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9262Y1 - 재봉틀의 실절단장치 - Google Patents

재봉틀의 실절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9262Y1
KR200229262Y1 KR2020000010740U KR20000010740U KR200229262Y1 KR 200229262 Y1 KR200229262 Y1 KR 200229262Y1 KR 2020000010740 U KR2020000010740 U KR 2020000010740U KR 20000010740 U KR20000010740 U KR 20000010740U KR 200229262 Y1 KR200229262 Y1 KR 20022926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hread
needle
sewing machine
heating element
needle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1074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소무라테루오
와타나베미츠오
Original Assignee
쥬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쥬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쥬키 가부시키가이샤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926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9262Y1/ko

Links

Abstract

실절단후 봉제물의 뒤쪽에 남는 실을 짧게 할 수 있는 열식(熱式)재봉틀의 실절단장치 제공을 그 과제로 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발열체(4)에 재봉실(T)을 접촉시켜 용단하는 재봉틀의 실절단장치에 있어서, 바늘구멍가이드 보스부(12a)는 포착부재(7)에 의한 실안내 경로를 따라 절개부(12b)를 갖추고 있다.

Description

재봉틀의 실절단장치{THREAD CUTTING APPARATUS OF A SEWING MACHINE}
본 발명은 전류를 흐르게 하여 발열시킨 발열체를 재봉실에 접촉시켜 용단하는 재봉틀의 실절단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공업용 재봉틀에서 사용하는 바늘실 등의 재봉실은 여러개의 단실로 이루어지는 꼬임실을 사용하고 있지만 상기 공업용 재봉틀에 있어서는 가동 실절단 메스와 고정메스의 협동에 의해 재봉실을 절단하는 실절단장치가 알려져 있다. 절단후 실의 절단부에서 각각의 단실이 흐트러지게 되어 절단부분의 외관이 좋지 않게 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 특수코팅된 실을 절단하면 메스의 절단이 무디게 되어 실절단불량을 일으킨다는 문제가 있었다.
이와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전류를 흐르게 하여 발열시킨 발열체를 재봉실에 접촉시켜 용단하는 열식(熱式) 실절단장치가 제공된다. 그리고 통상 이런 종류의 열식 절단장치를 사용하는 사이클재봉틀 등에 있어서는 바늘실 루프를 확실하게 형성하기 위해 바늘판의 바늘구멍 아래쪽으로 연장하는 바늘구멍 가이드 보스부를 형성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 열식 실절단장치는 바늘구멍 가이드 보스부에 의해 실절단경로가 길어지게 되어 실절단 후 봉제물 뒤쪽에 남는 실이 길어지게 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 실절단시에 절단개소로 인도된 봉제물측의 윗실과 밑실이 그 절단경로에있어 꼬여버리게 되어, 절단시에 용착된 윗실과 밑실의 미관을 해치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 실절단후에 바늘측의 윗실을 와이퍼로 정리할 때 이 윗실에 저항이 생겨 실정리가 양호하게 행해지지 않는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행해진 것으로서, 열에 의해 실을 용단하는 열식 실절단장치에 이어서, 실절단후 봉제물의 뒤쪽에 남는 실을 짧게 할 수 있는 재봉틀의 실절단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제 1목적으로 한다.
