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9919Y1 - 접는화분 - Google Patents

접는화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9919Y1
KR200309919Y1 KR20-2002-0025951U KR20020025951U KR200309919Y1 KR 200309919 Y1 KR200309919 Y1 KR 200309919Y1 KR 20020025951 U KR20020025951 U KR 20020025951U KR 200309919 Y1 KR200309919 Y1 KR 20030991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lding
folded
present
flower pot
be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2595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동빈
Original Assignee
(주)인비트로플랜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인비트로플랜트 filed Critical (주)인비트로플랜트
Priority to KR20-2002-002595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991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0991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9919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7/00Flower holders or the like
    • A47G7/02Devices for supporting flower-pots or cut flowers
    • A47G7/06Flower vases
    • A47G7/063Flower vases foldable

Landscapes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접는 화분을 개시한다. 접어서 형태가 유지될 수 있는 재질(종이, 플라스틱-PVC, PP, PE 등)에 칼라인쇄를 하여 절곡(a1∼a8,b1∼b8,c1∼c3)과 절취(c4,c5)로 가공한 평면상태의 제품을 접어서 만든 화분을 말한다. 본 고안에 따른 접는 화분은 도1과 같은 평면을 접었을 때 도10과 같은 형태의 화분이 만들어 진다. 본 고안에 따른 접는 화분은 기존 화분의 개념을 깨뜨린 화분으로 기존 원예시장에서 팬시시장까지 다양하게 진출할 수 있는 역할을 할 것이며, 유통 중에 경비절감 효과를 가져올 것이다. 또한 화분의 역할을 물론 필통, 동전통 등의 역할도 할 수 있다.

Description

접는 화분 {The folding pot}
본 고안은 접어서 형태가 유지될 수 있는 재질인 종이나 플라스틱(PVC, PP, PE), 등을 이용하여 만든 접는 화분으로, 누구나 어느 곳에서나 편리하게 화분을 만들어 장식할 수 있음을 목적으로 한다.
종래의 화분은 대부분 플라스틱이나 토기, 자기 등을 이용하여 만든 사각 또는 원형 형태의 분이다. 그러나 높은 관상가치를 지닌 자기 화분은 가격대가 비싸며 토기나 플라스틱 화분은 가격대는 낮으나 관상가치가 떨어진다. 또한 기존의 화분이라는 사각, 원통형의 개념에서 벗어나지 못하여 팬시시장이나 인테리어 시장으로의 확대진출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사람들은 화분은 원예에 관련되어서만 사용한다고 생각하고 있다. 그래서 기존의 화분들은 식물과 별도로 판매를 못하고 화분과 식물을 하나의 상품으로 판매를 하였다.
본 고안은 위와 같은 단점들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종이나 플라스틱 평면을 접어서 만드는 화분은 낮은 가격대로 생산을 할 수 있으며 칼라인쇄를 통하여 가벼울 것 같은 질감의 느낌을 높은 관상가치를 지닌 화분으로 만든다. 평면형태이기 때문에 운반이 쉽고, 파손에 안전하며 어느 곳에서나 간편하게 화분을 만들 수 있으며, 또한 화분의 역할 뿐만 아니라 관상용 팬시상품이나 인테리어 상품으로의 기능도 아울러 수행 할 수 있는 화분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접는 화분의 펼쳐진 평면도
도 2는 배수구멍 부분의 확대한 도면
도 11는 본 고안에 따른 접는 화분의 사시도
도 3∼10는 본 고안에 따른 접는 화분을 만드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①②③④:접는 화분을 접을 때 생기는 삼각형의 면, 고정부분
⑤:흙을 담아 식물을 심는 곳
⑥:외부로 물이 빠지는 배수구멍
a1∼a8,b1∼b8,c1∼c3:절곡
c4,c5:절취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접는 화분은 접는 화분은 접어서 형태가 유지될 수 있는 재질인 종이, 또는 플라스틱(PVC, PP, PE), 등을 사용하여 만들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접는 화분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접는 화분은 화분을 접어서 형태를 유지할 수 있는 종이나 플라스틱(PVC, PP, PE)등의 재질에 칼라인쇄를 하여 절곡(a1∼a8,b1∼b8,c1∼c3)과 절취(c4,c5)로 일차 가공하여 상품화(도1, 부분 확대도면: 도2)된다. 절곡(a1∼a8,b1∼b8,c1∼c3)과 절취(c4,c5)에 따라 접었을 때 흙을 담아 식물을 심을 수 있도록 윗면(⑤)이 개방되어 있으며, 배수구멍(⑥)이 하단부 4방면에 만들어져 물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화분모양(도11)이 형성된다.
첨부된 도면(도3∼도11)을 참고로 하여 본 고안의 접는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접는 화분은 화분을 접어서 형태를 유지할 수 있는 종이나 플라스틱(PVC, PP, PE)등의 재질에 칼라인쇄를 하여 절곡(a1∼a8,b1∼b8,c1∼c3)과 절취(c4,c5)로 일차 가공하여 상품화(도1, 부분 확대도면: 도2)된다.
평면상태에는 절곡(a1∼a8,b1∼b8,c1∼c3)이 있어서 원활하게 접혀지도록 되어 있다
절곡(b7,a1)과 절곡(b4,a2)를 동시에 안쪽으로 접으면 절곡(b1, b2)는 바깥쪽으로 접히고, 절곡(a5)는 안쪽으로 접히면서 삼각형의 면(①)이 생긴다.(도3) 여기에서 절곡(b4,a2)는 이미 접혀 있으므로 절곡(b6,a3)를 안쪽으로 접으면 절곡(b3,b4)는 바깥쪽으로 접히고, 절곡(a6)은 안쪽으로 접히면서 또 하나의 삼각형의 면(②)이 생긴다.(도4) 남은 한쪽 면도 절곡(a4)에 따라 안쪽으로 접으면 절곡(b8,b7)과 절곡(b6,b5)가 바깥으로 접히며 절곡(a8)과 절곡(a7)은 안쪽으로 접히면서 삼각형의 면(③,④)이 생기게 된다.(도5)
방향이나 순서에 관계없이 삼각형의 면을 두 개를 한쌍으로 겹쳐 접은 후 겹치는 부분을 고정부분이며(①,②),(도6) 이 곳을 클립, 집게 혹은 풀이나 본드로 고정을 시켜주었을 때 흙을 담아 식물을 심을 수 있도록 윗면(⑤)이 개방된 상자가 만들어진다.(도7)
위와 같이 접는 화분 바닥의 4방면에 배수구멍을 만들 수 있도록 절곡(c1,c2,c3)과 절취(c4,c5)가 구비되어 있다.(도8, 확대모습 도9) 절곡(c1,c3)을 안쪽으로 접고, 절곡(c2)를 바깥쪽으로 접으면 절취(c4,c5)에 □형태의 배수구멍(②)이 생기게 되어 이 □형태를 통하여 물이 외부로 배출되게 되어 있다. 이러한 방법으로 바닥의 4방면에 배수구멍(②)을 접는다.(도10)
사용자는 평면상태의 전개도를 상품으로 받게 되며, 위와 같은 방법으로 접었을 때 하나의 접는 화분이 만들어진다. (도11)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접는 화분은 평면을 접어서 만드는 화분으로 낮은 가격대로 생산을 할 수 있다. 또한 칼라인쇄가 가능한 재질을 사용함으로 디자인을 통하여 낮은 가격대임에도 불구하고 높은 관상가치를 얻을 수 있다. 이렇게 하였을 때 원예시장은 물론 팬시시장 및 인테리어 시장으로도 진출 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응용이 가능하여 필통, 동전통, 등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아울러 판촉용 교재 및 교육용 교재로 사용할 경우 평면상으로 칼라인쇄가 되어 상품화되기 때문에 과학잡지, 혹은 과학교재 혹은 원예 잡지 등에 삽입되는 부록형태로도 사용이 가능하다. 위에서 자주 언급한 바와 같이 유통과 보관이 용이하여, 유통비 및 물류비 절감의 효과를 가져다 한다.

