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6988Y1 - 박스형커패시터조립장치 - Google Patents

박스형커패시터조립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6988Y1
KR200226988Y1 KR2019970028066U KR19970028066U KR200226988Y1 KR 200226988 Y1 KR200226988 Y1 KR 200226988Y1 KR 2019970028066 U KR2019970028066 U KR 2019970028066U KR 19970028066 U KR19970028066 U KR 19970028066U KR 200226988 Y1 KR200226988 Y1 KR 20022698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ing
wire
holder
lead wire
solde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2806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14905U (ko
Inventor
칭-윤 첸
Original Assignee
첸 주에-링
로더 일렉트로닉스 머시너리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첸 주에-링, 로더 일렉트로닉스 머시너리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첸 주에-링
Priority to KR201997002806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6988Y1/ko
Publication of KR1999001490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490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698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6988Y1/ko

Links

Landscapes

  • Fixed Capacitors And Capacitor Manufacturing Machin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박스형 커패시터 조립 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 조립 장치는 커패시터 소자 공급 시스템과 커패시터 소자와 두 개의 리이드 와이어를 솔더링 장치로 각각 공급 시키는 리이드 와이어 공급 시스템으로 구성되는데, 기설정된 길이로 절단된 리이드 외이러를 커패시터 소자에 납땜시켜 와이어 몰딩된 소자를 형성시키게 된다. 그후, 와이어 몰딩된 소자는 체인 컨베이어에 의해 공정 워크스테이션(workstation)으로 이송된다. 이 공정 워크스테이션은 케이싱 수용 단계의 절연 케이싱 공급 시스템에서 개방면을 갖는 절연 케이싱을 수용하고 유지시키도록 원형의 주변부를 따라 형성된 다수의 노치부를 갖는 턴테이블로 구성된다. 이 턴테이블은 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므로, 상기 케이싱의 방향이 검출되면 더욱 적절하게 소자를 상기 케이싱에 위치시키는 검출/위치 결정 단계, 수지를 상기 케이싱에 충전시키는 수지 주입 단계, 체인 컨베이어에 의해 상기 솔더링 장치에서 이송된 와이어 몰딩소자의 최소한 일부를 상기 수지에 침지시키도록 상기 케이싱에 와이어 몰딩된 소자를 배치시키는 소자 삽입 단계, 및 상기 케이싱 개구부에 비례하여 기설정된 위치에 배치되도록 상기 수지에 와이어 몰딩 소자를 더욱 가압 시키는 소자 가압 단계로 상기 절연 케이싱은 연소하여 이송된다. 상기한 단계를 거쳐 제조된 반제품은 후속 공정처리를 위해 수집단계에서 상기 턴테이블 노치부의 외부로 이탈된다. 이러한 모든 공정은 자동적인 방법으로 이루어지므로 노동력이 감소되고 제조 효율이 증대된다.

Description

박스형 커패시터 조립장치
본 고안은 박스형 커패시터 조립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중형 및 대형의 박스형 커패시터의 와이어 솔더링(soldering), 수지 주입 및 조립이 자동적으로 이루어지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기용 커패시터, 저항기 및 인덕터는 전기 및 전자 장치에 사용되는 중요한 소자들이다. 본 고안은 상기한 전기용 커패시터의 자동 조립 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러한 전기용 커패시터는 다양한 형상으로 제조되는데, 본 고안은 "박스형 커패시터"라 불리는 커패시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커패시터를 절연 케이싱 또는 박스에 조립시키므로써 중형 및 대형 크기의 박스형 커패시터를 제조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실제에 있어서, 중형 및 대형 크기의 박스형 커패시터의 제조는, 소자(이격된 두 개의 집전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외부 터미널 리이드와 외부 케이싱을 갖지 않는 중간제품)를 제조하고, 터미널 리이드가 구비된 소자를 제공하여, 터미널 리이드와 함께 절연 케이싱에 상기 소자를 패킹(packing)하는 시스템으로 이루어진다. 특히, 본 고안은 "와이어 몰딩된 소자(wired element)"로 언급되는 중간 제품을 제조하기 위해 터미널 리이드가 구비된 커패시터 소자를 제공하는 공정에 관한 것으로, 이러한 공정은 "와이어 몰딩된 소자"를 형성하기 위해 리이드 와이어를 소자에 솔더링 하고(1), 와이어 몰딩된 소자를 절연 케이싱내에 배치시키며(2), 상기 케이싱에 와이어 몰딩된 소자를 고정 시키기 위하여 상기 케이싱에 수지를 충전시키는(3)과정을 자동적으로 실행하는 장치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절연 케이싱에 와이어 몰딩된 소자가 간단하고 용이하게 패킹 또는 조립되어 최종적인 커패시터 제품이 제조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전술한 "커패시터 소자"란 용어는 박스형 커패시터의 중간 제품으로 언급되며, 커패시터의 기초 구조를 구성한다. 본 고안에 따른 박스형 조립장치에 의해 실행되는 조립 공정의 목적은 일반적인 솔더링 수단, 특히 스폿(spot)용착에 의해 커패시터 소자에 터미널 리이드를 부착시키고,(상술한 바와 같이 형성된)와이어 몰딩된 소자를 절연 케이싱에 배치시키며, 상기 케이싱 내의 소자를 유지시키기 위하여 케이싱내에 수지로 충전시켜 박스형 커패시터 제품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에 따른 공정에 의하면 와이어 몰딩된 소자를 수용하는 개방면이 형성된 내부 공간을 갖는 절연 케이싱을 제공하며, 이 케이싱 내부 공간의 70%내지 80% 정도로 수지를 케이싱의 내부에 충전시키는데, 이것을 수지의 제1주입이라 한다. 이러한 수지의 제1주입후, 상기 커패시터 소자는 우선적으로 주입된 수지내에 적절한 깊이로 가압되며, 그후, 상기 케이싱내로 수지의 제2주입작용이 실행되어 상기 케이싱에 수지가 충전된다. 따라서, 수지가 경화되어 최종의 커패시터 제품이 완료된다.
그러나, 이러한 제조공정은 수동으로 이루어 지는데, 즉, 절연 케이싱을 수동으로 고정시키며, 소자에 터미널 리이드를 수동으로 솔더링하고, 상기 케이싱에 와이어 몰딩된 소자를 수동으로 배치시키고, 상기 케이싱에 수지를 수동으로 충전시키며, 상기 케이싱내의 수지에 커패시터 소자를 적절히 수동으로 가압시키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공정은 많은 노동력이 요구되므로 원가가 높을 뿐만 아니라 매우 비능율적이다. 또한 제품 결함의 비율이 매우 높게 나타난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으로 해결하고자, 박스형 커패시터를 제조하기 위한 반자동 장치가 타이완 특허공보 제247666호에 공지되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이 종래 기술에 내재되었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안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박스형 커패시터의 조립 공정이 자동적으로 실행되는 조립 장치를 제공하므로써, 노동력이 감소되고, 제조 효율이 향상되며, 제품 결함이 감소되어, 제조읜가를 감소시키고 시장 경쟁력을 증개시키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터미널 리이드를 커패시커 소자에 솔더링 시키고, 와이어 몰딩된 소자를 절연 케이싱에 배치시키며, 상기 케이싱에 수지를 충전시키는 작업에서부터 와이어 몰딩된 소자를 상기 수지에 깊게 가압시키는 작업에 이르기까지 운전이 전자동화되어 실행되는 박스형 커패시터 조립 장치를 제공하여 제조효율을 증가시키고 제조원가를 감소시키는데 있다.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에 따라, 박스형 커패시터 조립장치는 커패시터 소자 공급 시스템과 커패시터 소자와 두 개의 리이드 와이어를 솔더링 장치로 각각 공급시키는 리이드 와이어 공급 시스템으로 구성되는데, 기 설정된 길이로 절단된 리이드 와이어를 커패시터 소자에 납땜시켜서 와이어 몰딩된 소자를 형성시킨다. 그후, 와이어 몰딩된 소자는 체인 컨베이어에 의해 공정 워크스테이션으로 이송된다. 이 공정 워크스테이션은 케이싱 수용 단계에서 절연 케이싱 공급 시스템으로부터 개방면을 갖는 절연 케이싱을 수용하고 유지시키도록 원형의 주변부를 따라 형성된 다수의 노치부를 갖는 턴테이블로 구성된다.
이 턴테이블은 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므로, 상기 케이싱의 방향이 검출되고 더욱 적절하게 위치시키는 검출/위치 결정단계, 수지를 상기 케이싱에 충전시키는 수지 주입단계, 체인 컨베이어에 의해 상기 솔더링 장치에서 이송된 와이어 몰딩 소자의 최소한 일부를 상기 수지에 침지시키도록 상기 케이싱에 와이어 몰딩된 소자를 배치시키는 소자 삽입단계, 및 상기 케이싱 개구부에 비례하여 기설정된 위치에 배치되도록 상기 수지에 와이어 몰딩 수지를 더욱 가압시키는 소자 가압 단계로 상기 절연 케이싱은 연속하여 이송된다.
상기한 단계를 거쳐 조립된 반제품은 수집 단계에서 후속공정을 위해 상기 턴테이블 노치부의 외부로 이탈된다. 이러한 모든 공정은 자동화되어 있으므로 필요한 노동력이 감소되고 제조 효율이 증대된다
제1도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박스형 커패시터 조립 장치의 요부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조립 장치의 회전가능한 공정 워크스테이션의 사시도.
제3도와 제4도는 본 고안에 따른 조립 장치에 장착된 수지 주입 장치의 작동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측면도.
제5도와 제6도는 본 고안에 따른 조립 장치에 장착된 소자 가압 장치의 작동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측면도.
제7도는 본 고안의 와이어 몰딩된 소자를 공정 워크스테이션으로 이송시키기 위한 체인컨베이어의 사시도.
제8도는 본 고안 체인 컨베이어의 측면도.
제9도는 본 고안 와이어 몰딩된 소자가 소자 턴테이블에서 체인 컨베이어로 이송되는 것을 보여주는 측면도.
제10도와 제11도는 본 고안 공정 워크스테이션의 소자 삽입 장치에 의해 체인 컨베이어에서 와이어 몰딩된 소자의 수용을 보여주는 측면도.
제12도는 본 고안 리이드 와이어가 리이드 와이어 공급 시스템에서 솔더링 장치로 이송되는 것을 보여주는 측면도.
