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9438Y1 - 송전선로용 스페이서댐퍼의 클램핑 및 완충장치 - Google Patents

송전선로용 스페이서댐퍼의 클램핑 및 완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9438Y1
KR200229438Y1 KR2020000034848U KR20000034848U KR200229438Y1 KR 200229438 Y1 KR200229438 Y1 KR 200229438Y1 KR 2020000034848 U KR2020000034848 U KR 2020000034848U KR 20000034848 U KR20000034848 U KR 20000034848U KR 200229438 Y1 KR200229438 Y1 KR 20022943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ove
pin
arm
spacer damper
transmission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3484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광우
김태진
Original Assignee
진광 이 앤 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진광 이 앤 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진광 이 앤 씨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0003484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943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943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9438Y1/ko

Links

Abstract

본 고안은 송전선로에서 소도체와 소도체의 간격을 유지함과 더불어 진동을 흡수하여주는 스페이서댐퍼에 관한 것으로, 직사각형 형상으로 외관을 이룸은 물론 각모서리에 고정홈(101)이 형성된 본체(100)와; 본체(100)의 고정홈(101)에 방진고무(111)를 통해 방사상형태로 핀고정됨과 더불어 그 선단일측면에 라운딩홈(112)이 오목하게 형성됨은 물론 라운딩홈(112)의 측부에 고정핀(113)이 장착된 아암(110); 아암(110)의 선단부에 힌지핀(121)을 통해 회동가능하게 결합됨은 물론 그 내벽에 라운딩홈(112)과 대응하는 누름홈(122)이 오목하게 형성된 덮개(120) 및; 덮개(120)의 선단부에 힌지핀(131)을 통해 회동가능하게 연결됨은 물론 그 내측벽에 고정핀(113)으로 걸려지는 후크(132)가 힌지결합된 빗장(130)으로 이루어져, 스페이서댐퍼로 가해지는 외부충격력의 흡수가 용이하여 소도체의 수명이 연장될 뿐 아니라 스페이서댐퍼의 구성부품이 단순화되어 조립작업에 따른 작업공수가 절감됨은 물론 제작비용이 절감되게 한 것이다.

Description

송전선로용 스페이서댐퍼의 클램핑 및 완충장치 {Spacer damper with automatic clamping device and absorbing the impact for transmission line}
본 고안은 송전선로에서 소도체와 소도체의 간격을 유지함은 물론 진동을 흡수하여주는 스페이서댐퍼에 관한 것으로, 특히 스페이서댐퍼의 각단부에 클램핑기구를 장착하여 소도체의 체결작업에 따른 작업공수를 절감시킴은 물론, 스페이서본체의 형상을 변경하여 소도체로 가해지는 진동흡수에 따른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된 송전선로용 스페이서댐퍼의 클램핑 및 완충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페이서댐퍼(spacer damper)는, 송전선로를 이루는 소도체와 소도체간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여 소도체의 접촉마찰에 따른 손상을 방지함은 물론, 송전선로에 외부적으로 가해지는 전기적/기계적인 충격을 흡수하여 소도체를 보호하여주는 장치로서, 이러한 스페이서댐퍼의 각단부에는 소도체를 물어잡아주는 클램핑장치가 장착되어 있다.
예컨대, 도 1에서와 같은 미국특허 제3925595에 의하면, 스페이서댐퍼(10)의 각단부에 수용홈을 이루는 상부클램프(11)가 일체로 형성되면서, 상부클램프(11)의 하측부에 힌지핀(12)을 매개로하여 소도체(13)를 물어잡아주는 하부클램프(14)가 힌지식으로 결합되며, 상/하부클램프(11,14)의 몸체에 소도체(13)를 조여주는 보울트부재(20)가 체결되어 있다.
따라서, 상부클램프(11)의 수용홈에 체결하고자하는 소도체(13)를 수직방향으로 삽입시킨 다음, 힌지핀(12)을 중심점으로 하부클램프(14)를 회동하여 상부클램프(11)로 맞댄 상태에서, 조임공구(미도시)를 이용하여 보울트부재(20)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상/하부클램프(11,14)의 사이공간을 이루는 수용홈으로 소도체(13)가 삽입된 상태로 고정되는 것이다.
