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8688Y1 - 자체냉각기능을갖는캔 - Google Patents

자체냉각기능을갖는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8688Y1
KR200228688Y1 KR2019980019236U KR19980019236U KR200228688Y1 KR 200228688 Y1 KR200228688 Y1 KR 200228688Y1 KR 2019980019236 U KR2019980019236 U KR 2019980019236U KR 19980019236 U KR19980019236 U KR 19980019236U KR 200228688 Y1 KR200228688 Y1 KR 20022868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rigerant
cylinder
cooling
pin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1923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03937U (ko
Inventor
유성권
Original Assignee
정형동
한국냉각캔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형동, 한국냉각캔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형동
Priority to KR201998001923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8688Y1/ko
Publication of KR1999000393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393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868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8688Y1/ko

Links

Abstract

음료를 마시고자 하는 경우 안전막(44)을 파열시키고 핀(32)의 헤드부(36)를 회전시키면 핀(32)이 상방향으로 이동되며 핀(32)의 선단이 폐쇄부재(34)를 천공시키게 된다. 이에 따라, 핀(32)의 외면에 형성되는 다수의 축방향 홈(46), 절췌부(48) 및 횡방향 냉매통로(40)를 통하여 냉매가 외부로 배출되면서 음료의 열을 탈취하므로써 음료를 냉각시킬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자체 냉각기능을 갖는 캔
본 고안은 자체 냉각기능을 갖는 캔에 관한 것이고, 특히 캔내의 음료를 냉각시키기 위한 음료 냉각장치가 간단한 구조를 취하게 되므로써 부품의 수가 감소되며 원가가 절감되고 조립시의 작업성이 개선되며 생산성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하면서도 음료의 냉각효율을 증대시키게 되는 자체 냉각기능을 갖는 캔(Can Having Self-Cooling Function)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음료수 등을 넣기 위해 사용되는 캔은 알루미늄으로 제조되고, 캔은 캔 본체, 캔 어퍼 엔드 및 캔 로워 엔드를 포함한다. 캔 어퍼 엔드 및 캔 로워 엔드는 캔 본체의 상단부 및 하단부에 각각 시이밍(seaming)된다. 캔 어퍼 엔드에는 캔 따개가 리벳팅되며, 캔 따개를 상방향으로 잡아당김으로써 캔 어퍼 엔드에 형성된 스코어 라인이 파열되면서 캔 어퍼 엔드에 개방부가 형성된다.
최근에는, 소비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내부에 음료 냉각장치가 구비된 자체 냉각기능을 갖는 캔이 제공되는데, 필요시 음료 냉각장치를 작동시킴으로써 음료를 즉석에서 냉각시켜 마실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선행기술에 따른 자체 냉각기능을 갖는 캔은 구조가 매우 복잡하게 되어 부품의 수가 증가되고 원가가 상승되며 조립시의 작업성이 저하되고 생산성이 떨어지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선행기술에 따른 자체 냉각기능을 갖는 캔은 냉매의 기화에 따른 음료 냉각기능만을 갖기 때문에 음료의 냉각효율이 저하되어 음료의 냉각정도가 그다지 크지 않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선행기술에 따른 자체 냉각기능을 갖는 캔에 내재되었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캔내의 음료를 냉각시키기 위한 음료 냉각장치가 간단한 구조를 취하게 되므로써 부품의 수가 감소되며 원가가 절감되고 조립시의 작업성이 개선되며 생산성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하면서도 음료의 냉각효율을 증대시키게 되는 자체 냉각기능을 갖는 캔을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자체 냉각기능을 갖는 캔의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단면도.
