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76305Y1 - 냉각 기능을 갖는 캔에 저장된 냉매를 외부로 배출하는냉매배출수단의 구조 - Google Patents

냉각 기능을 갖는 캔에 저장된 냉매를 외부로 배출하는냉매배출수단의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76305Y1
KR200176305Y1 KR2019990022606U KR19990022606U KR200176305Y1 KR 200176305 Y1 KR200176305 Y1 KR 200176305Y1 KR 2019990022606 U KR2019990022606 U KR 2019990022606U KR 19990022606 U KR19990022606 U KR 19990022606U KR 200176305 Y1 KR200176305 Y1 KR 20017630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refrigerant
intermediate body
piece
receiving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2260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형동
Original Assignee
한국냉각캔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냉각캔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냉각캔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9002260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7630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7630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76305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31/00Othe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 F25D31/002Liquid coolers, e.g. beverage cooler
    • F25D31/003Liquid coolers, e.g. beverage cooler with immersed cooling ele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31/00Details or arrangements of othe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31/80Type of cooled receptacles
    • F25D2331/805C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냉각 기능을 갖는 캔에 저장된 냉매를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음은 물론 그 구조를 단순하여 부품의 수를 감소시키고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냉각 기능을 갖는 캔에 저장된 냉매를 외부로 배출하는 냉매배출수단의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상단이 상기 냉매탱크(16)의 하단에 밀착고정되고, 하단에 캔(12)의 하면에 형성된 구멍(16)을 통하여 외부로 돌출되는 연장부(42)가 형성되며, 이 연장부(42)의 외주면에 숫나사산이 형성되고, 중심부분에 수직방향으로 수용홈(44)이 형성되며, 이 수용홈(44)의 상단 부분에 냉매탱크(16)의 하단에 돌출구성된 냉매배출공(18)과 동일축상을 갖는 안내공(46)이 형성된 상부몸체(40)와, 내주면에 상기 상부몸체(40)의 연장부(42)에 형성된 숫나사산에 선택적으로 치합되는 암나사산을 갖는 결합공(50)이 형성되고, 중심부분에 결합공(50)과 연통된 관통공(54)이 형성되며, 외주면에 숫나사산이 형성된 중간몸체(52)와, 상기 상부몸체(40)에 형성된 수용홈(44)과 중간몸체(52)에 형성된 결합공(50)에서 수직방향으로 이동되고, 하단에 중간몸체(52)에 형성된 관통공(54)에서 선택적으로 수직이동되는 날개편(62)이 하부로 돌출구성된 작동편(60)과, 상기 상부몸체(40)의 수용홈(44) 내측 상단에 밀착되고, 하단이 작동편(60)의 상단에 밀착되어 작동편(60)을 중간몸체(52)의 하부로 탄성지지하는 스프링(70)과, 상기 작동편(60)의 하단과 중간몸체(52)의 바닥면 사이에 개재되는 실링부재(80)와, 내주면에 상기 중간몸체(60)의 외주면에 형성된 숫나사산이 선택적으로 치합되는 암나사산을 갖는 체결공(90)이 형성되고, 하단에 체결공(90)과 연통된 수평배출공(94)이 형성되며, 바닥면에 작동편(60)의 날개편(62)을 중간몸체(52)에 형성된 관통공(54)에서 수직운동시키는 돌출편(96)이 상부로 돌출구성된 하부몸체(9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냉각 기능을 갖는 캔에 저장된 냉매를 외부로 배출하는 냉매배출수단의 구조{Structure of refrigerant exhausting device stored with cooling can}
본 고안은 냉각 기능을 갖는 캔에 저장된 냉매를 외부로 배출하는 냉매배출수단의 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냉각 기능을 갖는 캔에 저장된 냉매를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음은 물론 그 구조를 단순하여 부품의 수를 감소시키고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냉각 기능을 갖는 캔에 저장된 냉매를 외부로 배출하는 냉매배출수단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시판되는 음료는 그 대부분이 밀폐된 금속재의 용기내에 포장되어 시판되어 있으며, 이러한 밀폐된 용기는 일명 캔(Can)이라 칭한다. 캔용기는 대부분이 부식되지 않는 알루미늄으로 제작되어 내용물의 보존성이 탁월하고 대체적으로 그 무게가 가볍다는 장점이 있는 것이며, 또한 운반 및 보관이 용이함에 의해 그 사용량이 날로 증대되고 있는 실정이다.
