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32895A - 안치형 냉각제 및 액체챔버를 갖는 자체 냉각형 액체용기 - Google Patents

안치형 냉각제 및 액체챔버를 갖는 자체 냉각형 액체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32895A
KR20010032895A KR1020007006228A KR20007006228A KR20010032895A KR 20010032895 A KR20010032895 A KR 20010032895A KR 1020007006228 A KR1020007006228 A KR 1020007006228A KR 20007006228 A KR20007006228 A KR 20007006228A KR 20010032895 A KR20010032895 A KR 200100328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mber
coolant
zone
wall
self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70062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임스제임스
Original Assignee
트리븐 에이. 카미클로우
인바이로칠인터내셔날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트리븐 에이. 카미클로우, 인바이로칠인터내셔날리미티드 filed Critical 트리븐 에이. 카미클로우
Publication of KR200100328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32895A/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3/00Devices using other cold materials; Devices using cold-storage bodies
    • F25D3/10Devices using other cold materials; Devices using cold-storage bodies using liquefied gases, e.g. liquid air
    • F25D3/107Devices using other cold materials; Devices using cold-storage bodies using liquefied gases, e.g. liquid air portable, i.e. adapted to be carried personal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31/00Othe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 F25D31/002Liquid coolers, e.g. beverage cooler
    • F25D31/003Liquid coolers, e.g. beverage cooler with immersed cooling ele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31/00Details or arrangements of othe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31/80Type of cooled receptacles
    • F25D2331/805C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00Problems to be solved
    • F25D2500/02Geometry probl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음료용 자체냉각형 용기(10)가 안치되는 구성의 음료챔버와 냉각제 챔버를 포함한다. 냉각제의 방출시 팽창하는 냉각제와 음료용기사이의 전도성 열전달로 음료가 냉각되는 효과를 갖는다. 냉각제 챔버는 그 전체가 음료용기에 형성된 요입부에 삽입안치되어 가압된 냉각제를 수용하는데 있어 벽 두께와 강도를 증강시키고 음료챔버와 냉각제 챔버사이의 열전달 효과를 높인다.

Description

안치형 냉각제 및 액체챔버를 갖는 자체 냉각형 액체용기 {SELF-COOLING FLUID CONTAINER WITH NESTED REFRIGERANT AND FLUID CHAMBERS}
일반적으로, 자체 냉각형의 액체용기는 냉각될 음료가 용입된 제 1 챔버, 제 1 챔버에 열적으로 접촉하는 제 2 냉각제 용입챔버, 제 2 챔버로부터 방출시 냉각제가 팽창될 수 있도록 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제 3 챔버를 포함하는 냉각제 분산영역과 냉각제 영역과 분산영역사이에 유로를 형성하기 위한 냉각작동수단을 포함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제 2 챔버로부터 냉각제의 방출시 제 1 챔버내의 액체는 분산영역의 냉각제와 음료챔버의 액체사이의 열적접촉으로 단열냉각된다.
미국특허 제 5,214,933 호(Aithison 외)와 제 5,555,741 호(Oakley)에 자체 냉각형 액체용기가 기술되어 있다.
미국특허 제 5,214,933 호(Aithison 외)에 있어서는 음료용기의 액체영역으로 팽창될 수 있는 캡슐형 냉각제 챔버가 기술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는 냉각될 액체와 냉각제 캡슐사이에 실질적인 열전달면을 제공한다. 그러나, 비록 충분히 방지되어야 함에도 불구하고 액체용기 측으로 냉각제의 누출 가능성이 있다.
미국특허 제 5,555,741 호(Oakley)에는 음료 용입챔버의 베이스와 일체로 된 냉각제 챔버가 기술되어 있다. 이러한 일체형의 구조는 다중부품을 별도로 제작 또는 보관하거나 조립할 필요가 없도록 한다. 그러나, 일체형 캡슐의 벽이 가압된 냉각제를 안전하게 수용할 수 있을 정도로 충분히 두꺼워야 하는 바, 이는 용기의 제조비용이 상승되게 한다. 또한 일체형의 구조는 비교적 가격이 비싼 냉각제가 저온살균 및 최종 품질조절 검사전에 제조공정중 용기에 주입되는 것이 요구된다. 만약 용기에 결함이 발견되는 경우, 이는 제조라인에서 폐기되어야 하고 또한 이에 내장된 고가의 냉각제도 폐기되거나 회수되어야 한다.
