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6333Y1 - 창틀용 샤시 착탈구조 - Google Patents

창틀용 샤시 착탈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6333Y1
KR200226333Y1 KR2020000037071U KR20000037071U KR200226333Y1 KR 200226333 Y1 KR200226333 Y1 KR 200226333Y1 KR 2020000037071 U KR2020000037071 U KR 2020000037071U KR 20000037071 U KR20000037071 U KR 20000037071U KR 200226333 Y1 KR200226333 Y1 KR 20022633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ssis
window frame
locking
cover
reinforc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3707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종이
Original Assignee
한화종합화학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화종합화학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화종합화학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0003707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633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633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6333Y1/ko

Links

Landscapes

  • Door And Window Frames Mounted To Open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창틀용 샤시 착탈구조에 관한 것으로, 창틀용 샤시의 양측면에 보강 커버를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하는 창틀용 샤시 보강장치를 전제로 하여, 상기 창틀용 샤시의 양측 외표면 일측에 제1 걸림홈을 형성함과 아울러 그 제1 걸림홈의 개구부에 제1 경사면을 갖는 제1 걸림턱을 형성하고, 상기 창틀용 샤시의 외측 단면 양측에 제2 걸림턱을 갖는 제2 걸림홈을 형성하는 한편, 상기 보강 커버의 상기 제1 걸림홈에 대향되는 부위에 경사면 및 제3 걸림턱을 갖는 제1 걸림후크를 형성하고, 상기 보강 커버의 양측단부에는 내측단부에는 상기 창틀용 샤시의 내,외측단면에 면접촉되는 제1 및 제2 수평 절곡부를 각각 형성하며, 상기 제2 수평 절곡부의 내측면에는 상기 제2 걸림턱에 걸려 고정되는 제2 경사면 및 제4 걸림턱을 갖는 걸림돌기를 형성하고, 상기 제2 수평 절곡부의 내측단부에 보강 커버의 분해를 용이하게 하도록 손잡이부를 형성하여 구성한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창호의 골격을 이루는 창틀용 샤시의 외표면에 부착 결합되어 샤시의 내구성을 강화시키는 동시에 창틀 샤시의 색상을 다양하게 변경시키는 보강 커버의 착탈 작업을 보다 간편 용이하게 하여 작업 능률의 향상에 기여한다.