제13도는 본 고안 소자 공급 장치의 소자 턴테이블과 리이드 와이어 공급 시스템의 와이어 절단 장치 및 솔더링 장치의 사시도.
제14도와 제15도는 본 고안 리이드 와이어 공급 시스템에 장착된 와이어 공급 장치의 작동을 보여주는 측면도.
제16도는 본 고안 소자 턴테이블과 커패시터 소자에 대한 둥근형상의 진동 공급기를 구비한 커패시터 소자 공급 시스템의 사시도.
제17도는 본 고안 소자 턴테이블과 소자 공급 시스템의 소자 누름 장치의 사시도.
제18도내지 제22도는 본 고안 소자 턴테이블로 소자를 이송시키기 위한 소자 누름 장치의 작동을 보여주는 측면도.
제23도는 본 고안의 박스커패시터 조립장치내에 포함된 송출시스템의 일부 절개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절연 케이싱 공급 시스템 12 : 커패시터 소자 공급 시스템
14 : 리이드 와이어 공급 시스템 16 : 절연 케이싱
18 : 커패시터 소자 20 : 리이드 와이어
22 : 솔더링 (soldering)수단 24 : 와이어 몰딩된 소자
26 : 워크스테이션(workstation) 28 : 컨베이어 시스템
30 : 케이싱 홀딩 시이트 36 : 턴테이블
40 : 진동 공급기 48 : 수지 주입 장치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술하며, 도면 전체를 통하여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제1도에는 본 고안에 따라 구성된 박스형 커패시터의 조립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하였으며, 이 조립장치는 세개의 재료를 공급받고 재료를 공급하여 주는 세개의 공급 시스템을 포함한다. 이 세개의 공급 시스템은 절연 케이싱 공급 시스템(10), 커패시터 소자 공급 시스템(12) 및 리이드 와이어 공급 시스템(14)(제12도참조)을 구비하여 다수의 절연 케이싱(16), 다수의 커패시터 소자(18) 및 두 개의 리이드 와이어(20)를 본 고안의 조립장치에 각각 공급하여 함께 조립되어 박스형 커패시터를 형성시키게 된다.
본 고안에 따라, 박스형 커패시터 조립장치는 상기 리이드 와이어(20)를 상기 커패시터 소자(18)에 납땜시키는 솔더링 수단(22)를 추가로 구비한다. 보다 간략히 설명하기 위해 상기 리이드 와이어(20)가 납땜된 소자(18)인 와이어 몰딩된 소자는 도면 부호 24로 나타낸다. 따라서, 이 와이어가 몰딩된 소자(24)는 터미널 리이드(와이어부)와 소자 몸체(몸체부)로 구성되게 된다.
게다가, 본 고안의 조립장치는 상기 절연 케이싱 공급장치(10)에서 절연 케이싱(16)를 수용하고 상기 솔더링 수단(22)에서 상기 소자(24)를 수용하며 수용된 소자(24)를 상기 절연 케이싱(16)에 조립시켜 원하는 반제품(semi-product)을 제공하는 회전 가능한 조립 워크스테이션 또는 공정 워크스테이션(26)으로 구성된다.
최종의 커패시터 제품으로 되기 전에 상기한 준제품은 수지를 경화시키는 가열공정과 같은 추가적인 공정이 요구된다. 이러한 추가적인 공정은 본 고안과 무관하며 공지된 장치에 의해 용이하게 실행될 수 있으므로 본 고안을 이해하기 위해 필요한 부분을 제외하고는 이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고안의 조립장치는 와이어 몰딩된 소자(24)를 상기 솔더링 수단(22)에서 조립 워크스테이션(26)으로 진행시켜 박스형 커패시터의 조립 작동을 진행시키는 컨베이어 시스템(28)을 추가로 구비한다.
본 고안에 따른 조립 작동에 의해 상기 커패시터 소자(18)는 커패시터 소자 공급 시스템(12)에서 하나씩 공급하는 방법으로 상기 솔더링 수단(22)에 공급되며, 이와 동시에 두개의 리이드 와이어(20)는 상기 리이드 공급 시스템(14)에 의해 상기 솔더링 수단(22)에 공급되어 V형상으로 굴곡 변형되고 적절한 길이로 절단된 리이드 와이어(20)를 상기 소자(18)에 납땜시키게 된다.
이에 따라 와이어 몰딩된 소자(24)가 형성되고 이 소자는 V형상의 굴곡부를 갖는 리이드 와이어에 의해 형성된 터미널 리이드를 구비한다. 상기 소자(24)는 그 후 상기 컨베이어 시스템(28)에 의해 상기 조립 워크스테이션(26)에 이송된다.
상기 조립 워크스테이션(26)은, 하나씩 수용하는 방법으로 절연 케이싱 공급 시스템(10)에서 케이싱 수용단계로 상기 절연 케이싱(16)을 수용하며 이 케이싱 수용 단계에서의 절연 케이싱(16)을 검출/위치 결정단계, 수지 주입 단계, 소자 삽입 단계, 소자 가압 단계 및 송출과 수집 단계로 연속하여 이동시킬 수 있는 다수의 케이싱 홀딩 시이트(30)로 구성되어 함께 조립된 박스형 커패시터의 일부를 구비하고 조립된 커패시터 반제품을 이러한 반제품에 추가적인 공정을 가하는 다른 장치에 공급하게 된다.
상기한 검출/위치 결정 단계에서, 개방면이 있는 내부공간이 형성된 케이싱(16)은 케이싱의 개방면이 올바른 방향으로 놓여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검출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케이싱(16)의 개방면은 상향으로 향하도록 배열되므로 케이싱 홀딩 시이트(30)내에는 용기와 유사한 형상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케이싱(16)은 적절하게 가압되어 상기 케이싱 홀딩 시이트(30)에 보다 단단하게 배치된다.
상기 수지 주입 단계에서, 미리 설정된 양의 수지가 상향으로 향한 개방면을 통하여 상기 케이싱(16)의 내부 공간으로 주입된다. 상기 개방면이 상향으로 향하는 구성이므로 상기 케이싱(16)은 수지를 수용하고 유지할 수가 있다.
상기 소자 삽입단계에서, 컨베어 시스템(28)에 의해 상기 솔더링 수단(22)에서 이송되는 와이어 몰딩된 소자(24)는 상기 개방면을 통하여 상기 케이싱(16)에 적절하게 배치되므로, 상기 소자(24)는 케이싱(16)밖으로 일부가 튀어나온 터미널 리이드와 함께 수지에 최소한 부분적으로 침지된다
상기 케이싱(16)의 두 개의 내부 대향면상에 각각 형성된 가이드 슬롯(도시 생략)내에서 활주하여 수용될 수 있는 상기 각각의 터미널 리이드가 V형상으로 굴곡되어 있으므로, 상기 소자(24)는 상기 케이싱(16)에 적절하게 배치되어 상기 케이싱(16)내의 수지에 깊게 안내된다.
상기 소자 가압 단계에서, 상기 와이어 몰딩된 소자(24)는 상기 케이싱(16)내의 수지에 더욱 가압되므로 상기 소자(24)는 수지내의 소정의 깊이가지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도면에서 도면부호32로 나타낸 커패시터 반제품이 형성되게 된다.
이렇게 형성된 반제품(32)은 피이드-아웃 즉 송출채널(34)을 통하여 상기 조립 워크스테이션(26)의 케이싱 홀딩 시이트(30)에서 이탈되어 상기 수집 단계에서 적절히 수집되어 후속 공정으로 넘어가게 된다.
일반적으로, 최소한 가열단계를 포함하는 상기 반제품(32)의 후속 공정은 수지의 경화를 촉진시키게 되고, 제2수지의 주입공정으로 케이싱(16)(주로 반제품(32))내의 수지량을 부가적으로 충전시킬 수 있어 케이싱(16)의 내부 공간을 완전히 채울 수 있게 된다. 또한 부가적인 가열 단계에 의해 추가적으로 충전된 수지를 경화시킬 수 있으며, 이로써 박스형 커패시터의 최종제품의 제조가 완료하게 된다.
본 고안은 박스형 커패시터의 조립장치의 전기 및 제어 부분보다 기계적인 부분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 전기 및 제어 부분은 이하 생략한다.
한편 박스형 커패시터 조립장치와 전기/제어 부분은 본 명세서에 상세히 기재되어 있지 않지만 이 분야의 당업자는 널리 이용되거나 또는 공지된 다양한 제어 장치를 용이하게 이용할 수 있으므로 전기/제어 부분에 대한 소정의 정보를 종래 기술이나 이와 관련된 정보원에서 용이하게 얻을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박스형 커패시터 조립장치의 기계적인 부분들의 작동 공정은 다음과 같다. 우선,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 가능한 조립 워크스테이션(26)은 적절한 파워/제어 장치(도시 생략)에 의해 구동되는 원형의 외주면을 갖는 원형의 턴테이블(36)을 구비하며, 이 턴테이블은 제1도와 제2도에서 화살표 A로 도시된 것처럼 중심축(38)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된다. 상기 워크스테이션(26)은 간헐적인 방법으로 일정한 각 속도로 회전하여 케이싱 공급 단계, 검출/위치 결정 단계, 수지 주입단계, 소자 삽입 단계, 소자 가압 단계 및 송출과, 수집 단계(공정 단계에서 집합적인 의미)에서 임시 정지하고, 모든 공정 단계에서 실행된 작동이 완료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기설 정된 시간동안 임시 정지하도록 제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조립 워크스테이션(26)의 턴테이블(36)은 외주면을 따라 등간격으로 이격된 다수의 노치부를 구비하는데, 이 노치부는 반경을 따라 기 설정된 길이를 갖도록 상기 턴테이블(36)의 반경 방향으로 연장된다. 각각의 노치부는 상기 조립 워크스테이션(26)의 케이싱 홀딩 시이트(30)의 하나로 구성된다.
일반적으로, 상기 공급 시스템(10)(12)(14)의 공급비와 공정단계에 의해 간헐적으로 정지되는 턴테이블(36)의 시간 간격과 상기 턴테이블(36)의 회전 속도에 의해 인접한 두 개의 노치부(30)사이의 각은 결정된다.
상기 원형의 턴테이블(36)의 반경을 따라 연장되는 각각의 노치부(30)는 상향으로 개방된 개방면을 가지며 턴테이블(36)외주 가장자리상에 측면 개구부가 형성된다.
