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7576Y1 - 김밥 성형기 - Google Patents

김밥 성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7576Y1
KR200227576Y1 KR2020000035495U KR20000035495U KR200227576Y1 KR 200227576 Y1 KR200227576 Y1 KR 200227576Y1 KR 2020000035495 U KR2020000035495 U KR 2020000035495U KR 20000035495 U KR20000035495 U KR 20000035495U KR 200227576 Y1 KR200227576 Y1 KR 20022757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imbap
mold
molding machine
present
mo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3549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석곤
Original Assignee
김석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석곤 filed Critical 김석곤
Priority to KR202000003549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757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757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7576Y1/ko

Links

Landscapes

  • Formation And Processing Of Food Products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김밥성형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김으로 밥을 말 수 있도록 다양한 형태 즉, 사각형 또는 삼각형등의 모양으로 형성된 성형틀에서 김밥을 말은 후에 먹기 좋도록 일정한 크기에 맞추어 칼로 절단한 다음 성형틀의 내부에 있는 김밥을 보다 간편하게 빼낼 수 있도록 한 김밥성형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구성은 김밥성형기(1)에 있어서, 김밥을 담을 수 있는 성형틀(2)과, 상기 성형틀(2)에는 일정한 간격을 두고 칼을 삽입할 수 있도록 하부면까지 형성된 칼 삽입홈(3)과, 상기 성형틀(2)의 저면에는 절결홈(4)에 의해탄성작용을 하는 다수의 누름판(5)과, 상기 성형틀(2)내로 김밥을 압착하기 위한 압착판(6)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밥성형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Description

김밥 성형기{.}
본 고안은 김밥성형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김으로 밥을 말 수 있도록 다양한 형태 즉, 사각형 또는 삼각형등의 모양으로 형성된 성형틀에서 김밥을 말은 후에 먹기 좋도록 일정한 크기에 맞추어 칼로 절단한 다음 성형틀의 내부에 있는 김밥을 보다 간편하게 빼낼 수 있도록 한 김밥성형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종래에 보편화 되어 있는 김밥말이는 대나무를 엮어서 만든 김밥말이가 있었고, 또 합성수재의 사출로 이루어진 반원형 요입부에 투명비닐을 깔고 그 위에 김과 밥을 놓고 반원커버를 덮은 후에 투명비닐을 당겨 봉형으로 둥글게 김밥을 말 수 있도록 한 김밥권취구가 있었으나, 이는 김밥을 봉형으로만 말 수 있는 단점이있었던 것이다.
그리하여 김밥을 다양한 모양 즉, 사각형이나 하트등의 모양을 내어 시각적인 미감과 호기심을 갖도록 하기 위해 1998년 공개실용신안공보에 개제된 공개번호제56375호의 김밥제조기를 개발하여 다양한 형태의 김밥을 말 수 있도록 하였지만,상기와 같은 김밥제조기는 다양한 형태의 김밥을 성형하기 위한 제조기내에서 말려진 김밥을 빼내려면 받침판에 끼워지는 성형틀을 받침판에서 분리한후 성형틀내에있는 김밥을 일일이 손으로 하나씩 빼내어야만 하는 불편이 있었던 것이다.
또 상기 김밥제조기는 김밥을 여러가지 모양으로 만들 수 있는 반면, 초밥도함께 만들 수 있도록 하여 그 구조가 매우 복잡하였던 것이다. 즉, 김밥을 여러가지의 형태로 말 수 있는 각각의 성형틀과 또 초밥을 만들 수 있는 성형틀 및 이들을 안착할 수 있는 넓은 받침판 그리고 김밥이나 초밥을 누르기 위한 누름판 들이 한조로 이루어져 있었기때문에 부속품도 많아 보관하기가 매우 불편하였고, 사용시에도 여러가지 모양을 하고 있는 받침판이 독립적이지 않고 다같이 함께 형성되어 있어 크기가 크기때문에 작업에 불편이 많았던 것이다.
또 말려진 김밥을 절단하더라도 성형기에 형성된 칼 삽입공이 성형기의 하부바닥까지 형성되어 있지 않아 김밥의 하부는 절단이 안되게 되어 손으로 뜯어내야하는 문제점도 발생하였던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폐단을 해결하고자 개량 안출한 것으로, 상기 종래와같은 여러가지의 구조를 함께하고 있는 김밥제조기와는 다르게 독립된 하나의 모양만 성형할 수 있는 김밥성형기를 형성하여 구조를 간편하게 함으로써 사용이 편리하도록 함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성형기에 칼 삽입공을 형성하여 놓으므로써 성형된 김밥을 먹기에 알맞는 크기로 김밥의 하부까지 절단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또 한편으로 본 고안은 상기 김밥성형기의 성형틀내에서 성형된 김밥을 손으로 하나씩 빼내지 않고도 저면에 형성된 누름판만 누르게 되면 성형틀 내의 김밥이손쉽고도 간편하게 성형틀의 외부로 빠질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저면을 나타낸 저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
1. 김밥 성형기 2. 성형틀
3. 칼 삽입홈 4. 절결홈
5. 누름판 6. 압착판
7. 단턱
상기와 같은 목적을 같는 본 고안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도 1의 사시도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김밥성형기(1)에 있어서, 김밥을 담을 수 있는 성형틀(2)과, 상기 성형틀(2)에는 일정한 간격을 두고 칼을 삽입할 수 있도록 하부면까지 형성된 칼 삽입홈(3)과, 상기 성형틀(2)의 저면에는 절결홈(4)에 의해 탄성작용을 하는 다수의 누름판(5)과, 상기 성형틀(2)내로 김밥을압착하기 위한 압착판(6)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밥성형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도면을 통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은 것이다.
본 고안은 먼저 김밥을 성형할 수 있는 김밥성형기(1)를 제조하는데, 이때 김밥의 모양을 사각형으로 만들고 싶으면 김밥성형기를 도 1과 같이 사각형의 형태로 제조하고, 또 삼각형으로 제조하고 싶으면 삼각형으로 제조하면 되는 것이다.
이때 본 고안의 김밥성형기(1)는 하나의 모양에 하나의 김밥성형기(1)가 독립적으로 형성되는 것이다. 따라서 수요자는 김밥모양에 따라서 자유롭게 선택하여 김밥성형기(1)를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서로 다른 모양을 구입하면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본 고안의 김밥성형기(1)를 이용해서 밥을 김으로 말아 김밥을만들고자 할때에는 먼저 도 1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본 고안의 김밥성형기(1)를 이루고 있는 사각형의 성형틀(2) 내부로 김을 넣은후, 상기 김 위로 밥을 얹혀 놓고상기 밥위에 다시 각종의 메뉴, 즉 단무지, 오뎅, 시금치등을 넣는다. 그리고다시 상기 메뉴위에 밥을 덮고 김을 말은후 압착판(6)으로 김밥을 눌러서 김밥내부가 단단하게 형성하도록 한다. 그러면 김밥은 사각형으로 완성이 되는 것이다.
이때 성형틀(2)의 내부에 있는 김밥을 무작정 압착판(6)으로 누르게 되면 김밥이 터지거나 성형틀(2)이 벌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성형틀(2)의 내측으로압착판(6)이 더이상 내려가지 못하도록 단턱(7)을 형성하여 김밥이 알맞게 눌려지도록 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김밥이 성형틀(2)의 내부에서 만들어진 다음에는 상기 성형틀(2)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형성된 칼 삽입홈(3)으로 칼을 삽입하여 김밥을 절단하게 되면 사각형의 모양으로 먹을 수 있도록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김밥을 절단한 다음에 상기 성형틀(2)에서 김밥을 빼내고자 할때에는 상기 성형틀(2)의 저면에 절결홈(4)에 의해 탄성작용을 갖도록 형성된 누름판(5)을 눌러주게 되면 성형틀(2)의 내부에 있던 김밥이 성형틀(2)의 밖으로 빠지게 되는 것이다.
상기 성형틀(2)에서 김밥이 외부로 빠진 다음에는 상기 누름판(6)은 탄성작용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되는 것이다.
상기 본 고안은 김밥성형기(1)를 사각틀로 형성한 것에 대하여 예를 들어 설명하였지만, 이것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삼각형등 다양한 형태의 김밥성형기로서 저면에 누름판을 형성할 수 있는 것이라면 모두 적용이 가능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본 고안은 김밥성형기를 다양한 형태의 모양으로 각각 하나의 독립된 성형틀을 만들 수 있도록 되어 있어, 그 구조가 간단하여 크기가 적기때문에 사용자가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 또 김밥을 여러가지 모양으로 성형틀내에서 만든후에도 저면의 누름판에 의해 성형틀 밖으로 손쉽게 빼낼 수 있으므로사용이 편리한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김밥성형기(1)에 있어서,
    김밥을 담을 수 있는 성형틀(2)과,
    상기 성형틀(2)에는 일정한 간격을 두고 칼을 삽입할 수 있도록 하부면까지형성된 칼 삽입홈(3)과,
    상기 성형틀(2)의 저면에는 절결홈(4)에 의해 탄성작용을 하는 다수의 누름판(5)과,
    상기 성형틀(2)내로 김밥을 압착하기 위한 압착판(6)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밥성형기.
KR2020000035495U 2000-12-18 2000-12-18 김밥 성형기 KR20022757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5495U KR200227576Y1 (ko) 2000-12-18 2000-12-18 김밥 성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5495U KR200227576Y1 (ko) 2000-12-18 2000-12-18 김밥 성형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27576Y1 true KR200227576Y1 (ko) 2001-06-15

