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96499B1 - 냉각통이내장된음료수용캔 - Google Patents

냉각통이내장된음료수용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96499B1
KR100296499B1 KR1019980034065A KR19980034065A KR100296499B1 KR 100296499 B1 KR100296499 B1 KR 100296499B1 KR 1019980034065 A KR1019980034065 A KR 1019980034065A KR 19980034065 A KR19980034065 A KR 19980034065A KR 100296499 B1 KR100296499 B1 KR 1002964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verage
upper cover
cooling
lid
han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340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14577A (ko
Inventor
서원길
Original Assignee
서원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원길 filed Critical 서원길
Priority to KR10199800340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96499B1/ko
Publication of KR200000145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45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964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96499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02Internal fit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7/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 B65D17/28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at lines or points of weakness
    • B65D17/401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at lines or points of weakness characterised by having the line of weakness provided in an end wall
    • B65D17/4012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at lines or points of weakness characterised by having the line of weakness provided in an end wall for opening partially by means of a tearing tab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7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edible or potable liquids, semiliquids, or plastic or pasty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7/00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piercing or tearing of wall portions, e.g. preserving cans or tins
    • B65D2517/0001Details
    • B65D2517/001Action for opening container
    • B65D2517/0014Action for opening container pivot tab and push-down tear pan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Abstract

냉각통이 내장된 음료수용 캔이 개시된다. 상기 냉각통이 내장된 음료수용 캔은 상부에 뚜껑이 형성된 상부덮개가 장착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위치하고, 그 내부에 냉매가스가 저장되는 냉각통, 상기 냉각통의 내부에 장착되며, 상기 냉매가스를 상기 냉각통의 외부로 분출시켜서 상기 케이스에 저장된 음료수를 냉각시키기 위하여 상기 냉각통을 개폐하는 개폐 부재, 그리고 상기 케이스의 상부덮개의 상면에 장착되어 상기 뚜껑을 개방시키고 상기 개폐부재를 작동시키는 손잡이부로 구성된다. 상기 냉각통이 내장된 음료수용 캔은 냉매가스를 음료수에 직접 용해시키므로써 음료수를 급속하게 냉각시키고, 음료수에 탄산맛을 첨가하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냉각통이 내장된 음료수용 캔{BEVERAGE CAN HAVING A COOLING TANK THEREIN}
본 고안은 냉각통이 내장된 음료용 캔에 관한 것이며, 보다 자세하게는 음료수용 캔의 손잡이를 개방하였을 때, 음료수용 캔의 내부에 압축 저장된 냉각통이 개방되어, 냉매가스가 분출되므로써 기화열에 의하여 음료수가 냉각되고, 또한 음료수의 신선도를 높이는 냉각장치가 내장된 음료수용 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료수는 음료수용 캔에 저장되어 냉장고나 아이스박스와 같은 냉각장치에 저온의 상태로 보관되므로써 항상 시원한 상태로 마실수 있다. 그러나, 야외에서는 상기의 냉장고나 아이스박스와 같은 냉각장치를 소지하는 것이 어려우므로, 시원한 음료수를 마시는데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여러 종류의 냉각장치가 고안되었다.
도1 에는 "냉각수단이 내장된 음료수용 캔"이라는 명칭으로 출원된 대한민국 특허 출원 제96-3379호가 개시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음료용 캔(100)은 상부부재(110), 본체(120) 및 바닥부재(130)로 이루어지는 3피스 음료수용 캔에 있어서, 냉매실(140)을 갖고 그 중앙하부에는 냉매가 주입되고 방출되는 구멍(150)이 형성되고 한쌍의 결합돌기(162, 164)에 의하여 바닥부재(130)와 결합되는 냉매실 본체(190), 상기 냉매실 본체(190)를 결합하고 중앙부가 둥근 형태로 그 중심부에 냉매가 분출되는 구멍이 형성되고 그 구멍을 차단하기 위하여 금속 접착 테이프(168)가 부착된 바닥부재(130) 및 용접부재에서 상기 바닥부재(130)와 용접되고 상기 구멍(166)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금속 접착테이프(168)를 천공하기 위한 핀(170)이 일체로 형성된 외부캡(180)으로 구성된다.