캔용기에 저장 및 보관되어지는 내용물은 대체적으로 술(맥주) 및 음료수 등고 같은 것이 주류를 이루고 있으며, 이러한 캔용기는 온도가 상승되는 여름철에는 사용자의 구매욕구(시원한 것을 원하는 욕망)를 충족시켜 주기 위하여 필히 냉장보관을 시키는 것이 필수적이다.
온도가 상승되는 여름철에 맥주나 음료수 등을 구매함과 동시에 그 즉시 식음을 하는 경우에는 캔용기의 내부에 담겨진 내용물을 시원한 상태로 식음을 할 수 있음으로 구매자의 욕구를 충족시켜 줄 수 있지만, 캔맥주나 캔음료 등을 구매한 자가 상당한 시간이 진나후에 식음을 한다든지 또는 해수용장이나 산행 등을 하는 경우에 있어서는 맥주나 음료등의 온도가 상승되어져 이를 마시더라도 사용자의 갈증을 해소시켜 주지 못하는 단점이 있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장거리를 여행하는 경우에는 별도의 아이스박스 등과 같은 보냉수단을 구비하여 하는 불편함과 보냉수단이 없을 경우에는 찬물이 흐르는 계곡물 등과 같은 장소에 캔맥주나 음료를 담가두고 필요한 때마다 식음을 하는 방법을 취하게 된다.
최근에는 캔용기내에 냉매가 주입된 냉각장치를 내장하여 필요시 냉작장치내에 주입된 냉매가 분출되면서 캔용기내에 담겨진 내용물을 냉각시켜줄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 일부 제안되어 있기는 하지만, 선행기술에 따른 자체 냉각기능을 갖는 캔의 냉매배출수단은 그 구조가 매우 복잡하여 실지로 상품화 하는데 있어 많은 곤란성이 야기됨은 물론 복잡한 구성으로 인하여 오동작이 많이 발생되어 상품의 신뢰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의 상술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그 목적은 냉각 기능을 갖는 캔에 저장된 냉매를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음은 물론 그 구조를 단순하여 부품의 수를 감소시키고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냉각 기능을 갖는 캔에 저장된 냉매를 외부로 배출하는 냉매배출수단의 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냉매배출수단이 냉각 기능을 갖는 캔에 결합된 상태를 보인 정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냉각 기능을 갖는 캔에 저장된 냉매를 외부로 배출하는 냉매배출수단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냉매배출수단이 냉각 기능을 갖는 캔의 하면에 결합된 상태를 보인 저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냉매배출수단을 통하여 냉매가 외부로 배출되는 상태를 보인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수용공간 12 : 캔
14 : 구멍 16 : 냉매탱크
18 : 냉매배출공 35 : 냉매배출수단
40 : 상부몸체 42 : 연장부
44 : 수용홈 46 : 안내공
50 : 결합공 52 : 중간몸체
54 : 관통공 60 : 작동편
62 : 날개편 70 : 스프링
80 : 실링부재 90 : 체결공
92 : 하부몸체 94 : 수평배출공
96 : 돌출편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은, 상단이 상기 냉매탱크의 하단에 밀착고정되고, 하단에 캔의 하면에 형성된 구멍을 통하여 외부로 돌출되는 연장부가 형성되며, 이 연장부의 외주면에 숫나사산이 형성되고, 중심부분에 수직방향으로 수용홈이 형성되며, 이 수용홈의 상단 부분에 냉매탱크의 하단에 돌출구성된 냉매배출공과 동일축상을 갖는 안내공이 형성된 상부몸체와, 내주면에 상기 상부몸체의 연장부에 형성된 숫나사산에 선택적으로 치합되는 암나사산을 갖는 결합공이 형성되고, 중심부분에 결합공과 연통된 관통공이 형성되며, 외주면에 숫나사산이 형성된 중간몸체와, 상기 상부몸체에 형성된 수용홈과 중간몸체에 형성된 결합공에서 수직방향으로 이동되고, 하단에 중간몸체에 형성된 관통공에서 선택적으로 수직이동되는 날개편이 하부로 돌출구성된 작동편과, 상기 상부몸체의 수용홈 내측 상단에 밀착되고, 하단이 작동편의 상단에 밀착되어 작동편을 중간몸체의 하부로 탄성지지하는 스프링과, 상기 