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6234Y1 - C형강연결구 - Google Patents

C형강연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6234Y1
KR200226234Y1 KR2019980013057U KR19980013057U KR200226234Y1 KR 200226234 Y1 KR200226234 Y1 KR 200226234Y1 KR 2019980013057 U KR2019980013057 U KR 2019980013057U KR 19980013057 U KR19980013057 U KR 19980013057U KR 200226234 Y1 KR200226234 Y1 KR 20022623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ped steel
bolt
connecting plate
connector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1305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59443U (ko
Inventor
인문진
Original Assignee
인문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문진 filed Critical 인문진
Publication of KR1998005944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5944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623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6234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7/00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 F16B7/18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using screw-thread elements
    • F16B7/185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using screw-thread elements with a node el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 Internal Circuitry In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C형강을 손쉽게 조립 및 해체시킬 수 있도록 하여 작업인력을 절감하고, 원자재를 적게 사용하면서 효과를 극대화하며, 전기가 없는 곳에서도 작업할 수 있도록 한 C형강 연결구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플랜지(2)(4)(6)(8)가 구비된 C형강(1)(3)(5)(7)을 결합하기 위한 연결구에 있어서, 상기 연결구가 볼트공(13)(72)이 천공되며 중앙부가 절곡되어 형성된 돌출부(12)(71)가 있는 연결판(10)(70); 암나사(25)(63)가 구비된 받침판(26)(61)과 중앙에 일측으로 편심되어 상기 볼트공(13)(72)에 대응하는 볼트공(23)(64)이 천공된 브래킷(20)(60); 상기 볼트공(13)(72)(23)(64)을 관통하여 너트(30)(80)로 체결되어 상기 브래킷(20)(60)과 상기 연결판(10)(70)을 연결시키는 연결볼트(40)(90); 상기 받침판(26)(61)에 구비된 암나사(21)(63)와 나사 결합되는 높이조절볼트(50)(10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C형강 연결구
본 고안은 C형강 연결구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C형강을 손쉽게 조립 및 해체시킬 수 있도록 하여 작업인력을 절감하고, 원자재를 적게 사용하면서 효과를 극대화하며, 전기가 없는 곳에서도 작업할 수 있도록 한 C형강 연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기초 받침 제작시 C형강을 이용하여 제작하는 바, 종래에는 현장에서 C형강을 절단,용접한 다음 완성품 밑에 나무나 철판조각을 괴이면서 수평을 맞추어 완성하거나, 또는 현장사정이 여의치 않을 경우에는 공장에서 소규모의 부품을 미리 만들어 현장에 가서 여러개의 부품을 조립한 다음 상기와 동일한 방법으로 수평을 잡아 전체를 완성하였다.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에는 C형강을 일일이 용접으로 연결하였기 때문에 작업인력,작업시간 및 원자재가 많이 소요되고, 특히 전기가 없는 곳에서는 용접작업이 불가능하므로 작업을 수행할 수 없고, 공장에서 준비한 용접품의 부피가 커서 현장까지 운반하는 데 어려움이 있었다.
또한, 나무나 철판조각 등을 괴이면서 수평을 맞추어야 하는 불편함과 이로 인해 정확하게 수평을 맞출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일단 용접으로 조립된 C형강의 해체가 곤란하여 이동설치 또는 사이즈 가변경시 제작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에서와 같은 종래의 결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용접하지 않고 C형강을 손쉽게 조립 및 해체시킬 수 있도록 하여 작업인력을 절감하고, 원자재를 적게 사용하면서 효과를 극대화하며, 전기가 없는 곳에서도 작업할 수 있으며, 또한 정확한 수평을 맞출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이동설치 또는 사이즈 가변경시도 쉽게 제작할 수 있도록 한 C형강 연결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브래킷과 연결판에 C형강을 직각 또는 수평으로 설치한후, 상기 브래킷과 연결판을 볼트,너트로 체결하여 C형강을 조립식으로 연결하고, 상기 브래킷에는 C형강의 수평을 조절하는 높이조절용 볼트를 나사조립한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C형강 수평 연결구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도 1의 조립상태를 보인 평단면도.
도 3은 도 2의 A - A선 단면도.
도 4는 연결판의 요홈이 C형강의 플랜지에 끼워진 상태를 보인 측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다른 실시예인 C형강 직각 연결구의 분해사시도.
도 6은 도 5의 조립상태를 보인 정면도.
도 7은 도 6의 B - B선 단면도.
