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08637A - 자체 냉각기능을 갖는 용기 - Google Patents

자체 냉각기능을 갖는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08637A
KR20030008637A KR1020010043473A KR20010043473A KR20030008637A KR 20030008637 A KR20030008637 A KR 20030008637A KR 1020010043473 A KR1020010043473 A KR 1020010043473A KR 20010043473 A KR20010043473 A KR 20010043473A KR 20030008637 A KR20030008637 A KR 200300086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rigerant
container
hole
coolant
cylin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434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익현
Original Assignee
황익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익현 filed Critical 황익현
Priority to KR10200100434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08637A/ko
Publication of KR200300086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08637A/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3/00Devices using other cold materials; Devices using cold-storage bodies
    • F25D3/10Devices using other cold materials; Devices using cold-storage bodies using liquefied gases, e.g. liquid air
    • F25D3/107Devices using other cold materials; Devices using cold-storage bodies using liquefied gases, e.g. liquid air portable, i.e. adapted to be carried personal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31/00Othe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 F25D31/002Liquid coolers, e.g. beverage cooler
    • F25D31/003Liquid coolers, e.g. beverage cooler with immersed cooling ele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31/00Details or arrangements of othe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31/80Type of cooled receptacles
    • F25D2331/803Bott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31/00Details or arrangements of othe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31/80Type of cooled receptacles
    • F25D2331/805C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맥주나 청량음료를 담기 위한 용기의 측면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홀을 형성시키고 그 홀에 착탈 가능하게 구성된 냉매통을 결합시킨 것으로, 필요시 냉매통에 충입된 냉매가스를 홀의 내부를 향하여 분사시켜 그 분사된 냉매가 홀 내부의 측벽을 냉각시킨 후 외부로 유출되도록 한 자체 냉각기능을 갖는 용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분사된 냉매가스의 홀 내 체류시간을 연장시켜 냉매의 기화현상으로 인한 냉각 효율을 최대화하여 적은 냉매를 사용하여 용기에 내장된 내용물을 적정 온도로 냉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고, 또한 용기와 냉각수단인 냉매통이 분리되도록 함으로써 냉각이 필요한 때에는 결합하여 사용하고 사용 후에는 냉각통은 분리하여 재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전체적인 제조비용을 현저히 절감시킬 수 있고, 용기의 재활용을 위한 가공 시 냉매통에 잔존하는 냉매로 인한 폭발사고 위험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자체 냉각기능을 갖는 용기{Container having self-cooling function}
본 발명은 맥주 등과 같이 차게 하여 마셔야 하는 청량음료를 별도의 냉각시설을 사용하지 않고 적정온도로 냉각시킬 수 있도록 자체 냉각기능을 갖는 용기에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맥주나 청량음료를 담기 위한 용기의 측면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홀을 형성시키고 그 홀에 착탈 가능하게 구성된 냉매통을 결합시킨 것으로, 필요시 냉매통에 충입된 냉매가스를 홀의 내부를 향하여 분사시켜 그 분사된 냉매가 홀 내부의 측벽을 냉각시킨 후 외부로 유출되도록 함으로써 짧은 시간 동안에 용기에 내장된 음료를 적정온도로 냉각시킬 수 있도록 한 자체 냉각기능을 갖는 용기에 관한 것이다.