상기 한쌍의 결합돌기(162, 164)가 상기 바닥 부재(130)에 형성된 한쌍의 구멍에 삽입되어 용접에 의하여 상기 바닥 부재(130)와 상기 냉매실 본체(190)가 결합된다. 상기 외부캡(180)은 그 중심부에 상기 금속 접착 테이프(168)를 천공하기 위한 핀(170)이 일체로 형성되고 복수개의 저부구멍과 복수개의 측부구멍이 형성된다.
상기 음료용 캔(100)을 개방할 때, 상기 외부캡(180)을 누르면 상기 외부캡(180)에 일체로 형성된 핀(170)이 상부로 이동하고, 상기 핀(170)은 상기 금속접착 테이프(168)를 천공한다. 따라서, 상기 냉매실(140)에 저장된 냉매가 외부로 분출되고 상기 음료용 캔(190)은 저온의 상태로 된다. 따라서, 신선한 상태의 음료수를 마실 수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냉각장치는 냉매가 음료용 캔의 외부로 분출되므로 상기 음료수용 캔의 내부에 저장된 음료수가 단시간에 냉각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음료수용 캔의 손잡이를 개방하였을 때, 냉매가스가 저장된 냉각통이 개방되어, 냉매가스, 바람직하게는 CO₂가스가 분출되므로써 기화열에 의하여 음료수가 단시간에 냉각되고, 또한 탄산가스가 음료수에 직접 용해되므로써 음료수에 탄산맛을 첨가하는 냉각장치가 내장된 음료수용 캔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1 은 종래의 냉각장치가 구비된 음료용 캔을 도시한 사시도.
도2 는 본 발명에 따른 냉각통이 내장된 음료수용 캔을 도시한 사시도.
도3 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냉각통이 내장된 음료수용 캔의 냉매가스가 분출되기전 상태를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 측면도.
도4 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냉각통이 내장된 음료수용 캔의 냉매가스가 분출되는 상태를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 측면도.
도5 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냉각통이 구비된 음료수용 캔의 측면을 보여 주는 측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310 : 상부덮개 350 : 뚜껑
317 : 홀 320 : 하부덮개
330 : 케이스 332 : 냉매가스
340 : 손잡이부 346 : 제1 리벳
352 : 제2 리벳 360 : 냉각통
370 : 연결축 393 : 밀봉부재
396 : 분사포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상부에 뚜껑이 형성된 상부덮개가 장착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위치하고, 그 내부에 냉매가스가 저장되는 냉각통, 상기 냉각통의 내부에 장착되며, 상기 냉매가스를 상기 냉각통의 외부로 분출시켜서 상기 케이스에 저장된 음료수를 냉각시키기 위하여 상기 냉각통을 개폐하는 개폐 부재, 그리고 상기 케이스의 상부덮개의 상면에 장착되어 상기 뚜껑을 개방시키고 상기 개폐부재를 작동시키는 손잡이부로 구성되는 냉각통이 내장된 음료수용 캔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냉각통의 저면에는 분사포트가 형성된다. 