Family

ID=730931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35495U KR200227576Y1 (ko) 2000-12-18 2000-12-18 김밥 성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757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0576U (ko) 2018-09-05 2020-03-13 송경원 김밥 성형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0576U (ko) 2018-09-05 2020-03-13 송경원 김밥 성형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D485127S1 (en) Bowl
KR200227576Y1 (ko) 김밥 성형기
CN103006136B (zh) 卷筒纸存取装置
JP3187074U (ja) 巻き寿司用調理器具
KR100803673B1 (ko) 액자도화지첩
USD444613S1 (en) Hollow chocolate candy member with message therein
KR20060011768A (ko) 김밥성형틀 및 그를 사용하여 만든 김밥
JPH04269909A (ja) 刃物収納器具
KR200224485Y1 (ko) 김밥말이 및 김초밥과 초밥 성형 장치
US3498726A (en) Device for attaching a soap cake or the like to an appliance
JP2007131344A (ja) 鏡餅用包装体
KR101117844B1 (ko) 케이크용 다용도 받침대
KR101155254B1 (ko) 김밥 성형틀과 이를 이용한 김밥 제조방법
JP3109812U (ja) カップ付きケーキ型タオル製装飾品
JP2007330130A (ja) 手巻き寿司製造具
JP3218995U (ja) 巻型トイレットペーパー用保管カバー
US5695160A (en) Decorative tissue box holder
JP2005204904A (ja) まな板及びまな板の製造方法
JP3162034U (ja) ケーキ用装飾品の保持具及び該保持具を有するケーキ用装飾品
JPH1146951A (ja) 装飾カバー
CN201761797U (zh) 包装盒
USD445893S1 (en) Earplug
KR200309919Y1 (ko) 접는화분
CN2453811Y (zh) 一种刀座
JP3126174U (ja) タオル等収納ユニ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1008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