맥주 등과 같이 차게 하여 마시는 것이 좋은 음료는 주로 알루미늄이나 유리병 또는 플라스틱과 같은 재질로 된 용기에 내장되어 판매되고 있는데, 이러한 재질의 용기는 내용물의 보존성이 탁월하여 장기간 보관이 가능하고, 무게가 가벼워 운반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열전도성이 뛰어나 냉장고에 보관하는 경우 신속히 냉각될 수 있다는 장점들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재질의 용기에 내장된 음료를 냉장고로부터 꺼내어 마시는 경우에, 최초 얼마동안은 음료가 차가운 상태를 유지하나, 일정 시간이 지난 후에는 그 음료의 온도가 대기의 온도와 비슷하게 되어 청량감을 상실하게 된다. 따라서, 냉장고와 같은 냉장시설이 있는 곳에서는 이러한 용기에 내장된 음료를 차게 하여 마시는데 문제가 없으나, 냉장시설이 없는 곳에서는 (여행이나 등산을 가는 경우 등) 이러한 음료를 차게 하여 마실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냉장시설이 없는 곳으로 이동하는 경우에, 청량음료를 아이스박스 등과 같은 보냉수단에 보관할 수도 있겠으나, 이러한 보냉수단이 음료의 냉각 상태를 장시간 유지시킬 수 있는 것도 아니고, 또한 이러한 보냉 수단은 부피가 크고 무겁기 때문에 등산이나 여행과 같이 이동하여야 하는 경우 휴대하기에 많은 불편함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별도의 외부 냉장시설 없이 언제든지 차가운 음료를 마실 수 있는 방안에 대하여 그동안 많은 연구가 행해졌으며, 그 중에서도, 용기의 내부에 냉매가 주입된 냉각수단을 설치하여 필요시 상기 냉각수단에 주입된 냉매를 외부로 방출시킴으로써 그 방출되는 냉매의 기화현상을 이용하여 상기 용기 내부의 내용물을 냉각시키는 기술에 대하여 많은 연구가 행해져 왔다.
냉매의 기화현상을 이용하는 종래의 캔 냉각기술로서 한국에 출원 또는 등록된 것으로는, 특허등록 제284015호, 특허공개 제1999-7570호, 특허공개 제2000-517호, 특허공개 제2000-54493호, 특허등록 제276023호 등이 있다. 위 종래 기술들에서 용기에 내장된 음료를 냉각하는 방법은 용기에 장착된 냉각수단의 냉매통에 냉매를 충입시켜 두었다가 필요시 그 냉매를 외부로 분사시키는 것으로, 이때 냉매가스의 기화현상으로 냉매통이 냉각되고, 그러한 냉각작용이 용기의 내용물에 전달되어 결과적으로 캔의 내용물을 냉각시키는 것이다.
위 종래의 기술들은 모두 냉각수단인 냉매통이 용기에 일체가 되도록 설치되는 것을 전제로 한 것이다. 그러나, 냉각통은 고압(약 30기압)을 견딜 수 있도록 튼튼하게 제조되어야 하는데, 이러한 냉매통을 용기에 일체가 되도록 설치하는 것은 그 제조에 비용이 많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고압을 견딜 수 있도록 충분히 튼튼하지 않으면 운반이나 사용 중에 폭발할 위험성이 있고, 또한 용기를 한번 사용 후에는 그것에 장착된 냉각수단도 함께 폐기 처분하여야 하기 때문에 자원 낭비의 문제점도 있다.
냉매의 기화현상은 고압으로 압축된 액상의 냉매가 좁은 노즐 구멍을 통하여 외부로 분사될 때 부피가 급격히 팽창되면서 기화되는 현상을 일컫는 것이다. 이러한, 냉매의 기화에는 상당한 양의 열이 필요하고 그 열은 주위로부터 공급받을 수밖에 없기 때문에, 결국 기화현상은 주위의 온도를 급격히 강하시키는 결과를 초래한다. 일반적으로, 기화현상이 일어날 때, 기화에 필요한 열은 주로 냉매를 보관하는 냉매통과 냉매가 분출되는 외부 대기로부터 공급을 받게된다.