그런데, 미국특허의 스페이서댐퍼(10)는, 상하부클램프(11,14)의 체결작업이 보울트부재(20)의 조임과정으로 이루어짐은 물론 보울트부재(20)의 조임과정이 별도의 조임공구에 의해 이루어지므로써, 클램핑작업에 따른 작업공수가 증대됨은 물론 보울트부재(20)의 조임력이 세월이 지남에 따라 점차적으로 느슨해지면서 이완되어 클램핑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보울트부재(20)의 조임력이 부족하여, 예컨대 상/하부클램프(11,14)에 체결되어있던 소도체(13)가 유동하는 경우, 외부충격에 의해 의한 진동에 의해 소도체(13)가 마모되어 수명이 감소됨은 물론, 소도체(13)의 장력감소로 인해 단선과 단락과 같은 선로사고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본원인에 선출원된 실용신안(출원번호:20-1998-9452호)에 의하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페이서본체(1)의 각단부를 이루는 조립공(2)에 고무부싱(6)과 스프링(7)을 통해 억지끼움식으로 조립핀(3)이 고정되며, 조립핀(3)에 클램핑부(5)를 구비한 클램핑암(4)이 조립되어 있다.
또한, 스페이서본체(1)의 클램핑부(5)에, 힌지핀(9)을 통해 클램핑캡(8)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클램핑캡(8)에 반원형상의 잠금고리(17)를 구비한 클램핑레버(11)가 힌지식으로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클램핑암(5)의 수용홈에 체결하고자하는 소도체를 수직하는 방향으로 삽입하여 접촉 다음, 클램핑레버(11)의 잠금고리(17)를 걸림핀(15)으로 걸어 압축시키게 되면, 클램핑암(5)의 수용홈에 소도체가 삽입된 상태에서 클램핑캡(8)이 탄력적으로 밀착되는 것이다.
그런데, 본원인에 의해 출원되어진 출원서에 의하면, 스페이서본체(1)의 각단부에 장착되어진 클램핑암(5)과 클램핑레버(11)의 상호 작용에 의해 소도체의 체결작업이 단순화된다는 장점이 있기는 하지만, 클램핑암(5)에 가해진 진동이 조립공(2)에 억지끼움식으로 체결된 고무부싱(6)에 의해서만 흡수되므로 충격흡수기능을 수행하기에는 미흡한 면이 있었다.
또한, 스페이서본체(1)에 고무부싱(6)과 스프링(7)을 개재한 상태에서 조립핀(3)을 고정하는 작업과정이 억지끼움식으로 이루어지므로, 스페이서댐퍼의 조립작업에 따른 조립공수가 증대되어 작업하중이 증대됨은 물론 스페이서댐퍼의 제작비용이 상대적으로 상승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제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스페이서댐퍼의 각단부에 클램핑기구를 장착하여 소도체의 체결작업에 따른 작업공수를 절감시킴은 물론, 스페이서본체의 형상을 변경하여 소도체로 가해지는 진동흡수에 따른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된 송전선로용 스페이서댐퍼의 클램핑및 완충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직사각형 형상으로 외관을 이룸과 더불어 하우징의 각모서리에 고정홈이 형성된 본체와; 본체의 고정홈에 방진고무을 통해 방사상형태로 핀고정됨과 더불어 그 선단일측면에 라운딩홈이 오목하게 형성됨은 물론 라운딩홈의 측부에 고정핀이 장착된 아암; 아암의 선단부에 힌지핀을 통해 회동가능하게 결합됨은 물론 그 내벽에 라운딩홈과 대응하는 누름홈이오목하게 형성된 덮개 및; 덮개의 선단부에 힌지핀을 통해 회동가능하게 연결됨은 물론 그 내측벽에 고정핀으로 걸려지는 후크가 힌지결합된 빗장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송전선로용 스페이서댐퍼의 일실시예,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송전선로용 스페이서댐퍼의 또다른 실시예,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스페이서댐퍼를 도시한 일실시예,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스페이서댐퍼를 도시한 다른 실시예,