작동편의 하단과 중간몸체의 바닥면 사이에 개재되는 실링부재와, 내주면에 상기 중간몸체의 외주면에 형성된 숫나사산이 선택적으로 치합되는 암나사산을 갖는 체결공이 형성되고, 하단에 체결공과 연통된 수평배출공이 형성되며, 바닥면에 작동편의 날개편을 중간몸체에 형성된 관통공에서 수직운동시키는 돌출편이 상부로 돌출구성된 하부몸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 기능을 갖는 캔에 저장된 냉매를 외부로 배출하는 냉매배출수단의 구조에 의하여 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하부몸체의 하단에 체결공과 연통되게 형성된 수평배출공이 90°간격으로 배열된 것을 포함한다. 또한, 본 고안은 하부몸체의 바닥면에 돌출구성된 돌출편의 외경이 중간몸체에 형성된 관통공의 내경보다는 작게 형성된 것을 포함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냉각 기능을 갖는 캔에 저장된 냉매를 외부로 배출하는 냉매배출수단의 구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냉매배출수단이 냉각 기능을 갖는 캔에 결합된 상태를 보인 정단면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냉각 기능을 갖는 캔에 저장된 냉매를 외부로 배출하는 냉매배출수단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냉매배출수단이 냉각 기능을 갖는 캔의 하면에 결합된 상태를 보인 저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냉매배출수단을 통하여 냉매가 외부로 배출되는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면을 설명하면, 내측에 소정의 수용공간(10)을 가는 캔(12)이 구비되고, 이 캔(12)은 알루미늄재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캔(12)의 상면 일측에 수용공간(10)에 저장된 내용물을 외부로 배출하는 입구(미도시)가 형성되고, 캔(12)의 하면에는 구멍(14)이 형성된다. 캔(12)의 상면에 형성된 입구에는 마개(미도시)가 밀착고정된다.
하단 일측이 마개의 상단에 코킹작업에 의하여 밀착고정된 탭(미도시)이 구비되고, 이 탭은 마개를 입구에서 분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캔(12)의 수용공간(10)에 삽입되는 복수개의 냉매탱크(16)가 구비되고, 이 냉매탱크(16)는 어느 하나의 냉매탱크(16)를 기점으로 형성된 원호상에 등간격으로 배열된다. 냉매탱크(16)는 저장된 냉매가 순환할 수 있도록 연통되게 형성된다. 냉매탱크(16)에 저장된 냉매는 일정압력으로 압축된 상태로 저장됨이 바람직하다. 냉매탱크(16)의 하단에 냉매탱크(16)에 저장된 냉매가 외부로 배출되는 냉매배출공(18)이 형성된다. 냉매탱크(16)에 저장된 냉매를 선택적으로 외부로 배출하는 냉매배출수단(35)이 구비되고, 이 냉매배출수단(35)은 상부몸체(40)와, 중간몸체(52)와, 작동편(60)과, 스프링(70)과, 실링부재(80)와, 하부몸체(92)로 구분된다.
상단이 냉매탱크(16)의 하단에 밀착고정되는 상부몸체(40)가 구비되고, 이 상부몸체(40)의 하단에는 캔(12)의 하면에 형성된 구멍(14)을 통하여 외부로 돌출되는 연장부(42)가 형성된다. 이 연장부(42)의 외주면에는 숫나사산이 형성된다. 상부몸체(40)의 중심부분에 수직방향으로 수용홈(44)이 형성되고, 이 수용홈(44)의 상단 부분에는 냉매탱크(16)의 하단에 돌출구성된 냉매배출공(18)과 동일축상을 갖는 안내공(46)이 형성된다. 내주면에 상부몸체(40)의 연장부(42)에 형성된 숫나사산에 선택적으로 치합되는 암나사산이 형성된 결합공(50)을 갖는 중간몸체(52)가 구비되고, 이 중간몸체(52)의 외경은 상부몸체(40)의 상부 외경과 동일하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중간몸체(52)의 중심부분에 결합공(50)과 연통된 관통공(54)이 형성되고, 이 관통공(54)은 상부몸체(40)에 형성된 안내공(46)과 동일축상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중간몸체(52)의 외주면에는 숫나사산이 형성된다.