그러나, 위 종래 기술들은 모두 냉매를 직접 외부대기로 분사하는 것으로, 냉매통 외부로 분사된 냉매의 온도 강하효과는 전혀 이용하지 못하고, 냉매통의 온도강하효과만을 이용하여 용기에 내장된 내용물의 온도를 강하시키려는 것에 치중한 것이므로, 그 냉각효율이 매우 낮다. 따라서, 위 종래 기술들을 사용하여 캔 내용물의 온도를 적정하게 강하시키기 위해서는 많은 량의 냉매가 필요하고, 그러한 냉매를 보관하기 위해서는 큰 냉매통을 용기에 장착하여야 하는데, 그러한 점들을 고려하면, 위 종래 기술들은 실용화되기 어려운 것들이라 하겠다.
더욱이, 위 종래 기술들을 적용한 용기들은, 사용 후 재활용함에 있어서, 내부에 장착된 냉각통의 냉매가 완전히 방출되지 않은 경우에는 가공할 때에 냉각수단에 잔존하는 냉매에 의한 폭발사고의 위험성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소하고자 창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용기와 냉각수단을 분리, 제조함으로써, 전체적인 제조비용을 현저히 절감할 뿐만 아니라, 냉각수단의 안정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게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분사된 냉매가스의 용기의 홀 내 체류시간을 연장시켜 냉매의 기화현상으로 초래되는 냉각의 효율을 최대화함으로써, 적은 냉매를 사용하여 용기에 내장된 내용물을 적정 온도로 냉각시킬 수 있게 하고 그 결과, 용기에 장착된 냉각수단의 크기를 최소한으로 줄일 수 있도록 하여 제품의 실용화를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용기와 냉각수단을 분리, 제조하여, 필요시 결합하여 사용하고, 사용 후에는 냉각수단만을 분리하여 재사용할 수 있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사용 후 용기로부터 냉각수단을 분리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용기의 재활용을 위한 가공 시 냉각수단에 잔존하는 냉매로 인한 폭발사고 위험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자체 냉각기능을 갖는 용기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자체 냉각기능을 갖는 용기 결합 단면도,
도 3a 및 도 3d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의 사시도,
도 4a 및 도 4d는 본 발명의 냉매통의 다양한 실시 예의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 : 용기 11 : 홀
12 : 스톱퍼 13 : 익편삽입홀
20 : 냉매통 21 : 냉매공급밸브
22 : 냉매배출밸브 23 : 버튼
24 : 손잡이 25 : 공간부
26 : 익편 S : 공간
본 발명은 맥주나 청량음료를 담기 위한 용기의 측면에 그 용기의 내부로 향하도록 소정 깊이의 홀이 하나 또는 둘 이상 형성되고, 상기 홀에는 냉매분출밸브가 설치된 냉매통이 상기 홀로부터 결합 및 인출되게 장착되며, 상기 홀과 냉매통 사이에는 냉매를 수용하는 소정 크기의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홀의 입구 또는 냉매통의 끝단에는 냉매가 외부로 유출되는 냉매유출로가 형성되어, 상기 냉매분출밸브로부터 분출되는 냉매가 상기 공간에 일정시간 체류되어 용기의 내용물을 냉각시킨 후 외부로 배출되도록 구성된 것이다.
본 발명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용기(10)의 내장된 내용물을 냉장고 등과 같은 냉장 시설을 이용하지 않고 자체 냉각하여 시원하게 마실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용기(10)의 일측(용기가 캔인 경우, 바람직하게는, 용기의 상면 또는 하면 중 선택된 일면)에 용기(10)의 내부로 향하여 소정의 깊이를 갖는 홀(11)을 형성시키고, 냉매의 충입 및 배출을 위한 각각의 밸브(21,22)가 형성된 냉매통(20)을 그 홀(11)에 결합시킨 것이다.
이때 상기 용기(10)의 홀(11)의 깊이와 직경은 냉매통(20)의 직경과 길이를 감안하여 냉매통(20)을 적절히 수용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고, 상기 홀(11)의 입구 측에는 냉매통(20)을 홀(11)에 결합한 후 그 냉매통(20)이 홀(11)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냉매통(20)의 하단부를 지지하는 스톱퍼(1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스톱퍼(12)는 탄성력을 갖는 탄성편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냉매통(20)이 홀(11)에 결합될 때는 일차 압축되었다가 결합이 완료되면 압축력이 해제되면서 냉매통(20)의 후단부를 견고하고 안전하게 지지해주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냉매통(20)의 후단에는 냉매통(20)의 인출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손잡이(24)를 설치할 수도 있다.
