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8736Y1 - 운반손잡이장치 - Google Patents

운반손잡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8736Y1
KR200228736Y1 KR2020010000174U KR20010000174U KR200228736Y1 KR 200228736 Y1 KR200228736 Y1 KR 200228736Y1 KR 2020010000174 U KR2020010000174 U KR 2020010000174U KR 20010000174 U KR20010000174 U KR 20010000174U KR 200228736 Y1 KR200228736 Y1 KR 20022873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lt
space
carrying handle
carrying
pas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0017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공장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피아이앤드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피아이앤드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피아이앤드엠
Priority to KR202001000017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873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873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8736Y1/ko

Links

Landscapes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운반손잡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는 운반손잡이가 마련되어 있지 않은 각종 운반대상물에 결합되어 운반손잡이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 손으로 잡을 수 있는 파지부와; 상기 파지부에 고정되며 관통공간과 수용공간이 마련되어 있는 수용부와; 상기 수용공간내에 벨트지지릴에 의해 감긴 상태로 위치하며 수용공간 외부로 인출가능한 벨트와; 상기 수용공간의 외부로 인출된 후 상기 관통공간을 관통한 상태의 벨트를 관통공간내에 임시 고정시키는 벨트고정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고안의 운반손잡이장치는, 운반대상물에 운반손잡이가 구비되어 있지 않거나 구비되어 있어도 운반손잡이를 잡기가 마땅치 않을 경우 운반대상물에 고정되어 손잡이의 역할을 제공하므로 물건을 쉽고 안전하게 운반할 수 있도록 한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운반손잡이장치{Grip for carrying package}
본 고안은 물건운반용 손잡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운반용 손잡이가 구비되어 있지 않거나 구비되어 있어도 운반손잡이를 잡기가 용이하지 않을 경우 운반대상물에 장착되어 운반손잡이의 역할을 하는 운반손잡이장치에 관한 것이다.
예를들어 종이박스나 컴퓨터케이스 포대자루 등 별도의 운반손잡이가 구비되어 있지 않은 물건의 경우 운반을 위해서는 운반대상물인 물건을 양손으로 안아 들어야 할 수 밖에 없었다. 이 때 물건의 무게가 무거울 경우에는 팔의 힘이 빠져 물건을 오랫동안 들고 있기가 힘이들고 급기야 앞으로 떨어뜨릴 수 도 있어 물건의 파손은 물론 사람이 다칠 수도 있다. 특히 계단을 내려갈때에는 앞에 안고있는 물건에 가려 계단이 잘 보이지 않으므로 매우 조심스러우며 부주의한 경우에는 앞으로 굴러떨어질 수 도 있다.
본 고안은 상기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안출한 것으로서, 운반대상물에 운반손잡이가 구비되어 있지 않거나 구비되어 있어도 운반손잡이를 잡기가 용이하지 않을 경우 운반대상물에 고정되어 물건을 쉽고 안전하게 운반할 수 있도록 구성된 운반손잡이장치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반손잡이장치의 사시도.
도 2는 상기 운반손잡이장치의 뒷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반손잡이장치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위하여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반손잡이장치에 적용되는 스토퍼를 도시한 사시도.
도 5 및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반손잡이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위하여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반손잡이장치의 사용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손잡이장치 12:파지부
14:벨트 16:수용부
18:인출구 20:벨트관통통로
22:스토핑레버 24:벨트삽입구멍
26:고무패드 28:가압팁
30:회동축 32:벨트지지릴
34:바닥면 36:선단플레이트
38:걸림돌기 40:스토퍼
42:수용공간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운반손잡이가 마련되어 있지 않은 운반대상물에 결합되어 운반손잡이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 손으로 잡을 수 있는 파지부와; 상기 파지부에 고정되며 관통공간과 수용공간이 마련되어 있는 수용부와; 상기 수용공간내에 벨트지지릴에 의해 감긴 상태로 위치하며 수용공간 외부로 인출가능한 벨트와; 상기 수용공간의 외부로 인출된 후 상기 관통공간을 관통한 상태의 벨트를 관통공간내에 임시 고정시키는 벨트고정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관통공간은 벨트가 수용부를 관통하도록 마련한 벨트관통통로로서, 벨트관통통로와 수용공간은 격벽에 의해 구획되며, 상기 벨트고정수단은 격벽과 일정간격 이격되어 벨트관통통로내에 힌지결합되는 것으로 격벽측으로 회동하여 격벽에 대해 벨트를 가압함으로써 벨트를 밀착고정시키는 톱니형태의 가압팁과, 상기 가압팁과 일체를 이루며 가압팁에 회동력을 제공하는 레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가압팁과 레버는 상호 직각을 이루며 레버의 자유단부는 벨트관통통로의 외측으로 연장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용부는 두 개가 하나의 쌍을 이루며 파지부의 양단에 직각으로나란히 고정되어 수용부 저면에 대해 파지부가 일정높이로 위치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용부의 저면에는 고무패드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기본적으로 본 고안의 운반손잡이장치는 손잡이가 구비되어 있지 않은 각종 운반대상물에 장착되어 손잡이의 기능을 제공하는 것으로 운반대상물을 벨트로 걸어 들어올린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반손잡이장치의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운반손잡이장치(10)는 손으로 잡는 파지부(12)와, 상기 파지부(12)의 양단에 일체로 구비되며 후술하는 스토퍼(40)와 벨트(14)를 갖는 수용부(16)로 이루어진다.
