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6868Y1 - 자가냉각용기 - Google Patents

자가냉각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6868Y1
KR200226868Y1 KR2020000031927U KR20000031927U KR200226868Y1 KR 200226868 Y1 KR200226868 Y1 KR 200226868Y1 KR 2020000031927 U KR2020000031927 U KR 2020000031927U KR 20000031927 U KR20000031927 U KR 20000031927U KR 200226868 Y1 KR200226868 Y1 KR 20022686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verage
cartridge
housing
reactant
coo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3192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병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미래와 사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미래와 사람 filed Critical 주식회사미래와 사람
Priority to KR202000003192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686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686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6868Y1/ko

Links

Landscapes

  • Packa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물, 청량음료 또는 알콜음료와 같이 저장된 음료수를 효과적으로 냉각시킬 수 있는 자가냉각용기에 관한 것으로, 제1반응물질이 충전되는 중공부를 갖는 원통형 하우징과, 일단에 음료분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의 중공부에 수납되는 음료저장용기와, 상기 하우징의 하단부에 고정되고 대체적으로 중앙부위에 관통구가 형성되어 있는 요홈부를 갖는 제1단부 및 상기 음료저장용기의 하부면과 소정간격으로 이격되고 금속막에 의해 폐쇄된 제2단부를 구비하고 있으며 제2반응물질이 충전되는 충전공간을 갖는 카트리지와, 상기 카트리지의 제1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상기 요홈부의 관통구에 삽입되는 삽입단부로부터 상기 카트리지의 충전공간으로 연장하고 상기 박판의 금속막을 파열시키기 위한 천공부재가 말단부에 장착되어 있는 로드와, 상기 로드의 삽입단부에 체결되는 체결단부를 갖고 상기 요홈부에 활주가능하게 설치되는 누름버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므로, 저장된 물, 청량음료 또는 알콜음료와 같은 음료수를 신속하게 냉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냉각시설 또는 냉각저장설비에 저장용기를 보관하지 않고도 야외에서 시원한 음료수를 마실수 있다.