Claims (2)

  1. 접어서 형태를 유지할 수 있는 종이나 플라스틱(PVC, PP, PE)등의 재질에 칼라인쇄를 하여 절곡(a1∼a8,b1∼b8,c1∼c3)과 절취(c4,c5)로 일차 가공하여 평면상태에서 접어서 만드는 화분.
  2. 접어서 형태를 유지할 수 있는 종이나 플라스틱(PVC, PP, PE)등의 재질에 칼라인쇄를 하여 절곡(a1∼a8,b1∼b8,c1∼c3)과 절취(c4,c5)로 일차 가공하여 평면상태에서 접어서 만드는 필통.
KR20-2002-0025951U 2002-08-30 2002-08-30 접는화분 KR20030991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5951U KR200309919Y1 (ko) 2002-08-30 2002-08-30 접는화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5951U KR200309919Y1 (ko) 2002-08-30 2002-08-30 접는화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9919Y1 true KR200309919Y1 (ko) 2003-04-08

Family

ID=494044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25951U KR200309919Y1 (ko) 2002-08-30 2002-08-30 접는화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991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5042363A1 (en) * 2003-11-04 2005-05-12 Invitroplant Co., Ltd. Versatile and foldable box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5042363A1 (en) * 2003-11-04 2005-05-12 Invitroplant Co., Ltd. Versatile and foldable box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17240A (en) Expandable floral greeting card
SK158197A3 (en) Bouquet presentation device
USD1003760S1 (en) Plant support
KR200309919Y1 (ko) 접는화분
WO2003015496A2 (en) Bulb container and method of planting
USD444062S1 (en) Confection box
US8807334B2 (en) Multiple-purpose centerpiece
JP6757534B2 (ja) 鉢植蘭用箱及び箱入り鉢植蘭
USD944060S1 (en) Plant hydrating coaster
KR200193564Y1 (ko) 화분 포장용 커버
JP3117647U (ja) ポット苗の寄せ植え用固定具
CN203332535U (zh) 栽种盒
CN201770150U (zh) 一种带有种子的卡片
KR20220001435U (ko) 패키지를 이용한 화분
USD1019307S1 (en) Plant support
KR200172910Y1 (ko) 화분으로 사용 가능한 과자포장용기
KR200194752Y1 (ko) 도자기로 된 화분이 부설된 저금통
KR200491595Y1 (ko) 화분커버
USD993824S1 (en) Flower vase
KR200491596Y1 (ko) 화분커버
USD1015712S1 (en) Footwear upper
KR200193553Y1 (ko) 조립식 화분
KR200182370Y1 (ko) 다방향 식재가 가능한 장식용 화분
JP3008632U (ja) 植木類販売用紙容器
JPH0237410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Extingu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