도 2는 도 1의 캔의 냉매 배출구조를 나타내는 부분확대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캔 12: 본체
14: 어퍼 엔드 16: 로워 엔드
18: 냉매 실린더 20: 노즐
22: 냉매 저장공간 24: 실린더 고정구
26: 클립부재 28: 쐐기부
30: 암나사 구멍 32: 핀
34: 폐쇄부재 36: 헤드부
38: 함몰부 40: 횡방향 냉매통로
42: 냉매 팽창공간 44: 안전막
46: 축방향 홈 48: 절췌부
50: 튜브 52: 보조 냉매 실린더
54: 가동부재
본 고안의 일면에 따라, 자체 냉각기능을 갖는 캔이 제공되고: 상기 캔은, 상기 캔의 내부에 위치되면서 하단부가 개방되며 상단부는 폐쇄되고 서로 연통되는 냉매 저장공간과 냉매 팽창공간을 가지며 냉매 저장공간과 냉매 팽창공간의 사이에는 노즐이 형성되는 냉매 실린더; 그 상단부가 냉매 실린더의 개방되는 하단부에 밀봉적으로 결합되고 하단부는 캔 로워 엔드에 형성되는 개구부의 주변에서 상기 캔 로워 엔드에 밀봉적으로 결합되는 클립부재; 상기 냉매 실린더의 개방되는 하단부를 폐쇄시키면서 냉매 실린더내의 압력이 예정된 압력이상으로 상승되면 자동적으로 파열되는 폐쇄부재; 그 일부가 상기 개구부를 관통하여 캔의 내부로 삽입되고 상기 클립부재에 스냅체결되므로써 상기 냉매 실린더를 지지하며 서로 연통되는 종방향 암나사 구멍 및 횡방향 냉매통로가 형성되는 냉매 실린더 고정구; 상기 냉매 실린더 고정구의 종방향 암나사 구멍에 나사결합되는 가동부재; 상기 가동부재의 중심부분을 관통하여 삽입되어 고정되므로써 상기 가동부재와 함께 일체적으로 이동되고 그 외면에는 다수의 축방향 홈이 형성되어 상방향으로 이동되었을 때 상기 폐쇄부재를 천공시킴으로써 냉매 실린더내의 냉매를 상기 다수의 축방향 홈 및 상기 횡방향 냉매통로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시키게 되는 핀부재; 및 상기 냉매 실린더 고정구에 접착되어 상기 핀부재의 비의도적인 회전을 방지하게 되는 파열성 안전막;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캔은, 상기 냉매 실린더의 주위에 배설되면서 튜브를 경유하여 상기 냉매 실린더의 냉매 저장공간에 직렬 또는 병렬로 연결되는 다수의 보조 냉매 실린더를 추가로 구비한다.
본 고안의 상기 특성들에 따라, 캔내의 음료를 냉각시키기 위한 음료 냉각장치가 간단한 구조를 취하게 되어 부품의 수가 감소되므로써 원가가 절감되고 조립시의 작업성이 개선되며 생산성이 향상될 수 있게 된다. 또한, 냉매의 기화에 따른 음료의 냉각에 부가하여 냉매가 노즐을 통과할 때 발생되는 유체역학적인 효과를 이용하므로써 음료의 냉각이 가속화될 수 있게 되므로 냉각효율이 향상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술하며, 도면 전체를 통하여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자체 냉각기능을 갖는 캔의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단면도를 도시하고; 도 2에는 도 1의 캔의 냉매 배출구조를 나타내는 부분확대 단면도를 도시한다.
본 고안에 따른 자체 냉각기능을 갖는 캔(10)은 캔 본체(12), 캔 어퍼 엔드(14) 및 캔 로워 엔드(16)를 포함한다. 상기 캔 어퍼 엔드(14) 및 캔 로워 엔드(16)는 캔 본체(12)의 상단부 및 하단부에 각각 시이밍된다. 캔 어퍼 엔드(14)에는 캔 따개가 리벳팅되며, 캔 따개를 상방향으로 잡아당김으로써 캔 어퍼 엔드(14)에 형성된 스코어 라인이 파열되면서 캔 어퍼 엔드(14)에 개방부가 마련된다.
캔(10)의 내부에는 하나의 냉매 실린더(18) 및 그 외주면에 변열로 장착되어 진 다수의 보조 냉매 실린더(52)가 제공된다. 냉매 실린더(18)는 그 상단부는 폐쇄되고 하단부는 개방되며 이 냉매 실린더(18)의 내부에는 냉매 저장공간(22) 및 냉매 팽창공간(42)이 서로 연통되는(communicated) 방식으로 구성된다. 또한, 냉매 저장공간(22)과 냉매 팽창공간(42)의 경계부위에는 노즐이 형성된다. 이는 상기 노즐(20)을 통하여 냉매가 배출될 때, 노즐(20)에서 냉매가 빠르게 유동됨에 따라 발생되는 유체역학적인 효과에 기인하여 노즐(20) 부위의 온도는 급속히 냉각되며 이에 따라 음료의 냉각효과가 배가될 수 있게 된다. 상기 다수의 보조 냉매 실린더(52)는 첨부된 도면의 도 1에 도시된 바와같이 각각의 튜브(50)를 경유하여 상기 냉매 실린더(18)의 냉매 저장공간(22)에 연결되므로써 냉매를 보충적으로 저장하는 기능을 한다.