Description

자가냉각용기{Self-cooling container}
본 고안은 물, 청량음료 또는 알콜음료와 같은 음료수를 효과적으로 냉각시킬 수 있는 자가냉각용기에 관한 것이고, 특히 저장된 음료수에 대한 냉각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냉각반응동안 사용자에게 안전사고 발생을 방지시킬 수 있는 자가냉각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물, 청량음료 또는 알콜음료와 같은 음료수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용기는 휴대하기에 편리한 구조로 되어 있다. 이러한 용기에 저장된 음료수를 저온 상태로 유지하기 위하여 별도의 냉장시설이 필요하며, 특히 이러한 음료수를 시원한 상태로 야외에서 마시기 위해서는 별도의 아이스박스와 같은 냉장저장설비가 요구되었다. 상술된 음료수 저장용기는 대체적으로 1회용이므로, 저장용기 내의 음료수를 마신 후에는 해당 용기를 더이상 냉장시설 또는 냉장저장설비에 보관할 필요가 없다.
그러나, 이러한 냉장시설 또는 냉장저장설비를 구비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공간과 비용이 요구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으며, 특히 저장용기를 냉장저장설비에 보관한 상태로 이동하는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또한, 종래의 냉장시설 또는 냉장저장설비에 의하여 저장용기를 냉각시키기 위해서는 오랜시간을 요구한 반면에, 상기 저장용기를 급속으로 냉각시키기 위해서는 상술된 시설 또는 설비의 운용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야기되었다.
본 고안은 상기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음료수 저장용기에 저장된 물, 청량음료 또는 알콜음료와 같은 음료수를 신속하게 냉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음료수 저장용기를 냉각시키기 위한 별도의 냉각시설 또는 냉각저장설비없이도 사용자가 야외에서 시원한 음료수를 마실수 있도록 자가냉각성능을 갖는 자가냉각용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자가냉각용기의 부분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카트리지의 단면도.
도 3은 도 2에 타원으로 표시된 A 부분의 확대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로드의 도면으로서, (a)는 측면도이고, (b)는 정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누름버튼의 도면으로서, (a)는 단면도이고, (b)는 저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자가냉각용기
12 : 원통형 하우징
14 : 음료저장용기
16 : 카트리지
17 : 분리막
22 : 로드
22b : 천공부재
26 : 누름버튼
C1 : 제1반응물질
C2 : 제2반응물질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르면, 자가냉각용기는 제1반응물질이 충전되는 중공부를 갖는 원통형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상단부에 고정되는 일단에는 음료분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의 중공부에 수납되는 음료저장용기와, 상기 하우징의 하단부에 고정되는 제1단부는 대체적으로 중앙부위에 관통구가 형성되어 있는 요홈부를 갖고 상기 음료저장용기의 하부면과 소정간격으로 이격된 상태로 상기 하우징의 중공부에 위치하는 제2단부는 박판의 금속막에 의해 폐쇄되어 있으며 제2반응물질이 충전되는 충전공간을 갖는 카트리지로 이루어지고, 상기 카트리지의 제1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상기 요홈부의 관통구에 삽입되는 삽입단부로부터 상기 카트리지의 충전공간으로 연장하고 말단에는 상기 박판의 금속막을 파열시키기 위한 천공부재가 장착되어 있는 로드와, 상기 로드의 삽입단부에 체결되는 체결단부를 갖고 상기 요홈부에 활주가능하게 설치되는 누름버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먼저, 본 고안에 따른 자가냉각용기(10)는 제1반응물질(C1)이 충전되는 중공부를 갖는 원통형 하우징(12)과, 음료분출구(14a)가 형성되어 있는 일단(E1)이 하우징(12)의 상단부(12a)에 고정된 상태로 하우징(12)의 중공부에 수납되는 음료저장용기(14)와, 하우징(12)의 하단부(12b), 예를 들어, 바닥단부에 고정되어 있고 대체적으로 중앙부위에 요홈부가 형성되어 있는 제1단부(16a) 및 음료저장용기(14)의 하부면과 소정간격으로 이격된 상태로 하우징(12)의 중공부에 수납되고 박판의 금속막(17)에 의해 상단이 폐쇄되어 있는 제2단부(16b)를 갖고 제2반응물질(C2)이 충전되는 카트리지(16)로 이루어진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박판의 금속막(17)은 알루미늄막으로 이루어진다.
음료저장용기(14)에는 물, 청량음료 또는 알콜음료와 같은 음료수가 저장되는 밀폐된 저장공간(S1)이 형성되어 있고, 그의 일단(E1), 예를 들어 상부면에는 저장공간(S1) 내의 음료가 분출되는 음료분출구(14a)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음료저장용기(14)는, 그의 일단(E1)이 원통형 하우징(12)의 상단부(12a)에 시밍(seaming) 등과 같은 이음 작업에 의하여 고정된 상태로, 하우징(12)의 중공부에 내장된다. 이때, 음료저장용기(14)의 외측면과 하우징(12)의 내측면 사이의 공간에는 제1반응물질(C1)이 충전되는 제1충전공간이 형성된다.
한편, 원통형 하우징(12)의 하단부(12b)에는 원통형상의 카트리지(16)의 제1단부(16a)가 시밍 등과 같은 이음 작업에 의하여 고정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트리지(16)의 제1단부(16a) 부근의 외주에는 환형의 테두리(A)가 형성되어 있고 테두리의 내측에는 언더컷부분(B)이 제공된다. 따라서, 원통형 하우징(12)의 하단부(12b)를 테두리(A)의 내측으로 강제 끼워맞춤시키는 캡핑작업에 의하여 원통형 하우징(12)의 하단부(12b)와 카트리지(16)의 제1단부(16a)는 유체기밀 상태로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제1단부(16a)에 대향하는 개방상태의 제2단부(16b)는 박판의 금속막(17)에 의하여 폐쇄된다. 그 결과 카트리지(16) 내측에는 제2반응물질(C2)이 충전되는 내부공간이 한정된다.
