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6907Y1 - 전선을 이용한 자동차용 퓨즈 및 릴레이 박스 - Google Patents

전선을 이용한 자동차용 퓨즈 및 릴레이 박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6907Y1
KR200226907Y1 KR2020000035569U KR20000035569U KR200226907Y1 KR 200226907 Y1 KR200226907 Y1 KR 200226907Y1 KR 2020000035569 U KR2020000035569 U KR 2020000035569U KR 20000035569 U KR20000035569 U KR 20000035569U KR 200226907 Y1 KR200226907 Y1 KR 20022690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se
circuit
box
relay box
w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3556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래
Original Assignee
경신공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신공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경신공업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0003556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690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690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6907Y1/ko

Links

Landscapes

  •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선을 이용한 자동차용 퓨즈 및 릴레이 박스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고안의 자동차용 퓨즈 및 릴레이 박스는 퓨즈 및 릴레이 박스의 프라스틱 본체에 리브(rib)구조체에 의한 패턴을 형성하고 상기 패턴사이에 전선을 삽입하여 회로를 구성하는 박스의 상부면(上部面)과; 상기 퓨즈 및 릴레이 박스 의 프라스틱 본체에 리브(rib)구조체에 의한 패턴을 형성하고 상기 패턴사이에 전선을 삽입하여 회로를 구성하고 대용량의 전류회로를 연결하기 위하여 부스바(bus-bar)를 사용하여 회로를 구성하는 박스의 하부면(下部面)으로 구성되어 박스내부에서 많은 회로연결이 가능하도록하고, 스프라이스 조인트의 품질상의 문제를 해결하며, 컴팩트한 구성으로서 공간상의 문제를 해결하고, 박스내의 부품 및 회로의 모듈화에 의하여 시스템의 안정화 및 품질을 향상시키는 것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전선을 이용한 자동차용 퓨즈 및 릴레이 박스{Fuse and relay box for automotive using the wire}
본 고안은 전선을 이용한 자동차용 퓨즈 및 릴레이 박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전기장치는 신경계통에 비유할 수 있으며 전기장치가 정상적으로 작동해야 비로소 자동차는 본래의 우수한 성능을 발휘할 수 있다. 자동차의 전기장치는 기관의 작동과 관련된 기관의 전기장치와 기관이외의 차체 각부에 장치된 차체 전장품으로 나눌 수 있다. 기관의 전기장치에는 기관을 시동하는 기동장치를 비롯하여 점화코일, 배전기, 고압 케이블 및 점화 플러그로 이루어지는 점화장치와 발전기, 조정기로 이루어지는 충전장치가 있으며 이들 장치는 기관의 성능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다. 차체 전장품으로는 기관을 시동할 때 전력을 공급하는 축전지를 비롯하여 조명용, 표지용 및 신호용으로 이루어지는 등화장치와 인스트루먼트 패널에 설치되는 계기류 및 경고표시장치와 냉난방장치 등이 있으며 이들 전장품은 자동차의 안전한 운행과 거주성을 좋게 하기 위한 장치들이다. 오늘날 자동차의 전장부품은 일반 전기기기의 발달과 자동차 자체의 용도확대, 안전성, 거주성, 편리성 등의 향상이 요구됨에 따라 전기장치의 범위가 확대되고 있으며, 또한 트랜지스터나 직접회로(IC) 등의 반도체 부품을 사용한 전자장치를 채용하고 있다. 이러한 자동차의 전기장치는 회로 또는 기기 상호간을 전기적으로 접속하거나 차단하기 위하여 커넥터(Connecter)라는 접속구를 사용한다. 다시 말하면 각종 회로가 내장된 인쇄회로기판 내의 각종 단자 즉, 입력 및 출력단자 등을 외부와 연결하고자 할 때에는 인쇄회로기판에 터미널을 설치한 다음 그 터미널에 인출선을 연결하여 외부의 다른 장치와 연결하여 신호를 전달하게 된다. 이와 같이 다른 장치와 배선하여 신호를 전달하기 편리하도록 정션박스를 사용하였다. 특히 다양한 종류의 전장품을 집합적으로 위치시킴으로써 전장품의 수리, 교체 및 레이아웃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면서도 간단한 방식으로 차체 패널에 장착될 수 있게 되는 정션블럭 조합체(junction block combination for automobile)를 사용하였다. 또한, 통상적으로 자동차에는 릴레이, 퓨즈 등 다양한 종류의 전장품이 자동차 시스템과 별도로 구분되어 설치 사용된다. 또한, 릴레이는 전자적으로 작동하는 전기회로의 개폐장치로서, 일반적으로는 한 개의 전선에 전류가 통하고 있는 상태와 통하고 있지 않은 상태를 각각 1 및 0으로 나타내는 2진 소자의 형태를 취하게 된다. 릴레이에는 일반 파워 릴레이, JIS형 파워 릴레이 및 ISO형 파워 릴레이가 있으며 ISO형 파워 릴레이는 일반 파워 릴레이나 JIS형 파워 릴레이에 비해 사이즈가 작고 코스트가 감소되기 때문에 미니 릴레이로서도 언급된다.
퓨즈는 납과 주석의 합금으로 제조되어 전기회로에 과대한 전류가 흐르면 녹아 끊어져 회로를 차단하는 기능을 한다. 따라서, 퓨즈는 회로중에 직렬로 설치되어 전선이 타거나 부하에 과대한 전류가 흐르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와이어링 하네스의 생산은 수작업에 의한 부분이 많고 와이어링 하네스의 복잡화에 따라 그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으며 특히 와이어링 하네스의 조인트회로의 존재는 극도로 생산성을 저해하고 있다. 상기 두가지의 관점에서 퓨즈 박스(fuse box), 릴레이 박스(relay box)내에서 금속바에 의한 분기 결선 방식의 새로운 사고 방식인 정션 박스(junction box)가 채용되고 거기에다 이 정션 박스에 전자 유닛(unit) 등을 조립한 것도 채용되어 가고 있다.
