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6279Y1 - 전치 광 증폭기의 패키지 보조 박스 - Google Patents

전치 광 증폭기의 패키지 보조 박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6279Y1
KR200226279Y1 KR2020000035529U KR20000035529U KR200226279Y1 KR 200226279 Y1 KR200226279 Y1 KR 200226279Y1 KR 2020000035529 U KR2020000035529 U KR 2020000035529U KR 20000035529 U KR20000035529 U KR 20000035529U KR 200226279 Y1 KR200226279 Y1 KR 20022627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optical
support
tab
heat shri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3552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승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0003552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627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627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6279Y1/ko

Links

Landscapes

  • Las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광 전송 시스템에 채용되는 전치 광 증폭기 패키지 박스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치 광 증폭기 패키지 박스위에 설치되어 전치 광 증폭기 패키지 박스에 실장되지 않던 광학필터와 열수축 튜브 등을 실장시킨 전치 광 증폭기 패키지 보조 박스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전치 광 증폭기 패키지 보조 박스는 대략 사각 형태의 패널과; 상기 패널의 일측의 일부가 연장되어 돌출 형성되는 광학필터 지지부와; 상기 패널의 대략 중앙에 패널의 세로방향과 평행하게 형성되는 탭 지지부와; 상기 탭 지지부와 소정의 간격을 두고 탭 지지부의 대향측에 탭 지지부와 평행하게 형성되는 열수축 튜브 지지부와; 상기 패널의 상하부에 형성되어 패널내에 실장되는 광파이버를 고정하는 광파이버 고정장치부와; 광파이버를 패널 안쪽으로 인입되도록 패널의 일측에 형성되는 구멍과; 분리된 광신호를 포토다이오드와 접속하기 위해 패널의 일측에 형성되는 구멍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전치 광 증폭기의 패키지 보조 박스{PACKAGE AUXILIARY BOX FOR HEAD OPTICAL AMPLIFIER}
본 고안은 광 전송 시스템에 채용되는 전치 광 증폭기 패키지 박스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치 광 증폭기 패키지 박스위에 설치되어 전치 광 증폭기 패키지 박스에 실장되지 않던 광학필터와 열수축 튜브 등을 실장시켜 패키지화된 전치 광 증폭기의 패키지 보조 박스에 관한 것이다.
전치 광 증폭기는 전치 광 증폭기를 이루는 각각의 구성요소들이 전치 광 증폭기의 패키지 박스에 적절히 배치됨으로써 구현된다.
전치 광 증폭기는 메인보드의 일측에 패키지로 설치되는데, 그 내부 구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로부터 인입되는 광섬유와 전치 광 증폭기의 내부 광섬유를 연결하는 입력 컨넥트(1), 상기 입력 컨넥트에 의해 연결된 광섬유를 통해 입력되는 광 신호를 일정비율로 분리하여 입력 광 신호를 모니터하는 포토 다이오드(photo diode)(5)와, 입력단으로부터 출력단으로 진행되는 신호는 통과시키고, 출력단으로부터 입력단으로 유입되는 광 신호를 막아 주는 역할을 하는 광 아이솔레이터(isolator)(7)로 광 신호를 통과시키는 탭(tab)(4)부, 광섬유에 희토류인 Erbium을 첨가한 것으로 입력신호를 증폭시키는 역할을 하는 EDF(Erbium Doped Fiber)(9), 펌핑용 레이저 다이오드(12)의 여기 파장의 광원을 EDF(9)로 공급하는 파장분활 다중화기(13), 광 아이솔레이터(15)가 순차적인 경로로 형성되어 있다.
패키지 외부 즉, 메인보드에는 원하는 신호 이외의 노이즈 성분을 제거해 주는 광필터(manually optical tunable filter)(17)와, 전치광 증폭기의 출력신호를 일정하게 유지 시키기 위해서 광필터(17)를 통과한 광 출력 신호의 일정 부분을 분리하는 탭(tab)(19)과, 분리된 일정 부분의 신호를 수신하는 포토 다이오드(photo diode)(23)와, 광 신호와 필터의 파장 및 광 파워를 모니터 하기 위해 광 출력 신호의 일정 부분을 분리하는 용도의 탭(22)과, 출력 컨넥터(25)와 모니터용 컨넥터(27)가 순차적인 경로로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광 소자의 광섬유간의 접속점을 보호하는 3개의 열수축튜브가 메인보드에 형성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종래기술은 전치 광 증폭기 설치시 optic part 에 모든 광 부품을 접속 완료 하여야 하지만, 광필터(17)의 크기 때문에 전치 광 증폭기 외부(메인보드)에 광필터(17)를 설치하였다.
