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7489Y1 - 승용차량의후드완충가이드구조 - Google Patents

승용차량의후드완충가이드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7489Y1
KR200227489Y1 KR2019960030229U KR19960030229U KR200227489Y1 KR 200227489 Y1 KR200227489 Y1 KR 200227489Y1 KR 2019960030229 U KR2019960030229 U KR 2019960030229U KR 19960030229 U KR19960030229 U KR 19960030229U KR 200227489 Y1 KR200227489 Y1 KR 20022748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od
panel
over slam
bumper
slam bum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3022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16884U (ko
Inventor
공상복
Original Assignee
이계안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계안,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계안
Priority to KR201996003022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7489Y1/ko
Publication of KR1998001688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1688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748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7489Y1/ko

Links

Landscapes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 Superstructure Of Vehicl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승용차량의 후드 완충 가이드 구조에 관한 것으로써, 오버 슬램 범퍼의 형상을 개선함으로써 후드 폐쇄시 발생되는 충격 흡수와 좌우 펜더로의 하중 전달 예방을 위한, 후드 패널과 펜더 패널 사이의 간격을 유지시키는 기능의 차량용 오버 슬램 범퍼를 제공하기 위하여, 후드 패널 하부의 가이드 홈(11)과 일치하도록 구성되어 후드 패널(3)과 펜더 패널(5)을 일정한 간격으로 유지시키는 오버 슬램 범퍼의 상측 돌기부(13)와, 후드의 폐쇄로 인한 작동 충격을 흡수하고 탄성이 저하될 때 이를 보강해 주는 오버 슬램 범퍼 중간 둘레에 위치한 다수 개의 걸림턱 수단(15)과, 탄성 보강을 위해 라디에이터 지지 부재(17)로부터 오버 슬램 범퍼를 탈장착할 때 해제와 삽입을 용이하게 실현할 수 있는 오버 슬램 범퍼의 하단 곡선부(19)를 포함하는 형상을 갖춘 구조로 이루어진 승용차량의 후드 완충 가이드 구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승용차량의 후드 완충 가이드 구조
본 고안은 차량용 오버 슬램 범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용 후드와 펜더 사이에서 완충 역할을 하는 오버 슬램 범퍼가 후드의 폐쇄시 차체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고 일정한 위치에 후드가 자리잡을 수 있도록 안내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형상을 개선한 승용차량의 후드 완충 가이드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용 오버 슬램 범퍼는 펜더의 상측부에 장착된 완충 장치로써 차량의 후드가 차체에 얹혀지면서 발생하는 충격을 감쇠시키고 차량의 측면에 보강된 펜더에 직접적인 하중이 전달되지 못하도록 하여 펜더를 보호할 수 있도록 채택된 것이다.
오버 슬램 범퍼의 일반적 기능은 후드가 얹혀질 때의 충격으로 차체나 펜더가 변형되거나 후드가 손상되는 것을 예방하는 동시에 후드 개폐시의 소음을 방지하여 정숙성을 확보하고 진동을 감쇠시켜 차량의 내구력을 지속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과정에서 차량용 후드의 폐쇄시 발생하는 충격이 펜더로 전달되지 못하도록 펜더와 일정 간격을 유지하여 주는 후드 가이드 범퍼가 추가로 장착된다.
그러나, 종래의 차량용 오버 슬램 범퍼는 상기와 같이 후드의 폐쇄시 차체로 전달되는 하중을 감쇠시키는 완충의 역할만을 고려하여 설계되었으므로 하중이 차체이외의 펜더쪽으로 전달되는 것을 예방하기 위해 후드의 폐쇄시 안착 위치를 안내하는 후드 가이드 펌퍼를 추가로 설치해야 하므로 공정이 번거롭고 소모 부품이 증가하는 비생산적인 문제가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본 고안의 목적은 후드의 폐쇄시 발생하는 충격과 진동, 소음을 해결하고 펜더로 직접적인 하중이 전달되는 것을 막기 위해 오버 슬램 버퍼는 가이드 구조를 형성화하여후드와 펜더 사이의 간격을 유지할 수 있도록 승용차량의 후드 완충 가이드 구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본 고안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엔진 룸을 덮고 있는 후드 패널 하부로 가이드 홈을 준 뒤, 상기 가이드 홈과 오버 슬램 범퍼의 상부 돌기 형상이 일치하는 가이드 구조로 만들어 후드가 좌우측의 펜더로부터 벗어날 수 있는 일정 간격을 유지함으로써 펜더 패널로 하중이 직접 전달되지 않도록 오버 슬램 범퍼를 라디에이터 지지 부재에 고정시킨 승용차량의 후드 완충 가이드 구조를 제공한다.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승용차량의 후드 완충 가이드 구조물로써 오버 슬램 범퍼가 적용될 수 있는 차량의 사시도이다.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승용차량용 오버 슬램 범퍼의 장착부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제1도의 S-S 단면 확대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후드 힌지부 3 : 후드 패널