상기 턴테이블(36)은 턴테이불(36)의 아래에 적절한 구동수단(도시하지 않음)의 전송축(362)에 연결되어 회전하는 캠(361)을 설치하되 캠(361)이 회전하면 피동롤러(363)가 간헐적으로 소정위치에서 이동하여 그 제 1단부에 연결된 피동롤러(363)를 갖는 링크(364)가 그 제 2단부를 중심으로 선회하게 하고, 링크(364)의 제 2단부는 턴테이블(36)의 아래에 수평하게 배치된 슬라이드(365)의 제 1단부에 고정상태로 연결하며, 제 1단부의 반대측의 슬라이드(365)의 제 2단부는 L형의 푸시플레이트(366)의 긴 아암부(366a)의 외측단부(166c)에서 L형의 푸시플레이트(366)에 간접적으로 고정상태로 연결되므로, 푸시플레이트(366)의 짧은 아암부(366b)의 직각의 좁은 외측단부(366d)가 케이싱지지시이트(30)중의 하나, 즉 수집스테이숀속으로 이동하여 송출채널(34)과 일직선상에 배치된 케이싱지지시이트쪽을 지시하게 된다.
이 특정위치로 들어가는 케이싱지지시이트는 앞으로 도면부호 30a로 표시할 것이다. 푸시플레이트(366)는, 그 좁은 외측단부(366d)가 좁은 외측단부(366d)가 지시하는 케이싱지지시이트(30a)내에 안착된 배선요소(32)의 하측부와 일직선상에 배치되도록 턴테이블(36)의 아래에 근접 배치된다.
따라서 캠(361)이 회전하여 피동롤러(363)를 제 1방향으로 이동시키고 피동롤러의 링크(364)를 선회시켜 슬라이드(365)를 이동시키고 결국 푸시플레이트(366)를 케이싱지지시이트(30a)측으로 이동시키면, 푸시플레이트(366)의 좁은 외측단부(366d)가 배선요소(32)의 특정 케이싱지지시이트(30a)내의 배선요소(32)에 대하여 반경방향으로 가압하여, 턴테이블(36)상의 케이싱지지시이트(30a)로부터 케이싱지지시이트(30a)와 일직선상으로 배치된 일 단부를 갖는 송출채널(34)촉으로 이동하게 한다.
그리고 캠(361)이 회전하여 피동롤러(363)를 제 1방향과 반대인 제 2방향으로 이동시키면, 푸시플레이트(366)는 케이싱지지시이트(30a)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이동하여 후속의 배선요소(32)를 케이싱지지시이트(30a)로부터 송출채널(34)속으로 가압할 준비를 한다.
상기 노치부(30)의 측면 개구부는 케이싱 공급 단계에 대응되도록 배열되어 상기 케이싱 공급 시스템(10)에서 공급되는 절연 케이싱(16)을 수용한다. 상기 노치부(30)는 상기 절연 케이싱(16)을 수용하고 유지시키기에 충분한 크기를 갖게되나, 너무 작아서 상기 케이싱(16)이 노치부(30)내에 단단하게 유지되어서는 아니 된다.
또한, 제1도에서처럼, 상기 케이싱 공급 시스템(10)은 다수의 절연 케이싱(16)을 내려놓는 원통형 용기인 둥근 진동 공급기(40)를 구비한다. 이 진동 공급기(40)로 내려진 케이싱(16)은 상기 공급기(40)에서 발생된 진동에 의해 무작위적으로 방향을 잡으며, 이러한 케이싱(16)은 지정된 방법에 의해 상향으로 경사진 슬로프(42)를 따라 이동된다.
상기 진동 공급기(40)의 원통형 측벽에는 싱기 슬로프(42)의 최고 높은 위치에서 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턴테이블(36)의 외주 가장자리로 선형의 채널(44)이 연장되어, 조립 워크스테이션(26)의 케이싱 공급 단계에서 원통형 용기의 공급기(40)로부터 케이싱(16)들을 수용하게 된다.
상기 진동 공급기의 작동구조는 이미 공지되어 널리 사용되고 있어 당업자가 용이하게 알 수 있음으로 이하 생략한다.
즉 케이싱 공급 단계에서 상기 노치부(30)가 정지될 때 노치부(30)의 측면 개구부는 상기 선형 채널(44)의 이격 단부와 정렬되어 채널(44)를 따라 이동되는 케이싱(16)은 측면 개구부를 통해 상기 노치부(30)에 이송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케이싱(16)은 노치부(30)에 수용되는데 개방면이 상향으로 향하도록 위치되어 용기 모양의 구조로 형성된다.
상기 성형의 케이싱 공급 채널(44)은 상기 진동 공급기(40)의 출구에서 케이싱 공급 단계를 향하여 아래로 경사지게 연장되며, 벨트 컨베이어(도시 생략)를 구비하므로 공급기(40)의 출구에서 케이싱 공급 단계로의 절연케이싱(16)의 이동이 용이하게 이루어 진다.
상기 둥근 진동 공급기와 벨트 컨베이어 시스템은 이미 공지되어 있어 당업자가 용이하게 알 수 있음으로 이하 생략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노치부(30)는 턴테이블(36)의 주변을 따라 등간격으로 이격 되어 있어 상기 케이싱 공급 시스템(10)에서의 절연 케이싱(16)은 상기 노치부(30)에 용이하게 수용되며, 턴테이블(36)은 이러한 각각의 공간에서 잠시 정지되도록 제어된다. 따라서, 턴테이블(36)이 정지될 때마다 노치부(30)들 중의 하나는 케이싱 공급 시스템(10)의 선형 채널(44)과 정렬되어 하나의 케이싱(16)을 용이하게 수용하게 된다.
상기 케이싱 홀딩 시이트(노치부)(30)내에 절연 케이싱(16)이 수용되고 유지된 후 상기 케이싱(16)은 턴테이블(36)과 같이 이동되며 턴테이블(36)이 정지되는 각각의 공정 단계에서 연속하여 정지하게 된다.
상기 케이싱 홀딩 시이트(30)와 절연 케이싱(16)의 두 번의 정지는 검출/위치 결정 단계와 수지 주입 단계에서 이루어지며, 이 단계에서 검출/위치 결정 장치(46)와 수지 주입 장치(48)가 제공되어 상기 홀딩 시이트(30)내의 케이싱(16)을 검출하여 위치 결정하며 위치결정된 절연 케이싱(16)에 수지를 충전시키게 된다.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검출/위치 결정 단계에 설치된 검출/위치 결정장치(46)는 상기 조립 워크스테이션(26)의 턴테이블(36)에 대하여 왕복으로 회전 가능한 베이스(50)를 구비한다 이 베이스(50)는 축(54)에 체결된 구동 로드(56)가 장착된 축(52)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된다.
축(54)은 축(52)보다 턴테이블(36)에서 보다 멀리 위치되므로 적절한 파워/제어 수단(도시 생략)에 장착된 상기 로드(56)의 왕복 운동으로 상기 베이스(50)는 상기 턴테이블(36)를 향하거나 이격 되도록 축(52)을 중심으로 상호 회전하게 된다.
상기 베이스(50)는 고정 장착된 검출/위치 결정 바(58)를 구비하며, 상기 노치(30)가 검출/위치 결정 단계로 이동될 때 상기 바(58)의 하단은 상기 노치(30)위에 정확하게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베이스(50)가 왕복 운동하는 방식에 따라 축(52)을 중심으로 회전할 때 상기 바(58)는 검출/위치 결정단계에서 기 설정된 거리만큼 상하로 이동된다.
상기 케이싱(16)이 상기 노치부(30)에 정확하게 배치되지 않을 때, 즉 상기 케이싱(16)의 개방면이 상방향으로 되지 않고 상기 케이싱의 비개방면이 상방향으로 될 때에는 상기 바(58)의 이동 거리는 짧게 된다. 이것은 각각의 노치부(30)내에서 케이싱(16)의 부정확한 방향을 나타나게 되는 것이다.
게다가, 상기 절연 케이싱(16)이 케이싱 공급 채널(44)을 통하여 벨트 컨베이어(도시생략)에 의해 이동됨으로서, 케이싱(16)이 턴테이블(36)상의 각 노치부(30)에 수용될 때 필요에 따라 단단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노치부(30)에 의해 배치되지 않을 수 있다. 이것은 연속 공정에서 문제점을 유발시키게 되므로, 상기 검출/위치 결정 장치(46)에 장착된 바(58)의 하향 이동은 케이싱과 접촉하게 설계되어 있어 상기 케이싱(16)을 가압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케이싱(16)을 노치부(30)아래로 가압시키므로써 상기 절연 케이싱(16)은 노치부(30)내에 보다 단단하고 정확하게 배치된다. 일단 상기 베이스(50)가 턴테이블(36)에서 이격되어 회전되면 상기 바(58)는 상기 케이싱(16)에서 분리되어 멀리 이동되므로 턴테이블(36)의 추가적인 회전으로 상기 바(58)에 영향을 주지는 않는다.
상기 수지 주입 장치(48)의 베이스(59)는 수지 공급기(도시 생략)에 연결되는 가압성 호스인 관형 부재(68)를 갖고 고정 장착된 인젝터(66)와, 상기 호스(68)에서 공급된 수지를 수지 주입 단계에서 절연 케이싱(16)으로 유도하는 주입 노즐(70)로 구성된다.
상기 검출/위치 결정 장치(46)에서와 마찬가지로, 상기 절연 케이싱(16)은 상기 조립 워크스테이션(26)의 턴테이블(36)과 함께 이동되어 일시적으로 정지되고 수지 주입 장치(48)아래로 위치되는 수지 주입 단계로 된다. 이때, 상기 인젝터(66)는 상기 구동 로드(60)에 의해 구동되어 제4도의 화살표 4로 도시된 것처럼 상기 케이싱(16)을 향하여 하향 이동된다.
따라서, 상기 노즐(70)은 상기 절연 케이싱(16)에 정확하게 대향되게 배치된다(제4도참조). 적절한 제어/펌핑장치(도시생략)에 의해 상기 수지 공급기에서 상기 인젝터(66)로 공급된 구지는 인젝터(66)를 통해 절연 케이싱(16)에 주입되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절연 케이싱(16)의 개방면이 상방향으로 되어 있어 용기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노즐(70)을 통하여 주입되는 수지는 케이싱(16)의 개방면을 통하여 케이싱(16)에 수용되게 된다. 상기 케이싱(16)에 소정의 레벨만큼 충전되는 수지는 통상 절연 케이싱(16)의 내부 공간의 약70% 내지 80%정도 차지하게 된다.