이로 인하여 도 2에 도시되 바와 같이, 전치 광 증폭기 내부가 아닌 메인보드(30)의 일정 부분의 공간을 확보하여 광필터(17)를 설치하였다. 따라서 광필터와 전치 광 증폭기를 각각 설치해야 하므로 작업성이 떨어지고, 고장 수리시 전치 광 증폭기만 따로 수리해야만 하나 설치 구조상 어렵고, 광파이버(40)들의 여장 처리로 인한 메인보드(30)에 악영향을 줄 수 있다.
본 고안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전치 광 증폭기 패키지 박스 구조를 변경하여 메인보드에 설치되던 광필터와 광파이버를 보조 박스내에 모두 설치할 수 있는 전치 광 증폭기 패키지 보조 박스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대략 사각 형태의 패널과; 상기 패널의 일측의 일부가 연장되어 돌출 형성되는 광필터 지지부와; 상기 패널의 대략 중앙에 패널의 세로방향과 평행하게 형성되는 탭 지지부와; 상기 탭 지지부와 소정의 간격을 두고 탭 지지부의 대향측에 탭 지지부와 평행하게 형성되는 열수축 튜브 지지부와; 상기 패널의 상하부에 형성되어 패널내에 실장되는 광파이버를 고정하는 광파이버 고정장치부와; 광파이버를 패널 안쪽으로 인입되도록 패널의 일측에 형성되는 구멍과; 분리된 광신호를 포토다이오드와 접속하기 위해 패널의 일측에 형성되는 구멍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치 광 증폭기의 패키지 보조 박스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열수축 튜브 지지부의 상단에는 열수축 튜브 지지부에 감겨지는 열수축 튜브의 위치를 고정시키기 위한 열수축 튜브 위치 고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탭 지지부의 상단에는 탭 지지부에 감겨지는 탭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탭 위치 고정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광필터 지지부의 대향측 패널의 측면에는 증폭된 광신호를 출력하기 위해 상기 패널의 측면에서 돌출되어 형성되는 어댑터 고정장치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어댑퍼 고정장치부의 일측에는 광 출력을 모니터 하기 위해 형성되는 부트 고정장치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전치 광 증폭기의 패키지 보조 박스를 제공한다.
도 1은 전치 광 증폭기의 블록 다이아그램이다.
도 2는 종래의 전치 광 증폭기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전치 광 증폭기의 평단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전치 광 증폭기에 광학필터와 광파이버 및 열수축 튜브가 실장된 상태의 평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패널 101 : 광필터 지지부
102a : 탭 지지부 102b : 탭 위치 고정부
103a : 열수축튜브 지지부 103b : 열수축튜브 위치 고정부
104, 106 : 구멍 105 : 광파이버 고정장치부
107 : 부트 고정장치부 108 : 어댑터 고정장치부
109 : 고정나사부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전치 광 증폭기의 블록 다이아그램이고, 도 2는 종래의 전치 광 증폭기의 구성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전치 광 증폭기의 패키지 보조 박스의 평단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전치 광 증폭기의 보조 박스에 광필터와 광파이버 및 열수축 튜브가 실장된 상태의 평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사각 형상의 패널(100)이 구비되고, 패널(100)의 외주를 따라 약간의 단이 형성되어 있으며, 패널의 모서리부 내측은 유선형으로 단이 형성되어 있다.
패널(100)의 일측에는 패널(100)의 외주에서 일정길이 연장되어 광필터 지지부(101)가 형성되고, 연장된 광필터 지지부(101)의 단부는 단이 제거된다. 광필터 지지부(101)에는 광필터(17)가 삽입 장착되어야 하므로 광필터(17)의 외형에 대응하는 형태로 이루어지는데, 본 발명에서는 광필터의 단면이 사각형상이므로 광필터 지지부의 형태도 사각단면으로 이루어진다.
광필터 지지부(101)의 외측 양단부에는 나사구멍(미도시)이 형성되고, 내측 양단부에도 나사구멍(미도시)이 형성된다.