5 : 펜더 패널 7 : 오버 슬램 범퍼
9 : 후드 패널과 펜더 패널의 일정 간격
11 : 후드 패널 가이드 홈 13 : 오버 슬램 범퍼 상측 가이드 돌기부
15 : 오버 슬램 범퍼 걸림턱 19 : 오버 슬램 범퍼 하단 곡선부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고안에 의하여 오버 슬램 범퍼가 장착될 수 있는 차량의 사시도이며, 제2도는 상기 제1도의 오버 슬램 범퍼가 장착된 부분의 구조를 나타내는 S-S 단면 확대도이다.
차량의 프론트 윈도우 밑부분에 힌지된 후드 힌지부(1)로 부터의 거리가 멀수록 후드 패널(3)이 닫힐 때 차체에 전달하는 충격은 커지게 되는데, 이는 모멘트가 크게 작용하기 때문이다.
이 때 발생하는 충격은 후드 힌지부(1)로 부터 먼거리의 후드 패널(3)이 펜더나 차체의 어느 지점과 최초로 접촉하는 지점에서 후드 하중에 따른 충격이 크게 작용하게 될 것이다.
이러한 충격에 따른 차체 변형을 방지하기 위해 승용차량용 후드 완충 가이드 구조로써 오버 슬램 범퍼(7)의 장착 위치를 후드 패널(3)의 폐쇄시 모멘트 충격이 최대인 지점과 후드의 무게 중심이 실리는 지점을 고려하여 차량의 앞부분 좌우측으로 설정한 것이다.
이때 오버 슬램 범퍼(7)는 후드 패널(3)과 펜더 패널(5)사이에 일정한 간격(9)을 유지시켜 후드 패널(3)의 전달 하중이 펜더 패널(5)로 직접 전달되는 것을 차단함으로써 펜더의 변형을 예방한다.
승용차량의 후드 완충 가이드 구조로써 오버 슬램 범퍼의 구체적인 작용은 다음과 같다.
후드 힌지부(1)에 힌지된 후드 패널(3)이 폐쇄될 때 펜더 패널(5)로 직접적인 충격이 전달을 피하기 위해 오버 슬램 범퍼(7)에 가이드 형상을 주어 후드 패널(3)이 오버 슬램 범퍼(7)의 장착 위치를 벗어나지 못하게 하여 펜더 패널(5)과 일정간격(9)을 유지할 수 있는 가이드 구조를 갖춘다.
상기 오버 슬램 범퍼(7)의 가이드 구조를 갖추기 위하여 후드 패널(3) 하부에는 가이드 홈(11)을 두어 오버 슬램 범퍼(7)의 상부 가이드 돌기부(13)와 일치하도록 형상을 준다.
오버 스램 범퍼(7)의 상부 가이드 돌기부(13)는 종래 후드 가이드 범퍼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오버 슬램 범퍼의 상부 가이드 돌기부(13)로써 후드 패널(3)이 닫힐 때 펜더 패널(5)과 일정 간격(9)을 유지시켜 줄 수 있으므로 종래처럼 후드 가이드 범퍼를 별도로 장착하지 않아도 되어 공정이 간소화되고, 후드 패널(3)이 닫힐 때 펜더 패널(5)과 직접 접촉되면서 발생하는 양측 패널의 변형과 진동, 소음을 원천적으로 예방하게 된다.
이와 같은 효과의 기대는 후드 패널 하부에 가이드 홈(11)을 두어 후드를 폐쇄할 때 오버 슬램 범퍼의 상부 가이드 돌기부(13)와 들어맞게 설계되었기에 가능해진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오버 슬램 범퍼(7)의 중간 둘레에는 걸림턱(15)을 형성하여 후드 패널(3)의 폐쇄시 발생되는 충격을 흡수한 뒤, 차량의 전면부에 위치하는 라디에이터 지지 부재(17)로 충격을 전달하도록 설계되었다.
상기 걸림턱(15)은 다수 개로 형성되어 오버 슬램 범퍼(7)의 높이를 조절하면서 후드 패널(3)의 반복적인 충격량 작용에 따른 흡수율이 저하됐을 때는 오버 슬램 범퍼(7)의 높이를 조절해 주어 완충울 위한 탄력을 보강해 줄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되었다.
상기 걸림턱(15)은 라디에이터 지지 부재(17)에 삽입되면서 후드 패널(3)이 폐쇄되면서 발생하는 충격을 상기 라디에이터 지지 부재(17)로 분산시킨다.
상기 라디에이터 지지 부재(17)는 후드 패널(3)이 폐쇄되면서 발생하는 충격을 견딤과 동시에 펜더 패널(5) 부재를 지지하는 역할도 수행한다.
오버 슬램 범퍼의 하단 곡선부(19)는 반구 형상을 하고 있어 라디에이터 지지 부재(17)로부터 오버 슬램 범퍼(1)의 탈장착시 해제와 삽입을 용이하게 실현할 수 있도록 구성되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승용차량의 후드 완충 가이드 구조는 오버 슬램 범퍼의 형상을 개선함으로써, 후드 패널 폐쇄시 발생하는 충격으로부터 좌우측 펜더를 보호하기 위해 일정 간격을 유지시켜 주는 후드 가이드 범퍼를 채택하지 않고도 후드 폐쇄시 발생 충격 흡수와 좌우 펜더로의 하중 전달을 예방해 주는 후드 패널과 펜더 패널 사이의 간격을 이룰 수 있게 되어 범퍼 채택을 간소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차량의 엔진 룸을 덮고 여는 후드 패널(3)과, 상기한 후드 패널(3)과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는 펜더 패널(5)과, 상기한 후드 패널(3)과 펜더 패널(5) 사이의 일정한 간격을 유지시켜 주는 오버 슬램 범퍼(7)와, 상기 오버 슬램 범퍼(7)가 지지되는 라디에이터 지지 부재(17)를 포함하는 승용차량의 후드 완충 가이드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버 슬램 범퍼(7)는 후드 패널 하부의 가이드 홈(11)과 일치하도록 구성되어 후드 패널(3)과 펜더 패널(5)을 일정한 간격으로 유지시키는 오버 슬램 범퍼의 상측 돌기부(13)와, 상기 돌기부(13) 아래로 후드의 폐쇄로 인한 작동 충격을 흡수하고 탄성이 저하될 때 이를 보강해 주는 오버 슬램 범퍼 중간 둘레에 위치한 다수 개의 걸림턱 수단(15)과, 상기 걸림턱(15) 수단 아래로 탄성 보강을 위해 라디에이터 지지 부재(17)로부터 오버 슬램 범퍼(7)를 탈장착할 때 해제와 삽입을 용이하게 실현할 수 있는 하단 곡선부(19)를 포함하는 승용차량의 후드 완충 가이드 구조.
KR2019960030229U 1996-09-20 1996-09-20 승용차량의후드완충가이드구조 KR20022748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30229U KR200227489Y1 (ko) 1996-09-20 1996-09-20 승용차량의후드완충가이드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30229U KR200227489Y1 (ko) 1996-09-20 1996-09-20 승용차량의후드완충가이드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6884U KR19980016884U (ko) 1998-06-25
KR200227489Y1 true KR200227489Y1 (ko) 2001-09-17