상기 손잡이부는 제1 단부는 상기 상부덮개를 관통하는 제1 연결부재에 의하여 상기 상부덮개에 고정되며, 상기 제1 단부의 반대방향에 위치하는 제2 단부는 상기 뚜껑의 상면에 접촉하며, 상기 제1 및 제2 단부의 중간에 위치하는 중간부는 상기 케이스의 상부덮개에 제2 연결부재에 의하여 일체로 부착된다. 상기 상부덮개의 상기 제1 연결부재가 관통되는 위치에는 노치부가 형성되므로써, 상기 손잡이를 상향으로 당길 때 상기 제1 연결부재가 용이하게 상기 상부덮개로부터 분리된다. 상기 제1 및 제2 연결부재는 리벳으로 구성된다. 상기 개폐부재는 제1 단부는 상기 케이스의 저면의 상기 제1 연결부재에 부착되므로써 상기 손잡이부에 연결되고, 상기 제1 단부의 반대방향에 위치하는 제2 단부에는 상기 냉각통의 분사포트에 결합되는 밀봉부재가 장착된 연결축을 포함하며, 상기 손잡이를 1 차적으로 상향으로 당길 때, 상기 연결축이 상향으로 당겨지므로써 상기 밀봉부재가 상기 분사포트로부터 분리되어 상기 냉매가스를 분사하고, 상기 손잡이를 2 차적으로 상향으로 당길 때, 상기 제2 단부가 하향으로 상기 뚜껑을 누르므로써 상기 뚜껑을 개방한다. 상기 밀봉부재는 고무성분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냉각통이 내장된 음료수용 캔의 제2 실시예가 제공된다. 상기 냉각통이 내장된 음료수용 캔은 상부에 뚜껑이 형성되며, 상부에 뚜껑이 형성된 상부덮개가 위치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내저면에 부착되고, 그 내부에 냉매가스가 저장되는 냉각통, 상기 냉각통의 내부에 형성되어, 상기 냉각통을 개폐하므로써, 상기 냉매가스를 상기 냉각통의 외부로 분출시키는 개폐부재, 상기 케이스의 상부덮개의 상면에 장착되어 상기 뚜껑을 개방시키고 상기 개폐부재를 작동시키는 손잡이부로 구성된다.
상기 개폐부재는 제1 단부는 상기 손잡이부가 위치하는 상기 상부덮개의 저면에 부착되고, 상기 제1 단부의 반대방향에 위치하는 제2 단부는 뽀족한 형상의 침이 형성된 축을 포함한다. 상기 손잡이부는 제1 단부는 상기 상부덮개의 상기 축이 부착된 부분에 접촉하고, 상기 제1 단부의 반대방향에 위치하는 상기 2 단부는 상기 뚜껑의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제1 및 제2 단부의 중간에 위치하는 중간부는 상기 상부덮개의 상면에 일체로 부착되며, 상기 손잡이의 제1 단부를 1 차적으로 하향으로 누를 때, 상기 상부덮개가 하향으로 눌려지므로써, 상기 축이 상기 냉각통의 저면을 관통하여 분사포트를 형성하고, 상기 제2 단부를 상향으로 당기므로써 상기 뚜껑을 하향으로 개방시킨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실시예 1
도2 는 본 발명에 따른 냉각장치가 구비된 음료수용 캔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시된바와같이, 상기 음료수용 캔(300)은 상부에 뚜껑(350)이 장착된 상부덮개(310)가 장착되는 케이스(330), 상기 뚜껑(350)을 개방하는 손잡이부(340), 상기 본체(330)의 내부에 장착되며 그 저면에 분사포트(도시안됨)가 형성되고, 그 내부에 냉매가스가 저장되는 냉각통(360), 그리고 상기 손잡이부(340)에 연결되어 상기 분사포트(도시안됨)를 개폐하여 상기 냉매가스를 분출하므로써 음료수를 냉각시키는 연결축(도시안됨)으로 구성된다.
도3 은 본 발명에 따른 냉각통이 구비된 음료수용 캔의 냉매가스 분출전 상태를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 측면도이고, 도4 는 본 발명에 따른 냉각통이 구비된 음료수용 캔의 냉매가스가 분출되는 상태를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 측면도이다.