또 절단후 용착된 윗실과 밑실의 외관이 좋아 봉제품질을 향상할 수 있는 재봉틀의 실절단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제 2목적으로 한다.
또 실절단 후 바늘측의 윗실을 와이퍼로 정리할 때 윗실에 필요이상의 저항이 발생하지 않아 정리동작이 확실하게 행해지는 재봉틀의 실절단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제 3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청구항 1기재의 발명은 재봉틀 주축에 연동하여 상하이동하는 바늘과, 바늘이 관통하는 바늘구멍 및 바늘구멍 주위에 아래쪽을 향해 배치한 보스부를 갖는 바늘판과, 상기 바늘판 밑면에 절연판을 통해 고정됨과 동시에 전류를 흐르게 하여 발열되는 발열체와, 바늘판 아래쪽에 배치되어 일방향으로 왕복이동함으로써 절단할 봉제물에 이어지는 측의 윗실,밑실을 포착하여 상기 발열체에 안내하는 포착수단을 갖추고, 상기 포착수단에 의해 포착된 윗실,밑실을 상기 발열체에 접촉시켜 절단하는 재봉틀의 실절단 장치에 있어서,
상기 바늘구멍 가이드의 보스부에 상기 포착수단에 의해 안내되는 윗실,밑실의 경로상에 절개부를 배치한 구성으로 했다.
이 청구항 1기재의 발명에 의하면 바늘구멍 가이드의 보스부는 포착수단에 의한 실안내경로를 따라 절개부를 갖추고 있다. 그리고 포착수단에 의해 포착된 윗실,밑실은 바늘구멍 가이드의 보스부에 굴곡되지 않고 최단 경로로 발열체로 인도된다. 이 때문에 실절단후 봉제물의 뒤쪽에 남는 실을 짧게할 수 있다.
청구항 2기재의 발명은, 청구항 1기재 재봉틀의 실절단장치에 있어서, 상기 발열체는 바늘구멍 가이드 근방에 배치되는 구성으로 했다.
이 청구항 2기재의 발명에 의하면 실절단후 봉제물의 뒤쪽에 남는 실을 더욱 짧게할 수 있다.
청구항 3기재의 발명은 청구항 1기재 재봉틀의 실절단장치에 있어서, 상기 바늘구멍 가이드의 보스부의 절개부 단면과 상기 절연판 단면은 상하방향에 있어 대략 일치하도록 구성했다.
이 청구항 3기재의 발명에 의하면 실절단후 봉제물의 뒤쪽에 남는 실을 더욱 짧게할 수 있다.
청구항 4기재의 발명은 청구항 1기재의 재봉틀의 실절단장치에 있어서,
상기 바늘구멍 가이드의 보스부의 절개부 폭은 절단해야할 봉제부측의 윗실과 밑실을 병렬로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했다.
이 청구항 4기재의 발명에 의하면 절단후 용착되는 윗실,밑실은 병렬한 상태로 용착되므로 외관이 좋아 봉제품질이 향상된다.
청구항 5기재의 발명은 청구항 1기재의 재봉틀의 실절단장치에 있어서,
상기 바늘구멍 가이드의 보스부는 루프형성방향에 대해 소정 각도범위내에 절개부를 갖춘 구성으로 했다.
이 청구항 5기재의 발명에 의하면 바늘실 루프형성을 방해하지 않기 때문에 봉제불량이 발생하지 않는다.
청구항 6기재의 발명은 청구항 1기재의 재봉틀 실절단장치에 있어서,
상기 발열체는 2개의 절연판에 협지되어 상기 바늘판에 고정됨과 동시에 아래쪽의 절연판은 상기 포착수단 이동경로를 따라 절개부를 갖추는 구성으로 했다.
이 청구항 6기재의 발명에 의하면 실절단 후 바늘측의 윗실을 와이퍼로 정리할 때 윗실에 필요이상의 저항이 발생하지 않아 실정리 동작이 확실하게 행해진다.
도 1은 본 실시예의 실절단장치(1)를 바늘판(10)의 아래쪽에서 본 밑면도.
도 2는 도 1의 바늘구멍 가이드부근을 확대한 확대도.
도 3은 바늘구멍 가이드 절개부의 형성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도 4는 도 1의 Z-Z방향면도.
도 5는 바늘구멍 가이드에 절개부가 없는 경우의 실경로의 차이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6은 바늘구멍 가이드 절개부의 폭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 발열체 5: 하측 절연체
5a: 절연체 절개부 6: 상측 절연체
7: 포착부재(포착수단) 10: 바늘판
12: 바늘구멍 가이드 12a: 바늘구멍 가이드 절개부
13: 바늘 14: 와이퍼
S: 실안내 궤적
다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도 1 내지 도 5의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이 제 1실시예의 실절단장치(1)는 전기코드(2)(2), 코드부착구(3), 발열체(4), 절연체(5)(6), 포착부재(7), 포착링크(8) 및 포착암(9) 등을 바늘판(10)에 부착하여 구성되는 유닛이다. 이 실절단장치(1)의 유닛은 바늘판(10)과 함께 재봉틀에 착탈가능한 유닛으로 되어있다. 즉 이 실절단장치(1)를 사용하지 않은 경우에는 연결로드(11)를 포착암(9)에서 분리함과 동시에 바늘판(10)마다 재봉틀에서 분리하고, 다른 바늘판을 재봉틀에 부착하는 것으로 대응할 수 있게 된다.