Description

창틀용 샤시 착탈구조{Structure for combination and separation of window frame chassis}
본 고안은 창틀용 샤시 착탈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창호의 골격을 이루는 창틀용 샤시의 외표면에 부착 결합되어 샤시의 내구성을 강화시키는 동시에 창틀 샤시의 색상을 다양하게 변경시키는 보강 커버의 착탈 작업을 보다 간편 용이하게 하여 작업 능률의 향상에 기여할 수 있게 한 창틀용 샤시 착탈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의 벽체에는 환기 및 채광을 위하여 창호(窓戶)가 설치되며, 이러한 창호는 건물 벽체에 일체로 함입 고정되며 레일이 형성된 메인 프레임과, 롤러가 부탁되어 메인 프레임상의 레일 위로 활주할 수 있도록 된 창틀 및 창틀에 끼워지는 판유리 또는 방충망으로 구성된다.
상기한 메인 프레임과 창틀은 롤러를 고정하거나 유리를 삽입할 수 있도록 다수개의 절곡부가 형성된 단면을 가지며, 변형이 적고 개폐가 용이하며 경량이면서도 강도가 우수한 사출 성형된 합성수지 계열 또는 알루미늄 샤시를 원하는 창틀의 크기에 맞도록 절단 및 조립하여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일반적인 창틀은 표면의 피막이 변색되거나, 사용자가 자신의 취향에 따라 색상을 변화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많은 시간과 비용을 소모하여 창틀 전체를 새것으로 교환하여야 하는 단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본 출원인에 의하여 실용신안등록 출원번호 1998년 제15164호에 '창틀용 샤시 보강구조'를 출원하였다.
상기한 종래 기술에 의한 창틀용 샤시 보강구조에 의하면, 소정의 폭과 길이를 갖고 상부에 유리를 수용시켜 설치하기 위한 요홈이 형성되고, 저면 길이 방향에 활주용 롤러를 수용시키기 위한 장착홈이 형성된 창틀용 샤시에 있어서, 상기 샤시의 외표면에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 제1 보강홈과, 상기 샤시의 장착홈 내측면에 대향되게 형성된 제2 보강홈과, 상기 샤시의 장착홈 내측면과 저면에 이웃하는 모서리에 단턱지게 형성된 제1 걸림턱과, 상기 요홈의 상측 선단부에 단턱지게 형성된 제2 걸림턱과, 상기 제1 걸림턱, 제1 보강홈 및 제2 걸림턱에 걸려 샤시의 외표면에 부착 결합되는 '??' 자형 보강 커버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보강 커버는 샤시의 제2 걸림턱에 걸려 지지되도록 상측 수평부로부터 하방으로 형성된 제1 걸림부와, 상기 상측 수평부로부터 직각으로 절곡되는 수직부 내면에 형성되어 상기 샤시의 제1 보강홈에 걸려 지지되는 결합돌기 및 상기 샤시의 제1 걸림턱에 걸려 지지되로록 하측 수평부로부터 상방으로 절곡된 제2 걸림부로 이루어진 형상으로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창틀용 샤시 보강구조에 의하면, 창틀용 샤시의 외표면에 보강 커버를 부착함으로써 외부로 노출되는 코너 피스를 보이지 않도록 하여 외관미를 향상시키며, 또한 저렴한 비용으로 창틀의 색상을 수시로 변경할 수 있고, 외부로부터 발생할 수 있는 외력에 대해 창틀의 구조 강도를 향상시키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 의한 창틀용 샤시 보강구조에 있어서는, 보강 커버의 양측 단부를 외측으로 벌린 상태에서 창틀용 샤시에 결합하여야 할 뿐 아니라, 창틀용 샤시에 결합된 보강 커버를 분리하기 위하여 보강 커버의 양측 단부를 외측으로 강하게 벌려야 하는 등, 보강 커버의 결합 및 분리 동작이 용이하지 못하여 작업 능률을 저하시키는 단점이 있었으며, 특히 소비자가 보강 커버의 결합 및 분리 작업을 하지 못하여 부득이 숙련자를 불러야 하는 등의 여러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의 주 목적은 창호의 골격을 이루는 창틀용 샤시의 외표면에 부착 결합되어 샤시의 내구성을 강화시키는 동시에 창틀 샤시의 색상을 다양하게 변경시키는 보강 커버의 착탈 작업을 보다 간편 용이하게 하여 작업 능률의 향상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한 창틀용 샤시 착탈구조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소비자가 직접 보강 커버를 선택하여 설치 및 교체할 수 있도록 한 창틀용 샤시 착탈구조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창틀용 샤시 착탈구조를 보인 결합 상태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창틀용 샤시 착탈구조를 보인 분리 상태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창틀용 샤시 착탈구조에 적용되는 보강 커버의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창틀용 샤시의 설치 상태를 보인 종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창틀용 샤시 13 ; 제 1 걸림홈
14 ; 제1 걸림턱 14a ; 제1 경사면
15 ; 제2 걸림홈 15a ; 제2 걸림턱
15,16 ; 양측단면 20 ; 보강 커버
21 ; 걸림후크 21a ; 제1 경사면
21b ; 제3 걸림턱 22,23 ; 제1,2 수평 절곡부
24 ; 걸림돌기 24a ; 제2 경사면
24b ; 제4 걸림턱 25 ; 단차 손잡이부
상기한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창틀용 샤시의 양측면에 보강 커버를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하는 창틀용 샤시 보강장치에 있어서, 상기 창틀용 샤시의 양측 외표면 일측에 제1 걸림홈을 형성함과 아울러 그 제1 걸림홈의 개구부에 제1 경사면을 갖는 제1 걸림턱을 형성하고, 상기 창틀용 샤시의 외측 단면 양측에 제2 걸림턱을 갖는 제2 걸림홈을 형성하는 한편, 상기 보강 커버의 상기 제1 걸림홈에 대향되는 부위에 경사면 및 제3 걸림턱을 갖는 걸림후크를 형성하고, 상기 보강 커버의 양측단부에는 내측단부에는 상기 창틀용 샤시의 내,외측단면에 면접촉되는 제1 및 제2 수평 절곡부를 각각 형성하며, 상기 제2 수평 절곡부의 내측면에는 상기 제2 걸림턱에 걸려 고정되는 제2 경사면 및 제4 걸림턱을 갖는 걸림돌기를 형성하고, 상기 제2 수평 절곡부의 내측단부에 보강 커버의 분해를 용이하게 하도록 손잡이부를 형성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틀용 샤시 보강장치가 제공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보강 커버의 착탈 작업을 보다 간편 용이하게 하여 작업 능률의 향상에 기여하며, 특히 소비자가 직접 보강 커버를 선택하여 설치 및 교체가 가능하다.