한편, 도 3c 및 3d에서 보듯이, 용기(10)의 홀(11) 내주면에는 익편 삽입홀(13)을 형성시켜 냉매통(20)에 형성된 익편(26)이 수용, 삽입될 수 있도록 하였다. 익편 삽입홀(13)을 형성시킨 이유는 냉매통(20)과 홀(11)의 내주면이 접하는 면과, 방출된 냉매와 홀(11)의 내주면이 접하는 면적을 가능한 한 크게 함으로써, 냉매가 냉매분출밸브(22)로부터 분사되어 기화될 때에 용기(10)의 내용물로부터 열을 효율적으로 빼앗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용기(10)에 형성된 홀(11)은 도 3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용기(10)의 저면에서부터 내부를 향하여 소정의 깊이로 형성시킬 수도 있고, 도 3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용기(10)의 상면에서부터 내부를 향하여 소정의 깊이로 형성시킬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는 둘 이상의 홀을 형성시킬 수도 있다. 한편, 대부분의 음료의 용기에는 상면에 음료 유출구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위생적인 면을 고려할 때, 도 3a와 같이 용기(10)의 저면에서부터 내부를 향하여 홀을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으나, 2피스로 제조되는 알루미늄캔의 경우에는, 제조공정의 단순화 및 제조비용 절감 등을 고려한다면, 용기(10)의 상면에 음료 유출구와 홀(11)을 동시에 형성시키는 것이 오히려 현실적일 수 있다.
홀(11)의 깊이와 크기는 용기(10)를 이루는 자재, 내장되는 음료의 종류 및 사용되는 냉매에 따라 조금씩 달라질 수 있으나, 어느 경우이든, 용기에 내장되는 음료의 양이 줄어드는 정도와, 냉매의 효율적인 냉각효과를 감안하여 정하면 된다. 그러나, 냉매의 냉각효율을 감안하면, 홀(11)의 깊이는 용기(10) 높이의 1/4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홀(11)의 깊이가 용기(10) 높이의 1/4에 미달하면 냉매의 냉각효과가 용기(10) 내부의 음료수 전체에 전달될 때 발생하는 대류현상이 활발히 일어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이다.
냉매통(20)의 크기는 용기에 저장되는 내용물의 양을 기준으로 정할 수 있다. 내용물이 물인 경우를 상정하면, 물 1㏄의 온도를 1℃ 상승시키기 위해서는 1㎈가 필요하고, 냉매 1㏄가 기화하는데 필요로 하는 열량은 프로판가스나 부탄가스를 냉매로 사용하는 경우 약 100㎈이므로, 이러한 비열공식으로부터 계산하면, 필요한 냉매의 양을 정할 수 있고, 냉매의 양이 정해지면 그것을 보관할 냉매통의 크기를 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약 360㏄의 물을 20℃에서 7℃(냉장고의 일반적인 내부 온도)로 냉각시키고자 하는 경우에 방출되어야 할 열량은 약 4680㎈ (360×13)이므로, 냉매를 사용하여 이러한 열량을 소모시키기 위해서는 약 47㏄ (4680÷100)의 냉매가 필요하게 된다. 이러한 양의 냉매를 보관하기 위한 통으로는, 지름이 3㎝인 원통형을 상정하면 그 길이가 약 7㎝가 될 것이다.
물론, 냉각효율을 고려하면 상기 계산치보다 많은 양의 냉매를 보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일차 냉매를 충전하여 수 차례 사용할 것을 예상하는 경우에는 냉매통(20)을 그에 따라 크게 만들어 둘 수도 있다.