수지 주입 후, 인젝터(66)는 상기 로드(60)의 구동에 의해 베이스(59)와 함께 이동되는데, 상기 케이싱(16)에서 분리되어 상향으로 이동되므로(제3도참조)초기의 위치로 되돌아 간다.
따라서, 상기 턴테이블(35)과 케이싱(16)의 회전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게 된다.
상기한 수지 주입 단계에서, 케이싱(16)에 수지가 충전된 후 소자 삽입 장치(72)(제 1, 2, 7, 8, 10, 11도 참조)가 배치된 소자 삽입 단계로 상기 케이싱(16)은 턴테이블(36)과 함께 연속하여 이동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자 삽입 장치(72)는 적절한 파워/제어 수단(도시 생략)으로 구동되는 한쌍의 턱부(74)를 구비하며, 이들 사이의 공간을 변화시키기 위하여(즉, 두 개의 턱부(74)를 개방 및/ 또는 차폐시키기 위하여)서로 상대적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턱부(74)는 가동 베이스(76)에 장착되어 제10도와 제11도에 도시된 화살표 C와 D처럼 일치하여 가동되는데, 상기 컨베이어 시스템(28)에서 멀어지고 근접함에 따라 와이어 몰딩된 소자(24)를 수용하게 된다.
특히, 소자 삽입 장치(72)가 배치되어 있어 이 장치(72)가 제1방향(예컨대, 화살표 C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상기 컨베이어 시스템(28)으로 접근하게 되어 제10도에 도시된 것처럼 컨베이어 시스템(28)에 의해 이송되는 소자(24)에 상기 턱부(74)가 접근하여 맞물리게 된다.
일단 상기 소자 삽입 장치(72)가 상기 컨베이어 시스템(28)에서 소자(24)를 수용하면 상기 장치(72)는 제1방향과 대향된 제2방향(제11도에서 화살표 D방향)으로 이동되어 소자 삽입 단계에서 배치된 케이싱(16)에 위치된 소자(24)를 가지게 된다.
이 소자(24)는 상기 케이싱(16)의 내부에 형성된 가이드 슬롯으로 각각 수용되어 납땜된 두 개의 터미널 리이드를 구비하므로 상기 소자(24)를 상기 절연 케이싱(16)으로 적절하게 안내하게 된다.
따라서, 제1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케이싱(16)의 외부로 노출된 터미널 리이드의 최소한 일부가 상기 수지에 첨지되게 된다. 상기 턱부(74)는 개방되어 와이어 몰딩된 소자(24)에서 분리되면 상기 소자(24)는 상기 케이싱(16)내에 수용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상기 소자(24)의 턱부(74)와의 맞물림은 소자 몸체보다 소자의 터미널 리이드(와이어부)에서 이루어지므로 제8도, 제10도 및 제11도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이들이 서로 근접될 때 상기 턱부(74)가 상기 소자(24)의 터미널 리이드를 붙잡게 된다.
다시 제1도와 제2도를 참조하여 보면, 상기 절연 케이싱(16)에 와이어 몰딩된 소자(24)가 수용된 후 상기 조립 워크스테이션(26)의 턴테이블(36)은 소자 가압 장치(78)가 장착된 소자 가압 단계를 향하여 이동한다(제5도와 제6도 참조).
따라서, 상기 케이싱(16)내에 수용된 소자(24)는 케이싱(16)내의 수지를 향해 기 설정된 위치에 더 내측으로 가압되므로 후속하는 공정이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제5도와 제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소자 가압 장치(78)는 피봇 가능하게 축(82)에 고정된 베이스(80)와 서로 적절하게 이격된 축(82)(86)의 축(86)에서 상기 베이스(80)에 대하여 선회 가능한 구동 로드(84)로 구성되어, 이 구동 로드(84)가 적절한 파워/제어 장치(도시 생략)에 의해 왕복 운동으로 구동될 때 상기 베이스(80)는 축(82)을 중심으로 상호 회전하게 된다.
또한, 상기 소자 가압 장치(78)는 상기 베이스(80)에 고정되고, 케이싱(16)이 소자 가압 단계에 있을 때 절연 케이싱(16)이 배치되는 위치에 대응하도록 배치되는 가압 바(88)를 추가로 구비한다.
따라서, 상기 베이스(80)가 상기 구동 로드(84)에 의해 구동될 때 축(82)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되므로, 상기 가압 바(88)는 제6도의 화살표 E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케이싱(16)에 근접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바(88)의 하단은 케이싱(16)에 배치된 소자(24)에 접촉하게 되므로 제6도에서 처럼, 베이스(80)의 회전동안 상기 소자(24)는 소정의 깊이로 케이싱(16)내의 수지에 가압 되게 된다.
일단 가압이 완료되면, 상기 구동 로드(84)의 역방향 이동으로 상기 가압 바(88)는 이격 되는데, 이 바(88)의 하단이 상기 케이싱(16)에서 분리되게 된다. 이러한 작동은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턴테이블(36)의 회전 이동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본 고안에 있어서, 제1도와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검출/위치 결정 단계의 검출/위치 결정 장치(46)는 소자 가압 장치(78)와 유사하거나 동일한 것이다 따라서, 상기 검출/위치 결정 장치(46)의 부가적인 이해는 제5도와 제6도에서도 알 수 있다.
그러나, 검출/위치 결정 장치(46)는 소자 가압 장치(78)와 유사하거나 동일할 필요가 없으며, 상기 조립 워크스테이션(26)의 턴테이블(36)의 노치부 또는 케이싱 홀딩 시이트(30)에서 케이싱(16)을 검출하고 위치 결정할 수 있는 어떠한 장치나 수단을 이용하여 검출/위치 결정 장치를 대체할 수 있다.
본 고안의 박스형 커패시터 조립 장치에 적용되는 컨베이어 시스템(28)을 도시하는 제7도와 제8도에서 컨베이어 시스템(28)의 일부가 도면의 간결성으로 생략된다. 이러한 도면에서 알 수 있듯이, 컨베이어 시스템(28)은 두개의 이격된 스프라켓(92)(94)(또한 제1도참조)을 감싸는 루프형인 무한 체인(90)으로 구성된다.
상기 스프라켓중 하나인 제1 스프라켓(92)은 소자 삽입 단계 또는 소자 삽입 장치(72)에 근접하여 배치되고, 나머지 하나인 제2 스프라켓은 솔더링 장치 또는 솔더링 수단(22)에 근접하여 배치되므로, 상기 체인(90)이 화살표 F와 G의 방향으로 이동될 때 상기 솔더링 수단(22)에서 수용된 소자(24)는 소자 삽입 단계인 소정의 위치로 체인(90)의 이동과 함께 전방으로 이동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인(90)의 하부(화살표 G방향으로 이동되는 부분)는 상기 솔더링 수단(22)에서 소자 삽입 단계의 소자 삽입 장치(72)로 이동되고, 체인의 상부(화살표 G방향과 대향된 화살표 F방향으로 이동되는 부분)는 상기 소자 삽입 장치(72)에서 솔더링 수단(22)으로 이동되도록 배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체인(90)은 이 체인(90)을 따라 등간격으로 이격되어 장착되어 다수의 소자 홀더(96)를 구비한다. 각각의 소자 홀더(96)는 상기 체인(90)에 고정된 베이스(98)를 구비하는데, 상기 베이스는 상기 체인(90)에서 이격되어 체인의 이동에 따라 이동되도록 장착되며 서로 이격되어 개방부를 형성하는 두 개의 턱부(100)를 구비한다.
상기 각 소자 흘더(96)의 두개의 턱부(100)는 적절한 제어/구동 수단(도시 생략)에 의해 제어되고 구동되므로 이들 사이에 형성된 공간을 변화시킬 수 있도록 서로에 대하여 이동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두 개의 턱부(100)에 의해 와이어 몰딩된 소자(24)를 집어서 유지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소자 홀더(96)는 체인(90)과 함께 화살표 F방향으로 이동되어 솔더링 수단(22)에 근접하므로 이 솔더링 수단(22)에 인접하여 위치된 소자 턴테이블(102)에서 (솔더링 수단(22)에 의해 진행되는)소자(24)를 수용하며, 이 소자(24)를 소자 삽입 장치(72)로 이송시킨다.
상기 소자 턴테이블(102)은 제어/구동 수단(도시 생략)에 의해 제어되어 축(104)을 중심으로 회전하는데, 상기 턴테이블(102)의 외주면을 따라 이격된 다수의 턱부(106)를 구비 한다.
이 턱부(106)는 소자 턴테이블(102)의 회전으로 각 쌍의 턱부(106)가 상기 소자 공급 시스템(12)에서 커패시터 소자(18)를 수용하는 소자 공급 위치로 이동된다.
따라서, 상기 소자 턴테이블(102)의 축(104)을 중심으로 회전할 때 리이드 와이어(20)가 솔더링 수단(22)에 의해 상기 소자(18)에 납땜되어 와이어 몰딩된 소자(24)를 얻을 수 있는 솔더링 위치로 상기 소자(18)가 이동되게 된다.
또한, 제9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소자 턴테이블(102)의 회전으로 턴테이블(102)의 턱부(106)에서 체인(90)의 소자 홀더(96)로 소자(24)가 이송되는 출리(出離) 위치로 상기 몰딩된 소자(24)가 향하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턴테이블(102)의 작동에 따라, 각각의 소자 홀더(96)의 턱부(100)가 이 턱부의 외부에 배치된 상기 소자(24)의 몸체와 함께 와이어부(터미널 리이드)에서 소자(24)를 잡아서 유지시키도록 상기 체인(90)의 소자 홀더(96)가 작동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소자 홀더(96)가 체인(90)의 하부로(화살표 C방향)이동될 때 상기 소자(24)의 몸체는 상기 체인(90)아래에 위치하게 된다.
즉 제7,10도 및 제11도에서 알 수 있듯이, 상기 체인(90)은 적절한 제어/구동 수단(도시생략)에 의해 제어되므로 상기 소자 홀더(96)에 유지된 소자(24)가 체인(90)과 함께 소자 삽입 단계로 이동될 때 상기 체인(90)일단 정지하게 된다.