프랑스 특허 제 513,015 호(Sterne)에는 화학제를 수용하는 밀봉형 챔버를 포함하는 음료용 병 또는 기타 액체용기가 기술되어 있는 바, 여기에서 화학제는 혼합 및 반응하여 챔버와 접촉하고 있는 액체를 가열하거나 냉각시킬 수 있게 되어 있다. 밀봉형 챔버는 액체용기의 유사한 형상의 요구내에 있는 원통형의 독립적인 구조인 것으로 보인다. 밀봉형 챔버의 내용물은 이들이 화학반응의 시작을 위하여 조합된 후에도 챔버내에 남아 있다. 따라서, 액체챔버로 화학제가 누출될 수 있는 잠재적인 위험이 있다. 아울러, 챔버는 액체용기로부터 분리되지 아니하므로 용기와 함께 제조되어야 한다. 더욱이, 밀봉형 챔버는 화학반응이 일어난 후에 재사용 될 수 없다. 챔버의 폐기는 챔버의 일체성과 그 내부의 화학제 특성에 따라 문제가 될 수 있다. 또한 챔버는 액체 냉각제와 기타 가압물질의 저장압력 특성을 견딜 수 있게 구성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음료 용입챔버로부터 완전히 분리구성되고 분리제거 가능한 냉각제 챔버를 갖는 자체 냉각형 액체용기를 제공하는 것이 자체 냉각형 액체용기의 분야에서 진보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음료용기와 같은 액체용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자체 냉각형의 액체용기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체 냉각형 음료용기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서 보인 자체 냉각형 음료용기의 단면도.
도 1은 소프트 드링크 캔과 같은 통상적인 음료용기의 크기와 외형이 동일하게 구성된 본 발명의 자체 냉각형 음료용기를 보인 것이다. 본 발명의 음료용기는 음료챔버에 형성된 요입부에 안치되고 전체적으로 분리구성되고 재활용 가능하게 구성된 냉각제 챔버와 용기의 저면에 형성된 돔형의 캐비티내에 배치되는 냉각 작동요소가 부가구성되어 있는 것으로 미국특허 제 5,214,933 호(Aithison 외)와 제 5,555,741 호(Oakley)에 기술된 것과 유사하다.
전형적으로 액체냉각을 위한 자체 냉각형 용기는 내부에 액체영역을 형성하기 위한 벽을 갖는 제 1 챔버, 내부에 냉각제 영역을 형성하기 위한 벽을 갖는 제 2 챔버, 제 1 및 제 2 챔버에 인접하여 분산영역을 형성하기 위한 수단을 갖는 냉각제 분산조립체와, 제 2 챔버의 냉각제 영역으로부터 분산영역으로 유로를 선택적으로 형성하기 위한 냉각 작동요소를 포함한다. 분산영역은 냉각제 영역에 인접하고, 냉각제 영역의 벽의 결합부분에 의하여 이로부터 분리된 제 1 부분과, 액체영역에 인접하고 액체영역의 벽의 결합부분에 의하여 이로부터 분리된 제 2 부분을 포함한다. 분산영역과 액체영역은 상기 액체영역의 벽의 결합부분을 통하여 열적으로 결합되어 있다. 분산영역은 실질적으로 폐쇄되고 용기의 외측영역으로 방출구가 형성되어 있다. 냉각제의 유로는 냉각제 영역의 벽의 결합부분을 통하여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라서, 제 1 챔버는 제 1 챔버의 벽으로부터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 1 챔버의 액체영역으로 연장된 요입부를 포함한다. 제 2 챔버는 안치형의 구성으로 제 1 챔버의 요입부내에 넉넉히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게 되어 있으며 제 1 챔버의 이러한 요입부로부터 분리되고 교체될 수 있게 되어 있다.
냉각제 챔버는 액상 냉각제와 같은 가압가능한 물질을 수용하고 방출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냉각제 챔버는 가압가능한 물질은 주입하거나 방출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포트를 갖는 캡슐로 구성된다. 우선 실시형태에 있어서, 냉각제 캡슐은 이로부터 가압물질이 방출된 후에 재활용될 수 있게 되어 있다.