그리고,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단부(16a)는 대체적으로 중앙부위에 관통구(H)를 갖는 요홈부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관통구(H)의 내경은 상기 내부공간을 향하여 외측으로 확장되는 경사면을 구비하고 있으며, 이러한 경사면은 추후에 설명되는 로드(22)가 상기 관통구(H)를 관통하여 카트리지(16)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박판의 금속막(17)에 의하여, 상기 제1반응물질(C1)과 제2반응물질(C2)은 격리되어 있으며, 추후에 설명되는 로드(22)의 천공부재(22b)에 의하여 상기 금속막(17)이 파열되면서, 상기 제1반응물질(C1)과 제2반응물질(C2)은 접촉하여 화학적 반응을 하게 된다.
즉, 자가냉각용기(10)는 카트리지(16)의 제1단부(16a)에 형성되어 있는 요홈부의 관통구에 삽입되는 삽입단부(22a) 및 박판의 금속막(17)을 파열시킬 수 있도록 말단부에 장착되는 천공부재(22b)를 갖고 카트리지(16)의 충전공간에 위치하는 로드(22)와, 로드(22)의 삽입단부(22a)에 체결되는 체결단부(26a)를 갖고 상기 요홈부에 활주가능하게 위치하는 누름버튼(26)을 갖는다.
도 4(a)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로드(22)의 삽입단부(22a) 중간에는 환상의 돌기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돌기는 삽입단부(22a)와 체결단부(26a)가 끼워맞춤 상태로 결합되어 서로 용이하게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작용한다. 그리고, 상기 돌기와 소정간격으로 이격된 위치에는 플랜지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플랜지는 로드(22)가 관통구(H)를 통해 카트리지(16)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작용을 수행한다. 한편, 도 4(b)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천공부재(22b)는 로드(22)의 말단부에 일단에 고정되어 방사상으로 배치되며 일측면에 에지부를 갖는 복수개의 나이프부재(도면의 간략화를 위해 단지 3개만이 도시되어 있음)로 이루어진다.
도 5(a) 및 (b)를 참조하면, 누름버튼(26)은 로드(22)의 삽입단부(22a)와 체결하는 체결단부(26a)를 갖고, 체결단부(26a)의 중앙에는 삽입단부(22a)가 삽입되는 홈이 형성된다. 그리고, 체결단부(26a)로부터 연장하는 연장부의 말단에는 원판(26b)이 부착된다. 원판(26b)은 외부에서 작용하는 외력을 받는 부위로 작용하고, 원판(26b)의 테두리는 카트리지(16) 요홈부의 내측에 활주가능하게 접촉된다.
따라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누름버튼(26)의 원판(26b)에 외력이 작용하여 원판(26b)이 요홈부의 내측을 따라 활주하게 되면, 이와 연동하여 로드(22)가 이동하게 되고, 결과적으로, 로드(22) 말단부에 장착되어 있는 천공부재(22b)는 박판의 금속막(17)을 파열시킨다.
상술된 바와 같이, 금속막(17)이 파열되면, 카트리지의 충전공간에 있는 제2반응물질(C2)이 유출되어 제1반응물질(C1)과 흡열반응하면서 주위의 열을 흡수하여 주변 온도를 저하시킨다. 즉, 음료저장용기(14)에 저장되어 있는 음료수의 온도를 저하시킨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자가냉각용기(10)의 작동을 설명한다.
먼저, 원통형 하우징(12)의 중공부의 상단부(12a)에는 음료수가 미리 저장되어 있거나 또는 추후공정에 의하여 음료수가 저장되는 음료저장용기(14)가 시밍과 같은 이음작업에 의하여 고정된다. 원통형 하우징(12)의 하단부(12b)에는 제2반응물질이 충전되어 있거나 또는 추후공정에 의하여 제2반응물질이 충전되는 카트리지(16)가 시밍작업 또는 캡핑작업 등과 같은 이음작업에 의하여 고정된다. 카트리지(16)의 제1단부(16a)에는 천공부재(22b)를 갖는 로드(22)가 고정된다.
음료저장용기(12)에 저장된 음료수를 냉각된 상태로 유지하기 위하여, 원통형 하우징(12)은 음료저장용기(14)의 음료분출구(14a)가 하부에 위치하고 누름버튼(26)이 상부에 위치된 상태로 유지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누름버튼(26)의 원판(26b)을 도 1에 표시된 화살표방향으로 가압하면, 점선으로 표시된 바와 같이 누름버튼(26)이 하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로드(22)가 하향으로 이동하여 천공부재(22b)는 금속막(17)을 파열시킨다.
그 결과 개방되는 카트리지(16)의 제2단부(16b)를 통하여 유출되는 카트리지(16) 내의 제2반응물질(C2)과 원통형 하우징(12) 내의 제1반응물질(C1)은 서로 화학반응을 하게 되고, 이러한 반응은 흡열반응을 수반하여 주변 온도, 즉 음료수의 온도를 저하시킨다. 한편, 상기 흡열반응에 의하여 음료수의 열을 보다 효과적으로 흡수하기 위하여 원통형 하우징(12)의 외부를 단열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원통형 하우징(12)의 외부에 단열재(30)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러한 단열재(30)에 의하여 음료저장용기(14) 내의 음료수를 보다 효과적으로 냉각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르면, 음료저장용기에 저장된 물, 청량음료 또는 알콜음료와 같은 음료수를 신속하게 냉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별도의 냉각시설 또는 냉각저장설비에 음료저장용기를 보관하지 않고도 야외에서 시원한 음료수를 마실수 있다.
이상, 상기 내용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단지 예시한 것으로 본 고안이 속하는 분야의 당업자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 및 요지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본 고안에 대한 수정 및 변경을 가할 수 있다.