상기 파지부(12)는 손으로 용이하게 잡을 수 있도록 대략 원형봉의 형태를 취하며 수용부(16)에 의해 하측부에 손을 집어넣을 수 있는 공간을 갖는다. 상기 파지부(12)의 형상은 손바닥에 쥐기 편하도록 다양하게 변형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수용부(16)는 파지부(12)에 대해 직각으로 형성되어 운반손잡이장치(10)는 대략 'ㄷ'자의 형태를 취한다.
상기 수용부(16)에는 벨트관통통로(20)와 수용공간(도 3의 42)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수용공간(42)은 인출구(18)을 통하여 외부와 연결되어 있으며 내부에는 벨트(14)가 감긴상태로 구비되어 있다. 상기 벨트(14)는 사용자에 의해 인출구(18)를 통해서 외부로 인출되어 도 7에서와 같이 운반대상물을 감는다.
한편, 상기 수용부(16)의 양측외벽은 평평하게 형성되어 사용자가 원하는 문구나 디자인을 넣을 수 있다. 상기 문구나 디자인은 광고내용도 포함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벨트(14)의 선단부에는 선단플레이트(36)가 고정되어 있다. 상기 선단플레이트(36)는 벨트(14)를 이루는 섬유가 풀려나가지 않도록 벨트선단을 물고있는 금속제 또는 플라스틱제 플레이트로서 양측부에는 걸림돌기(38)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걸림돌기(38)는 선단플레이트(36)의 양측부에 돌출된 돌기로서 벨트(14)가 인출구(18) 테두리부에 걸려 수용부 내부로 들어가지 않도록 한다.
상기 벨트관통통로(20)는 벨트(14)가 통과하는 공간으로서 도 3에 도시한 바와같이 수용부(16)에 수평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벨트관통통로(20)에는 스토퍼(도 3의 40)가 구비된다. 상기 스토퍼(40)는 스토핑레버(22)에 의해 작동하는 것으로 벨트관통통로(20)를 관통하는 벨트를 임시 고정하거나 통과시킨다.
또한 상기 수용부(16)의 바닥면에는 고무패드(26)가 고정되어 있다. 상기 고무패드(26)는 수용부(16)가 운반대상물에 대해 미끄러지지 않도록 마찰력을 제공한다.
도 2는 상기 운반손잡이장치의 뒷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시한 바와같이, 각 수용부(16)의 뒤쪽면에는 벨트삽입구멍(24)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벨트삽입구멍(24)은 인출구(도 1의 18)를 통해 인출된 벨트(14)가 운반대상물을 감은 후 벨트관통통로(20) 내부로 삽입할 때 끼워지는 구멍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반손잡이장치의 수용부 내부구성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운반손잡이장치(10)의 수용부(16)내부에는 벨트관통통로(20)와 수용공간(42)이 상하로 마련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상기 수용공간(42)은 벨트(14)를 수용하는 공간으로서 전면부에 인출구(18)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벨트(14)는 공지의 벨트지지릴(32)에 의해 감긴 상태로 선단의 선단플레이트(36)가 걸림돌기(38)에 의해 인출구(18)에 걸려 있다.