도시된바와같이, 상기 냉각통(360)이 구비된 음료수용 캔(300)은 그 상부에뚜껑(350)이 형성된 상부덮개(310)가 장착되는 케이스(330;도2), 상기 케이스(330;도2)의 내부에 장착되며, 그 내부에 냉매가스(332)가 저장되고, 그 저면에 분사포트(396)가 형성되어, 상기 분사포트(396)를 통하여 상기 냉매가스(332)가 분출되는 냉각통(360), 상향으로 당겨질 때 상기 뚜껑(350)을 개방하는 손잡이부(340), 그리고 상기 손접이부(340)의 동작에 의하여 상기 분사포트(396)를 개방하는 연결축(370)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손잡이부(340)를 상향으로 당길 때, 상기 연결축(370)이 상향으로 이동하므로써, 상기 분사포트(396)를 개방하여 상기 냉매가스(332)를 분출하여 음료수를 냉각시킨다.
상기 손잡이부(340)는 제1 측(344)은 상기 제1 리벳(346)에 의하여 상기 상부덮개(310)의 상면에 부착되고, 상기 제1 측(344)의 반대방향에 위치한 제2 측(342)은 상기 뚜껑(350)의 상면에 접촉된다, 상기 제1 및 제2 측(344,342)의 중간에 위치하는 중간부는 상기 상부덮개(310)를 관통하는 제2 리벳(352)에 의하여 상기 상부덮개(310)의 상면에 고정된다, 상기 상부덮개(310)의 상면의 상기 제1 리벳(346)의 주위에는 노치부(315)가 원형으로 형성되므로써, 상기 손잡이부(340)를 상향으로 당길 때 상기 상부덮개(310)로부터 용이하게 파열된다.
상기 냉각통(360)은 상기 케이스(330)의 상부덮개(310)의 저면에 용접에 의하여 장착된다. 상기 냉각통(360)의 저면에는 그 중심방향으로 하향으로 경사지고, 그 중심부에는 원추형 형상의 분사포트(396)가 형성된다. 상기 냉매가스(332)는 상기 분사포트(396)를 통하여 상기 냉각통(360)의 외부로 분출되어 음료수에 용해된다.
상기 연결축(370)은 제1 단부(374)는 상기 손잡이부(340)를 관통하는 제1 리벳(346)의 저부에 연결되고 제2 단부(372)에는 밀봉부재(393)가 끼워져 상기 분사포트(396)에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노치부(315)가 파열될 때, 상기 연결축(370)도 상향으로 이동하게된다.
상기 밀봉부재(393)는 원추형의 형상을 가지며 고무성분이디, 상기 밀봉부재(393)의 중심에는 맹공(397;Blind hole)이 형성되며, 상기 맹공(397)에는 상기 연결축(370)의 제2 단부(372)가 끼워진다. 상기 밀봉부재(393)는 상기 냉각통(360)의 분사포트(396)에 결합된다. 상기 냉각통(360)의 내부에는 상기 냉매가스(332)가 소정압력으로 충진되어 있으므로, 상기 밀봉부재(393)의 상면에도 소정압력이 작용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밀봉부재(393)는 상기 분사포트(396)를 효과적으로 밀폐할 수 있다. 상기 연결축(370)이 상향으로 이동할 때 상기 밀봉부재(393)도 상향으로 이동하게 되어 상기 분사포트(396)를 개방하므로써 냉매가스가 상기 냉각장치(360)의 외부로 분출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음료용 캔의 작용 및 효과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4 에 도시된바와 같이, 사용자가 1 차적으로 상기 손잡이부(340)를 상향으로 당기면 상기 제1 리벳(346)의 저면에 부착된 상기 연결축(370)이 상향으로 당겨지게 된다. 이때, 상기 제1 리벳(346)의 주위에는 노치부(315)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노치부(315)에 외력이 집중된다. 따라서, 상기 노치부(315)가 파열되어 상기 상부덮개(310)로부터 분리된다. 이때, 상기 연결축(370)의 밀봉부재(393)는 상기 분사포트(396)에 결합되어 상기 냉각통(360)을 밀폐하는 제1 위치로부터 상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분사포트(396)를 개방하는 제2 위치까지 상향이동한다.