바늘(13)은 도시를 생략한 주축에 연동하여 상하이동한다.
도 1의 바늘판(10)에는 아래쪽을 향해 보스부를 갖는 바늘구멍 가이드(12)가 고정된다. 이 바늘구멍 가이드(12)는 바늘(13)의 상하운동을 규제하여 일정한 바늘이 떨어지는 지점을 보증하거나 도 1 Y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바늘실 루프의 형성을 보증하는 것이다.
도 3과 같이 바늘구멍 가이드(12)의 보스부(12a)에는 포착부재(포착수단)(7)에 의한 실안내 경로를 따라 또한 바늘이 떨어진 중심점(O)을 지나 바늘실의 루프 형성방향으로 직교하는 축선(X)에 대해 좌우균등 배분으로 90도 - 120도 소정각도 범위(W)에 걸쳐 개구하는 절개부(12b)가 형성된다.
또 보스부(12a)의 절개부(12B)의 폭(Q)은 도 6과 같이 윗실,밑실(T)을 나열하여 삽통할 수 있는 크기로 한다. 이 폭(Q)은 사용하는 윗실,밑실의 굵기에 의해 결정되므로 윗실,밑실에 의해 폭(Q)이 다른 바늘구멍 가이드(12)를 갖는 바늘판으로 대체한다.
또 절개부(12b)의 상측단면(12c)은 도 4의 상하방향에 있어서, 상하 절연판(6)의 두께(도 4상하방향)범위(P)내에 위치한다. 이 때문에 포착부재(7)에 의해 포착된 윗실,밑실(T)은 보스부(12a)에 굴곡되지 않아 보다 최단 경로로 발열체로 안내된다. 또 바늘판(10)의 위쪽에는 실절단후 바늘측의 윗실(U)을 정리하는 와이퍼(14)가 갖춰진다.
도 1의 포착부재(7)는 지지핀(15)에 의해 바늘판(10) 밑면에 대해 소정량의간극을 갖고 회동가능하게 바늘판(10)에 부착된다. 그리고 포착부재(7)에는 시계방향 뒤쪽에 절단하지 않는 실을 골라내는 처리부(7a)가 배치되고, 앞쪽에 절단해야 할 실을 포착하는 포착부(7b)가 배치된다. 그리고 포착링크(8)와 포착레버(9)는 연결로드(11)의 운동을 포착부재(7)에 전달하는 링크기구를 구성하고 있다.
포착레버(9)는 중앙에서 지지핀(9b)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바늘판(10) 밑면에 지지되고, 일단이 연결핀(9a)에 의해 연결로드(11)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며, 타단은 연결핀(9c)에 의해 포착링크(8)의 기단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된다. 포착링크(8)는 선단을 연결핀(8a)에 의해 포착부재(7)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된다. 연결로드(11)는 실절단시에 구동되는 실절단 구동기구(도시하지 않음)에 연결된 것이다.
발열체(4)는 예를들면 스테인레스재나 니크롬재로 이루어지는 판형상 부재로서, 후단의 양 단자(4b)(4c)에 전기코드(2)(2)를 접속함과 동시에 한쪽 단자(4b)에서 선단부(4a)를 통해 다른쪽의 단자(4c)까지 전류가 흐르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그 선단부(4a)는 폭을 작게함으로써 단면적이 작아지고, 선단부(4a)의 발열량이 커지도록 되어있다. 이 때문에 실 절단에 필요한 발열량을 소전력으로 얻을 수 있다. 또 전기코드(2)(2)는 발열체(4)에 접속된 상태로 코드부착구(3)에 의해 바늘판(10)에 고정되고, 도시하지 않은 트랜스에 접속된다
도 4에도 도시한 것과 같이 이 발열체(4)는 바늘판(10)측의 절연판(6)과 아래쪽의 절연판(5)에 끼워진 상태로 도시하지 않은 나사에 의해 바늘판에 고정된다. 이 때 발열체의 선단부(4a)는 도 3과 같이 바늘구멍 가이드 보스부(12a)를 따르도록 원호형상이며, 바늘구멍 가이드(12)에 접근하여 부착할 수 있다. 발열체(4)에는 전류가 흐르지만 상기와 같이 절연체(5)(6)에 끼워져 고정되므로 바늘구멍 근방까지 다가가도 안전성이 손상되지 않는다.
또 하측의 절연체(5)에는 포착부재(7)에 의해 포착되어 이동되는 윗실,밑실(T)의 실안내경로를 따라 절개부(5a)가 형성된다. 이 절개부(5a)에 의해 발열체(4)와 포착부재(7) 사이에 간극이 마련되고, 이에 따라 포착부재(7)가 절단해야 할 윗실,밑실(T)을 발열체(4)에 가까이 댈 때 실의 저항이 적어진다. 또 실절단후에 바늘측의 윗실을 와이퍼(14)로 정리할 때에도 이 윗실에 필요없는 저항이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발열체 선단부(4a)는 원호형상으로 하지 않고 직선형상으로 하여 바늘구멍 가이드(12)에 접근하여 배치해도 좋다.