현재, 와이어링 하네스의 조인트회로는 주로 스프라이스 조인트(splice joint) 또는 조인트 커넥터에 의하여 이루어지고 있으며 스프라이스 조인트의 경우 전선과 전선을 스프라이스 압착에 의하여 직접 조인트시키는 방식으로서 하나의 회로에 하나의 회로를 조인트시키는 1 : 2 조인트방식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또한 조인트 커넥터는 커넥터의 내부에 연결 금속바(metal bus bar)구조를 가지는 조인트 커넥터(joint connector)의 메일하우징(male housing)과 조인트하고자 하는 회로가 삽입된 조인트 커넥터의 피메일하우징(female housing)을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하나의 회로에 두회로 이상을 조인트시키는 경우는 압착작업 및 품질문제 등으로 인하여 문제가 있으며, 스프라이스 조인트의 경우는 와이어링 하네스의 생산뿐만 아니라 완성차에 조립된 이후에도 차량의 진동 등에 의하여 접속불량의 품질문제를 야기시키는 경우가 많고, 스프라이스 조인트 후에 처리하는 테이핑절연작업 또는 레진타입 튜브작업 등으로 인하여 생산성이 떨어지고 와이어링 하네스가 부분적으로 굵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조인트 커넥터방식은 연결하고자 하는 회로수에 한계가 있으며 실질적으로 5~6회로 이상의 조인트는 어렵고, 별개의 조인트 커넥터를 여러개 사용하여야 하기 때문에 완성차에서의 취부 등에 있어서 공간적인 제약을 받는 경우가 많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자동차용 퓨즈(12) 및 릴레이(11)박스의 상부면(上部面)을 나타내고 있으며, 도 2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자동차용 퓨즈 및 릴레이 박스의 하부면(下部面)을 나타내고 있다. 여기에서는 박스 상부면(上部面)을 이용한 회로연결이 불가하기 때문에 많은 회로접속이 어려우며, 필요시 점프와이어(21)에 의하여 회로를 연결하고 부스바(22)에 의하여 조인트(joint)회로를 구성하기 때문에 퓨즈 및 릴레이 박스의 내부가 복잡하여지고 품질문제가 발생될 가능성이 높으며 공간상으로도 불리한 단점이 있고 복잡한 부품 사용으로 인하여 박스의 사출 시 성형성 및 수축 등의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박스의 상하부면(上下部面) 양쪽을 와이어에 의하여 회로를 연결함으로서 박스내부에서 많은 회로연결이 가능하도록하고, 박스내부의 조인트회로는 스프라이스를 사용하지 않음으로서 스프라이스 조인트의 품질상의 문제를 해결하며, 컴팩트한 구성으로서 공간상의 문제를 해결하고, 박스내의 부품 및 회로의 모듈화에 의하여 시스템의 안정화 및 품질을 향상시키고, 단순한 금형구조로 사출 시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자동차용 퓨즈 및 릴레이 박스의 상부면(上部面)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자동차용 퓨즈 및 릴레이 박스의 하부면(下部面)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전선을 이용한 자동차용 퓨즈 및 릴레이 박스의 상부면(上部面)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전선을 이용한 자동차용 퓨즈 및 릴레이 박스의 하부면(下部面)을 나타내는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 : 릴레이 12 : 퓨즈
21 : 점프와이어 31 : 리브 구조체
32 : 전선 41 : 부스바
본 고안의 자동차용 퓨즈 및 릴레이 박스는 퓨즈 및 릴레이 박스의 프라스틱 본체에 리브(rib)구조체(31)에 의한 패턴을 형성하고 상기 패턴사이에 전선(32)을 삽입하여 회로를 구성하는 박스의 상부면(上部面)과; 상기 퓨즈 및 릴레이 박스 의 프라스틱 본체에 리브(rib)구조체에 의한 패턴을 형성하고 상기 패턴사이에 전선을 삽입하여 회로를 구성하고 대용량의 전류회로를 연결하기 위하여 부스바(bus-bar)(41)를 사용하여 회로를 구성하는 박스의 하부면(下部面)으로 구성되고 있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전선을 이용한 자동차용 퓨즈 및 릴레이 박스의 상부면(上部面)을 나타내고 있으며,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전선을 이용한 자동차용 퓨즈 및 릴레이 박스의 하부면(下部面)을 나타내고 있다.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전선을 이용한 자동차용 퓨즈 및 릴레이 박스의 상부면(上部面)을 나타내고 있으며 박스의 상부면(上部面)은 퓨즈 및 릴레이 박스의 PP 또는 PBT 등의 프라스틱 본체에 리브(rib)구조체(31)에 의한 패턴을 형성하여 전선의 위치를 고정하도록 하고, 상기 패턴사이에 전선(32)을 삽입하고 금속체의 탭(tab)단자와 연결하여 회로를 구성하며 통상의 스프라이스 조인트회로를 대체할 수 있도록 회로연결을 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전선을 이용한 자동차용 퓨즈 및 릴레이 박스의 하부면(下部面)을 나타내고 있으며 박스의 하부면(下部面)은 퓨즈 및 릴레이 박스의 PP 또는 PBT 등의 프라스틱 본체에 리브(rib)구조체에 의한 패턴을 형성하여 전선의 위치를 고정하도록 하고, 상기 패턴사이에 전선을 삽입하고 금속체의 탭(tab)단자와 연결하여 회로를 구성하며 20 ~ 30 A 까지의 용량을 허용할 수 있는 대용량의 전류회로를 연결하기 위하여 니켈 또는 주석도금의 동(銅)부스바(bus-bar)(41)를 사용하여 회로를 구성하며 상기 부스바는 상층부와 하층부의 프라스틱 본체를 통과하여 연결되어 질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고 또한, 통상의 스프라이스 조인트회로를 대체할 수 있도록 회로연결을 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관한 전선을 이용한 자동차용 퓨즈 및 릴레이 박스에 의하면, 박스의 상하부면(上下部面) 양쪽을 와이어에 의하여 회로를 연결함으로서 박스내부에서 많은 회로연결이 가능하도록하고, 박스내부의 조인트회로는 스프라이스를 사용하지 않음으로서 스프라이스 조인트의 품질상의 문제를 해결하며, 컴팩트한 구성으로서 공간상의 문제를 해결하고, 박스내의 부품 및 회로의 모듈화에 의하여 시스템의 안정화 및 품질을 향상시키고, 단순한 금형구조로 사출 시의 제반 문제점도 해결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Claims (3)