도 5(a),(b)는 본 고안에 따른 송전선로용 스페이서댐퍼의 클램핑장치가 작동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 도면 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본체 101 : 고정홈
110 : 아암 111 : 방진고무
112 : 라운딩홈 113 : 고정핀
120 : 덮개 122 : 누름홈
130 : 빗장 132 : 후크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고로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스페이서댐퍼를 도시한 일실시예이며,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스페이서댐퍼를 도시한 다른 실시예이고, 도 5(a),(b)는 본 고안에 따른 송전선로용 스페이서댐퍼의 클램핑장치가 작동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송전선로상에서 소도체간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여 접촉마찰에 따른 손상을 방지함은 물론, 송전선로에 가해지는 충격력을 흡수하여 선로사고를 방지하여주는 스페이서댐퍼를 구성함에 있어서, 직사각형 형상으로 외관을 이룸과 더불어 하우징의 각모서리에 고정홈(101)이 형성된 본체(100)와; 본체(100)의 고정홈(101)에 방진고무(111)를 통해 방사상형태로 핀고정됨과 더불어 그 선단일측면에 라운딩홈(112)이 오목하게 형성됨은 물론 라운딩홈(112)의 측부에 고정핀(113)이 장착된 아암(110); 아암(110)의 선단부에 힌지핀(121)을 통해 회동가능하게 결합됨은 물론 그 내벽에 라운딩홈(112)과 대응하는 누름홈(122)이 오목하게 형성된 덮개(120) 및; 덮개(120)의 선단부에 힌지핀(131)을 통해 회동가능하게 연결됨은 물론 그 내측벽에 고정핀(113)으로 걸려지는 후크(132)가 힌지결합된 빗장(130)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본체(100)는, 스페이서댐퍼의 외관을 이룸과 더불어 스페이서댐퍼의 전체하중을 지지하여주는 대략 직사각형의 형상을 이루는 알루미늄합금으로 성형되어진 부재로서, 그 내부공간 각 모서리부에 일정두께로 플랜지부가 형성되며, 플랜지부에 고정홈(101)이 관통형성된 구조로 되어 있다.
그리고, 아암(110)은, 고정홈(101)에 방진고무(111)를 매개로하여 장착되어 고정되어진 유동부재로서, 일단부에는 고정홈(101)으로 맞댄 상태에서 육각핀(114)로 결합되는 최소한 한 개이상의 핀공이 형성되면서, 타단부에는 이후에 설명하게되는 힌지핀(121)이 삽입되는 핀공이 형성되어 있다.
물론, 아암(110)의 몸체 즉, 아암(110)의 내벽선단부에 소도체(13)의 외경과 대응하는 크기 및 형상의 라운딩홈(112)이 오목하게 형성되면서, 라운딩홈(112)의 측부에 일정거리를 두고 이후에 설명하게 되는 후크(132)가 걸려져 고정되는 고정핀(113)이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덮개(120)는, 아암(110)의 선단부에 힌지핀(121)을 통해 결합되어진 회동부재로서, 일단부에 힌지핀(121)이 삽입되는 핀공이 형성되면서 타단부에 빗장(130)이 결합되는 핀공이 형성되며, 내주면에 라운딩홈(112)과 대응하는 크기 및 형상의 누름홈(122)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빗장(130)은, 덮개(120)의 선단부에 힌지핀(131)을 통해 결합되어진 회동부재로서, 일단부에 힌지핀(131)이 삽입되는 핀공이 형성되면서 타단부에 일정 각도로 경사진 손잡이(133)가 장착되며, 내주면에 고정핀(113)으로 걸려져 고정되는 후크(132)가 힌지식으로 결합되어 있다.