냉매 실린더(18)의 개방되는 하단부에는 클립부재(26)의 상단부가 시이밍되며, 캔(10)의 캔 로워 엔드(16)에는 개구부가 형성된다. 클립부재(26)의 하단부는 로워 엔드(16)의 개방된 부분에 시이밍된다. 로워 엔드(16)의 외면에는 실린더 고정구(24)가 밀착되며, 상기 실린더 고정구(24)의 중앙부위에는 쐐기부(28)가 상방향으로 돌출되는 방식으로 형성된다. 상기 쐐기부(28)는 상기 로워엔드(16)의 개방된 공간을 통하여 캔(10)의 내부로 삽입되고나서 상기 클립부재(26)에 스냅체결된다(snap-fitted). 상기 냉매 실린더(18)의 하단부는 폐쇄부재(34)에 의해 폐쇄되며, 상기 폐쇄부재(34)는 상기 냉매 실린더(18)의 하단부 및 상기 클립부재(26)의 상단부와 함께 시이밍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상기 실린더 고정구(24)는 폴리프로필렌으로 제조되며, 또한 상기 폐쇄부재(34)는 알루미늄으로 제조된다.
상기 실린더 고정구(24)에는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횡방향 냉매통로(40)가 형성되고, 상기 쐐기부(28)에는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는 암나사 구멍(30)이 형성되며 이들 횡방향 냉매통로(40) 및 암나사 구멍(30)은 각각 서로 연통된다. 상기 암나사 구멍(30)에는 가동부재(54)가 나사결합되며, 이 가동부재(54)의 중심부분에는 핀(32)이 관통하는 방식으로 억지끼워맞춤된다. 상기 핀(32)은 상기 가동부재(54)와 함께 일체적으로 이동될 수 있게 되고, 상기 핀(32)의 외면에는 축방향 홈(46)이 형성된다. 핀(32)의 하단부에는 헤드부(36)가 일체적으로 성형된다. 따라서, 상기 헤드부(36)를 손으로 회전시킴으로써 핀(32)은 상기 암나사 구멍(30)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가동부재(54)에는 절췌부(48)가 형성되어 상기 다수의 축방향 홈(46) 및 상기 횡방향 냉매통로(40)가 원활하게 연통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실린더 고정구(24)의 하면에는 함몰부(38)가 형성되며, 상기 함몰부(38)에는 상기 핀(32)의 헤드부(36)가 위치된다. 상기 실린더 고정구(24)의 하단부면에 안전막(44)이 접착제에 의해 접착되므로써 상기 핀(32)은 외부에 노출되지 않게 되며, 이에 따라 핀(32)의 비의도적인 회전이 방지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상기 안전막(44)은 알루미늄 테이프로 제조된다.
따라서, 음료를 마시고자 하는 경우 안전막(44)을 파열시키고 핀(32)의 헤드부(36)를 회전시키면 핀(32)이 상방향으로 이동되며 핀(32)의 선단이 상기 폐쇄부재(34)를 천공시키게 된다. 이에 따라, 핀(32)의 외면에 형성되는 다수의 축방향 홈(46), 절췌부(48) 및 횡방향 냉매통로(40)를 통하여 냉매가 외부로 배출되면서 음료의 열을 탈취하므로써 음료를 효과적으로 냉각시켜 식음할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에 따라, 캔내의 음료를 냉각시키기 위한 음료 냉각장치가 간단한 구조를 취하게 되어 부품의 수가 감소되므로써 원가가 절감되고 조립시의 작업성이 개선되며 생산성이 향상될 수 있게 된다. 또한, 냉매의 기화에 따른 음료의 냉각에 부가하여 냉매가 노즐을 통과할 때 발생되는 유체역학적인 노즐효과를 이용하므로써 음료의 냉각이 가속화될 수 있게 되므로 냉각효율이 향상된다.
본 고안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이 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이하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고안의 정신이나 분야를 이탈하지 않는 한도내에서 본 고안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을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용이하게 알수 있다.