도 8은 도 6의 C - C선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3,5,7 : C형강 2,4,6,8 : 플랜지
10,70 : 연결판 11 : 요홈
12,71 : 돌출부 13,23,64,72 : 볼트공
14 : 돌기 20,60 : 브래킷
21,62 : 고정판 22 : 지지판
24 : 지지편 25,63 : 암나사
26,61 : 받침판 27 : 돌기공
30,80 : 너트 40,90 : 연결볼트
50,100 : 높이조절볼트
본 고안에 따르면, 플랜지가 구비된 C형강을 결합하기 위한 연결구에 있어서, 상기 연결구가 볼트공이 천공되며 중앙부가 절곡되어 형성된 돌출부가 있는 연결판; 암나사가 구비된 받침판과 중앙에 일측으로 편심되어 상기 볼트공에 대응하는 볼트공이 천공된 브래킷; 상기 볼트공을 관통하여 너트로 체결되어 상기 브래킷과 상기 연결판을 연결시키는 연결볼트; 상기 받침판에 구비된 암나사와 나사 결합되는 높이조절볼트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형강연결구를 제공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상기 연결판은 그 볼트공을 중심으로 좌우측에 돌기와 요홈이 구비되며, 상기 브래킷은 고정판과 직각으로 연결되며 C형강의 플랜지사이로 끼워지는 지지편이 돌출되어 구비된 지지판을 구비하며, 상기 고정판에는 상기 연결판의 돌기가 삽입되는 돌기공이 천공되어 있어 2개의 C형강을 직각으로 연결하도록 제공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서 본 고안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에 따른 C형강연결구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직각절곡된 받침판(61)과 고정판(62)의 양측으로 C형강(5)(7)이 수평으로 설치되며, 받침판(61)의 중앙에는 암나사(63)가 성형되고, 고정판(62)에는 중앙에서 일측으로 편심되어 볼트공(64)이 천공된 브래킷(60)과 상기 C형강(5)(7)의 플랜지(6)(8)사이로 끼워지는 돌출부(71)가 성형되어 이 돌출부(71)에는 상기 볼트공(64)에 대응하는 볼트공(72)이 천공된 연결판(70)으로 이루어지며 이들 브래킷(60)과 연결판(70)은 상기 볼트공(64)(72)을 관통하여 너트(80)체결되는 연결볼트(90)와 상기 브래킷(60)의 상기 받침판(61)에 구비된 암나사(63)의 저부에서 나사결합되는 높이조절볼트(100)에 의하여 연결되어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브래킷(60)과 연결판(70)은 각각 금속재로 성형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C형강연결구를 이용하여 C형강(5)(7)을 수평으로 연결하는 조립공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2에서와 같이 브래킷(60)의 양측에 C형강(5)(7)을 각각 올려 놓은 상태에서 C형강(5)(7)의 플랜지(6)(8)사이에 연결판(70)의 돌출부(71)를 끼워서 고정시킨다. 이에 의해 C형강(5)(7)은 수평으로 이어진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볼트공(64)(72)에 연결볼트(90)를 관통시키고, 볼트공(72)을 관통한 연결볼트(90)에 너트(80)를 체결하여 연결판(70)을 브래킷(60)에 고정시키면 C형강(5)(7)은 이 브래킷(60)과 연결판(70)사이에 끼워진 상태에서 수평상태로 견고하게 연결된다.
브래킷(60)과 연결판(70)을 이용한 C형강(5)(7)의 수평 연결작업이 완료된후, 받침판(61)의 암나사(63)에 나사조립된 높이조절볼트(100)는 머리 부분이 바닥면(시멘트 바닥, 기타지면)에 닿게 되고 상기 높이조절볼트(100)를 회전조절하여 본 고안의 수평을 맞추면 전체 조립공정이 완료된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로서 도5∼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연결판(10)이 그 볼트공 (13)을 중심으로 좌우측에 돌기(14)와 요홈(11)을 구비하며, 상기 브래킷(20)은 고정판(21)과 직각으로 연결되며 C형강(1)의 플랜지(2)사이로 끼워지는 지지편(24)이 돌출되어 구비된 지지판(22)을 구비하며, 상기 고정판(21)에 상기 연결판(10)의 돌기(14)가 삽입되는 돌기공(27)을 천공할 경우 2개의 C형강을 직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즉, 본 고안에 따른 C형강연결구가 도5 내지 도8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그 후방 상,하부에 C형강(1)의 플랜지(2)가 끼워지는 요홈(11)이 구비되고, 요홈(11)의 전방부가 C형강(3)에 삽입되어 C형강(1)(3)을 직각으로 이어주며, 요홈(11)의 전방으로는 C형강(3)의 플랜지(4)사이로 끼워지는 돌출부 (12)가 성형되어 이 돌출부(12)에 볼트공(13)이 천공된 연결판(10), 상기 C형강 (1)(3)의 코너에 끼워지는 고정판(21)과 지지판(22)이 직각절곡되어 고정판 (21)에는 상기 볼트공(13)에 대응하는 볼트공(23)이 천공되고, 지지판(22)의 상,하부에는 C형강(1)의 플랜지(2)사이로 끼워지는 지지편(24)이 돌출되며, 고정판(21)의 하단에는 암나사(25)를 가지는 받침판(26)이 직각절곡된 브래킷(20), 상기 볼트공 (13)(23)을 관통하여 너트(3) 체결되어 연결판(10)과 브래킷(20)을 연결시키는 연결볼트(40)와 상기 받침판(26)에 구비된 암나사(25)의 저부에서 나사결합되는 높이조절볼트(50)를 포함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직각 연결이 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연결판(10)과 브래킷(20)은 각각 금속재로 성형된다.