한편, 도 4의 실시예는 도 3의 변형예로서, 예컨대 도 4의 아암(110)과 덮개(120)와 빗장(130)은 도 3의 구성요소와 기능상 동일하며, 다만 본체(100)의 외관을 직사각형에서 일자형으로 형성시킨 것에만 차이점이 있으므로, 여기서는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고안에 따른 스페이서댐퍼를 조립하기 위해서, 일단 본체(100)의 고정홈(101)에 방진고무(111)를 개재한 상태에서 육각핀(114)을 매개로 아암(110)을 결합시키면, 본체(100)의 각모서리부에 아암(110)이 장착된 상태에서 어느 정도로 유동가능한 상태가 되는 것이다.
그런 다음, 아암(110)의 선단부에 힌지핀(121)을 매개로하여 덮개(120)를 결합시키면, 아암(110)의 힌지핀(121)을 중심점으로하여 덮개(120)가 회동되며, 이때 아암(110)의 라운딩홈(112)과 덮개(120)의 누름홈(122)이 상호접촉되는 경우, 소도체(13)가 삽입되는 원형공간이 형성되는 것이다.
이어서, 덮개(120)의 선단부에 힌지핀(131)을 매개로하여 빗장(130)을 결합시키면, 덮개(120)의 힌지핀(131)을 중심점으로하여 빗장(130)이 회동되며, 이때 빗장(130)의 내벽에 힌지식으로 결합되어 있던 후크(132)가 힌지점을 중심점으로 회동가능한 상태가 되는 것이다.
여기서, 스페이서댐퍼의 원형공간(112,122)에 소도체(13)를 장착하기 위해서는, 아암(110)의 라운딩홈(112)에 소도체(13)를 삽입한 상태에서, 고정핀(132)으로 빗장(130)을 이루는 후크(132)를 걸어주는 과정이 선결되어야 한다.
그런 다음, 빗장(130)의 손잡이(133)를 아암(110)이 위치하는 방향으로 가볍게 누르면, 손잡이(133)의 누름과정에서 덮개(120)와 빗장(130)의 관절운동에 의해 아암(110)의 라운딩홈(112)과 덮개(120)의 누름홈(122)의 사이를 이루는 원형공간에 소도체(13)가 고정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체(100)의 각모서리부를 이루는 고정홈(101)에 방지고무(111)를 개재한 상태에서 아암(110)을 결합시킨 다음, 아암(110)의 선단부에 덮개(120)와 빗장(130)을 힌지결합시키면, 스페이서댐퍼의 외관이 완성되므로써 스페이서댐퍼의 조립작업에 따른 작업과정이 단순화되는 것이다.
한편, 아암(110)의 라운딩홈(112)과 덮개(120)의 누름홈(122)의 사이에 고정되어있던 소도체(13)를 인출하기 위해, 손잡이(133)를 아암(110)이 위치하는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당기면, 덮개(120)와 빗장(130)의 관절운동에 의해 고정핀(132)으로부터 빗장(130)의 후크(132)가 이탈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송전선로용 스페이서댐퍼의 클램핑 및 완충장치에 의하면, 스페이서댐퍼의 본체가 직사각형으로 형성됨은 물론 본체의 각모서리부에 방진고무를 통해 아암이 장착되므로 스페이서댐퍼로 가해지는 외부충격력의 흡수가 용이하여 소도체의 수명이 연장될 뿐 아니라, 스페이서댐퍼의 구성부품이 단순화되므로 조립작업에 따른 작업공수가 절감됨은 물론 제작비용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송전선로상에서 설치되어 소도체간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여 접촉마찰에 따른 손상을 방지함은 물론, 송전선로에 가해지는 충격력을 흡수하여 선로사고를 방지하여주는 스페이서댐퍼를 구성함에 있어서,
    직사각형 형상으로 외관을 이룸과 더불어 하우징의 각모서리에 고정홈(101)이 관통형성된 본체(100)와; 본체(100)의 고정홈(101)에 방진고무(111)가 개재된 상태에서 핀결합됨과 더불어 그 선단일측면에 라운딩홈(112)이 오목하게 형성됨은 물론 라운딩홈(112)의 측부에 고정핀(113)이 장착된 아암(110); 아암(110)의 선단부에 힌지핀(121)을 통해 결합됨은 물론 내주면에 라운딩홈(112)과 대응하는 형상의 누름홈(122)이 오목하게 형성된 덮개(120) 및; 덮개(120)의 선단부에 힌지핀(131)을 통해 회동가능하게 결합됨은 물론 그 내측벽에 고정핀(113)으로 걸려 고정되는 후크(132)가 힌지결합된 빗장(130)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전선로용 스페이서댐퍼의 클램핑 및 완충장치.
