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5808Y1 - 서버빌딩용 서버케이지 - Google Patents

서버빌딩용 서버케이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5808Y1
KR200225808Y1 KR2020000036174U KR20000036174U KR200225808Y1 KR 200225808 Y1 KR200225808 Y1 KR 200225808Y1 KR 2020000036174 U KR2020000036174 U KR 2020000036174U KR 20000036174 U KR20000036174 U KR 20000036174U KR 200225808 Y1 KR200225808 Y1 KR 20022580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rver
wire mesh
pillar
door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3617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태수
Original Assignee
정태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태수 filed Critical 정태수
Priority to KR202000003617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580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580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5808Y1/ko

Links

Landscapes

  • Shielding Devices Or Components To Electric Or Magnetic Field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대량의 서버가 설치되는 서버빌딩 내에서 외부인의 서버 접근을 차단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서버케이지에 관한 것으로, 특히 서버로의 접근 차단은 물론 설치시에 서버에 전자파 장애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서버 보호용 구축물에 관한 것이다.
이같은 본 고안의 구조물은, 사방 모서리에 기둥프레임(1a,1b,1c,1d)을 세우며 좌우측방과 후방의 기둥프레임들 상면을 평지지대(3a,3b,3c)로 조립하고 이동바퀴(10)가 달린 복수의 고정철망(4,4a)을 조립하는 한편, 전방의 기둥프레임(1a,1b)들 상면에는 도어레일(5)을 조립하고 이를 따라 좌우로 개폐될 수 있는 철망도어(6 또는 14)를 설치하여 줌으로서, 서버의 인위적인 장애를 예방하고, 서버의 증설시에 조립만에 의한 설치가 가능하여 용접에 따른 전자파 장애를 입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서버빌딩용 서버케이지{Server Cage for Server Building}
본 고안은 대량의 서버가 설치되는 서버빌딩 내에서 외부인의 서버 접근을 차단하기 위한 서버케이지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각종 통신회사의 서버 뿐만 아니라 각 기업체의 서버까지 한 곳에서 관리하는 업체가 생겨나고 있다. 이렇게 많은 서버를 한 곳에 모아 관리하는 공간을 IDC(Internet Data Center; 일명 서버빌딩)이라 한다. 서버는 대형으로 매우 고가인데다 보안이 중요하기 때문에 그 관리 및 유지가 중요하다. 통상 2m가 넘는 크기의 서버가 수 대에서 수 십 대씩 한 층 내에 설치된다.
그러나 이러한 서버들은 통제된 구역 내에 있다고 하더라도 건물 내를 출입하는 사람에게 노출되어 있어서 담당자가 아닌 경우에도 접근이 용이하고 실수 또는 고의에 의하여 서버에 물리적인 장애를 일으키게 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서버운영자와 사용자 및 관리자에게는 정보의 유통과 관리 및 경제적인 측면에서 큰 손실을 초래할 수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서버빌딩에서 접근이 쉬운 기존의 서버에 담당자 이외의 타인이 쉽게 접근할 수 없도록 함으로써 실수나 고의로 서버에 물리적인 장애를 일으키지 못하도록 예방하고, 또 설치시에 서버에 전자파 장애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서버케이지 설치상태를 도시하는 개략도.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미닫이가 달린 단위 서버케이지의 사시도.
도 3은 미닫이가 달린 단위 서버케이지의 일부 절개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로서 철망도어를 적용한 상태의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a,1b,1c,1d:기둥프레임, 3a,3b,3c:평지지대, 4,4a:고정철망, 5:도어레일, 6,14:철망도어, 7:보조프레임, 8,11,16:롤러, 9:브래킷, 10:이동바퀴, 12,17:잠금장치, 13:가로대, 15:경첩
본 고안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사방 모서리에 세워지는 기둥프레임과, 이 기둥프레임 중에서 측방과 후방의 기둥프레임들 상면에서 조립되어 연결되는 평지지대와, 전방의 기둥프레임들 상면에서 조립되어 연결되는 도어레일과, 적어도 측방과 후방의 상기 기둥프레임 사이에 조립되어 고정되며 하부에 이동바퀴가 달린 복수의 고정철망, 그리고 전방의 기둥프레임 사이에서 상기 도어레일을 따라 좌우로 개폐될 수 있는 철망도어를 구비시킨 것이다.
본 고안의 구성을 첨부된 실시예 도면에 의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1은 서버의 크기에 따라 약간씩 다르게 연속으로 조립된 서버케이지(A,B,C)를 나타내고 있다. 여기에서는 편의상 고정철망과 철망도어의 프레임만 나타내고 망은 나타내지 않았다.
기본적인 단위 서버케이지(A)를 도 2와 도 3에 나타내었다. 이 경우 기둥프레임(1a,1b,1c,1d)은 사방에 세워져 있으며 각 기둥프레임(1a,1b,1c,1d)의 하단에는 인접한 기둥프레임 쪽을 향하여 플랜지(2)가 용접되어 있다. 이 플랜지(2)는 서버케이지의 조립 완료 후 인근의 설치장소로 이동시켜 설치 바닥에 고정시키기 위해 형성시킨 것이다.