상기 연결판(10)에 천공된 볼트공(13)은 도5와 도8에서와 같이 사각형으로 천공되고, 연결볼트(40)에는 사각 볼트공(13)에 압입되는 사각돌기가 형성되므로 연결볼트(40)의 이탈 및 공회전이 방지된다. 이때, 볼트공(13)을 사각으로 형성하고 연결볼트(40)에는 사각돌기를 형성한 이유는, 너트(30)체결시 연결볼트(40)가 C형강(3)내에 내장된 상태에서 체결되므로, 체결시 연결볼트(40)가 C형강(3)내에서 빠지거나 공회전되는 것을 방지하여 용이하게 너트(30)를 체결하기 위함이다.
상기 연결판(10)의 돌출부(12)에는 돌기(14)가 성형되고, 상기 브래킷(20)의 고정판(21)에는 돌기(14)가 삽입되는 돌기공(27)이 천공된다. 이러한 돌기(14)와 돌기공(27)은 연결판(10)의 유동방지 및 C형강이 헐겁게 조립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설치된다.
상기 브래킷(20)의 고정판(21)에는 연결판(10)의 돌출부(12)와 대응하는 돌출부가 성형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C형강연결구를 이용하여 C형강(1)(3)을 직각으로 연결하는 조립공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8에서와 같이 연결판(10)의 요홈(11)에 C형강(1)의 플랜지(2)를 수평 조절이 가능하도록 끼워 넣고, 이 연결판(10)을 도2와 도3에서와 같이 C형강(3)의 내측으로 밀어 넣어 돌출부(12)를 플랜지(4)사이에 삽입시킨다. 이에 의해 C형강(1)(3)은 도6에서와 같이 직각으로 이어진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도6과 도7에서와 같이 브래킷(20)의 지지판(22)에 돌출된 지지편(24)을 C형강(1)의 플랜지(2)사이에 끼워서 지지시키고, 브래킷(20)의 고정판(21)에 천공된 볼트공(23)을 연결볼트(40)에 끼운후, 볼트공(23)을 관통한 연결볼트(40)에 너트(30)을 체결하여 브래킷(20)을 연결판(10)에 연결시키면 조립이 완료된다. 이때, C형강(3)의 플랜지(4)는 도7에서와 같이 연결판(10)과 고정판(21)의 상,하부사이에 끼워진 상태에서 견고하게 고정되고, 연결판(10)의 돌기(14)는 도6에서와 같이 고정판(21)에 천공된 돌기공(27)에 끼워져 결합된다.
연결판(10)과 브래킷(20)을 이용한 C형강(1)(3)의 직각 연결작업이 완료되면 받침판(26)의 암나사(25)에 나사조립된 높이조절볼트(50)는 머리 부분이 바닥면(시멘트 바닥, 기타지면)에 닿게 되고 상기 높이조절볼트(50)를 회전조절하여 본 고안의 수평을 맞추면 전체 조립공정이 완료된다.