Claims (4)

  1. 제1반응물질이 충전되는 중공부를 갖는 원통형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상단부에 고정되는 일단에는 음료분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의 중공부에 수납되는 음료저장용기와,
    상기 하우징의 하단부에 고정되고 대체적으로 중앙부위에 관통구가 형성되어 있는 요홈부를 갖는 제1단부 및 상기 음료저장용기의 하부면과 소정간격으로 이격된 상태로 상기 하우징의 중공부에 위치하고 박판의 금속막에 의해 폐쇄된 제2단부를 구비하고 있으며 제2반응물질이 충전되는 충전공간을 갖는 카트리지로 이루어지고,
    상기 카트리지의 제1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상기 요홈부의 관통구에 삽입되는 삽입단부로부터 상기 카트리지의 충전공간으로 연장하고 상기 박판의 금속막을 파열시키기 위한 천공부재가 말단부에 장착되어 있는 로드와,
    상기 로드의 삽입단부에 체결되는 체결단부를 갖고 상기 요홈부에 활주가능하게 설치되는 누름버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냉각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막은 알루미늄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냉각용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의 삽입단부에는 환상의 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냉각용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에는 상기 환상의 돌기에 인접하여 플랜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냉각용기.
KR2020000031927U 2000-11-15 2000-11-15 자가냉각용기 KR20022686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1927U KR200226868Y1 (ko) 2000-11-15 2000-11-15 자가냉각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1927U KR200226868Y1 (ko) 2000-11-15 2000-11-15 자가냉각용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67921A Division KR20020037924A (ko) 2000-11-16 2000-11-16 자가냉각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26868Y1 true KR200226868Y1 (ko) 2001-06-15

Family

ID=730802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31927U KR200226868Y1 (ko) 2000-11-15 2000-11-15 자가냉각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6868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64826B1 (ko) 자체냉각액체용기
US4802343A (en) Self-cooling container
KR20010032895A (ko) 안치형 냉각제 및 액체챔버를 갖는 자체 냉각형 액체용기
US6170283B1 (en) Self-cooling beverage and food container and manufacturing method
WO1996014545A1 (en) Heat exchange unit for self-cooling beverage containers
KR20010101529A (ko) 자기-냉각 및 자기-가열식 식품 또는 음료 용기의 저면에열교환 유닛 및 밸브를 부착시키는 장치 및 방법
KR200226868Y1 (ko) 자가냉각용기
US5692391A (en) Self chilling beverage container
US6173579B1 (en) Sealed liquid container
KR20020037924A (ko) 자가냉각용기
US20100270316A1 (en) Top Cover For Sealing an Open End of a Cylindrical Beverage Container, and a Method For Providing such a Top Cover
KR100284015B1 (ko) 자체냉각기능을갖는음료용캔및그제조방법
KR20010048180A (ko) 자가냉각용기
KR20010100441A (ko) 자가냉각용기
GB2203226A (en) Cooling assembly for a beverage can or the like
KR200256485Y1 (ko) 자가 냉각 캔
KR200228689Y1 (ko) 자체냉각기능을갖는캔
KR20000016540U (ko) 역류방지기능을 구비한 자가 냉각 용기
KR20000014577A (ko) 냉각통이 내장된 음료수용 캔
MXPA00005673A (en) Self-cooling fluid container with nested refrigerant and fluid chambers
KR19990003939U (ko) 자체 냉각기능을 갖는 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