Family

ID=539766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30229U KR200227489Y1 (ko) 1996-09-20 1996-09-20 승용차량의후드완충가이드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7489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7105B1 (ko) * 2002-12-03 2005-08-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서브 프레임 마운팅 부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6884U (ko) 1998-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194711B1 (ko) 차량용 도어의 충격흡수장치
KR20020039159A (ko) 보행자 보호기능을 갖는 자동차의 펜더패널 충격 흡수구조
KR200227489Y1 (ko) 승용차량의후드완충가이드구조
KR200181751Y1 (ko) 충격 흡수용 판 스프링을 갖는 범퍼 어셈블리
KR0140769B1 (ko) 자동차 범퍼의 충격 완화 장치
KR100471495B1 (ko) 자동차용 후드패널의 충격흡수구조
KR100398430B1 (ko) 자동차의 펜더패널 고정구
KR200142632Y1 (ko) 자동차의 도어 충격흡수구조
KR200189169Y1 (ko) 차량용 센터필러 구조
KR200200457Y1 (ko) 자동차의 후드 스테이 로드 지지구조
KR19990010682U (ko) 자동차의 후드 충격 흡수구조
KR0158810B1 (ko) 해치 백 도어의 완충구조
KR200158254Y1 (ko) 차량용 사이드바디몰딩의 충격흡수구조
KR100569963B1 (ko) 차량의 도어 임팩트빔 설치구조
KR0138370Y1 (ko) 벌크헤드형의 보강재가 장착되는 사이드실
KR0125664Y1 (ko) 차량용 범퍼 스테이
KR0138778Y1 (ko) 충격 흡수용 클립 구조물
KR200144267Y1 (ko) 차량도어용 임펙트바 완충장치
KR19990006282U (ko) 자동차용 엔진후드 댐핑구조
KR19980028912A (ko) 자동차 도어 하단부 강성보강구조
KR19980016523U (ko) 스토퍼 범퍼
KR19980027107U (ko) 스토퍼 범퍼
KR970020864A (ko) 자동차의 오버슬램 범퍼
KR20030016005A (ko) 자동차의 범퍼 장착장치
KR20090062310A (ko) 자동차 후드판넬의 오버슬램범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