또한 이와 동시에 상술한 바와 같이, 제10도에서 보여주는 것처럼, 소자 삽입 장치(72)가 화살표 C방향 즉 상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턱부(74)는 소자(24)에 근접하여 상기 소자(24)의 두 대향면에 각각 위치하게 된다
상기 턱부(74)의 제어/구동 수단(도시 생략)의 제어 상태에서, 상기 턱부(74)는 와이어 몰딩된 소자(24)의 터미널 리이드를 집어 올리도록 구동되므로 상기 체인(90)의 소자 홀더(96)에서 와이어 몰딩된 소자(24)를 수용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턱부(74)가 상기 소자(24)의 터미널 리이드를 집어 올릴 때 상기 소자 삽입 장치(72)는 하향으로 이동되어 소자 삽입 단계에서 와이어 몰딩된 소자(24)가 턴테이블(36)의 각 케이싱 홀딩 시이트(30)에 배치된 케이싱(16)을 향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소자(24)는 상기 케이싱(16)에 배치되어 케이싱(16)내의 수지에 침지된다. 본 실시예에서, (소자 홀더(96)가 상기 체인(90)의 하부에 있을 때) 소자 몸체가 홀더의 내부에 있고 V형상의 굴곡부를 갖는 터미널 리이드가 각각의 소자 몸체위에 위치되도록 상기 소자 홀더(96)내의 소자(24)가 배향되므로, 제8도에서 보인 것처럼 상기 터미널 리이드에서 상기 소자 삽입 장치(72)의 턱부(74)에 의해 유지되는 소자(24)는 상기 절연 케이싱(16)내부에 직접 배치된다.
이와 같이 와이어 몰딩된 소자(24)가 케이싱(16)내부에 배치되므로 상기 터미널 리이드의 일부는 케이싱(16)외부로 노출된다.
상기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체인(90)상에서 소자 홀더(96)에 의해 유지된 소자(24)의 두 대향면에 배치된 턱부(74)를 구비한 상기 소자 삽입 장치(72)는 화살표 C와 D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제작된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두 개의 턱부(74)는 이들 사이에 형성된 공간을 충분히 변형시키기 위해 서로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이동 가능하므로, 소자 삽입 장치(72)가 화살표 C방향으로 이동될 때 상기 턱부(74)는 와이어 몰딩된 소자(24)의 두 면을 통과하여 소자의 두 대향면에 위치되게 된다.
게다가, 상기 소자 삽입 장치(72)의 턱부(74)는 소자(24)의 터미널 리이드와 맞물리고, 상기 소자(24)의 몸체와 소자 홀더(96)의 턱부(100)사이에는 충분한 간극이 형성되고 상기 소자(24)의 터미널 리이드부가 노출되므로 소자 홀더(96)에 의해 이송된 소자(24)는 상기 소자 삽입 장치(72)의 턱부(74)에 의해 맞물리는 충분한 길이를 가지게 된다.
제12도에는 본 고안에 따른 박스형 커패시터 조립장치의 리이드 와이어 공급 시스템(14)이 도시되어 있다. 이 리이드 와이어 공급 시스템(14)은 두 개의 와이어(20)를 납땜하기 위한 소자(18)의 솔더링 위치에 공급시키는 와이어 공급 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소자(18)는 솔더링 수단(22)에 의해 납땜되어 와이어가 몰딩된 소자(24)로 형성 된다.
즉 제1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리이드 와이어 공급 시스템(14)의 와이어공급 수단은 두 개의 축(108)(제12도에서는 하나의 축만을 도시함)을 구비하며, 이러한 각각의 축은 와이어 릴(110)을 수용하고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상기 릴(110)은 적절한 강성을 갖는 성형의 도체(본 명세서에서 도면 부호20으로 나타낸 리이드 와이어)가 감긴 것이다. 상기 릴(110)에서 풀린 상기 두 개의 리이드 와이어 고정 장치(114)를 통과하여 연장된다.
이 리이드 와이어 교정 장치(114)는 연장되는 리이드 와이어(20)를 안내하고 교정하기 위해 배치된 다수의 교정 롤러(115)를 구비하여 리이드 와이어(20)를 상기 롤러에 통과시키므로써 와이어는 교정되면서 선형을 이루게 된다. 이러한 종류의 리이드 와이어 교정장치(114)는 이 분야에서 널리 알려져 있으므로 더 이상의 설명은 생략한다.
그후, 상기 솔더링 수단(22)의 솔더링 위치를 향하여 리이드 와이어(20)와 소정의 길이만큼 전진시키는 리이드 와이어 전진장치(116)로 교정된 리이드 와이어(20)의 선단 팁이 연장된다.
즉, 상기 전진 장치(116)의 각 작동 사이클은 상기 솔더링 수단(22)를 향하여 기 설정된 거리와, 전진장치(116)에 의해 이동되는 리이드 와이어(20)의 기 설정된 길이에 대응되는 기 설정된 거리만큼 상기 리이드 와이어의 전단부를 이동시키는 것이다.
즉 제13도 내지 제1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리이드 와이어 전진 장치(116)는 고정되거나 또는 정착된 와이어 홀더(118)와 가동 와이어 흘더(120)(통상 와이어 홀더로 언급됨)를 구비하며, 이러한 와이어 홀더는 적절한 제어/구동 수단(144)으로 구동되어 상기 와이어 홀더(118)(120)를 통하여 연장되는 리이드 와이어(20)를 붙잡거나 또는 풀어놓는다.
상기 가동 와이어 홀더(120)는 제어/구동 수단(도시생략)에 의해 추가적으로 제어되고 구동되어 상기 고정된 와이어 홀더(118)와 솔더링 수단(22)사이에서 기 설정된 거리 범위 내에서 왕복이동 가능하게 된다
상기 가동 와이어 홀더(120)의 이동 범위는 이격된 두 개의 제한 블록(122)(124)에 의해 결정되는데, 본 실시예에 따라, 제1제한 블록(122)은 상기 가동 와이어 홀더(120)의 전방 공급 위치를 형성하는 솔더링 수단(22)에 근접한 위치에 배치되고, 제2제한블록(124)은 상기 가동 와이어 홀더(120)의 후방 복귀위치를 형성하는 고정 와이어 홀더(118)에 인접하여 배치된다.
상기 두개의 제한블록(122)(124)사이로 연장되는다수의 레일(126)은 상기 제 1 및 제2블록(122)(124)사이의 가동 와이어 홀더(120)의 이동을 안내한다.
상기한 전방 공급위치와 후방 복귀위치는 소정의 거리로 이격 되는데, 본 실시예에 따라, 상기 리이드 와이어 전진 장치(116)에 의해 상기 전진 장치(116)의 각 작동 사이클에서 솔더링 위치를 향하여 이동되는 리이드 와이어(20)의 기 설정된 거리에 대응되는 거리로 이격되게 된다.
상기한 고정 및 가동 와이어 홀더(118)(120)는 최소한 하나의 물림 부재(132 또는 134)를 갖는 베이스(128)(130)로 구성되는데, 상기 물림 부재는 상기 리이드 와이어(20)가 연장되어 형성되는 공간에서 베이스(128)(130)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움직일 수 있다. 이러한 물림 부재(132)(134)에는 스프링(136)(138)과 같은 가압 수단이 장착되어 있어 상기 베이스(128)(130)를 향하여 상기 물림 부재(132)(134)가 가압되어 편향된다.
따라서, 상기 물림부재(132)(134)의 하단부에 마련된 단부 블록(140)(142)은 상기 베이스(128)(130)에 단단하게 인접하여 지지됨으로써 상기 리이드 와이어(20)의 유지는 보장되어 상기 와이어 홀더(118)(120)에서 상기 리이드 와이어(20)의 상대적인 이동은 방지된다.
상기 리이드 와이어 전진장치(116)는 피봇(148)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플레이트(146)를 구비한 제어 수단(144)을 포함한다. 이 회전 가능한 플레이트(146)는 구동 로드(150)에 의해 상기 피봇(148)을 중심으로 회전하며, 상기 구동로드(150)는 선회축(152)을 중심으로 상기 플레이트(146)에 대해 회전하게 된다.
이 회전 가능한 플레이트(146)는 상기 고정 및 가동 와이어 흘더(118)(120)에 각각 대응하는 제1 및 제1의 캠(camming)면(154)(156)을 구비한다.
상기 구동 로드(150)에 의해 제1방향(제14도에서 화살표 H방향)으로 상기 플레이트(146)가 회전하도록 상기 캠면(154)(156)이 배열되므로 상기 물림부재(132)에 힘을 가하는 고정 와이어 홀더(118)의 물림부재(132)의 연장부(133)와 제1캠면(154)이 접촉하여 맞물린다.
따라서, 상기 물림부재(132)가 상기 스프링(136)에 대항하여 이동되므로 상기 고정 홀더(118)의 베이스에서 단부 블록(140)이 분리되어 상기 리이드 와이어(20)는 상기 베이스(128)에 대하여 자유롭게 이동하게 된다. 상기 물림부재(132)의 연장부(133)는 상기 회전 플레이트(146)의 제1캠면(154)과 접촉하여 맞물리게 장착되는 캠종동 롤러(133a)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상기 회전 플레이트(146)가 상기 스프링(136)에 가압되는 물림 부재(132)를 밀어주기 때문이다.
제2방향(제15도에서 화살표 I방향)인 상기 회전 플레이트(146)의 대향 회전으로 제1캠면(154)이 상기 물림부재(132)에서 분리되고, 이에 따라 상기 스프링(136)은 상기 물림부재(132)의 단부 블록(140)에 가압하여 베이스(128)에 물리게 된다. 동시에, 회전 플레이트(146)의 제2캠면(156)은 가동 와이어 홀더(120)의 물림부재(142)의 연장부(135)와 접촉하여 맞물린다.
따라서, 상기 물림부재(134)가 상기 스프링(138)에 대항하여 이동되므로 상기 가동 와이어 홀더(120)의 베이스(130)에서 단부 블록(142)이 분리되어 상기 리이드 와이어(20)는 상기 와이어 홀더(120)에 대하여 자유롭게 이동하게 된다.
상기 물림부재(134)의 연장부(135)는 상기 회전 플레이트(146)의 제2캠면(156)과 접촉하여 맞물리게 장착되는 캠 종동 롤러(135a)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상기 회전 플레이트(146)가 상기 스프링(138)에 가압되는 물림 부재(134)를 밀어주기 때문이다.