냉각작동요소는 냉각제의 방출을 위하여 냉각제 캡슐의 포트를 개반토록 분산영역에서 냉각제 챔버와 선택적으로 결합될 수 있게 되어 있다.
제 1 챔버의 요입부는 제 1 챔버 및 용기의 기본축선을 따라 연장되는 것이 좋다. 냉각제 챔버와 음료챔버의 요입부는 크기와 형상이 거의 동일하여 각 챔버의 벽이 서로 안치되어 가압냉각제를 수용하는 단일벽의 구조물로서 작용한다. 우선 실시형태에 있어서, 냉각제 캡슐과 제 1 챔버의 요입부는 요입부로부터 캡슐의 삽입 및 분리가 용이하도록 기본 축선으로부터 공칭각도로 가볍게 경사져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 냉각제 캡슐과 제 1 챔버의 요입부사이의 영역은 냉각제와 음료사이의 열전달을 높이기 위하여 열전도성 물질로 채워진다.
본 발명을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예를 들어 주스, 탄산음료, 맥주 등과 같은 음료용의 자체 냉각형 용기(10)를 보이고 있다. 이 용기는 상측 단부벽에 통상적인 개봉탭이 달려있고 이러한 용기의 통상적인 외부 크기와 형상을 갖는다. 본 발명의 각 구성부분은 충분한 강도, 열전도성 및 재활용성을 갖는 알루미늄, 스틸, 일루미늄-스틸 또는 기타 금속 및 금속합금, 플라스틱 또는 기타 물질로부터 선택된 조성을 갖는다.
도 2에서 보다 명확히 보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용기(10)는 두 챔버, 즉, 전형적으로 음료를 수용하는 액체용기(12)를 형성하는 외부 챔버와, 냉각제 챔버 (14)를 형성하는 내부 챔버의 두 챔버로 나누어진다.
음료용기(12)는 원통형 측벽(16), 디스크형 상부벽(17), 돔형의 환상 저면벽(18)과, 저면벽(18)으로부터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 1 챔버의 액체영역으로 연장된 제 1 챔버의 요입부(20)로 구성된다. 요입부(20)는 음료용기에 동심원상으로 그리고 용기의 기본축선 X에 동축상으로 배치되는 것이 좋다.
냉각제 캡슐(14)은 액상 냉각제와 같은 가압물질을 수용하는데 충분한 강도를 제공토록 만곡단부를 갖는 원통형의 형태로 되어 있다. 하측 단부에서 냉각제 캡슐(14)은 냉각제가 주입되고 방출될 수 있는 포트(19)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이 포트는 천공부재로 천공될 수 있는 방출박막이거나 캡슐의 내용물을 방출할 수 있도록 선택적으로 작동가능한 밸브로 구성될 수 있다.
냉각제 캡슐은 이 캡슐과 음료용기사이의 최대 접촉면을 제공하여 최대의 열전달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도 2에서 상세히 보인 바와 같이 요입부(20)내에 안치될 수 있게 되어 있다.
요입부(20)와 캡슐(14)의 벽은 요입부에 대하여 캡슐의 삽입과 분리가 용이하도록 기본축선 X에 평행한 수직축선 Y로부터 공칭각도 θ로 경사져 있다. 이러한 구조는 종이컵과 같이 적층할 수 있는 제품에서는 종종 이용되는 것이다. 우선 실시형태에서 이 각도 θ는 공칭수직축선 Y로부터 적어도 약 1°이다.
냉각작동요소(22)가 용기의 돔형 저면벽(18)의 하측에 배치된다. 이후 상세히 설명하는 바와 같이, 냉각작동요소(22)는 냉각제를 방출하여 액체용기(12)의 내용물을 냉각시키기 위하여 캡슐의 포트(19)를 개봉토록 캡슐(14)의 하측부에 선택적으로 결합될 수 있게 되어 있다.