따라서, 이러한 본 고안의 C형강 연결구는 기초대 제작인력 및 원자재를 절감할 수 있으며, 현장에서 손쉽게 조립,해체가 가능하여 이동 설치되는 설치물 사용에 적당하며 이동설치 또는 사이즈 가변경시도 쉽게 변경이 가능하며, 기초대 완성품을 만들지 않고 직접 현장에서 조립하므로 운반이 편리한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높이조절볼트(50)(100)를 조절하면서 정확하게 수평을 맞출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의 C형강 연결구는 용접을 하지 않고 조립할 수 있어 전기가 없는 곳에서도 작업이 가능하며, 작업인력을 절감할 수 있고, 현장에서 손쉽게 조립, 해체가 가능하며 이동설치 또는 사이즈 가변경시도 제작이 가능하여 이동설치되는 설치물 사용에도 적합한 매우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2)

  1. 플랜지(2)(4)(6)(8)가 구비된 C형강(1)(3)(5)(7)을 결합하기 위한 연결구에 있어서,
    상기 연결구가 볼트공(13)(72)이 천공되며 중앙부가 절곡되어 형성된 돌출부(12)(71)가 있는 연결판(10)(70); 암나사(25)(63)가 구비된 받침판(26)(61)과 중앙에 일측으로 편심되어 상기 볼트공(13)(72)에 대응하는 볼트공(23)(64)이 천공된 브래킷(20)(60); 상기 볼트공(13)(72)(23)(64)을 관통하여 너트(30)(80)로 체결되어 상기 브래킷(20)(60)과 상기 연결판(10)(70)을 연결시키는 연결볼트(40)(90); 상기 받침판(26)(61)에 구비된 암나사(21)(63)와 나사 결합되는 높이조절볼트(50)(10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C형강연결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판(10)은 그 볼트공(13)을 중심으로 좌우측에 돌기(14)와 요홈(11)이 구비되며, 상기 브래킷(20)은 고정판(21)과 직각으로 연결되며 C형강(1)의 플랜지(2)사이로 끼워지는 지지편(24)이 돌출되어 구비된 지지판 (22)을 구비하며, 상기 고정판(21)에는 상기 연결판(10)의 돌기(14)가 삽입되는 돌기공(27)이 천공되어 있어 2개의 C형강을 직각으로 연결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형강 연결구.
KR2019980013057U 1997-01-14 1998-07-15 C형강연결구 KR200226234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998-824 1997-01-14
KR1019970000824A KR19980065711A (ko) 1997-01-14 1997-01-14 금속배선의 형성방법
KR2019980000824 1997-01-1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9443U KR19980059443U (ko) 1998-10-26
KR200226234Y1 true KR200226234Y1 (ko) 2001-09-17

Family

ID=65952830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00824A KR19980065711A (ko) 1997-01-14 1997-01-14 금속배선의 형성방법
KR2019980013057U KR200226234Y1 (ko) 1997-01-14 1998-07-15 C형강연결구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00824A KR19980065711A (ko) 1997-01-14 1997-01-14 금속배선의 형성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9980065711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59030B1 (ko) * 1998-12-30 2006-06-16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 소자의 구리 금속 배선 형성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9443U (ko) 1998-10-26
KR19980065711A (ko) 1998-10-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75129Y2 (ja) 柱・床パネル連結構造
KR200226234Y1 (ko) C형강연결구
CN215290642U (zh) 型钢梁柱节点安装固定结构
JP4628838B2 (ja) 鋼製基礎構造
KR101712376B1 (ko) 아연각관을 심재로 하는 목재난간지주
CN113123508A (zh) 一种搭接式连接组件及钢筋桁架楼承板
CN209779862U (zh) 一种预制梁柱连接件
KR20180012535A (ko) 각도조절용 타이
CN215630082U (zh) 一种用于基础笼的螺栓连接组件
JP2005127064A (ja) 柱脚用金物
CN215564583U (zh) 一种新型具有调节功能的基础笼
JP2003213900A (ja) 傾斜床用支持脚及びこれを用いた傾斜床構造
CN215716874U (zh) 可拆装式地板体系
CN217759401U (zh) 一种装配式建筑墙体
CN216810912U (zh) 一种工字钢夹具及工字钢连接结构
JP5946271B2 (ja) 柱脚部・柱頭部接合セット金物及び柱脚部・柱頭部接合構造
KR200271756Y1 (ko) 가설재용 바닥 구조물
JPH08105250A (ja) 擁壁用外面パネル
KR200334463Y1 (ko) 석재 앵커
JP2524520B2 (ja) パラボラアンテナ設置架台
CN2130853Y (zh) 陶瓷面盆固定支架
KR100457457B1 (ko) 가설재용 바닥 구조물
JPH0670336B2 (ja) 外壁パネルの取付構造
KR200319693Y1 (ko) 기둥 및 보의 결합구
KR200223681Y1 (ko) 난간 무늬판 체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32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