이하, 본 고안에 의한 창틀용 샤시 착탈구조를 첨부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에 따라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창틀용 샤시 착탈구조를 보인 결합 상태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창틀용 샤시 착탈구조를 보인 분리 상태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창틀용 샤시 착탈구조에 적용되는 보강 커버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창틀용 샤시의 설치 상태를 보인 종단면도이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창틀용 샤시 착탈구조는, 창틀용 샤시(10)와 보강 커버(20)로 구성된다.
상기 창틀용 샤시(10)는 소정의 폭과 길이를 갖고 상부에 유리를 수용시켜 설치하기 위한 요홈(11)이 형성되고, 저면 길이 방향에 활주용 롤러(30)를 수용하기 위한 장착홈(12)이 형성된다.
상기 창틀용 샤시(10)의 양측 외표면에는 보강 커버(20)가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바, 그 착탈구조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창틀용 샤시(10)의 양측 외표면 일측에 길이 방향을 따라 제1 걸림홈(13)을 형성함과 아울러 그 제1 걸림홈(13)의 개구부에 제1 경사면(14a)을 갖는 제1 걸림턱(14)을 역시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하고, 상기 창틀용 샤시(10)의 외측 단면 양측에 제2 걸림턱(15a)을 갖는 제2 걸림홈(15)을 형성하는 한편, 상기 보강 커버(20)의 상기 제1 걸림홈(13)에 대향되는 부위에 경사면(21a) 및 제3 걸림턱(21b)을 갖는 걸림후크(21)를 형성하고, 상기 보강 커버(20)의 양측단부에는 내측단부에는 상기 창틀용 샤시(10)의 내,외측단면(16)
(17)에 면접촉되는 제1 및 제2 수평 절곡부(22)(23)를 각각 형성하며, 상기 제2 수평 절곡부(23)의 내측면에는 상기 제2 걸림홈(15)에 걸려 고정되는 제2 경사면
(24a) 및 제4 걸림턱(24b)을 갖는 걸림돌기(24)를 형성하며, 상기 제2 수평 절곡부(23)의 내측단부에는 보강 커버(20)의 분리 작용을 용이하게 하도록 손잡이부
(25)를 단차지게 형성하여 구성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에 의한 창틀용 샤시 착탈구조에 의하면, 창틀용 샤시(10)의 측방향에서 보강 커버(20)를 가볍게 밀착시키면, 상기 보강 커버
(20)의 내측면에 형성된 걸림후크(21)의 경사면(21a)이 창틀용 샤시(10)의 제1 걸림홈(13)에 형성된 제1 걸림턱(14)의 경사면(14a)에 닿으면서 밀려들어가게 되며, 상기 걸림후크(21)의 제3 걸림턱(21b)이 제1 걸림턱(14)에 걸리게 되는 동시에, 상기 보강 커버(20)의 타측에 형성된 걸림돌기(24)의 제2 경사면(24a)이 창틀용 샤시(10)의 외측 모서리 부분을 타고 넘어가 그 걸림돌기(24)의 제4 걸림턱(24b)이 창틀용 샤시(10)의 제2 걸림턱(15a)에 걸리게 됨으로써 창틀용 샤시(10)에 보강 커버(20)를 간편 용이하게 결합시키게 되는 것이다.
상기 창틀용 샤시(10)의 타측면에도 동일한 방법으로 보강 커버(20)를 밀어 결합시키게 된다.
한편, 이와 같이, 창틀용 샤시(10)에 보강 커버(20)가 결합 고정된 상태에서 보강 커버(20)를 교환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보강 커버(20)의 외측단부에 형성된 제2 수평 절곡부(23)의 단차 손잡이부(25)를 도 1에 도시한 화살표의 방향으로 가볍게 당기면, 창틀용 샤시(10)의 제2 걸림홈(15)으로부터 보강 커버(20)의 걸림돌기(24)가 벗어나게 되며, 이 후, 상기한 제2 수평 절곡부(23)를 잡고 상기 걸림후크(21)를 기점으로 외측으로 벌리면, 상기 창틀용 샤시(10)의 제1 걸림홈(13)으로부터 걸림후크(21)가 벗어나게 됨으로써 보강 커버(20)를 용이하게 탈거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 후, 새로운 보강 커버(20)를 창틀용 샤시(10)에 결합시키는 동작은 앞에서 설명한 동일한 방법으로 진행하게 되는 바,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창틀용 샤시 착탈구조는, 창틀용 샤시의 양측면에 보강 커버를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하는 창틀용 샤시 보강장치에 있어서, 상기 창틀용 샤시의 양측 외표면 일측에 제1 걸림홈을 형성함과 아울러 그 제1 걸림홈의 개구부에 제1 경사면을 갖는 제1 걸림턱을 형성하고, 상기 창틀용 샤시의 외측 단면 양측에 제2 걸림턱을 갖는 제2 걸림홈을 형성하는 한편, 상기 보강 커버의 상기 제1 걸림홈에 대향되는 부위에 경사면 및 제3 걸림턱을 갖는 걸림후크를 형성하고, 상기 보강 커버의 양측단부에는 내측단부에는 상기 창틀용 샤시의 내,외측단면에 면접촉되는 제1 및 제2 수평 절곡부를 각각 형성하며, 상기 제2 수평 절곡부의 내측면에는 상기 제2 걸림턱에 걸려 고정되는 제2 경사면 및 제4 걸림턱을 갖는 걸림돌기를 형성하고, 상기 제2 수평 절곡부의 내측단부에 보강 커버의 분해를 용이하게 하도록 손잡이부를 형성하여 구성함으로써 보강 커버의 착탈 작업을 보다 간편 용이하게 하여 작업 능률의 향상에 기여하며, 또한 소비자가 직접 보강 커버를 선택하여 설치 및 교체하는 등의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창틀용 샤시의 양측면에 보강 커버를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하는 창틀용 샤시 보강장치에 있어서,
    상기 창틀용 샤시의 양측 외표면 일측에 제1 걸림홈을 형성함과 아울러 그 제1 걸림홈의 개구부에 제1 경사면을 갖는 제1 걸림턱을 형성하고, 상기 창틀용 샤시의 외측 단면 양측에 제2 걸림턱을 갖는 제2 걸림홈을 형성하는 한편, 상기 보강 커버의 상기 제1 걸림홈에 대향되는 부위에 경사면 및 제3 걸림턱을 갖는 걸림후크를 형성하고, 상기 보강 커버의 양측단부에는 내측단부에는 상기 창틀용 샤시의 내,외측단면에 면접촉되는 제1 및 제2 수평 절곡부를 각각 형성하며, 상기 제2 수평 절곡부의 내측면에는 상기 제2 걸림턱에 걸려 고정되는 제2 경사면 및 제4 걸림턱을 갖는 걸림돌기를 형성하고, 상기 제2 수평 절곡부의 내측단부에 보강 커버의 분해를 용이하게 하도록 손잡이부를 형성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틀용 샤시 보강장치.
KR2020000037071U 2000-12-29 2000-12-29 창틀용 샤시 착탈구조 KR20022633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7071U KR200226333Y1 (ko) 2000-12-29 2000-12-29 창틀용 샤시 착탈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7071U KR200226333Y1 (ko) 2000-12-29 2000-12-29 창틀용 샤시 착탈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26333Y1 true KR200226333Y1 (ko) 2001-06-15