좌우측 방향의 전후에 있는 기둥프레임 상부에는 평지지대(3a,3b,3c)의 양단이 볼트로 고정된다. 평지지대(3a,3b,3c)는 기둥프레임(1a,1b,1c,1d)과 마찬가지로 각파이프로 이루어져 있다. 기둥프레임(1a,1b,1c,1d)과 평지지대(3a,3b,3c)의 사이, 특히 양 측면과 후면에 해당하는 부위에는 그 측방과 후방을 외부로부터 차단하기 위한 복수의 고정철망(4)이 조립된다.
전방의 좌우측 기둥프레임(1a,1b) 상부에는 도어레일(5)의 양단이 볼트로 조립된다. 도어레일(5)은 도 3 및 도 4에서 절결시켜 이격되게 도시한 바와 같이 각파이프로서 저면 중앙이 길이방향으로 개방되어 있다. 이 부분이 레일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철망도어(6)가 끼워진다.
그리고 전방 양측의 기둥프레임(1a,1b) 중간에 해당하는 위치의 도어레일(5) 하부에는 기둥프레임과 마찬가지의 형상을 하는 보조프레임(7)이 볼트로 조립된다. 보조프레임(7)의 하부에는 롤러(8)를 가진 브래킷(9)이 전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이 브래킷(9)과 롤러(8)는 철망도어(6)의 하부를 잡아주면서 좌우로 활주시키도록 하기 위해 설치한 것이다. 보조프레임(7)과 한쪽(도 4에서 왼쪽)의 기둥프레임(1a) 사이를 차단할 수 있도록 도어레일(5)에 철망도어(6)가 설치된다. 도 3에서 전방의 오른쪽에 있는 기둥프레임(1b)과 보조프레임(7) 사이에는 고정철망(4a)이 볼트로 조립된다.
고정철망(4,4a)은 사각의 프레임에 망이 설치된 것으로 하부에는 각각 2개의 이동바퀴(10)가 달려 있다. 이동바퀴(10)는 조립된 단위 서버케이지를 설치 장소로 이동시키기 용이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같은 이동바퀴(10)의 설치로 인하여 고정철망(4,4a)은 바닥면으로부터 일정한 높이를 유지하게 된다.
한편, 상기 고정철망(4,4a)은 철망도어(6)가 차단하는 부위 이외에는 사방의 전면에 설치되는데 고정철망(4,4a)은 서로 접하게 되는 기둥프레임(1a,1b,1c,1d), 평지지대(3a,3b,3c), 보조프레임(7), 도어레일(5)들과 볼트 및 스크류로 조립된다.
상기 고정철망(4,4a)이 조립되었을 때 기둥프레임(1a,1b,1c,1d)과 보조프레임(7)의 하단은, 이동바퀴(10)의 하단과 거의 같은 높이지만 미세하게 위로 올라와 있는, 다시말해, 아래로 압력을 가하면 설치 바닥에 닿을 수 있는 정도의 높이를 유지한다.
상기에서 이동바퀴(10)로 인해 확보된 바닥면과의 간격은, 서버(도시없음) 설치를 위하여 바닥부로부터 통신 및 전원라인을 인출하는 작업시 그리고 작업을 마치고 바닥판을 복구하는 일련의 작업을 위한 최소한의 공간을 제공한다.
철망도어(6)는 사각의 프레임 내에 망이 설치된 것으로서 상단에는 복수의 롤러(11)가 설치되어 있다. 이 롤러(11)는 도어레일(5)에 끼워진 후 철망도어(6)를 좌우로 밀면 도어레일(5) 내를 활주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철망도어(6)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은 전방 왼쪽의 기둥프레임(1a) 간에는 잠금장치(12)가 설치된다.
위에서 설명한 기본적인 단위 서버케이지는 도 1에서 A에 해당하는 유형으로서 이러한 서버케이지는 연속해서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인접하는 서버케이지와 같은 면을 이루는 부위의 고정철망(4)은 하나로 공유한다. 도 1에서 B에 해당하는 유형의 서버케이지는 그 내부에 설치되는 서버의 길이가 긴 경우로서 이때에는 서버케이지의 폭이 넓은 면을 지탱해 주기 위하여 도 3에 예시하는 바와 같은 가로대(13)를 조립해 준다.
도 4는 철망도어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이 경우는 주름식으로 접히는 철망도어(14)의 구조를 보이게 되는데, 이는 출입문이나 엘리베이터 등 주요 통로의 출입을 효과적으로 통제하기 위하여 독립된 구조물로 설치될 수 있으며, 본 고안의 적용에 있어서는 도 1에서 C에 해당하는 유형에 주로 적용될 수 있고, A나 B와 같은 유형에도 물론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철망도어(14)는 도어레일(5)을 따라 좌우로 이동하며 절첩될 수 있도록 2개를 경첩(15)으로 각각 연결시킨 2조로 구성되며, 이 각각의 철망도어 하부에는 이동바퀴(10)가 달려 있다. 철망도어(14)의 상단에는 도어레일(5)에 끼워져 좌우로 활주할 수 있는 롤러(16)가 설치되어 있다.
좌우 양단의 철망도어(14a,14d)는 기둥프레임(1a,1b) 또는 보조프레임(7)에도 경첩을 이용하여 조립될 수 있는 것이다. 가운데 쪽에서 서로 분리되어 있는 철망도어(14b,14c)들은 잠금장치(17)가 설치되어 사용자 이외에는 열 수 없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은 주름식 철망도어(14)는 문을 열 때에 도 4에 가상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좌우 양측으로 벌어지면서 접히게 된다.
필요한 부분이 조립된 상태에서 서버의 설치장소로 이동시킨 단위 서버케이지(A,B,C)는 여러 대의 서버를 설치하고자 할 경우에는 그 설치장소에서 도 1에서 예시하는 바와 같이 연속해서 연결하여 설치된다. 그런 후에 철망도어(6 또는 14) 내로 서버를 이동시킨다. 통상의 경우 서버는 서버빌딩 내에서 하나씩 증설되기 때문에 단위 서버케이지(A,B,C)도 하나씩 늘어난다. 이러한 경우에 서버케이지를 증설할 때마다 용접을 하게 되면 기존에 설치된 서버에 장애, 즉 용접 작업에 따른 전자파 장애를 본 고안에서는 완전히 배제시키기 위해 조립식으로 구성한 것이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서버빌딩에 설치되는 각각의 서버를 케이지로 차단함으로써 담당자 이외의 타인이 쉽게 접근하지 못하게 하여 실수나 고의에 따른 서버의 물리적 장애를 예방한다. 또한 서버케이지의 설치가 조립에 의해서만 달성됨으로 용접에 의해 서버가 전자파 장애를 입는 것을 예방하는 효과도 있다.