상기 리이드 와이어 전진장치(116)의 작동은 이하 후술한다. 우선, 제1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 와이어 홀더(118)가 리이드 와이어(20)를 풀어주고 가동 와이어 홀더(120)가 상기 리이드 와이어(20)를 고정시킨다. 그후, 제어/구동 수단에 의해 상기 가동 와이어 홀더(120)는 제2제한 블록(124)(후방 복귀위치)에서 제14도에서의 화살표 J방향인 제1제한블록(122)(전방 공급위치)으로 이동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물림부재(134)에 의해 고정된 리이드 와이어(20)는 솔더링 위치로 이동된다.
상기 리이드 와이어(20)는 적절한 강성을 갖는 재질이 바람직하나, 와이어(20)가 가동 와이어 홀더(120)에 의해 솔더링 위치로 이동될 때 소성 변형될 수 있어야 한다.
즉, 와이어의 선단 팁이 솔더링 위치에서 소자 턴테이블(102)의 한쌍의 턱부(106)에 의해 유지되는 소자(18)의 대향된 두면상에 위치되어 상기 소자(18)가 용이하게 납땜되므로써 와이어 몰딩된 소자(24)가 형성되기 때문이다.
상기 리이드 와이어 전진장치(116)와 솔더링 수단(22)사이의 적절한 위치에 와이어 절단 장치(158)가 제공되므로, 이 장치에 의해 상기 리이드 와이어(20)의 솔더링 공정후 상기 와이어(20)가 절단된 후 상기 소자(18)가 완전하게 와이어 몰딩된 소자(24)가 형성된다.
상기 리이드 와이어(20)는 절단되어 상기 소자(24)의 터미널 리이드로 형성되는데, 소자의 몸체와 와이어 절단장치(158)사이에서 상대적인 위치에 의해 그 길이가 결정되게 된다. 따라서, 필요한 경우에는 상기 와이어 절단 장치(158)가 상기 솔더링 수단(22)(또는 상기 소자 턴테이블(102)의 턱부(106)에 의해 유지되는 소자(18))에 상대적으로 이동되도록 배치되어 상이한 길이를 갖는 소자(24)의 터미널 리이드를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리이드 와이어(20)가 절단될 때 상기 와이어 절단 장치(158)에 의해 소성변형으로 상기 리이드 와이어(20)형상이 변형될 수도 있다. 상기 와이어 절단장치(158)의 성형작용으로 각각의 리이드 와이어(20)에서 절단되지 않는 부분의 전단 팁을 Y형상의 굴곡부로 형성시킨다. V형상의 굴곡부를 갖는 리이드 와이어(20)의 전단 팁은 연속되는 다음의 소자(18)에 납땜된다.
상기 와이어 몰딩된 소자(24)가 상기 절연 케이싱(16)으로 삽입될 때 상기 소자(24)의 두 개의 터미널 리이드상에 형성된 Y형상은 상기 케이싱(16)내부에 형성된 측면 슬롯에 서로 대향되도록 안내되어 수용된다.
상기 와이어 절단 장치(158)에 의해 상기 소자(18)에 납땜된 리이드 와이어(20)가 절단되어 상기 와이어 몰딩된 소자(24)가 완전히 형성된 후, 가동 와이어 홀더(120)는 상기 제어 수단(144)에 의해 제어되어 리이드 와이어(20)는 풀리고, 고정된 와이어 홀더(118)는 리이드 와이어(20)를 고정시킨다.
그 후, 가동 와이어 홀더(120)는 제15도의 화살표 K방향으로 이동되는데, 즉 제1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제한블록(122)(전방 공급 위치)에서 후방 복귀 위치인 제2제한 블록(124)으로 이동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한 리이드 와이어(20)가 고정 와이어 홀더(118)에 의해 고정되므로, 가동 와이어 홀더(120)가 제1제한 블록(122)에서 제2제한 블록(124)으로 이동될 때에 상기 와이어(20)는 고정된 상태로 유지되게 된다. 상기한 과정이 반복됨으로써, 상기 전진장치(116)에 의해 상기 와이어(20)가 상기 와이어 릴(110)에서 솔더링 수단(22)으로 연속하여 공급되고, 상기 전진장치(116)의 전진작동의 거리는 상기 가동 와이어 홀더(120)의 이동 거리(즉, 상기 두 개의 제한 블록(122)(124)사이의 거리)에 의해 결정된다.
따라서, 상기 두 개의 제한 블록(122)(124)사이의 거리는 조절될 수 있으므로, 필요한 경우에는, 상기 솔더링 수단(220)에 상대적인 와이어 절단장치(158)의 위치를 조절하므로써 와이어 몰딩된 소자(24)의 터미널 리이드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이러한 조절 메카니즘의 더 이상의 설명과 도시는 이하 생략한다.
본 고안에 따른 박스형 커패시터 조립장치에 적합한 솔더링 수단(22)은 알려져 있는 종류의 솔더링 장치이며,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솔더링 수단(22)은 소자 솔더링 위치의 두 대항면상에 각각 배치된 두 개의 스폿 솔더링 장치(160)(제1도와 제16도 참조)로 구성된다.
즉, 상기한 솔더링 장치(160)는 솔더링 위치에 위치된 소자 턴테이블(102)의 한쌍의 턱부(106)와 정렬되고 상기 소자 턴테이블(102)의 두 대향면상에 배치된다. 상기 스폿 솔더링 장치(160)는 적절한 제어/구동수단(도시생략)에 의해 제어되는데, 이 장치는 상기 소자 턴테이블(102)의 턱부(106)에 의해 유지되는 소자(18)를 향하여 제1도의 M방향으로 이동되고 소자 턴테이블(102)에 의해 솔더링 위치로 이동된다.
상기 전진장치(116)에 의해 구동된 리이드 와이어(20)는 상기 소자(18)의 두 대향면으로 이동되고 V형 굴곡부를 갖는 리이드 와이어(20)의 전단 팁이 상기 소자(18)에 납땜되어 소자(24)가 형성된다.
따라서, 이 와이어 몰딩된 소자(24)에는 상기 와이어(20)의 V형 굴곡부에 의해 형성된 두 개의 V형 측면 돌출부가 구비되어 상기 소자(24)를 상기 케이싱(16) 내부에 안내하여 적절히 배치시킨다.
제16도에는 본 고안에 따른 박스형 커패시터 조립장치의 소자 공급 시스템(12) 및 솔더링 수단(22)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이 소자 공급 시스템(12)은 원통형 용기인 둥근 진동 공급기(162)로 구성되는데, 이 공급기에는 다수의 커패시터 소자(18)가 배열되어 있거나 내려놓게 된다.
상기 진동 공급기(162)에 내려진 소자(18)는 상기 공급기(162)에서 발생된 진동에 의해 정해진 방식으로 상향으로 경사진 슬로프(164)를 따라 상향으로 이동된다.
상기 진동 공급기(162)는 원통형 측벽에 형성된 출구를 구비하고, 상기 소자(18)를 솔더링 위치로 이송시키는 소자 이송장치로 상기 소자(18)를 이동시키는 선형 채널(166)이 상기 슬로프(164)의 최고 높은 위치에서 연장된다.
상기 소자 이송 장치는 전술한 소자 턴테이블(102)과, 이 턴테이블과 소자 공급 채널(166)사이에 배치된 소자 누름 장치(168)로 구성된다. 소자 공급 채널(166)은 상기 진동 공급기(162)의 슬로프(164)의 최고점에서 상기 소자 누름장치(168)아래로 연장되어, 이 누름장치(168)에 순서대로 이송되는 상기 소자(18)가 소자 턴테이블(102)의 각 쌍의 턱부(106)사이에 밀리어 유지되게 된다.
제17도내지 제22도를 보면, 상기 소자 누름 장치(168)는 소자 턴테이블(102)을 향하거나(제19도에서 화살표 N방향 또는 제21도에서 P방향)또는 상기 턴테이블(102)에서 이격되도록(제22도에서 Q방향)제어/구동 수단(172)에 의해 구동되는 가동 베이스(170)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소자 누름장치(168)는 상기 가동 베이스(170)에 장착된 푸싱 로드(174)가 구비되어 있어 상기 소자 턴테이블(102)과 일체로 또는 이격되어 이동된다.
상기 가동 베이스(170)는 베이스(170)와 일체로 움직일 수 있으며 또한 적절한 제어/구동 수단의 제어 상태에서 서로에 대하여 이동될 수 있도록 장착된 한쌍의 클리퍼(176)를 추가로 구비한다.
따라서, 이들은 서로가 분리되어 이들 사이에서 공간을 형성시킬 수 있으며, 또한 제17도에서 화살표 R방향으로 서로를 향하여 접근될 수도 있다. 상기 소자 누름 장치(168)는 한쌍의 누름 로드를 포함한 소자 승강 수단(178)으로 구성되는데, 상부 및 하부 핀칭 로드(180)(182)의 대향된 수직 방향에서 공간이 형성되나 상기 소자(18)의 상이한 크기를 수용하기 위해 서로에 대하여 이동 가능하다.
즉 제17도 및 제20도의 화살표 R방향인 상기 소자 턴테이블(102)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상기 소자 승강 장치(178)는 적절한 제어/구동 수단(도시 생략)에 의해 제어된다.
제1도과 제1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조립장치의 작동에 있어서, 상기 소자 공급 시스템(12)의 소자 공급 채널(166)은 상기 소자 누름 장치(168)로 연장되고, 제18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자 누름 장치(168)의 누름 로드(174)에 의해 채널(166)의 저부가 위치되도록 정렬된다.
상기 소자(18)가 상기 채널(166)을 따라 이동될 때 상기 소자(18)의 이동은 상기 누름 로드(174)에 대응되는 적절한 위치에서 적절하게 배치된 정지부(도시생략)에 의해 정지된다.
상기 소자 누름장치(168)의 가동 베이스(170)는 상기 제어/구도 수단(172)에 의해 구동되는데, 제19도의 N방향인 소자 턴테이블(102)을 향하여 이동되고, 상기 채널(166)에서 상기 소자 상승 수단(178)의 하부 핀칭 로드(182)에 소자(18)를 이동시킨다.