다음 본 실시예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도시하지 않은 바늘판(10)상에는 천이 배치된다.
봉제중, 봉제패턴 데이터에서의 실절단신호가 보내지면 재봉틀측의 솔레노이드 등의 실절단 구동기구가 구동한다.
이 실절단 구동기구의 구동에 의해 연결로드(11)가 도 1위쪽을 향해 이동되면 포착레버(9)가 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이에따라 포착링크(8)를 통해 포착부재(7)가 도면중 반시계방향 R1으로 회전한다. 포착부재(7)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 포착부재(7)의 실 처리부(7a)가 절단하지 않은 실(윗실의 바늘에 이어지는 측의 실)과 절단해야 할 윗실,밑실(T)(윗실의 천에 이어지는 측의 실과 밑실)을 골라 나눈다. 또한 절단해야할 윗실,밑실(T)(윗실 천 측의 실과 밑실)이 포착부(7b)에 대향하는 위치로 이동된다.
이어서 연결로드(11)가 당겨져 도 1 아래쪽을 향해 이동되면 포착부재(7)가 시계방향 R2로 회전한다. 도 4와 같이 이 포착부재(7)의 시계방향의 회전에 의해 절단해야 할 윗실,밑실(T)은 포착부(7a)에 의해 바늘구멍 가이드의 절개부(12b)로 안내된 후 또한 발열체(5)의 선단부(5a)에 접촉시키면서 아래쪽 절연체(5)의 절개부(5a)내로 안내된다.
포착부재(7)가 도 1에 도시하는 시계방향 회동단으로 이동하면 트랜스에 가열신호가 발하게 되고, 전기코드(2)(2)를 통해 발열체(4)에 전류가 흘러, 발열체의 선단부(4a)가 가열된다. 그리고 소정시간 경과하면 발열체의 선단부(4a)에 접촉하고 있던 윗실,밑실(T)은 소정의 절단개소에서 용단된다. 그리고 실절단후 와이퍼(14)가 작동하면 바늘에 이어지는 윗실은 바늘판(10)상에서 정리되어 절단 단이 천위로 인출된다.
이상의 구성에 의한 본 실시예는 바늘구멍 가이드(12)의 보스부(12a)는 포착부재(7)에 의한 실안내 경로를 따라 절개부(12b)를 갖추고 있다. 그리고 포착부재(7)에 의해 포착된 윗실,밑실(T)은 이 절개부(12b)로 안내되므로 바늘구멍 가이드의 보스부(12a)에 의해 굴곡되지 않고 최단 경로로 발열체(4)로 인도된다. 도 5와 같이 종래의 바늘구멍 보스부(12a)에 절개부가 없는 경우 실경로는 V가 되지만 본 실시예의 절개부(12b)를 갖는 경우 실경로는 T가 된다. 이 때문에 실절단후 봉제물의 뒤쪽에 남는 실을 짧게할 수 있다.
또 발열체(4)는 바늘구멍 가이드(12)의 근방에 배치되므로 실 절단후 봉제물의 뒤쪽에 남는 실을 더욱 짧게할 수 있다.
또 바늘구멍 가이드(12)의 보스부(12a)의 절개부 단면(12c)과 상측 절연판 단면(6a)은 상하방향에 있어 거의 일치한다. 이 때문에 윗실,밑실(T)은 실절단후 봉제물의 뒤쪽에 남는 실을 더욱 짧게할 수 있다. 또 실구멍 가이드 보스부의 절개부(12b)는 절단해야 할 봉제부측의 윗실,밑실(T)을 병렬로 지지할 수 있는 폭으로 되어있다. 이 때문에 포착부재(7)에 의해 포착된 윗실,밑실(T)은 이 절개부(12b)에 병렬한 상태로 안내된다. 이 때문에 절단시에 용착되는 윗실,밑실(T)은 병렬상태로 용착되므로 외관상 봉제품질이 향상된다.
또 바늘구멍 가이드의 보스부(12a)는 바늘실의 루프형성방향에 대해 소정의 각도 범위내(W)에 절개부(12b)를 갖춘다. 이 때문에 바늘실 루프형성을 방해하지 않기 때문에 봉제불량이 발생하지 않는다.
또 발열체(4)는 2개의 절연판(5)(6)에 협지되어 바늘판(10)에 고정됨과 동시에 아래쪽의 절연판(5)은 포착부재(7)에 의한 실안내 궤적을 따라 절개부(5a)를 갖추고 있다. 그리고 포착부재(7)에 의해 포착된 윗실,밑실(T)은 절연판(5)의 절개부(5a)로 안내된다. 이 때문에 실절단 후 바늘에 이어지는 측의 윗실(U)을 와이퍼(14)로 정리할 때 윗실에 필요이상의 저항이 발생하지 않아 실정리동작이 확실하게 행해진다.
청구항 1기재의 발명에 의하면 포착수단에 의해 포착된 윗실,밑실은 바늘구멍 가이드 보스부에 굴곡되지 않고 최단 경로로 발열체로 인도되므로 실절단 후 봉제물의 뒤쪽에 남는 실을 짧게할 수 있다.
청구항 2, 3기재의 발명에 의하면 실 절단 후 봉제물의 뒤쪽에 남는 실을 더욱 짧게할 수 있다.
청구항 4기재의 발명에 의하면 절단시에 용착되는 윗실, 밑실은 병렬상태로 용착되므로 외관상 봉제품질이 향상된다.
청구항 5기재의 발명에 의하면 바늘 실 루프형성을 방해하지 않기 때문에 봉제불량이 발생하지 않는다.
청구항 6기재의 발명에 의하면 실 절단 후 바늘측의 윗실을 와이퍼로 정리할 때 윗실에 필요이상의 저항이 발생하지 않아 실정리 동작이 확실하게 행해진다.