광필터 지지부(101)에는 광필터(17)가 설치되는데, 광필터(17)의 내외부 양측면에도 광필터 지지부(101)에 형성되는 나사구멍(미도시)과 대응되는 나사구멍(미도시)을 형성하여 광필터(17)를 광필터 지지부(101)에 나사 고정한다.
광필터 지지부(101)의 대향측에는 증폭된 광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어댑터 고정장치부(108)가 설치되고, 이 어댑터 고정장치부(108)의 일측에는 광출력을 모니터 하기 위한 부트 고정장치부(107)가 형성된다.
패널(100)의 중앙에는 탭 키플러(19,22)를 고정시키기 위한 탭 지지부(102a)가 패널의 세로방향과 평행하게 형성되고, 탭 지지부(102a)의 대향측에는 탭 지지부(102a)와 소정의 간격을 두고 탭 지지부(102a)와 평행하게 열수축튜브(50)를 지지하기 위한 열수축튜브 지지부(103a)가 형성된다.
상기 탭 지지부(102a)의 중앙 상단에는 탭 키플러(19,22)가 탭 지지부(102a)에서 이탈하지 못하도록 탭 위치 고정부(102b)가 형성되어 나사(미도시)로 결합되고, 열수축 튜브 지지부(103a)의 중앙 상단에도 열수축 튜브(50)가 이탈하지 못하도록 열수축 튜브 위치 고정부(103b)가 나사(미도시)로서 결합되며, 상기 탭 위치 고정부(102b)와 열수축 튜브 위치 고정부(103b)는 나사를 풀고 조임으로서 소정의 높이 조절이 가능하다. 즉 탭(19,22)과 열수축 튜브(50)를 설치할때에는 소정의 삽입 공간이 필요하므로 나사를 풀어놓은 상태에서 설치하고, 설치한 후에는 나사를 조임으로서 탭 키플러(19,22)와 열수축튜브(50)가 유동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상기 탭 위치 고정부(102b)와 열수축튜브 위치 고정부(103b)는 탭 지지부(102a)와 열수축튜브 지지부(103a)에 직각으로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패널(100)의 상하단에는 열수축튜브(50)에 연결된 광파이버(40)를 패널(100)의 내부에 감아서 고정할 때 광파이버(40)가 고정될 수 있도록 광파이버 고정부(105)가 형성되고, 이 광파이버 고정부(105)는 패널면과 일정공간 유격되어 그 사이로 광파이버(40)가 삽입되어 감긴다.
광필터 지지부(101)의 내측 단부의 상부에는 도 1에서 설명한 탭(tab)(19,22)의 분리된 광신호를 포토 다이오드(23)와 접속시키기 위한 구멍(106)이 형성되고, 광필터 지지부(101)의 내측 단부의 하부에는 도 1에서 설명한 광 스위칭 회로(15)의 출력 파이버(16)를 패널내로 인입 시키기 위한 구멍(104)이 형성된다. 상기 구멍(104,106)의 위치는 탭(19,22), 열수축 튜브(50), 광파이버(40), 광필터(17) 등의 주변 장치들과의 간섭을 고려하여 어느 곳에 형성되어도 된다.
패널(100)의 상,하,좌,우 네곳에는 고정나사부(109)을 형성하여 전치 광 증폭기 패키지 박스에 고정할 때 패키지 박스에 미리 형성된 고정나사부(미도시)와 일치시켜 고정나사(미도시)로 결합한다. 고정나사부(109)도 상기한 구멍(104,106)과 마찬가지로 전치 광 증폭기의 패키지 보조 박스가 전치 광 증폭기 패키지 박스에 안정적으로 결합하기 위한 결합수단이므로 그 개수와 위치는 필요에 따라 변경하여 형성할 수 있다.
상기한 전치 광 증폭기 패키지 보조 박스를 전치 광 증폭기 패키지 박스에 고정하고, 광 증폭기 패키지 보조 박스에 광필터(17)와 광파이버(40)를 장착하는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치 광 증폭기의 패키지 보조 박스에 광필터와 광파이버가 실장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 아이솔레이터(15)의 출력 파이버(16)를 구멍을 통해 패널내로 인입시킨 후 감아서 광파이버 고정부(105)로 고정하고, 구멍(106)을 통하여 탭(19,22)의 분리된 광신호를 포토 다이오드(23)와 접속시킨다. 이때 광섬유 접속점을 보호하는 열수축튜브(50)는 열수축 튜브 지지부(103a)와 열수축 튜브 위치 고정부(103b)에 위해서 고정된다.
광필터(17)는 광필터 지지부(101)에 인입시킨 후 광필터(17)에 형성된 나사구멍과 광필터 지지부(101)에 형성된 나사구멍을 일치시킨 후 나사로 고정한다.
전치 광 증폭기의 패키지 보조박스에 광필터(17), 광파이버(40)를 실장한 후에는 광 증폭기 패키지 보조박스를 패키지 박스위에 올려놓고, 전치 광 증폭기 패키지 박스에 형성된 나사구멍과 전치 광 증폭기 패키지 보조박스에 형성된 나사구멍을 일치시켜 나사 고정시킨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메인보드에 설치되던 광필터와 열수축튜브 및 일부의 광파이버를 전치 광 증폭기 패키지 보조 박스에 일체로 설치함으로써 광 증폭기 설치작업이 간단하고, 광 증폭기 고장 수리가 간단하며, 광 파이버들의 여장 처리로 인해 메인보드 시험시 광 파이버들은 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으며, 광파이버들의 여장처리로 인해 메인보드의 공간확보 및 시험성 개선효과가 있다.