우선 실시형태에서, 냉각작동요소(22)는 냉각제 캡슐(14)의 저면에 형성된 나선부와 나선결합된다. 도 1의 실시형태에서, 천공요소(26)가 냉각제 캡슐의 포트(19)와 실질적으로 정렬된다. 냉각제 캡슐을 향하여 냉각작동요소(22)응 회전시킴으로서 천공요소(26)가 포트를 천공하여 캡슐의 내용물이 이 포트를 통하여 냉각작동요소(22)와 액체용기 및 냉각제 캡슐의 저면벽사이에 형성된 분산영역(24)으로 방출될 수 있도록 한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냉각작동요소는 이를 상향하여 냉각제 캡슐과 접촉토록 밀어 올려 냉각제 캡슐과 선택적으로 결합되게 하고 포트가 개봉되어 냉각제가 방출된 후에 용기저면의 스프링 작용으로 냉각작동요소가 그 본래의 위치로 복귀될 수 있다.
분산영역(24)은 액체용기의 돔형 저면벽(18)의 하측에서 그 하측공간의 대부분을 차지하며 캡슐로부터 방출시 가압 냉각제가 팽창하여 증발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우선 실시형태에서, 분산영역(24)은 팽창하는 냉각제와 용기(12)내의 음료사이의 효과적인 열절달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액체용기(12)와 열적으로 접촉한다. 이 분산영역(24)은 폐쇄형이나 증발된 냉각제가 주위온도에 이른 후 대기중으로 방출될 수 있도록 용기의 외부측으로 개방된 하나 이상의 방출공(28)을 포함한다.
냉각제 캡슐(14)은 요구되는 경우 음료용기의 제조 및 재활용중에 음료용기의 요입부(20)에 대하여 삽입 및 분리될 수 있는 자체수용 유니트이다.
냉각제 캡슐(14)과 음료용기의 요입부(20)는 봉합부 없이 연속구조로 제조된다. 이러한 무봉합형 구조는 안치되는 챔버(14)(20)가 강도를 최적화하고 열전달이 최적화될 수 있도록 안치결합형의 이중벽을 형성토록 한다. 이후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음료 및 냉각체 챔버의 무봉합구조의 이점은 음료와 용기내의 코팅되지 않은 금속면사이의 화학반응이 일어나는 위험성을 배제하는데 있다.
냉각제 캡슐(14)은 이 캡슐이 결합될 때 음료챔버(12)의 요입부(20)내에 안치되어 그 벽에 실질적으로 밀착될 수 있게 되어 있다. 냉각제 캡슐이 음료용기의 요입부에 삽입 안치됨으로서 챔버사이의 간극, 즉 단열공간이 최소화되어 안치된 챔버사이의 물리적인 접촉이 최대화될 수 있다. 챔버사이의 열전달효과를 높이기 위하여 이들 사이의 영역은 열전도성 에폭시 또는 윤활제와 같은 열전도성 물질(30)이 채워질 수 있다.
캡슐(14)은 하이드로플루오로카본(HFCs), 이산화탄소 또는 기타 액상 냉각제와 같은 액체형태의 사전에 결정된 양의 냉각제가 압력하에 수용될 수 있게 되어 있는 내부 냉각제 영역(32)을 포함한다.
음료용기의 내벽에 의하여 형성된 액체영역은 냉각될 음료가 이에 수용되며 통상적으로 다이컷트된 당김탭장치(34)를 통하여 수요자가 접근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냉각작동요소(22)와 음료챔버 및 냉각제 캡슐의 저면사이의 분산영역(24)은 음료챔버의 저면에 형성된 방출공(28)을 통하여 대기압에 노출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용기내의 음료를 냉각시키는 작동에 있어서, 냉각작동요소(22)는 천공요소가 냉각제 캡슐(14)의 포트(19)를 천공하기 위하여 용기의 상측을 향하여 회전된다. 캡슐로부터 방출되고 대기압에 노출될 때 냉각제는 포트를 통하여 신속히 증발되고 분산영역(24)으로 팽창되고, 여기에서 감속되면서 열을 흡수한다. 냉각제 캡슐(14)과 음료용기(12)의 돔형 저면벽(18)은 냉각제 증기의 증발과 단열팽창의 냉각효과로 전도에 의하여 냉각된다. 이로써 용기내의 음료는 열전도에 의하여 냉각된다.