Claims (6)

  1. 재봉틀주축에 연동하여 상하이동하는 바늘과,
    바늘이 관통하는 바늘구멍 및 바늘구멍 주위에 아래쪽을 향해 배치한 보스부를 갖는 바늘판과,
    상기 바늘판 밑면에 절연판을 통해 고정됨과 동시에 전류를 흐르게 하여 발열되는 발열체와, 바늘판 아래쪽에 배치되어 일방향으로 왕복이동함으로써 절단할 봉제물에 이어지는 측의 윗실,밑실을 포착하여 상기 발열체에 안내하는 포착수단을 갖추고,
    상기 포착수단에 의해 포착된 윗실,밑실을 상기 발열체에 접촉시켜 절단하는 재봉틀의 실절단 장치에 있어서,
    상기 바늘구멍 가이드의 보스부에 상기 포착수단에 의해 안내되는 윗실,밑실의 경로상에 절개부를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틀의 실절단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체는 바늘구멍 가이드 근방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틀의 실절단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바늘구멍 가이드 보스부의 절개부 단면과 상기 절연판 단면은 상하방향에 있어 거의 일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틀의 실절단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바늘구멍 가이드 보스부의 절개부의 폭은 절단해야할 봉제부측의 윗실과 밑실을 병렬로 지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틀의 실절단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바늘구멍 가이드 보스부는 바늘실 루프형성방향에 대해 소정 각도 범위내에 절개부를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틀의 실절단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체는 2개의 절연판에 협지되어 상기 바늘판 밑면에 고정됨과 동시에 아래쪽의 절연판은 상기 포착수단에 의한 실안내 경로를 따라 절개부를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틀의 실절단장치.
KR2020000010740U 1999-04-27 2000-04-17 재봉틀의 실절단장치 KR200229262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9-119794 1999-04-27
KR19990119794 1999-04-2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29262Y1 true KR200229262Y1 (ko) 2001-07-04