상기 벨트지지릴(32)은 보통 자동차의 안전벨트와 같이 벨트를 탄성적으로 감는 기능을 한다. 따라서 벨트(14)를 당긴 후 놓으면 벨트(14)는 상기 벨트지지릴(32)의 작동에 의해 벨트지지릴(32)에 다시 감기며 수용공간(42)내로 원위치한다. 이는 자동차의 안전벨트에 적용되는 공지의 기술이므로 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수용공간(42)의 상부에 마련되어 있는 벨트관통통로(20)의 바닥면(34)은 수용공간(42)과 벨트관통통로(20)를 격리하는 격벽으로서 벨트관통통로(20) 바닥에 평면을 제공한다. 상기 바닥면(34)은 벨트(14)가 통과하며 지지되는 면으로서 스토퍼(40)의 가압팁(28)이 벨트(14)를 가압할 때 벨트(14)를 지지한다.
상기 바닥면(34)의 상부에는 스토퍼(40)가 구비된다. 상기 스토퍼(40)는 벨트관통통로(20)내를 도 5의 화살표 a방향으로 통과하는 벨트(14)를 원하는 위치에서 고정시키는 것으로 가압팁(28)과 스토핑레버(22)를 갖는다.
즉, 상기 스토퍼(40)는 도 4에 도시한 바와같이 다수의 톱니가 형성되어 있는 가압팁(28)과, 상기 가압팁(28)에 대해 직각을 이루며 수용부(16)의 전방으로연장되는 스토핑레버(22)로 이루어지며, 상기 가압팁(28)과 스토핑레버(22)의 연결부위에 회동축(30)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회동축(30)은 벨트관통통로(20)의 양 측벽에 지지되어 스토핑레버(22)가 상하로 회동할 수 있다.
상기 가압팁(28)의 바닥면(34)에 대한 이격거리는 벨트(14)의 두께에 따라 달라지며, 하부로 회동하여 바닥면(34)에 대해 벨트(14)를 가압한 상태로 벨트(14)가 벨트관통통로(20)로부터 빠져나가지 않을 정도의 지지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위치한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반손잡이장치에 적용되는 스토퍼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시한 바와같이, 스토퍼(40)는 톱니의 형태를 취하며 벨트(14)를 찍어누르는 가압팁(28)과, 상기 가압팁(28)과 일체를 이루며 가압팁(28)에 회동력을 제공하는 스토핑레버(2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스토퍼(40)는 금속으로 제작함이 바람직하다.
도 5 및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반손잡이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벨트(14)를 수용공간(42)으로부터 인출하여 운반대상물(미도시)을 둘러 감은 후 벨트관통통로(20)내의 스토퍼 하부로 화살표 a방향을 따라 통과시킨 상태이다. 이 때 상기 스토핑레버(22)는 아직 하부로 회동시키지 않은 상태이므로 벨트(14)의 위치는 조절이 가능하다. 또한 수용공간(42)내부의 벨트지지릴(32)은 수용공간의 양측벽에 지지되어 있으므로 벨트(14)의 일단부를 견고히 지지해준다.
도 6은 벨트(14)를 원하는 만큼 당긴 상태로 스토핑레버(22)를 하부로 회동시킨 상태이다.
도 5에서와같이 벨트(14)로 운반대상물을 감은 후 충분히 당겼다면 그 위치를 유지시키기 위하여 스토핑레버(22)를 하부로 완전히 회동시켜 가압팁(28)으로 하여금 바닥면(34)에 대해 벨트(14)를 고정한다. 상기한 바와같이 가압팁(28)은 톱니의 형태를 취하여 빼쭉하므로 벨트(14)를 찍어누르고 또한 스토핑레버(22)가 이미 바닥면(34)에 도달하여 있으므로 벨트(14)는 화살표 b방향으로 이동하지 않아 운반중 벨트가 풀리지 않는다.
도 7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반손잡이장치의 사용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시한 바와같이, 별도의 운반손잡이가 없는 임의의 운반대상물(P)에 본 실시예에 따른 손잡이장치(10)가 고정되어 있다. 상기 손잡이장치(10)의 벨트(14)는 완전히 인출되어 운반대상물(P)을 감은 후 벨트관통통로(20)를 통과하여 당겨져 있다. 이 때 스토핑레버(22)가 하부로 회동하여 벨트(14)가 당겨진 위치로 고정되어 있음은 물론이다.
아울러 상기 수용부(16)의 저면에 고정되어 있는 고무패드(26)은 운반대상물과 손잡이장치(10)간의 미끄럼을 방지하여 운반중 운반대상물의 흔들림에의해 손잡이장치(10)의 위치가 흐트러지지 않도록 한다.
상기 운반대상물로부터 손잡이장치(10)를 풀기 위해서는 상기 스토핑레버(22)를 상부로 회동시킨다. 스토핑레버(22)가 상부로 회동하면 벨트(14)를 찍어누르고 있던 가압팁(도 4의 28)이 바닥면(34)로부터 이격되어 벨트(14)가 벨트관통통로(20)로부터 빠져나갈 수 있는 것이다.