  1. 자동차용 퓨즈 및 릴레이 박스에 있어서, 상기 퓨즈 및 릴레이 박스의 프라스틱 본체에 리브(rib)구조체에 의한 패턴을 형성하고 상기 패턴사이에 전선을 삽입하여 회로를 구성하는 박스의 상부면(上部面)과; 상기 퓨즈 및 릴레이 박스 의 프라스틱 본체에 리브(rib)구조체에 의한 패턴을 형성하고 상기 패턴사이에 전선을 삽입하여 회로를 구성하고 대용량의 전류회로를 연결하기 위하여 부스바(bus-bar)를 사용하여 회로를 구성하는 박스의 하부면(下部面)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을 이용한 자동차용 퓨즈 및 릴레이 박스 .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박스의 상부면(上部面)은 퓨즈 및 릴레이 박스의 프라스틱 본체에 리브(rib)구조체에 의한 패턴을 형성하고 상기 패턴사이에 전선을 삽입하고 금속체의 탭(tab)단자와 연결하여 회로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을 이용한 자동차용 퓨즈 및 릴레이 박스 .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박스의 하부면(下部面)은 상기 퓨즈 및 릴레이 박스의 프라스틱 본체에 리브(rib)구조체에 의한 패턴을 형성하고 상기 패턴사이에 전선을 삽입하고 금속체의 탭(tab)단자와 연결하여 회로를 구성하며 대용량의 전류회로를 연결하기 위하여 부스바(bus-bar)를 사용하여 회로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을 이용한 자동차용 퓨즈 및 릴레이 박스
KR2020000035569U 2000-12-19 2000-12-19 전선을 이용한 자동차용 퓨즈 및 릴레이 박스 KR20022690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5569U KR200226907Y1 (ko) 2000-12-19 2000-12-19 전선을 이용한 자동차용 퓨즈 및 릴레이 박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5569U KR200226907Y1 (ko) 2000-12-19 2000-12-19 전선을 이용한 자동차용 퓨즈 및 릴레이 박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26907Y1 true KR200226907Y1 (ko) 2001-06-15