상부몸체(40)에 형성된 수용홈(44)과 중간몸체(52)에 형성된 결합공(50)에서 수직방향으로 이동되는 작동편(60)이 구비되고, 이 작동편(60)의 하단에는 중간몸체(52)에 형성된 관통공(54)에서 선택적으로 수직이동되는 날개편(62)이 하부로 돌출구성된다. 상부몸체(40)의 수용홈(44) 내측 상단에 밀착되고, 하단이 작동편(60)의 상단에 밀착되어 작동편(60)을 중간몸체(52)의 하부로 탄성지지하는 스프링(70)이 구비된다. 상단이 작동편(60)의 하단과 중간몸체(52)의 바닥면 사이에 개재되는 실링부재(80)가 구비된다. 내주면에 중간몸체(60)의 외주면에 형성된 숫나사산이 선택적으로 치합되는 암나산이 형성된 체결공(90)을 갖는 하부몸체(92)가 구비되고, 이 하부몸체(92)의 하단에는 체결공(90)과 연통된 수평배출공(94)이 90°간격으로 배열된다. 하부몸체(92)의 바닥면에는 작동편(60)의 날개편(62)을 중간몸체(52)에 형성된 관통공(54)에서 수직운동시키는 돌출편(96)이 상부로 돌출구성되고, 이 돌출편(96)의 외경은 중간몸체(52)에 형성된 관통공(54)의 내경보다는 작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냉각 기능을 갖는 캔이 작동되는 상태 및 이에 따른 효과를 설명한다.
캔(12)에 담겨진 내용물을 식음할 경우, 냉매배출수단(35)의 하부몸체(92)를 일측으로 회전시킨다. 하부몸체(92)는 중간몸체(52)와 나사결합되어 있음으로 하부몸체(92)를 일측으로 회전시키면, 하부몸체(92)가 중간몸체(52)의 외주면에 형성된 숫나사산을 따라 상부로 이동된다. 이때, 하부몸체(92)의 바닥면에 상부로 돌출구성된 돌출편(96)과 작동편(60)의 접촉으로 인하여 작동편(60)의 날개편(62)이 중간몸체(52)의 관통공(54) 상부로 이동된다. 즉, 하부몸체(92)의 돌출편(96) 상면이 작동편(60)의 날개편(62) 하단에 접촉되게 하부몸체(92)가 중간몸체(52)에 결합되어 있음으로 하부몸체(92)가 일측으로 회전되면, 하부몸체(92)의 상승으로 인하여 작동편(60)의 날개편(62)이 중간몸체(52)의 관통공(54)을 따라 상부로 이동된다. 이때, 상단이 상부몸체(40)의 수용홈(44) 내측 상단에 밀착되고, 하단이 작동편(60)의 상단에 밀착된 스프링(70)이 압축된 상태를 갖는다.
하부몸체(92)의 상승으로 인하여 작동편(60)의 날개편(62)이 중간몸체(52)의 관통공(54)을 따라 상부로 이동되면, 냉매탱크(16)에 압축된 상태로 저장된 냉매가 냉매배출공(18), 상부몸체(40)의 안내공(46) 및 수용홈(44), 중간몸체(52)의 관통공(54)을 거쳐 하부몸체(92)의 수평배출공(94)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이때, 냉매탱크(16)에 압축저장된 냉매가 냉매탱크(16)를 순환하면서 배출됨으로 캔(12)에 보관된 내용물이 냉각된 상태를 갖는다.
냉매배출수단(35)의 하부몸체(92)가 가압된 상태에서 회전됨에 따라 냉매탱크(16)에 저장된 냉매가 외부로 배출됨으로 사용자가 용이하게 냉매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선행기술에 비해 상대적으로 간단하게 구성되어 있음으로 작업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냉각 기능을 갖는 캔에 저장된 냉매를 외부로 배출하는 냉매배출수단의 구조는 하부몸체가 가압된 상태에서 회전됨에 따라 냉매탱크에 저장된 냉매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구성되어 있음으로 용이하게 냉매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음은 물론 구성을 단순화하여 부품의 수를 감소시키고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Claims (3)

  1. 냉각 기능을 갖는 캔에 저장된 냉매를 선택적으로 외부로 배출하는 냉매배출수단을 구성함에 있어서,
    상단이 상기 냉매탱크(16)의 하단에 밀착고정되고, 하단에 캔(12)의 하면에 형성된 구멍(16)을 통하여 외부로 돌출되는 연장부(42)가 형성되며, 이 연장부(42)의 외주면에 숫나사산이 형성되고, 중심부분에 수직방향으로 수용홈(44)이 형성되며, 이 수용홈(44)의 상단 부분에 냉매탱크(16)의 하단에 돌출구성된 냉매배출공(18)과 동일축상을 갖는 안내공(46)이 형성된 상부몸체(40)와,
    내주면에 상기 상부몸체(40)의 연장부(42)에 형성된 숫나사산에 선택적으로 치합되는 암나사산을 갖는 결합공(50)이 형성되고, 중심부분에 결합공(50)과 연통된 관통공(54)이 형성되며, 외주면에 숫나사산이 형성된 중간몸체(52)와,
    상기 상부몸체(40)에 형성된 수용홈(44)과 중간몸체(52)에 형성된 결합공(50)에서 수직방향으로 이동되고, 하단에 중간몸체(52)에 형성된 관통공(54)에서 선택적으로 수직이동되는 날개편(62)이 하부로 돌출구성된 작동편(60)과,