따라서, 상기 분사포트(396)가 개방되고, 상기 냉각통(360)의 내부에 소정압력으로 저장된 냉매가스(332), 바람직하게는 Co₂가 상기 분사포트(396)를 통하여 분출된다. 상기 냉각통(360)의 내부에 소정압력으로 충전되어있는 상기 Co₂가스는 액상상태이므로, 보다 적은 압력상태인 상기 냉각통(360)의 외부로 분출되면서 기화한다. 따라서, 상기 음료수용 캔의 주위의 열을 흡수하여 음료수를 급속히 냉각시키게 된다. 게다가, 상기 냉각장치(360)의 분사포트(396)를 원추형으로 형성하므로써, 상기 냉매가스(332)의 분출을 보다 용이하게 하여 음료수의 냉각효과가 보다 증가한다.
상기 손잡이부(340)를 한번 더 상향으로 당기면 상기 손잡이부(340)의 제2 측(342)은 상기 뚜껑(350)의 상면에 접촉하여 상기 뚜껑(350)을 하방으로 누르게 된다.
이때, 상기 뚜껑(350)의 주변에는 노치부(314)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외력이 상기 노치부(314)에 집중되고, 상기 뚜껑(350)이 상기 상부덮개(310)로부터 용이하게 분리되어 홀(312)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음료수용 캔의 내부에 저장된 음료수는 상기 홀(312)을 통하여 외부로 유출된다.
실시예2
도5 에는 본 발명에 따른 냉각통이 내장된 음료수용 캔의 제2 실시예가 도시된다. 도시된바와 같이, 상기 음료수용 캔(400)은 뚜껑(429)이 형성된 상부덮개(410)가 상부에 장착되는 케이스(330;도2), 상기 상부덮개(410)의 상면에 장착된 손잡이부(420), 상기 케이스(330;도2)의 내부에 장착되고, 그 내부에 냉매가스(440)가 저장되는 냉각통(430), 상기 상부덮개(410)의 저면에 부착되어 상기 냉각통(430)의 내부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냉각통(430)의 저면을 파열시키므로써, 상기 냉매가스(440)를 분출시키는 축부재(432)로 구성된다.
상기 상부덮개(410)에는 음료수가 유출되는 뚜껑(429)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상부덮개(410)는 알루미늄성분이므로, 상기 상부덮개(410)를 하방으로 누르면 상기 상부덮개(410)는 하향으로 탄력적으로 눌려진다.
상기 손잡이부(420)는 상기 상부덮개(410)의 상면에 리벳(422)에 의하여 일체로 고정된다. 상기 손잡이부(420)의 제1 단부(426)는 상기 상부덮개(410)의 상면에 밀착되는 제1 부(421), 상기 제1 부(421)와 일체로 형성되며 그 중심부가 상향 만곡된 제2 부(425), 그리고 상기 제2 부(425)와 일체로 형성되며 그 자유단이 상향으로 절곡되는 제3 부(427)로 구성된다. 상기 제3 부(427)의 중심부는 상기 상부덮개(410)의 소정위치, 즉 상기 축부재(432)가 부착된 위치에 접촉된다. 따라서, 상기 손잡이부(420)의 제1 단부(426)를 하향으로 누를 때, 외력이 상기 제1 단부(426)의 제3 부(427)에 효과적으로 집중되므로써 용이하게 상기 축부재(432)를 하향으로 이동시키고, 결과적으로 상기 냉각통(430)의 저면을 파열시킨다.
상기 냉각통(430)은 상기 상부덮개(410)의 저면에 용접에 의하여 부착된다.상기 냉각통(430)의 저면은 원추형 형상이며, 그 중심부에는 노치부(438)가 원형으로 형성되므로써, 외력이 작용하는 경우 용이하게 파열된다..
상기 축부재(432)의 제1 단부(434)는 상기 상부덮개(410)의 저면에 부착되고, 상기 제2 단부(436)에는 뾰족한 형상의 침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손잡이부(420)를 하향으로 누르므로써 상기 축부재(432)가 하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냉각통(430)의 원추형의 저면에 접촉한다.