냉각제 증기가 방출되는 속도는 냉각의 효율을 조절하며, 포트(19)의 직경, 분산영역(24)의 체적, 분산영역을 둘러싸고 있는 표면적과, 방출공(28)의 크기에 따라 결정된다.
음료용기의 요입부내에 냉각제 챔버가 안치되는 구성은 여러 이점은 제공할 수 있다. 첫째로, 별도의 냉각제 챔버가 음료수용 챔버와는 독립적으로 제조되고 충전되어 보관됨으로서 제조상 다양화가 이루어지고 경제적인 이점이 있다. 둘째로, 별도의 냉각제 챔버가 최종 검사확인되고 충전된 음료용기에, 필요한 경우 음료가 용기내에서 저온살균처리된 후에 도입될 수 있어 냉각제가 최종적으로 소비되지 않은 용기내에 충전되지 않도록 한다. 세째로, 별도의 냉각제 챔버가 새로운 음료용기에 재사용될 수 있어 용기의 단위 코스트를 낮출 수 있도록 한다. 네째로, 냉각제와 음료챔버는 비유사물질로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음료챔버의 물질은 알루미늄과 스틸로 제조되는 반면에 냉각제 챔버는 열전도성 물질로 제조될 수 있다. 냉각제 챔버를 플라스틱 물질로 제조하는 경우 금속을 인발하거나 판금 또는 충격압출하는 것과 같은 금속의 전통적인 가공대신에 비교적 비용이 적게 드는 사출 성형방법으로 챔버를 제조할 수 있도록 한다. 다섯째로, 이중벽구조를 형성토록 안치되는 두개의 별도 챔버를 이용함으로서 가압된 냉각제를 용입함에 있어 비용효과가 유리하다. 비교적 얇은 두 인접한 벽의 조합된 강도는 두꺼운 것만큼 강하고 비용이 적게 소요되는 단일벽구조의 이점을 갖는다. 여섯째로, 음료챔버와 냉각제 챔버의 근접한 배치와 이들사이의 간극에 열전도성 물질이 충전되는 경우 이들사이에 단열간극이 존재하지 않아 이들사이의 열전달특성이 우수하다. 안치되게 배치된 두 챔버의 벽은 열적으로나 구조적으로 단일벽의 효과를 갖는다. 일곱째로, 음료 및 냉각제 챔버의 무봉합구조는 용기내의 음료가 용기의 내부 봉합부에서 코팅되지 않은 금속과 같은 음료용기의 부분과 화학적으로 반응할 가능성을 배제한다. 용기내의 음료는 어느 정도 부식성을 가지므로 용기의 코팅되지 않은 내면과 음료사이의 화학반응이 음료의 맛과 품질에 좋지 않은 영향을 줄 것이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그 특징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에도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단순히 설명을 위한 것이지 어떠한 제한을 두고자 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앞서의 설명보다는 첨부된 청구범위에서 한정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있어서는 청구범위와 동일한 의미나 범위에 속하는 모든 변경실시형태를 포함한다.