KR2020000034848U 2000-12-12 2000-12-12 송전선로용 스페이서댐퍼의 클램핑 및 완충장치 KR20022943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4848U KR200229438Y1 (ko) 2000-12-12 2000-12-12 송전선로용 스페이서댐퍼의 클램핑 및 완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4848U KR200229438Y1 (ko) 2000-12-12 2000-12-12 송전선로용 스페이서댐퍼의 클램핑 및 완충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29438Y1 true KR200229438Y1 (ko) 2001-07-19

Family

ID=730930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34848U KR200229438Y1 (ko) 2000-12-12 2000-12-12 송전선로용 스페이서댐퍼의 클램핑 및 완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9438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1132B1 (ko) 2007-03-27 2008-09-30 (주)세광 송,배전선의 스페이서
KR100879791B1 (ko) 2008-10-24 2009-01-29 유한회사 광진이엔지 송전선로용 완충식 진동방지장치
KR200457428Y1 (ko) 2010-03-11 2011-12-20 제룡전기 주식회사 송전선로용 스페이서 댐퍼의 클램핑 장치
KR102126327B1 (ko) * 2020-04-27 2020-07-08 주화식 배전케이블 스페이스 유지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1132B1 (ko) 2007-03-27 2008-09-30 (주)세광 송,배전선의 스페이서
KR100879791B1 (ko) 2008-10-24 2009-01-29 유한회사 광진이엔지 송전선로용 완충식 진동방지장치
KR200457428Y1 (ko) 2010-03-11 2011-12-20 제룡전기 주식회사 송전선로용 스페이서 댐퍼의 클램핑 장치
KR102126327B1 (ko) * 2020-04-27 2020-07-08 주화식 배전케이블 스페이스 유지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96906Y1 (ko) 힌지장치
JP3460813B2 (ja) ディレイラケーブルルーター及び自転車用ディレイラ
KR200229438Y1 (ko) 송전선로용 스페이서댐퍼의 클램핑 및 완충장치
CN114906273A (zh) 一种自行车用电子拨链器及变速自行车
KR100348079B1 (ko) 자동차용 현가 장치의 아암 장착 구조
CN214397076U (zh) 一种减震前叉
CN210083455U (zh) 连动刹车系统
KR20020001330A (ko) 버스용 에어서스펜션의 에어 브라켓트 고정 구조
KR200312567Y1 (ko) 행거용 아암 고정장치
CN113022770B (zh) 方向把组件及摩托车
KR102394728B1 (ko) 송전선로용 스페이서 댐퍼
CN216268955U (zh) 调光连接组件
KR100201456B1 (ko) 행거형 엔진마운팅
JPS6154978B2 (ko)
JPH11270625A (ja) 支持用ダンパを備えた支持装置
KR200319335Y1 (ko) 자동차의 도어래치 구조
KR100371239B1 (ko) 차량의 후드 힌지 구조
KR19980054475U (ko) 파워스티어링의 고압호스 클램프 구조
JPH0118894Y2 (ko)
KR100457018B1 (ko) 엔진 지지구조
KR0139725Y1 (ko) 클러치 릴리이스 포크의 힌지구조
KR0130621Y1 (ko) 버스의 판 스프링 장착용 부시
JP2021116025A (ja) 車両操作装置
KR200239943Y1 (ko) 점화케이불의 접속단자
JP3131914U (ja) 自転車の軽量化フレー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118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