Claims (2)

  1. 캔(10)의 내부에 위치되면서 하단부는 개방되면서 상단부는 폐쇄되고 서로 연통되는 냉매 저장공간(22)과 냉매 팽창공간(42)을 가지며 이 냉매 저장공간(22)과 냉매 팽창공간(42)의 사이에는 노즐(20)이 형성되는 냉매 실린더(18);
    상부은 상기 냉매 실린더(18)의 하단부에 밀봉결합되고 하부는 로워 엔드(16)에 형성되는 개구부의 주변에 밀봉 결합되는 클립부재(26);
    상기 냉매 실린더(18)의 개방된 공간을 폐쇄시키면서 냉매 실린더내의 압력이 예정된 압력이상으로 상승되면 자동적으로 파열되는 폐쇄부재(34);
    상부가 로워엔드(16)의 개방된 공간을 통하여 캔(10)의 내부로 삽입되면서 그 삽입된 부분은 상기 클립부재(26)에 스냅체결되어 냉매 실린더(18)를 전체적으로 지지하고 그 몸체상에는 수직방향으로 서로 연통되는 암나사 구멍(30) 및 횡방향 냉매통로(40)가 형성되는 실린더 고정구(24);
    상기 실린더 고정구(24)의 종방향 암나사 구멍에 나사결합되는 가동부재(54);
    상기 가동부재(54)의 중심부분을 관통하여 삽입되어 상기 가동부재(54)와 함께 일체적으로 이동되고 그 외면에는 다수의 축방향 홈(46)이 형성되어 상방향으로 이동되었을 때 상기 폐쇄부재(34)를 천공시킴으로써 냉매 실린더(18)내의 냉매를 상기 다수의 축방향 홈(46) 및 상기 실린더고정구(24)에 형성된 횡방향 냉매통로(40)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시키게 되는 핀(32); 및
    상기 실린더 고정구(24)의 하부에 접착되어 상기 핀(32)의 헤드부(36)가 자체적으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는 파열성 안전막(44)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체 냉각기능을 갖는 캔.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냉매 실린더(18)는 그 주위에 다수개의 보조냉배실린더(52) 배설되고 이들 각 보조냉배실린더(52)는 그 저면으로부터 연결되어진 튜브(50)가 냉매 실린더(18)의 냉매 조장공간(22)과 병렬로 연결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체 냉각기능을 갖는 캔.
KR2019980019236U 1998-10-08 1998-10-08 자체냉각기능을갖는캔 KR20022868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9236U KR200228688Y1 (ko) 1998-10-08 1998-10-08 자체냉각기능을갖는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9236U KR200228688Y1 (ko) 1998-10-08 1998-10-08 자체냉각기능을갖는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3937U KR19990003937U (ko) 1999-01-25
KR200228688Y1 true KR200228688Y1 (ko) 2001-10-25

Family

ID=697104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19236U KR200228688Y1 (ko) 1998-10-08 1998-10-08 자체냉각기능을갖는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8688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54492A (ko) * 2000-06-05 2000-09-05 이정민 자가 냉각 기능을 갖는 캔
CA2407018A1 (en) * 2000-04-22 2001-11-29 Jung Min Lee Self-cooling liquid contain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3937U (ko) 1999-0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64826B1 (ko) 자체냉각액체용기
US5379830A (en) Heat pipe and radiating device
US6952934B2 (en) Self-cooling liquid container
US4319464A (en) Refrigerated container
KR20010032895A (ko) 안치형 냉각제 및 액체챔버를 갖는 자체 냉각형 액체용기
KR200228688Y1 (ko) 자체냉각기능을갖는캔
KR20010101529A (ko) 자기-냉각 및 자기-가열식 식품 또는 음료 용기의 저면에열교환 유닛 및 밸브를 부착시키는 장치 및 방법
KR19990003939U (ko) 자체 냉각기능을 갖는 캔
KR200228689Y1 (ko) 자체냉각기능을갖는캔
KR200226868Y1 (ko) 자가냉각용기
KR890000111Y1 (ko) 음료 냉각장치
KR200256485Y1 (ko) 자가 냉각 캔
KR20000000517A (ko) 자체 냉각 기능을 갖는 냉각캔
KR100284015B1 (ko) 자체냉각기능을갖는음료용캔및그제조방법
KR100296499B1 (ko) 냉각통이내장된음료수용캔
KR200233707Y1 (ko) 캔용냉각장치
KR200292087Y1 (ko) 맥주캔
KR20020037924A (ko) 자가냉각용기
KR200176305Y1 (ko) 냉각 기능을 갖는 캔에 저장된 냉매를 외부로 배출하는냉매배출수단의 구조
KR200253594Y1 (ko) 뉴 타입 pet병
KR200245327Y1 (ko) 역류방지기능을 구비한 자가냉각용기
KR19990073710A (ko) 냉각장치를 갖춘 병
KR200209732Y1 (ko) 냉각컵
KR20000002144U (ko) 액체질소가스를 이용한 휴대용 냉각박스
KR200231415Y1 (ko) 음료용 캔의 내부에 구비되는 냉매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