상기 냉각통(430)의 저면은 원형의 노치부(438)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축부재(432)의 외력에 의하여 상기 냉각통(430)의 저면으로부터 분리되어 분사포트(439)가 형성된다. 또한, 그 단부가 침형상으로 형성되므로 보다 용이하게 분사포트(439)가 형성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음료수용 캔의 작용 및 효과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5 에 도시된바와 같이, 사용자가 음료수를 냉각시키기 위하여 상기 손잡이부(420)를 하방으로 누른다. 이때, 상기 상부덮개(410)가 하방으로 눌려지고, 상기 상부덮개(410)의 저면에 부착된 축부재(432)가 하방으로 이동하게된다. 상기 축부재(432)의 제2 단부(436)는 상기 냉각통(430)의 저면의 중심부에 접촉하게 된다. 이때, 상기 노치부(438)에 외력이 집중되므로, 상기 중심부가 용이하게 관통된다. 또한, 상기 제2 단부(436)는 침형상이므로 보다 용이하게 상기 중심부를 관통하므로써, 분사포트(439)를 형성한다. 따라서, 상기 냉각통(430)의 내부에 소정압력으로 저장된 상기 냉매가스(440)는 상기 분사포트(439)를 통하여 분출되므로 상기 음료수에 용해된다.
상기 냉매가스(440) 분출 후, 사용자가 상기 손잡이부(420)를 상향으로 당긴다. 상기 손잡이부(420)의 제2 단부(428)는 상기 뚜껑(429)의 상면에 접촉되어 있으므로, 상기 뚜껑(429)을 누르게된다. 따라서, 상기 뚜껑(429)이 하향으로 개방되고, 냉각된 음료수는 상기 케이스(330;도2)의 외부로 유출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음료수용 캔은 냉매가스, 바람직하게는 Co₂가스를 급속하게 분출시키므로써 단시간에 음료수를 저온의 상태로 유지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냉매가스를 음료수에 직접 용해 시키므로써 음료수에 탄산맛을 첨가하는 장점이 있다.
이상,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상세히 기술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술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여러가지 변형 및 변경이 가해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기술한 실시예 또는 도면에만 제한되지 않으며, 그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제한된다.

Claims (10)

  1. (정정)
    상부에 뚜껑이 형성된 상부덮개가 장착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케이스에 저장되는 음료수에 용해되는 냉매가스가 충전되며, 상기 냉매가스를 상기 음료수로 분출시키는 분사포트를 가진 냉각통;
    상기 냉각통의 내부에 장착되며, 상기 음료수를 냉각시키기 위하여 상기 음료수에 대하여 상기 냉각통의 분사포트를 개폐하는 개폐 수단; 그리고
    상기 케이스의 상부덮개의 상면에 장착되어 상기 뚜껑의 개방과 함께 상기 개폐수단을 작동시키는 손잡이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통이 내장된 음료수용 캔.
  2. (삭제)
  3. (정정)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상부덮개를 관통하는 제1 연결부재에 의하여 상기 상부덮개에 고정되는 제1 단부와, 상기 제1 단부의 반대방향에 위치하여 상기 뚜껑의 상면에 접촉하는 제2 단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1 및 제2 단부의 중간에 위치하는 중간부는 상기 케이스의 상부덮개에 제2 연결부재에 의하여 일체로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통이 내장된 음료수용 캔.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덮개의 상기 제1 연결부재가 관통되는 위치에는 노치부가 형성되므로써, 상기 손잡이를 상향으로 당길 때 상기 제1 연결부재가 용이하게 상기 상부덮개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통이 내장된 음료수용 캔.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연결부재는 리벳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통이 내장된 음료수용 캔.