Family

ID=730852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10740U KR200229262Y1 (ko) 1999-04-27 2000-04-17 재봉틀의 실절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926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9498B1 (ko) 2007-09-05 2011-11-03 브라더 고오교오 가부시키가이샤 재봉틀의 실 끊기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9498B1 (ko) 2007-09-05 2011-11-03 브라더 고오교오 가부시키가이샤 재봉틀의 실 끊기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29262Y1 (ko) 재봉틀의 실절단장치
JP4510991B2 (ja) 糸切り装置
JP4194171B2 (ja) ミシンの糸切り装置
KR20080094598A (ko) 평면 재료 조각을 아플리케하기 위한 방법, 상기 방법을실시하기 위한 커팅 장치 및 자수기
US3912900A (en) Method for feeding wire for welding
CN107268197B (zh) 带缝制终端检测自动停止装置的缝纫机
JP3980719B2 (ja) ミシンの糸切り装置
KR100874121B1 (ko) 평면 장식 조각을 아플리케하기 위한 방법, 장치 및 스티치 기계
CN107938192A (zh) 切底线装置、缝纫机和缝纫机的控制方法
JP4474003B2 (ja) ミシンの糸切り装置
CN214613042U (zh) 一种刺绣机剪线装置
JPH09299659A (ja) ミシンの糸切り装置
CN104107976A (zh) 自动点焊机
CN112760850A (zh) 一种刺绣机剪线装置、刺绣机剪线方法
JPH08289988A (ja) ミシンの糸切り装置
JP4199375B2 (ja) ミシンの制御装置
JP7190211B2 (ja) ミシン用上糸自動切断装置
JP3268598B2 (ja) 布の切断のための方法及び装置
CN102691177B (zh) 钮扣孔缝纫机和用于缝制具有镶边线的钮扣孔线缝的方法
JP2024013363A (ja) スマートテキスタイルを生産する方法
JPH06501429A (ja) 走行する可融布の熱切断のための方法及び装置
JP4236340B2 (ja) ミシンおよび検出装置
KR100846363B1 (ko) 커팅방식 릴레이 도선 권취장치 및 이를 사용한 권취방법
JP3737609B2 (ja) ミシン
JPH0752698Y2 (ja) ボタン孔かがりミシンの下糸切断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410

Year of fee payment: 9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