따라서, 상기 소자(18)는 상기 상, 하부 핀칭로드(180)(182)사이에 배치되게 된다. 상기 상, 하부 핀칭 로드(180)(182)사이의 거리를 적절하게 조정함으로써 상기 소자(18)는 상기 상, 하부 핀칭 로드(180)(182)사이에서 또는 상기 로드(180)(182)들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유지된다. 그러나 상기 상부 핀칭 로드(180)에서 하부 펀칭 로드(182)로 이동되어 이들 사이에 상기 소자(18)가 유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채널(166)에서 상기 상, 하부 핀칭 로드(180)(182)사이로 소자(18)의 원활한 이동이 이루어지므로, 상기 하부 핀칭 로드(182)는 상기 채널(166)에 인접한 위치에서 채널(166)의 저부와 그 상부 단부가 정렬 배치되며, 상기 상부 핀칭 로드(180)는 상기 하부 핀칭 로드(182)와 수직 방향으로 배치된다.
제20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소자(18)가 상기 상, 하부 핀칭 로드(180)(182)사이로 이송된 후, 상기 소자 승강 수단(178)이 적절한 구동수단(도시생략)에 의해 제20도의 화살표 S방향인 상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소자(18)를 상기 가동 베이스(170)의 클리퍼(176)에 위치시키며, 그때 상기 클리퍼(176)가 서로 근접하여 상기 소자(18)를 물리게 된다.
따라서, 제21도의 P방향으로 가동 베이스(170)가 이동되고 소자 승강 수단(178)에서 상기 소자(18)는 분리되어 상기 클리퍼(176)사이의 소자(18)는 상기 소자 턴테이블(102)의 한쌍의 턱부(106)들 중의 어느 하나에 이송된다. 이러한 관점에서 볼때, 제17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동 베이스(170)의 클리퍼(176)는 상기 턴테이블(102)의 한쌍의 턱부(106)와 정렬되는데 상기 턱부(106)에 대하여 90도 이상으로 벗어나지 않도록 위치되어 배치된다.
제2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소자(18)가 소자 턴테이블(102)의 턱부(106)에 의해 맞물릴 때 상기 소자 누름 장치(168)의 가동 베이스(170)의 클리퍼(176)는 상기 소자(18)를 해제시키고 제22도의 화살표 5방향으로 턴테이블(102)에서 이격되어 상기 가동 베이스(170)와 함께 이동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제어/구동수단(도시생략)의 제어 상태에서 상기 턴테이블(102)은 화살표 Q방향으로 회전되어 상기 소자(18)가 솔더링 수단(22)으로 이송되면서 솔더링 작동이 이루어진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라 박스형 커패시터의 전 제조 공정을 전부 자동으로 행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므로, 필요한 노동력이 감소되고, 제조 효율이 향상되며, 제품 결함이 감소되어 생산원가를 낮추고 시장 경쟁력이 증대되게 된다.
본 고안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실용신안등록청구의 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고안의 정신이나 분야를 이탈하지 않는 한도내에서 본 고안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을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용이하게 알 수 있다.

Claims (12)

  1. 소자에 리이드 와이어로 솔더링하여 와이어 몰딩된 소자를 형성시키고, 상기 와이어 몰딩된 소자를 절연 케이싱에 조립시키는 박스형 커패시터의 조립장치에 있어서, 소자 공급 채널을 통하여 발생되는 진동으로 내부에 포함된 다수의 소자를 상기 소자 공급 채널의 출구에 연속하여 이송시키는 등근형상의 제1진동 공급기와, 상기 소자 공급 채널의 출구에 대응되는 소자 공급 위치에서 상기 소자 공급 채널의 상기 소자를 연속하여 수용하고 수용된 소자를 상기 소자 공급 위치에서 기 설정된 솔더링 위치 및 출리(出離)위치로 이송시키는 소자 이송 수단으로 구성된 커패시터 소자 공급 시스템; 강성이며 소성 변형될 수 있는 최소한 두 개의 도체 리이드를 솔더링 위치로 공급시켜 리이드 와이어의 선단 팁이 다름의 각 소자에 근접하도록 위치시키는 리이드 와이어 공급 수단을 포함하는 리이드 와이어 공급 시스템; 기 설정된 길이로 절단된 리이드 와이어로 형성된 터미널 리이드와 소자 몸체로 구성된 와이어 몰딩 소자를 형성하기 위해 각각의 소자에 리이드 와이어의 선단팁을 솔더링 위치에 위치시키도록 배치된 솔더링 수단; 케이싱 공급 채널을 통하여 개방면이 구비된 내부 공간을 갖는 다수의 절연 케이싱을 발생되는 진동으로 연속하여 이동시키는 등근형상의 제2진동 공급기를 포함하는 절연 케이싱 공급 시스템; 그리고, 조립 워크스테이션을 포함하며, 상기 조립 워크스테이션은, 케이싱 수용 단계의 상기 절연 케이싱 공급 장치에 장착된 케이싱 공급채널에서 상기 절연 케이싱을 수용 및 유지하기 위하여 원형의 트레이스를 따라 배치된 다수의 케이싱 홀더 시이트로 구성되며, 케이싱 수용 단계에서 검출/위치 결정 단계, 수지 주입 단계, 소자 삽입 단계, 소자 가압 단계 및 송출과 수집 단계로 상기 절연 케이싱을 연속하여 이동시키기 위해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함에 따라, 상기 케이싱 수용단계가 상기 케이싱 공급 채널의 출구에 대응되므로 상기 케이싱 홀더 시이트는 상기 절연 케이싱 공급시스템의 케이싱 공급채널에서 절연 케이싱을 연속하여 수용하게 되어 각각의 케이싱 홀더 시이트는 케이싱의 개방면이 상향으로 향하도록 유지된 절연 케이싱을 구비하게 되는 턴테이블; 상기 검출/위치 결정 단계에서 상기 절연 케이싱의 개방면이 상기 케이싱 홀더 시이트의 내부에서 상향으로 방향을 잡고 있는지 검출하고 상기 절연 케이싱을 가압하여 상기 케이싱 홀더 시이트에 상기 케이싱을 보다 단단하게 유지시키도록 검출/위치 결정 단계에 배치된 검출/위치 결정장치; 상기 수지 주입 단계의 수지 공급기에서 상기 케이싱 홀딩 시이트의 내부에 배치된 케이싱의 내부 공간에 기설정된 량의 수지를 주입하는 주입 노즐을 포함하고, 상기 수지 공급기와 연결되어 수지 주입단계에 배치된 수지 주입 장치; 상기 소자 이송 수단에서 와이어 몰딩된 소자를 수용하여 수용된 소자를 기 설정된 량의 수지가 충전된 상기 절연 케이싱에 삽입시키며, 소자 삽입 단계에서 상기 와이어 몰딩된 소자를 상기 케이싱 홀딩 시이트내에 유지시킴으로써, 상기 와이어 몰딩된 소자의 몸체의 최소한 일부가 상기 케이싱의 개방면을 통하여 케이싱의 외부로 연장되는 터미널 리이드와 함께 상기 수지에 침지 되도록 상기 소자 삽입 단계에 배치된 소자 삽입 장치; 상기 소자 가압 단계에서 케이싱 홀딩 시이트 내부에 케이싱 내에 수용된 와이어 몰딩된 소자를 케이싱내의 수지 내측으로 더 가압함으로써 소자몸체는 기설정된 깊이로 수지내에 위치되어 커패시터 반제품이 형성되도록 상기 소자 가압 단계에 배치된 소자 가압 장치; 그리고, 상기 수집 단계에서 상기 케이싱 홀딩 시이트내의 커패시터 반제품을 상기 박스형 커패시터 조립장치의 외부로 송출하여 수집 단계에 배치된 피드-아웃 채널을 포함한 피드-아웃 시스템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스형 커패시터의 조립장치 .