Claims (13)

  1. 내부에 액체영역을 형성하는 벽을 갖는 제 1 챔버, 내부에 냉각제 영역을 형성하는 벽을 갖는 제 2 챔버와, 상기 제 2 챔버의 냉각제가 상기 제 1 챔버의 액체를 냉각시키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자체 냉각형 액체용기에 있어서, 상기 제 1 챔버가 상기 제 1 챔버로부터 상기 액체영역으로 부분적으로 연장된 요입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챔버가 상기 제 1 챔버의 상기 요입부내에 안치결합될 수 있게 되어 있으며, 상기 제 2 챔버가 상기 제 1 챔버의 상기 요입부에 대하여 분리 및 교체될 수 있게 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자체 냉각형 액체용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챔버의 냉각제가 상기 제 1 챔버의 액체를 냉각시키기 위한 상기 수단이 제 1 및 제 2 챔버에 인접하여 분산영역을 형성하기 위한 수단과, 상기 제 2 챔버의 상기 냉각제 영역으로부터 상기 분산영역으로 유로를 선택적으로 형성하기 위한 냉각작동수단을 포함하는 냉각제 분산조립체로 구성되며, 상기 분산영역은 폐쇄형으로 상기 용기의 외측으로 방출공이 형성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자체 냉각형 액체용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분산영역이 상기 냉각제 영역에 인접하고 이로부터 상기 냉각제 영역의 상기 벽의 결합부에 의하여 분리된 제 1 부분과, 상기 액체영역에 인접하고 이로부터 상기 액체영역의 상기 벽의 결합부에 의하여 분리된 제 2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분산영역과 상기 액체영역이 상기 액체영역의 상기 벽의 상기 결합부를 통하여 열적으로 결합되며, 상기 제 1 챔버의 상기 냉각제 영역으로부터 상기 분산영역으로의 상기 유로가 상기 냉각제 영역의 상기 벽의 상기 결합부를 통하여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체 냉각형 액체용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챔버가 가압물질을 수용하고 상기 가압물질을 상기 분산영역으로 방출할 수 있게 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자체 냉각형 액체용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챔버가 상기 가압물질이 주입 및 방출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포트를 갖는 캡슐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체 냉각형 액체용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작동수단이 상기 냉각제 분산영역내에서 상기 제 2 챔버와 선택적으로 결합될 수 있게 되어 있고, 상기 냉각작동수단이 제 2 챔버에 결함됨으로서 상기 포트가 상기 제 2 챔버로부터 상기 가압물질이 방출될 수 있도록 개봉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체 냉각형 액체용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챔버가 상기 가압물질이 이로부터 방출된 후 재사용될 수 있게 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자체 냉각형 액체용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챔버의 상기 요입부가 상기 제 1 챔버 및 상기 용기의 기본 축선을 따라 연장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체 냉각형 액체용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챔버와 상기 제 1 챔버의 상기 요입부가 동일한 크기와 형상이고, 상기 제 2 챔버의 벽이 상기 제 2 챔버가 상기 제 1 챔버의 상기 요입부에 결합될 때 상기 제 1 챔버의 상기 요입부의 벽내에 접하여 안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체 냉각형 액체용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챔버의 벽과 상기 제 1 챔버의 상기 요입부가 상기 제 1 챔버의 상기 요입부로부터 상기 제 2 챔버의 삽입 및 분리가 용이하도록 상기 기본 축선으로부터 공칭각도 θ로 경사짐을 특징으로 하는 자체 냉각형 액체용기.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공칭각도 θ가 1°이상임을 특징으로 하는 자체 냉각형 액체용기.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챔버의 벽과 상기 제 1 챔버의 상기 요입부의 벽사이의 영역이 열전도성 물질로 채워짐을 특징으로 하는 자체 냉각형 액체용기.
  13. 내부에 액체영역을 형성하기 위한 벽을 갖는 제 1 챔버, 내부에 냉각제 영역을 형성하기 위한 벽을 갖는 제 2 챔버와, 제 1 및 제 2 챔버에 인접하여 분산영역을 형성하기 위한 수단을 갖는 냉각제 분산조립체를 포함하고, 상기 분산영역이 상기 냉각제 영역에 인접하고 이로부터 상기 냉각제 영역의 상기 벽의 결합부에 의하여 분리된 제 1 부분과, 상기 액체영역에 인접하고 이로부터 상기 액체영역의 상기 벽의 결합부에 의하여 분리된 제 2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분산영역과 상기 액체영역이 상기 액체영역의 상기 벽의 상기 결합부를 통하여 열적으로 결합되며, 상기 분산영역은 폐쇄형으로 상기 용기의 외측으로 방출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냉각제 영역의 상기 벽의 상기 결합부를 통하여 상기 제 2 챔버의 상기 냉각제 영역으로부터 상기 분산영역으로 유로를 선택적으로 형성하기 위한 냉각작동수단이 구성된 자체 냉각형 액체용기에 있어서, 상기 제 1 챔버가 상기 제 1 챔버로부터 상기 액체영역으로 부분적으로 연장된 요입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챔버가 상기 제 1 챔버의 상기 요입부내에 안치결합될 수 있게 되어 있으며, 상기 제 2 챔버가 상기 제 1 챔버의 상기 요입부에 대하여 분리 및 교체될 수 있게 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자체 냉각형 액체용기.