Family

ID=730618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37071U KR200226333Y1 (ko) 2000-12-29 2000-12-29 창틀용 샤시 착탈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6333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6497Y1 (ko) * 2008-09-10 2011-11-02 오수현 강화유리도어의 도어프레임
KR101388093B1 (ko) * 2012-12-28 2014-04-22 메코시스 주식회사 차양용 슬랫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6497Y1 (ko) * 2008-09-10 2011-11-02 오수현 강화유리도어의 도어프레임
KR101388093B1 (ko) * 2012-12-28 2014-04-22 메코시스 주식회사 차양용 슬랫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329050C (en) Telescoping louvered window insert
JPH09125827A (ja) 縦枠材の補強構造
KR200226333Y1 (ko) 창틀용 샤시 착탈구조
JP5682927B2 (ja) 建具
CN102691472B (zh) 一种节能系统窗
JP5374239B2 (ja) 開口部装置
JP3635781B2 (ja) シャッターのガイドレール構造
JPH11280339A (ja) 断熱サッシの上枠構造
KR200395376Y1 (ko) 환기구 마감재
JP3790981B2 (ja) 窓シャッターのガイドレール取付構造
KR102152518B1 (ko) 미닫이문용 손잡이
JP7385211B2 (ja) 建具
AU2016291070B2 (en) Window or door covering assembly for a vehicle
JPH0248618Y2 (ko)
JP2005048558A (ja) 下枠フラットサッシの下枠構造
JP3896545B2 (ja) 建築用形材
KR102457522B1 (ko) 창호가 구비된 커튼월구조
KR200156581Y1 (ko) 미서기 창틀의 로울러식 방충망의 설치구조
CN212201136U (zh) 一种用于墙板安装的收口件
JP2001227265A (ja) 窓サッシ用スクリーン装置
JP2004108025A (ja) シャッター
JP6987001B2 (ja) 縦型ブラインド
JPH0622065Y2 (ja) 下枠の溝条閉塞装置
JPS6028771Y2 (ja) 網戸付隅丸窓枠
KR20240029191A (ko) 방충망 고정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105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