  2. 제1항에 있어서, 서로 이격된 제1스프라켓과 제2스프라켓을 에워싸는 체인 컨베이어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제1스프라켓은 상기 소자 삽입 단계 다음에 배치되고, 상기 제2스프라켓은 상기 소자 이송 수단의 소자 출리 위치 다음에 배치되며, 상기 체인 컨베이어는 상기 소자 이송 수단에서 수용된 와이어 몰딩소자를 각각 해체 가능하게 유지하고 수용된 와이어가 몰딩된 소자를 상기 체인 컨베이어와 함께 상기 소자 삽입 단계로 이동시키는 다수의 소자 홀더로 구성되고, 각각의 소자 홀더는 상기 체인 컨베이어에 고정된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이격된 한쌍의 턱부를 구비하여 상기 와이어 몰딩된 소자를 해제 가능하게 유지시키기 위해 턱부 사이에 형성된 공간이 변형되도록 서로에 대하여 이동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스형 커패시터의 조립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턴테이블은 상기 다수의 케이싱 홀딩 시이트를 형성하기 위해 형성된 다수의 노치부가 원형의 외주변에 형성된 원형의 회전 부재로 구성되고, 상기 각각의 노치부의 주변부에는 측면 개구부가 형성되며, 상기 원형 부재의 주변부에 대응하여 상기 절연 케이싱 공급 시스템의 케이싱 공급 채널에 형성되는 출구는 상기 원형의 회전 부재와 상기 케이싱 수용단계로 이동되는 상기 노치부의 측면 개구부와 정렬되므로 상기 절연 케이싱은 상기 케이싱 공급 채널에서 상기 노치부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스형 커패시터의 조립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위치 결정 장치는 상기 검출/위치 결정 단계에서 위치되는 케이싱 홀딩 시이트에 대한 상대적인 거리내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된 검출/위치 결정 바(bar)가 케이싱 홀딩 시이트내의 절연 케이싱과 접촉하여, 상기 검출/위치 결정 바의 이동되는 거리를 기 설정된 값과 비교함으로써 상기 절연 케이싱 개방면이 상향으로 방향을 잡았는지를 결정하고, 상기 검출/위치 결정 바는 계속 이동되어 상기 절연 케이싱을 상기 케이싱 홀딩 시이트내의 소정의 위치에 추가적으로 배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스형 커패시터의 조립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 주입 장치는 상기 제1턴테이블에 대하여 왕복 회전가능하며 주입 노즐 수단이 장착된 베이스로 구성되며, 상기 노즐 수단의 노즐 팁은 수지 주입 단계에서 상기 케이싱 홀더 시이트내의 절연 케이싱의 내부 공간으로 또는 공간외부로 이동되어 기 설정된 량만큼의 수지를 상기 절연 케이싱내로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스형 커패시터의 조립 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소자 삽입 장치는 제1턴테이블과 제1스프라켓 사이의 테인 컨베어이와 제1턴테이블에 상대적으로 이동 가능한 베이스로 구성되며, 상기 베이스에는 이들 사이에서 공간이 형성되도록 장착된 한쌍의 턱부를 구비하며, 상기 턱부는 서로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이동 가능하여 이들 사이에 형성된 공간을 변형시킬 수 있으므로 상기 체인 컨베이어에 의해 이송된 와이어 몰딩된 소자의 터미널 리이드를 집어올릴 수 있으며, 상기 베이스와 함께 상기 와이어 몰딩된 소자를 제1턴테이블로 이동시킬 수 있으므로 상기 와이어 몰딩된 소자를 제1턴테이블상의 절연 케이싱으로 삽입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스형 커패시터의 조립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이드 와이어 공급 시스템은 회전 가능하게 끼워 맞춤된 와이어 릴을 각각 갖는 두 개의 축으로 구성되며, 각각의 와이어 릴은 리이드 와이어가 감긴 길이를 가지고, 각각의 릴에서 풀린 상기 리이드 와이어의 선단팁은 다수의 안내 아이들 롤러에 의해 상기 솔더링 위치로 안내되므로 상기 리이드 와이어의 선단팁은 상기 소자에 솔더링 되어 와이어가 몰딩된 소자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스형 커패시터의 조립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리이드 와이어 공급 시스템은 상기 솔더링 장치로 연장되는 리이드 와이어가 통과되는 와이어 교정 장치를 추가로 포함하여, 상기 교정 장치는 상기 리이드 와이어의 선단팁이 교정 롤러를 통과할 때 상기 선단 팁을 일직선상으로 교정하는 다수의 교정 롤러로 구성되어, 상기 선단 팁을 상기 소자의 대향한 두면에 근접시켜 상기 솔더링 수단에 의해 상기 리이드 와이어로 상기 소자에 납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스형 커패시터의 조립 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리이드 와이어 공급 시스템은 기 설정된 길이의 리이드 와이어를 상기 솔더링 수단으로 반복하여 전진시키는 리이드 와이어 전진 장치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리이드 와이어 전진 장치는 상기 솔더링 위치에 대하여 위치 고정된 고정 와이어 홀더와, 상기 솔더링 위치에 근접한 전방 공급 위치와 상기 고정 와이어 홀더에 인접한 후방 복귀 위치 사이의 솔더링 위치와 고정 와이어 홀더에 대하여 이동 가능한 가동 와이어 홀더로 구성되며, 상기 전방 공급 위치는 기 설정된 길이의 리이드 와이어에 대응되는 거리로 상기 후방 복귀 위치에서 이격되고, 각각의 와이어 홀더는 베이스와 연장되는 리이드 와이어를 수용하도록 상기 베이스에서 이격된 단부를 갖는 최소한 하나의 물림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물림 부재는 상기 리이드 와이어를 상기 베이스에 고정시키기 위해 상기 물림 부재의 단부가 상기 베이스에 밀착하여 인접하도록 상기 베이스에 대하여 이동 가능하고, 상기 가동 와이어 홀더가 상기 후방 복귀 위치에서 전방 공급 위치로 이동될 때 상기 와이어 홀더의 물림 부재의 이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수단이 제공되며, 상기 고정 와이어 홀더의 물림 부재에 의해 상기 리이드 와이어는 자유롭게 이동 가능하고, 상기 가동 와이어 홀더의 상기 물림 부재에 의해 상기 리이드 와이어는 상기 가동 와이어 홀더에 고정되므로 상기 가동 와이어 홀더의 이동에 의해 상기 기설정된 길이의 리이드 와이어는 상기 솔더링 위치로 이동되어 솔더링 위치에 배치된 상기 소자에 솔더링되며, 상기 가동 와이어 홀더가 상기 전방 공급 위치에서 후방 복귀 위치로 이동될 때 상기 고정 와이어 홀더의 물림 부재에 의해 상기 리이드 와이어가 고정 와이어 홀더에 고정되며, 상기 가동 와이어 홀더의 물림 부재가 해제됨으로써 상기 고정 와이어 홀더에 의해 고정 유지된 상기 리이드 와이어에 대하여 상기 가동 와이어 홀더가 자유롭게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스형 커패시터의 조립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리이드 와이어 전진 장치의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가동 와이어 홀더와 상기 고정 와이어 홀더의 물림 부재와 서로 접촉하여 맞물리고 구동되도록 이동 가능한 제 1 및 제 2 캠면을 구비하고, 각각의 물림 부재는 상기 부재를 상기 베이스에 편향되어 인접시키는 가압수단을 제공하므로, 상기 가동 와이어 홀더가 상기 후방 복귀 위치에서 전방 공급 위치로 이동될 때 상기 제 1 캠면은 상기 가압 수단에 지지된 상기 고정 와이어 홀더의 물림 부재와 맞물려서 구동되어 상기 물림 부재의 단부가 상기 베이스에서 분리됨으로 상기 리이드 와이어는 풀리게 되고, 상기 가동 와이어 홀더가 상기 전방 공급 위치에서 후방 복귀 위치로 이동될 때 상기 제 2 캠면은 상기 가압 수단에 지지된 상기 가동 와이어 홀더의 물림 부재와 접촉하여 구동되므로 상기 리이드 와이어는 상기 가동 와이어 홀더에서 풀리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스형 커패시터의 조립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자 이송 수단은 주변부를 따라 배치된 다수 쌍의 턱부를 갖는 턴테이블을 포함하며, 상기 턴테이블은 상기 턱부를 상기 소자 공급 위치에서 솔더링 위치 및 출리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해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며, 각 쌍의 턱부는 상기 소자 공급 위치에서 상기 소자를 수용하고 해제 가능하게 유지시킬뿐만 아니라 상기 솔더링 위치를 통해 상기 소자를 상기 출리 위치로 연속하여 이동시키고, 상기 소자를 상기 소자 공급 채녈에서 상기 소자 공급 위치의 한쌍의 턱부에 이송시키기 위해 상기 턴테이블과 상기 소자공급 채널의 외부로 소자를 밀어넣기 위하여 상기 소자 공급 채널에 상대적으로 이동 가능한 누름 로드와 소정의 높이로 상기 소자를 승강 시키기 위하여 수직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승강 로드를 구비하고, 상기 턱부사이로 상기 소자를 이동시키고 상기 소자를 집어 올리는 한 쌍의 클리퍼가 제공되어 상기 소자를 상기 턱부 사이에 안전하게 집어 올려서 유지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스형 커패시터의 조립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솔더링 수단은 상기 솔더링 위치에서 상기 소자에 리이드 와이어로 솔더링 시킬 수 있도록 상기 솔더링 위치의 두 대향면에 각각 배치된 두 개의 스폿 솔더링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스형 커패시터의 조립 장치 .
KR2019970028066U 1997-10-10 1997-10-10 박스형커패시터조립장치 KR20022698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8066U KR200226988Y1 (ko) 1997-10-10 1997-10-10 박스형커패시터조립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8066U KR200226988Y1 (ko) 1997-10-10 1997-10-10 박스형커패시터조립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4905U KR19990014905U (ko) 1999-05-15
KR200226988Y1 true KR200226988Y1 (ko) 2001-09-17

Family

ID=538973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28066U KR200226988Y1 (ko) 1997-10-10 1997-10-10 박스형커패시터조립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698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4820B1 (ko) * 2002-05-06 2004-11-05 주식회사 우진 산소 측정용 프로브의 용강극으로 사용되는 몰리브덴단자와 구리 와이어를 자동으로 용접하는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54126B1 (ko) * 2000-10-12 2002-09-28 한성엘컴텍 주식회사 콘덴서 어셈블리 설비
KR100353001B1 (ko) * 2000-11-17 2002-09-18 한성엘컴텍 주식회사 콘덴서 조립 설비
KR100364140B1 (ko) * 2000-12-28 2002-12-12 파츠닉(주) 탄탈 소자용접기의 소자 공급장치
KR100980346B1 (ko) * 2008-07-11 2010-09-06 성호전자(주) 콘덴서 조립 장치
CN107632221B (zh) * 2017-10-27 2024-05-10 南通南铭电子有限公司 一种电容器引出线成型检测装置及工作方法
CN109904476B (zh) * 2019-02-21 2023-12-22 东莞市华慧新能源有限公司 一种锂电池自动组立机和锂电池自动组立方法
CN110125569B (zh) * 2019-06-20 2024-04-19 昆山仲聚新能源科技有限公司 一种端子组装焊接设备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4820B1 (ko) * 2002-05-06 2004-11-05 주식회사 우진 산소 측정용 프로브의 용강극으로 사용되는 몰리브덴단자와 구리 와이어를 자동으로 용접하는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4905U (ko) 1999-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723792B (zh) 电容器多针焊接插壳注胶组装机
KR200226988Y1 (ko) 박스형커패시터조립장치
KR910000620B1 (ko) 와이어 프로세싱 장치
KR101074623B1 (ko) 와이어 종단 기계를 위한 와이어 위치조정 장치
CN112621148B (zh) 一种汽车配件自动化装配工艺
CN109262263A (zh) 插头组装设备及输送装置
CN112621147B (zh) 一种汽车配件自动生产线用操作杆姿态调整单元
CN2311066Y (zh) 电容器组装装置
JP3947448B2 (ja) 端子圧着装置
US4903403A (en) Cable harness manufacturing and electrical testing system
US4870752A (en) Cable harness manufacturing and electrical testing system
CN109483223A (zh) 一种插头及其生产方法
CN111348415B (zh) 用于传送螺旋弹簧的磁升降平台
CN112478690A (zh) 一种汽车配件自动化生产线用操作杆上料装置
CN210272983U (zh) Sim卡连接器自动组装机
US4369570A (en) Apparatus for inserting insulating disc in cell container
CN113911484B (zh) 一种刀片自动装盒设备
CN215267992U (zh) 一种用于电机线圈骨架与接线片铆装的新型自动化装置
CN212648054U (zh) 变压器生产设备
JPS6336160B2 (ko)
JPH10507300A (ja) 電気ハーネスを製造する装置及び方法
US5778527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forming "L"-shaped terminals from structures stamped in a flat strip and for inserting such terminals into an electronic package
US3987528A (en) Non-axial lead electrical component prepper-taper apparatus
CN111232519A (zh) 定位输送装置、料盘周转系统及周转方法
US3910321A (en) Straightening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J204 Invalidation trial for patent
O032 Opposition [utility model]: request for opposition
O131 Decision on opposition [utility model]
O072 Maintenance of registration after opposition [utility model]: final registration of opposit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01100000922;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10524

Effective date: 20020730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10524

Effective date: 2002073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