이상, 본 고안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내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고안의 운반손잡이장치는, 운반대상물에 운반손잡이가 구비되어 있지 않거나 구비되어 있어도 운반손잡이를 잡기가 마땅치 않을 경우 운반대상물에 고정되어 손잡이의 역할을 제공하므로 물건을 쉽고 안전하게 운반할 수 있도록 한다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운반손잡이가 마련되어 있지 않은 운반대상물에 결합되어 운반손잡이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
    손으로 잡을 수 있는 파지부와;
    상기 파지부에 고정되며 관통공간과 수용공간이 마련되어 있는 수용부와;
    상기 수용공간내에 벨트지지릴에 의해 감긴 상태로 위치하며 수용공간 외부로 인출가능한 벨트와;
    상기 수용공간의 외부로 인출된 후 상기 관통공간을 관통한 상태의 벨트를 관통공간내에 임시 고정시키는 벨트고정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반손잡이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공간은 벨트가 수용부를 관통하도록 마련한 벨트관통통로로서, 벨트관통통로와 수용공간은 격벽에 의해 구획되며, 상기 벨트고정수단은 격벽과 일정간격 이격되어 벨트관통통로내에 힌지결합되는 것으로 격벽측으로 회동하여 격벽에 대해 벨트를 가압함으로써 벨트를 밀착고정시키는 톱니형태의 가압팁과, 상기 가압팁과 일체를 이루며 가압팁에 회동력을 제공하는 레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반손잡이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팁과 레버는 상호 직각을 이루며 레버의 자유단부는 벨트관통통로의 외측으로 연장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반손잡이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는 두 개가 하나의 쌍을 이루며 파지부의 양단에 직각으로 나란히 고정되어 수용부 저면에 대해 파지부가 일정높이로 위치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반손잡이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의 저면에는 고무패드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반손잡이장치.
KR2020010000174U 2001-01-04 2001-01-04 운반손잡이장치 KR20022873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0174U KR200228736Y1 (ko) 2001-01-04 2001-01-04 운반손잡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0174U KR200228736Y1 (ko) 2001-01-04 2001-01-04 운반손잡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28736Y1 true KR200228736Y1 (ko) 2001-07-19

Family

ID=730806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00174U KR200228736Y1 (ko) 2001-01-04 2001-01-04 운반손잡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8736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9697B1 (ko) 2006-08-08 2008-03-06 삼성전자주식회사 트레이 클램핑 장치
KR20230032184A (ko) 2021-08-30 2023-03-07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상자 들기 보조기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9697B1 (ko) 2006-08-08 2008-03-06 삼성전자주식회사 트레이 클램핑 장치
KR20230032184A (ko) 2021-08-30 2023-03-07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상자 들기 보조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695019B2 (ja) 釣り針保持手段を備えた釣り用リール及びこれを持つ釣り竿
US4772133A (en) Carrying handle for bagged food items
CA2954052C (en) Towel dispensing system including a bracket and water-resistant container with a handle
JPS59158760A (ja) 複式ロ−ル・デイスペンサ
US20080271853A1 (en) Shipping and Packing Tape Dispenser and Mount
US10342396B2 (en) Towel dispensing system including a bracket and water-resistant container with a handle
US3619852A (en) Removable box bail
KR200228736Y1 (ko) 운반손잡이장치
USRE41505E1 (en) Packaging tape and dispensing tape gun system
US20040065577A1 (en) Film hand wrapper
JP4596252B2 (ja) 巻き紙の切り端が掴み易い巻き紙用ホルダー。
GB2299321A (en) Dispensing of packaging film from a roll
US3325057A (en) Collapsible tube squeezer
US5785205A (en) Dispenser for dispensing bag holders
KR101527367B1 (ko) 화물 결박용 벨트 텐셔너
KR200266902Y1 (ko) 수화물 고정장치를 구비한 운반용 카트
KR20190069272A (ko) 포장지의 펴짐방지용 융착장치
JP2010024048A (ja) テープカッター
US20190328186A1 (en) Towel dispensing system including a bracket and water-resistant container with a handle
GB2190897A (en) Dispenser for a roll of sheet material
CA2579381A1 (en) Garbage bag support
GB2104773A (en) Bag handles
GB2585251A (en) Dispenser
KR20240057935A (ko) 상자 운반용 리프트
KR20120003312U (ko) 포장 테이프 절단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