KR1020007006228A 1997-12-08 1998-12-07 안치형 냉각제 및 액체챔버를 갖는 자체 냉각형 액체용기 KR2001003289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8/986,740 1997-12-08
US08/986,740 US5943875A (en) 1997-12-08 1997-12-08 Self-cooling fluid container with nested refrigerant and fluid chambers
PCT/IB1998/001948 WO1999030092A1 (en) 1997-12-08 1998-12-07 Self-cooling fluid container with nested refrigerant and fluid chamber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32895A true KR20010032895A (ko) 2001-04-25

Family

ID=255327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7006228A KR20010032895A (ko) 1997-12-08 1998-12-07 안치형 냉각제 및 액체챔버를 갖는 자체 냉각형 액체용기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5943875A (ko)
EP (1) EP1038144A4 (ko)
JP (1) JP2001526375A (ko)
KR (1) KR20010032895A (ko)
CN (1) CN1233578A (ko)
AU (1) AU1255499A (ko)
BR (1) BR9814264A (ko)
CA (1) CA2313476C (ko)
TW (1) TW524962B (ko)
WO (1) WO1999030092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98321A (ko) * 2015-12-22 2018-09-03 쿠키 게엠베하 음료 용기 내의 음료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및 음료 물품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25649A (en) * 1999-02-10 2000-10-03 Chill-Can International, Inc. Heat exchanger unit with conductive discs
FR2810021B1 (fr) * 2000-06-13 2004-05-21 Thermagen Emballage de boisson auto-refrigerant
US6962149B2 (en) * 2001-05-02 2005-11-08 Expressasia.Com Snd. Bhd. Insertable thermotic module for self-heating can
US7004161B2 (en) 2001-05-02 2006-02-28 Expressasia Berhad Insertable thermotic module for self-heating cans
KR20030008637A (ko) * 2001-07-19 2003-01-29 황익현 자체 냉각기능을 갖는 용기
FR2832495B1 (fr) * 2001-11-16 2004-02-20 Thermagen Echangeur thermique
FR2832325B1 (fr) * 2001-11-16 2004-09-10 Thermagen Dispositif separateur d'etat liquide-gaz
US6789393B2 (en) * 2002-02-11 2004-09-14 S.C. Johnson Home Storage, Inc. Container with pressure relief and lid and method of manufacture therefor
US6923017B2 (en) * 2002-02-11 2005-08-02 S.C. Johnson Home Storage, Inc. Cooling container having a coolant and pressure relief apparatus
US6931885B2 (en) * 2003-03-14 2005-08-23 Andrew Citrynell Drinking vessels with removable cooling devices
US6758058B1 (en) * 2003-03-14 2004-07-06 Andrew Citrynell Removable cooling device and integrated vessels
US20050103739A1 (en) * 2003-11-14 2005-05-19 Brown Kent S. Beverage container with detachable reusable heat transfer cartridge
US20060118103A1 (en) * 2004-12-02 2006-06-08 Schreff H Joshua Self-contained temperature-change container assemblies
US20070090077A1 (en) * 2005-10-03 2007-04-26 Graber Loren R Container arrangement
US20100078010A1 (en) * 2007-05-03 2010-04-01 Kolb Kenneth W Insertable Thermotic Module for Self-Heating Can
US7770410B2 (en) * 2007-06-07 2010-08-10 Cote Scott E Beverage cooler and method
EA201070729A1 (ru) * 2007-12-18 2010-12-30 Сальстром Инновейшн Аб Крышка для герметизации открытого конца цилиндрического сосуда для напитков, сосуд,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крышки и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сосуда
EA022570B1 (ru) * 2008-12-09 2016-01-29 Карлсберг Брюириз А/С Самоохлаждающийся контейнер и охлажда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JP4679645B2 (ja) * 2009-01-19 2011-04-27 イトシア株式会社 ウォーターサーバー
US20120298675A1 (en) * 2011-05-27 2012-11-29 Archie Jr Willard Nelson Beverage container with heating or cooling insert and method of making same
ITSS20120001A1 (it) * 2012-01-18 2013-07-19 Stefania Civilla Bottiglia autorefrigerante in alluminio con cilindro interno a campana unico blocco.