용기(10)의 홀(11)에 장착되는 냉매통(20)에는, 도 2에서 보듯이, 냉매공급원으로부터 냉매가 공급받아 충입할 수 있는 냉매공급밸브(21)가 형성되고, 다른 일면에는 냉매통(20)에 충입된 냉매를 외부로 분출하는 냉매분출밸브(22)가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는 일회용 냉매통을 사용할 수도 있으며, 일회용 냉매통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냉매통에 냉매공급밸브를 설치할 필요가 없으며, 냉매분출밸브(22)만 설치하면 된다.
도 4a 내지 도 4d에서 보듯이, 냉매통(20)의 외부에는 익편(26)을 형성시킬 수도 있으며, 익편을 형성시키는 경우에는 홀(11)에도 이에 상응하게 익편 삽입홀(13)을 형성시켜야 한다. 전술하였듯이, 익편 삽입홀(13)은 냉매통(20)과홀(11)의 내주면이 접하는 면과, 방출된 냉매와 홀(11)의 내주면이 접하는 면적을 가능한 한 크게 함으로써, 냉매의 기화 시에 용기(10)의 내용물로부터 열을 효율적으로 빼앗기 위하기 형성되는 것인데, 이러한 익편(26)은, 도 4d에서와 같이 냉매통(20)의 외부 상단에서부터 하단에 이르기까지 일체로 된 것과, 도 4a 또는 도 4b에서와 같이 용기(10)의 하부에만 형성된 것을 사용할 수도 있고, 도 4c에서와 같이 용기(10)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분리 형성된 것을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냉매통(20)에 익편을 반드시 형성시켜야 하는 것은 아니고, 용기의 형상 등을 고려하여 익편을 형성시키지 않을 수도 있다. 그러나, 익편(26)을 형성시키는 경우에 있어서, 익편(26)의 내부는 냉매통(20)에 수용된 냉매가 통하는 공간부(25)가 형성되어 있도록 하여, 냉매 분출시 냉매통의 냉각효과가 익편(26)에까지 미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냉매통(20)의 일면에 형성된 냉매분출밸브(22)는 버튼(23)을 설치하여 사용할 수도 있고 냉매분출밸브(22) 그 상태 그대로 사용할 수도 있는데, 상기 버튼(23)을 설치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는 냉매분출밸브(22)의 개폐가 더욱 용이하다. 그 이유는 냉매분출밸브(22)가 열리기 위해서는 냉매통(20)을 홀(11)에 장착한 상태에서 상기 냉매통(20)을 홀(11)측으로 소정의 압을 가하게 되면 버튼(23)이 홀(11)의 내면과 접촉되면서 눌리게되어 냉매분출밸브(22)가 열리게 되는 바, 상기 눌림력이 버튼을 설치했을 때가 좋기 때문이다.
냉매통(20)에 형성된 냉매공급밸브(21)는 통상의 것으로 라이타 등에 설치된 가스주입밸브와 동일한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냉매공급원으로부터 냉매를 공급받을 수 있는 것이라면 어느 것이든지 사용할 수 있다. 냉매통(20)에 냉매를 공급하고자 할 때에는 냉매공급원에 형성된 가스분출노즐을 상기 냉매공급밸브(21)에 결합한 상태에서 냉매통(20)측으로 일정 압력을 가하면 냉매공급원 내의 냉매가 냉매통(20)내로 충입되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냉매통에 충입되고 분출되는 냉매로는 부탄가스, 이산화탄소, 액화질소, 액화산소, 후레온가스, 또는 기타 환경친화적인 냉매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하였듯이, 맥주나 기타 청량음료가 내장된 용기를, 별도의 냉장시설을 사용하지 않고, 간단한 조작으로 자체 냉각시킬 수 있는 기능을 갖는 용기에 관한 것인바, 그 자체 냉각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냉매통(20)의 냉매공급밸브(21)를 통하여 냉매를 냉매통(20)에 충입한 후 그 냉매가 충입된 냉매통(20)을 용기(10)의 홀(11)에 결합하여 냉매통(20)의 후단부가 스톱퍼(12)에 의하여 지지되어 홀(11)에 끼워진 상태가 되도록 한다. 이때 냉매가 미리 충입되어 있는 일회용 냉매통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별도의 냉매충입 과정이 불필요하다.