Family

ID=730537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35569U KR200226907Y1 (ko) 2000-12-19 2000-12-19 전선을 이용한 자동차용 퓨즈 및 릴레이 박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6907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785276B2 (ja) 電気接続箱
US5742005A (en) Electrical connection box
CN101183772B (zh) 电接线盒
US7335035B2 (en) Electric junction box
KR20130001260A (ko) 퓨즈 유닛
JPH09233651A (ja) 電気接続箱
US20100328018A1 (en) Fusible link unit
CN101505041A (zh) 电接线盒
CN101064419B (zh) 接线盒
US6364670B1 (en) Junction box having function electronics
KR200226907Y1 (ko) 전선을 이용한 자동차용 퓨즈 및 릴레이 박스
JP2000092659A (ja) 電気接続箱
US6832930B2 (en) Method of arranging circuit members of electric connection box and circuit member-arranging structure using arranging method
KR100609449B1 (ko) 정션박스
US5735713A (en) Electrical junction box
JP2007043827A (ja) デバイス配置構造及びデバイス配置構造に用いられるヒューズ回路体
KR200223696Y1 (ko) Pcb를 이용한 자동차용 조인트 박스
JP3097531B2 (ja) 自動車用電気接続箱
KR200302435Y1 (ko) 하이브리드 정션박스
KR20180076021A (ko) 차량용 정션 블럭
KR101435203B1 (ko) 정션박스용 어댑터
KR980009800U (ko) 자동차용 전기 접속구
KR100458750B1 (ko) 하이브리드 정션박스
JP3979516B2 (ja) 電気接続箱
KR200226910Y1 (ko) 자동차용 퓨즈 박스 취부형 스프라이스 커넥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131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