一种输电线路检修用的作业装置及作业车
CN209170562U (zh) 一种移动式无线视频监控装置
CN204416974U (zh) 一种塔式起重机的地面观察操控系统
CN106444546B (zh) 一种智能化控制远程实时监控装置
CN109179229A (zh) 塔吊可视化安全监视系统及监视方法
CN215711327U (zh) 一种汽车起重机近电近物保护装置
CN108462114A (zh) 激光清除异物装置
CN214243460U (zh) 一种塔机吊钩智能监测报警系统
CN209367701U (zh) 塔吊可视化安全监视系统
KR200191025Y1 (ko) 타워크레인의 화상감시장치
CN211726908U (zh) 码料装置
CN210558949U (zh) 一种基于无线数字传输的吊钩可视化系统
CN110253592B (zh) 一种高压输电线路的智能巡线机器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