    상기 상부몸체(40)의 수용홈(44) 내측 상단에 밀착되고, 하단이 작동편(60)의 상단에 밀착되어 작동편(60)을 중간몸체(52)의 하부로 탄성지지하는 스프링(70)과,
    상기 작동편(60)의 하단과 중간몸체(52)의 바닥면 사이에 개재되는 실링부재(80)와,
    내주면에 상기 중간몸체(60)의 외주면에 형성된 숫나사산이 선택적으로 치합되는 암나사산을 갖는 체결공(90)이 형성되고, 하단에 체결공(90)과 연통된 수평배출공(94)이 형성되며, 바닥면에 작동편(60)의 날개편(62)을 중간몸체(52)에 형성된 관통공(54)에서 수직운동시키는 돌출편(96)이 상부로 돌출구성된 하부몸체(9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 기능을 갖는 캔에 저장된 냉매를 외부로 배출하는 냉매배출수단의 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몸체(92)의 하단에 체결공(90)과 연통되게 형성된 수평배출공(94)이 90°간격으로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 기능을 갖는 캔에 저장된 냉매를 외부로 배출하는 냉매배출수단의 구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몸체(92)의 바닥면에 돌출구성된 돌출편(96)의 외경이 중간몸체(52)에 형성된 관통공(54)의 내경보다는 작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 기능을 갖는 캔에 저장된 냉매를 외부로 배출하는 냉매배출수단의 구조.
KR2019990022606U 1999-10-20 1999-10-20 냉각 기능을 갖는 캔에 저장된 냉매를 외부로 배출하는냉매배출수단의 구조 KR20017630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2606U KR200176305Y1 (ko) 1999-10-20 1999-10-20 냉각 기능을 갖는 캔에 저장된 냉매를 외부로 배출하는냉매배출수단의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2606U KR200176305Y1 (ko) 1999-10-20 1999-10-20 냉각 기능을 갖는 캔에 저장된 냉매를 외부로 배출하는냉매배출수단의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76305Y1 true KR200176305Y1 (ko) 2000-03-15

Family

ID=195929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22606U KR200176305Y1 (ko) 1999-10-20 1999-10-20 냉각 기능을 갖는 캔에 저장된 냉매를 외부로 배출하는냉매배출수단의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76305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10163128A1 (en) Beverage container and cooling system for the same
JP5320318B2 (ja) 保冷容器
US3338068A (en) Cooler chest for independent container
US4699282A (en) Beer display, keg cooler
US20070090077A1 (en) Container arrangement
US5328050A (en) Dual nested liquid container
US7055706B2 (en) Drink bottle
KR200176305Y1 (ko) 냉각 기능을 갖는 캔에 저장된 냉매를 외부로 배출하는냉매배출수단의 구조
US20160022074A1 (en) Stay-cold drinking can
KR200176304Y1 (ko) 냉각 기능을 갖는 캔에 저장된 냉매를 외부로 배출하는냉매배출수단의 구조
US5201193A (en) Cooling device for beverages
KR200176306Y1 (ko) 냉각 기능을 갖는 캔의 내측에 삽입되는 냉매탱크구조
KR200344346Y1 (ko) 이중 용기
KR100276023B1 (ko) 자체 냉각기능을 갖는 캔
KR100915787B1 (ko) 음료수보냉용 얼음통
KR100276024B1 (ko) 자체 냉각기능을 갖는 캔
JP2007230584A (ja) 飲料容器
US20220297920A1 (en) Can cooler
KR100241495B1 (ko) 음료수를 냉각시키기 위한 휴대용 냉각봉
CN220334769U (zh) 一种饮料机
CN212591486U (zh) 便携冷饮杯
JPH11189299A (ja) 飲料用容器内蔵型冷却サーバー
KR200285502Y1 (ko) 냉매공간을 가진 용기
KR200231415Y1 (ko) 음료용 캔의 내부에 구비되는 냉매용기
KR20160140519A (ko) 술병 아이스박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71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