냉매통이(20)이 홀(11)에 끼워진 상태에서, 용기(10)의 내용물을 냉각시키고자 할 때에는 냉매통(20)에 일정 압력을 가하여 용기(10)의 홀(11) 방향으로 민다. 그러면 냉매통(20)은 홀(11) 내부로 밀려들어가면서 냉매분출밸브(22)에 설치된 버튼(23)이 홀(11)의 내면에 접촉되며 눌리게 되고, 그렇게 되면 냉매분출밸브(22)가 열림과 동시에 냉매통(20) 내의 냉매가 홀(11)내부로 분출되어 홀(11)과 냉매통(20) 사이의 공간(S)을 급속 냉각시키게 된다. 그리고, 냉매의 분출에 따라냉각통(20)도 냉각되게 되는데, 냉각통(20)이 일정부위는 홀(11)의 내주면과 접해 있기 때문에, 냉각통(20)의 냉각효과는 그 접촉면을 통하여 홀(11)의 내주면으로 전달된다. 이와 같이 하여, 홀(11)의 내주면이 냉각되면 그 냉기가 용기(10) 내의 내용물에 전달되어, 그 결과 용기(10) 내의 내용물이 냉각되어진다.
냉매분출밸브(22)에서 분출되는 냉매의 분출 양은 용기(10)내의 내용물이 식음자가 원하는 만큼 냉각될 때까지이므로, 사용자가 임의로 그 양을 조절할 수 있다. 즉, 냉매통(20)을 홀(11) 방향으로 미는 것을 멈추면 냉매의 분출은 멈추게된다. 냉매분출밸브(22)에 장착된 형성된 버튼(23)은 어느 정도 탄성을 갖는 것이기 때문에, 냉매통(20)을 미는 것을 멈추는 순간 냉매통(20)이 뒤로 물러나면서 버튼(23)을 원위치하게 되면서 냉매의 분출을 멈추게 되는 것이다. 물론, 위에서 언급된 방법이외에 냉매통(20)의 냉매분출밸브(22) 쪽으로 탄성편을 설치할 수도 있고, 홀(11)의 입측에 이중의 걸림턱을 두는 등, 약간의 변화를 가하면 다양한 방법으로 냉매분출 및 그 분출의 중지를 조정할 수 있다.
냉매통으로부터 분출된 냉매는 냉매통(20) 자체에 형성되거나, 홀(11)과 냉매통(20) 사이의 틈새 형상으로 형성된 냉매유출로(w)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이때 유출로(w)는 냉매가 홀(11)에서 충분히 기화된 후에 외부로 유출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야 하기 때문에, 냉매가 분출되는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에 형성되어져 있다.
상기와 같이하여 용기(10)내의 내용물이 냉각 완료되어 그 내용물을 음용하면, 냉매통(20)은 홀(11)로부터 인출하여 별도 보관하고, 빈 용기는 재활용 수거함등에 버리면 된다. 냉매통(20)은 냉매공급밸브(21)를 통하여 냉매를 충입한 후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재사용하면 된다.
본 발명은 용기와 냉각수단을 분리하여 제조하여, 필요시 결합하여 사용하고, 일차 사용 후에는 냉각수단만을 분리하여 재사용할 수 있게 함으로써, 전체적인 제조비용을 현저히 절감할 수 있고, 분사된 냉매가스의 용기의 홀 내 체류시간을 연장시켜 냉매의 기화현상으로 초래되는 냉각의 효율을 최대화함으로써, 적은 냉매를 사용하여 용기에 내장된 내용물을 적정 온도로 냉각시킬 수 있게 하는 것이고, 사용 후 용기로부터 냉각수단을 분리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용기의 재활용을 위한 가공 시 냉각수단에 잔존하는 냉매로 인한 폭발사고 위험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그 실용성 및 안정성이 아주 우수한 유용한 것이라 하겠다.