  6. (정정)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수단은 상기 제1 연결부재와 부착에 의해 상기 손잡이부에 연결되는 상기 제1 단부와, 상기 제1 단부의 반대방향에 위치하고 상기 냉각통의 분사포트에 결합되는 밀봉부재가 장착된 연결축을 포함하는 제2 단부를 구비하며, 상기 손잡이를 1 차적으로 상향으로 당길 때, 상기 연결축이 상향으로 당겨지므로써 상기 밀봉부재가 상기 분사포트로부터 분리되어 상기 냉매가스를 분사하고, 상기 손잡이를 2 차적으로 상향으로 당길 때, 상기 제2 단부가 하향으로 상기 뚜껑을 누르므로써 상기 뚜껑을 개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통이 내장된 음료수용 캔.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부재는 고무성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통이 내장된 음료수용 캔.
  8. (정정)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수단은 상기 손잡이부가 위치하는 상기 상부덮개의 저면에 부착되는 제1 단부와, 상기 제1 단부의 반대방향에 위치하고 상기 냉각통의 저면을 파열하기 위한 침이 형성된 축을 포함하는 제2 단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냉각통이 내장된 음료수용 캔.
  9. (정정)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상부덮개의 상기 축이 부착된 부분에 접촉하는 제1 단부와, 상기 제1 단부의 반대방향에서 상기 뚜껑의 상부에 위치하는, 제2 단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1 및 제2 단부의 중간에 위치하는 중간부는 상기 상부덮개의 상면에 일체로 부착되며, 상기 손잡이의 제1 단부를 1 차적으로 하향으로 누를 때, 상기 상부덮개가 하향으로 눌려지므로써, 상기 축이 상기 냉각통의 저면을 관통하여 분사포트를 형성하고, 상기 제2 단부를 상향으로 당기므로써 상기 뚜껑을 하향으로 개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통이 내장된 음료수용 캔.
  10. (삭제)
KR1019980034065A 1998-08-21 1998-08-21 냉각통이내장된음료수용캔 KR1002964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34065A KR100296499B1 (ko) 1998-08-21 1998-08-21 냉각통이내장된음료수용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34065A KR100296499B1 (ko) 1998-08-21 1998-08-21 냉각통이내장된음료수용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4577A KR20000014577A (ko) 2000-03-15
KR100296499B1 true KR100296499B1 (ko) 2001-09-22

Family

ID=195479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34065A KR100296499B1 (ko) 1998-08-21 1998-08-21 냉각통이내장된음료수용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9649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10084A (ko) * 2001-07-25 2003-02-05 황익현 자체 냉각기능의 구조를 갖는 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4577A (ko) 2000-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02343A (en) Self-cooling container
US5692381A (en) Apparatus for chilling fluids
CA2149631C (en) Carbonated beverage container and method of manufacture therefor
US4669273A (en) Self-cooling beverage container
KR100264826B1 (ko) 자체냉각액체용기
US4526730A (en) Home carbonating apparatus
US5943875A (en) Self-cooling fluid container with nested refrigerant and fluid chambers
US4656838A (en) Cooling device for a can containing a beverage
KR100296499B1 (ko) 냉각통이내장된음료수용캔
US6530235B2 (en) Self-chilling portable beverage container assembly, and method
EP0642448A1 (en) Inserts for drinks containers
US6173579B1 (en) Sealed liquid container
KR0177381B1 (ko) 냉각수단이 내장된 음료용 캔
KR200173385Y1 (ko) 휴대용 탄산가스 주입기
AU601439B2 (en) Cooling assembly for a beverage can or like container
KR890000111Y1 (ko) 음료 냉각장치
KR0177382B1 (ko) 냉각수단이 내장된 음료용 캔
KR200233706Y1 (ko) 캔용냉각장치
KR200245327Y1 (ko) 역류방지기능을 구비한 자가냉각용기
KR200231415Y1 (ko) 음료용 캔의 내부에 구비되는 냉매용기
KR200173366Y1 (ko) 안전밸브가 장착된 싸이펀 장치 및 휘핑 장치
KR100240197B1 (ko) 냉각수단이 내장된 음료용 캔
KR200226868Y1 (ko) 자가냉각용기
KR200233707Y1 (ko) 캔용냉각장치
KR100307868B1 (ko) 냉매유출 조절용 밸브 조립체를 구비하는 자가 냉각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510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