US20150204602A1 (en) * 2012-10-15 2015-07-23 Joseph Company International, Inc. Heat exchange unit for self-cooling beverage container
US20150153088A1 (en) * 2013-12-01 2015-06-04 Yong Keun KIM Cooling Utensil for Anti Freezing Crack or Distortion
PL230809B1 (pl) * 2013-12-31 2018-12-31 Henkell & Co Polska Spólka Z Ograniczona Odpowiedzialnoscia Złożone opakowanie funkcjonalne do przechowywania produktów płynnych, w szczególności alkoholi
KR20160147850A (ko) * 2014-04-30 2016-12-23 조셉 컴퍼니 인터내셔널, 인크. 액체 이산화탄소를 사용하는 열교환 장치를 가진 자냉식 음료용기
US10443904B2 (en) * 2015-10-23 2019-10-15 Patrick Alan Tatom Device for cooling substances
GB2610544B (en) 2018-11-17 2023-07-05 Ceres Chill Co Vessel for breast milk collection, preservation, transportation, and delivery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513015A (fr) * 1916-07-29 1921-02-05 Theodore Dory Sterne Procédé mécano-chimique pour la production instantanée du froid et de la chaleur dans des récipients hermétiquement fermés
US3460555A (en) * 1965-01-21 1969-08-12 Reynolds Metals Co Pressure regulator construction
US3373581A (en) * 1966-08-31 1968-03-19 Wray Jr John Robert Container arrangement with coolant therein
US3726106A (en) * 1970-01-07 1973-04-10 W Jaeger Self-refrigerating and heating food containers and method for same
US3696633A (en) * 1970-12-21 1972-10-10 Evan D Mills Container cooling device
US4584848A (en) * 1983-11-03 1986-04-29 Barnett Eugene R Container
US4802343A (en) * 1987-07-01 1989-02-07 The Coca-Cola Company Self-cooling container
US5214933A (en) * 1992-01-29 1993-06-01 Envirochill International Ltd. Self-cooling fluid container
EG20382A (en) * 1993-10-07 1999-02-28 Envirochill Int Ltd Self cooling fluid container
US5609038A (en) * 1995-08-22 1997-03-11 Halimi; Edward M. Self-chilling beverage container and parts therefo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98321A (ko) * 2015-12-22 2018-09-03 쿠키 게엠베하 음료 용기 내의 음료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및 음료 물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038144A4 (en) 2001-02-28
CA2313476C (en) 2006-09-12
WO1999030092A1 (en) 1999-06-17
CA2313476A1 (en) 1999-06-17
CN1233578A (zh) 1999-11-03
EP1038144A1 (en) 2000-09-27
AU1255499A (en) 1999-06-28
US5943875A (en) 1999-08-31
TW524962B (en) 2003-03-21
BR9814264A (pt) 2001-10-09
JP2001526375A (ja) 2001-1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0032895A (ko) 안치형 냉각제 및 액체챔버를 갖는 자체 냉각형 액체용기
KR100264826B1 (ko) 자체냉각액체용기
US5394703A (en) Self-chilling food or beverage container
US5655384A (en) Self-cooling container including liner member
US6170283B1 (en) Self-cooling beverage and food container and manufacturing method
US5555741A (en) Self-cooling fluid container with integral refrigerant chamber
US5606866A (en) Heat exchange unit for self-cooling beverage containers
US5765385A (en) Self-cooling beverage container
KR20010101529A (ko) 자기-냉각 및 자기-가열식 식품 또는 음료 용기의 저면에열교환 유닛 및 밸브를 부착시키는 장치 및 방법
US5692391A (en) Self chilling beverage container
US20020134091A1 (en) Portable liquid cooler
WO1998001364A1 (en) Sealed liquid container
MXPA00005673A (en) Self-cooling fluid container with nested refrigerant and fluid chambers
KR200226868Y1 (ko) 자가냉각용기
AU694191B2 (en) A self-chilling food or beverage container
KR200233707Y1 (ko) 캔용냉각장치
MXPA99008831A (en) Self-cooling beverage and food container and manufacturing method
MXPA97009124A (en) Container for beverages and foods of natural cooling and manufacturing method of mi
KR20020037924A (ko) 자가냉각용기
KR19990007571A (ko) 캔음료의 자체 냉각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