한편, 본 발명은 주로 알루미늄캔으로 된 용기에 적용되어 질 것이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스텐레스스틸이나 유리 등의 다양한 재질로 된 용기에도 적용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그 구성에 있어서도, 본 발명의 기본적인 구성을 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형되어 사용되어질 수 있는 것이므로, 이 업계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에 기초하여 용이하게 변형 사용할 수 있는 사항들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라 함이 마땅하다.

Claims (17)

  1. 용기의 측면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홀이 용기의 내부로 향하도록 소정 깊이로 형성되고, 상기 홀에는 냉매분출밸브가 설치된 냉매통이 상기 홀로부터 결합 및 인출되게 장착되며, 상기 홀과 냉매통 사이에는 냉매를 수용하는 소정 크기의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홀의 입구 또는 냉매통의 끝단에는 상기 공간의 냉매가 외부로 유출되는 냉매유출로가 형성되어, 상기 냉매분출밸브로부터 분출되는 냉매가 상기 공간에 일정시간 체류한 후 외부로 배출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체 냉각기능을 갖는 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홀의 길이는 상기 용기의 길이의 1/4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체 냉각기능을 갖는 용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냉매통은 그 일측에 냉매공급밸브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체 냉각기능을 갖는 용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냉매통에는 한 개 이상의 익편이 형성되고, 상기 홀에는 상기 냉매통의 익편을 수용할 수 있는 익편수용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체 냉각기능을 갖는 용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익편의 내부에는 냉매를 수용하는 수용부가 형성되며 상기 익편의 외부에는 냉매를 외부로 유출하는 냉매유출로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체 냉각기능을 갖는 용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냉매분출밸브에는 그 밸브와 연결 설치되어 밸브를 개폐시키는 버튼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체 냉각기능을 갖는 용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의 홀 입구에는 냉매통을 홀에 결합 후 그 냉매통이 홀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스톱퍼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체 냉각기능을 갖는 용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스톱퍼는 소정의 탄성력을 갖는 탄성편임을 특징으로 하는 자체 냉각기능을 갖는 용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통은 냉매분출밸브가 상기 홀의 내부를 향하도록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체 냉각기능을 갖는 용기.
  10. 냉매의 외부 분사에 따른 기화현상을 이용하여 용기에 내장된 내용물을 냉각시키기 위한 것으로, 냉매통을 수용, 장착할 수 있도록 소정의 형상으로 된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홀이 그 용기의 외측에서 내부를 향하도록 형성된 용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의 홀 입구 내 측에는 냉매통이 홀에 결합된 홀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스톱퍼가 한 개 이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용기.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의 홀 외주면에는 한 개 이상의 익편 삽입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체 냉각기능을 갖는 용기.
  13. 냉매의 분출에 따른 기화현상을 이용하여 용기에 내장된 내용물을 냉각시키기 위한 것으로, 용기의 외면 일 측에 형성된 홀에 결합 및 인출될 수 있도록 소정의 형상을 이루며, 일 측에 냉매를 분출하는 냉매분출밸브가 형성된 냉매통.
  14. 제13항에 있어서, 다른 일 측에 냉매 공급수단으로부터 냉매를 공급받을 수 있는 냉매공급밸브가 형성된 냉매통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냉매통에 한 개 이상의 익편이 형성되고 그 익편의 내부에는 냉매를 수용하는 수용부가 형성되며 상기 익편의 외부에는 냉매를 외부로 유출하는 냉매유출로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매통.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익편은 냉매통의 상단에서부터 하단에 이르기까지 일체로 형성되거나 또는 분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매통.