Claims (5)

  1. 대략 사각 형태의 패널과; 상기 패널의 일측의 일부가 연장되어 돌출 형성되는 광필터 지지부와; 상기 패널의 대략 중앙에 패널의 세로방향과 평행하게 형성되는 탭 지지부와; 상기 탭 지지부와 소정의 간격을 두고 탭 지지부의 대향측에 탭 지지부와 평행하게 형성되는 열수축 튜브 지지부와; 상기 패널의 상하부에 형성되어 패널내에 실장되는 광파이버를 고정하는 광파이버 고정장치부와; 광파이버를 패널 안쪽으로 인입되도록 패널의 일측에 형성되는 구멍과; 분리된 광신호를 포토다이오드와 접속하기 위해 패널의 일측에 형성되는 구멍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치 광 증폭기의 패키지 보조 박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수축튜브 지지부의 상단에는 열수축튜브 지지부에 감겨지는 열수축튜브의 위치를 고정시키기 위한 열수축튜브 위치 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치 광 증폭기의 패키지 보조 박스.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탭 지지부의 상단에는 탭 지지부에 감겨지는 탭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탭 위치 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치 광 증폭기의 패키지 보조 박스.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필터 지지부의 대향측 패널의 측면에는 증폭된 광신호를 출력 위해 상기 패널측면에서 돌출되어 형성되는 어댑터 고정장치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치 광 증폭기의 패키지 보조 박스.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어댑퍼 고정장치부의 일측에는 광 출력을 모니터 하기 위해 형성되는 부트 고정장치부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치 광 증폭기의 패키지 보조 박스.
KR2020000035529U 2000-12-19 2000-12-19 전치 광 증폭기의 패키지 보조 박스 KR20022627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5529U KR200226279Y1 (ko) 2000-12-19 2000-12-19 전치 광 증폭기의 패키지 보조 박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5529U KR200226279Y1 (ko) 2000-12-19 2000-12-19 전치 광 증폭기의 패키지 보조 박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26279Y1 true KR200226279Y1 (ko) 2001-06-15

Family

ID=730537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35529U KR200226279Y1 (ko) 2000-12-19 2000-12-19 전치 광 증폭기의 패키지 보조 박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6279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42412B1 (ko) 광섬유 증폭기의 광학소자 고정용 패키징 박스
US5383051A (en) Compact-size optical amplifier
USRE38310E1 (en) Optical circuit on printed circuit board
US6132104A (en) Detachable plug-in pump card assembly
US5646775A (en) Compact-size optical amplifier having separate functions
US5943461A (en) Connectorized optical module package and method using same with internal fiber connections
JP2001284699A (ja) 光通信機器および光モジュールの固定方法
KR100248050B1 (ko) 광섬유 증폭기 패키징장치
JP2001141933A (ja) 光ファイバ装置用の小型パッケージ構造
JPH0964558A (ja) 光部品モジュール及びそれを有するプリント板パッケージ並びに光ファイバの余長処理方法
US6996301B2 (en) Optical module and fiber sheet
KR200226279Y1 (ko) 전치 광 증폭기의 패키지 보조 박스
US9841348B2 (en) Fiber integrity monitoring
EP0595396B1 (en) A compact-size optical amplifier
JP4559031B2 (ja) 電気信号処理装置に光電変換器を配置させる装置
US6259842B1 (en) Monitoring system for a high power light source
ITMI960670A1 (it) Apparato e metodo per l'alloggiamento di componenti elettro+ottici ad elevata emissione di calore
JP2003029059A (ja) 光モジュール
JP2004015271A (ja) 検知装置
KR100258219B1 (ko) 어댑터형 광 아이솔레이터
JPH06258540A (ja) 光増幅海底中継器の実装構造
JPH06273635A (ja) 光増幅海底中継器のユニット構造
JP3074934B2 (ja) 取付け装置
JPH11103112A (ja) 光ファイバ増幅器
JPH07218778A (ja) 光モジュー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302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