  17.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냉매분출밸브에는 그 밸브와 연결 설치되어 밸브를 개폐시키는 버튼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매통.
KR1020010043473A 2001-07-19 2001-07-19 자체 냉각기능을 갖는 용기 KR2003000863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3473A KR20030008637A (ko) 2001-07-19 2001-07-19 자체 냉각기능을 갖는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3473A KR20030008637A (ko) 2001-07-19 2001-07-19 자체 냉각기능을 갖는 용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21974U Division KR200251778Y1 (ko) 2001-07-20 2001-07-20 자체 냉각기능을 갖는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08637A true KR20030008637A (ko) 2003-01-29

Family

ID=277157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43473A KR20030008637A (ko) 2001-07-19 2001-07-19 자체 냉각기능을 갖는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08637A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84848A (en) * 1983-11-03 1986-04-29 Barnett Eugene R Container
JPS62150374U (ko) * 1986-03-17 1987-09-24
US5214933A (en) * 1992-01-29 1993-06-01 Envirochill International Ltd. Self-cooling fluid container
US5943875A (en) * 1997-12-08 1999-08-31 Envirochill International, Ltd. Self-cooling fluid container with nested refrigerant and fluid chambers
KR20000000517A (ko) * 1998-05-23 2000-01-15 김경희 자체 냉각 기능을 갖는 냉각캔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84848A (en) * 1983-11-03 1986-04-29 Barnett Eugene R Container
JPS62150374U (ko) * 1986-03-17 1987-09-24
US5214933A (en) * 1992-01-29 1993-06-01 Envirochill International Ltd. Self-cooling fluid container
US5943875A (en) * 1997-12-08 1999-08-31 Envirochill International, Ltd. Self-cooling fluid container with nested refrigerant and fluid chambers
KR20000000517A (ko) * 1998-05-23 2000-01-15 김경희 자체 냉각 기능을 갖는 냉각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67877A (en) Baby bottle with recessed bottom for the removable receipt of a cold substance
US20130233866A1 (en) Cool Cup
US20120193366A1 (en) Flexible Foam Beverage Holder
WO1998051977A3 (en) Portable self-contained cooler/freezer
KR200251778Y1 (ko) 자체 냉각기능을 갖는 용기
KR20030008637A (ko) 자체 냉각기능을 갖는 용기
US20020134091A1 (en) Portable liquid cooler
KR100930045B1 (ko) 음료용 냉각컵
US10059501B2 (en) Penetrating bottle with high heat transfer rate
WO2014166867A1 (en) A system for externally cooling a beverage holder and a method of externally cooling a beverage holder
KR100241495B1 (ko) 음료수를 냉각시키기 위한 휴대용 냉각봉
KR200438989Y1 (ko) 냉각컵용 냉매체
KR100746820B1 (ko) 냉각용기
AU2010227392A1 (en) Device for rapidly refrigerating drinks
KR20080114457A (ko) 음료수보냉용 얼음통
KR200285175Y1 (ko) 음료용기의 순간 냉각장치
AU2015101774A4 (en) Drinks Cooler - A Cylinder cask that has a plastic ice pack at its base that screws off and can be frozen and reattached to keep drinks cool all day, when traveling or picnicking. A reusable ice puck base that can act as a bottle chiller when casks have been used and discarded.
KR200401585Y1 (ko) 냉장용기
KR200256485Y1 (ko) 자가 냉각 캔
KR100284015B1 (ko) 자체냉각기능을갖는음료용캔및그제조방법
KR100545099B1 (ko) 냉각 주머니가 내장된 파우치 팩
KR20100010249U (ko) 휴대용냉매충진식냉각용기
KR200300266Y1 (ko) 자가 냉각 캔
KR200240743Y1 (ko) 냉각용기
JP3093780U (ja) 冷却機能構造を有する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