Claims (3)

  1. 사방 모서리에 세워지는 기둥프레임과, 이 기둥프레임 중에서 측방과 후방의 기둥프레임들 상면에서 조립되어 연결되는 평지지대와, 전방의 기둥프레임들 상면에서 조립되어 연결되는 도어레일과, 적어도 측방과 후방의 상기 기둥프레임 사이에 조립되어 고정되며 하부에 이동바퀴가 달린 복수의 고정철망, 그리고 전방의 기둥프레임 사이에서 상기 도어레일을 따라 좌우로 개폐될 수 있는 철망도어를 구비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빌딩용 서버케이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둥프레임 중에서 전방의 기둥프레임 중간에는 보조프레임이 세워지고, 이 보조프레임과 한쪽의 기둥프레임 사이를 차단할 수 있도록 상기 도어레일에 상기 철망도어가 설치되며, 상기 보조프레임과 다른 쪽의 기둥프레임 사이에는 상기 고정철망이 조립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빌딩용 서버케이지.
  3. 제1항에 있어서,
    철망도어는 상기 도어레일을 따라 좌우로 이동하며 절첩될 수 있도록 2개의 도어를 경첩으로 각각 연결시킨 2조로 구성되며, 이 각각의 철망도어 하부에는 이동바퀴가 달려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빌딩용 서버케이지.
KR2020000036174U 2000-12-22 2000-12-22 서버빌딩용 서버케이지 KR20022580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6174U KR200225808Y1 (ko) 2000-12-22 2000-12-22 서버빌딩용 서버케이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6174U KR200225808Y1 (ko) 2000-12-22 2000-12-22 서버빌딩용 서버케이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25808Y1 true KR200225808Y1 (ko) 2001-06-01

Family

ID=730938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36174U KR200225808Y1 (ko) 2000-12-22 2000-12-22 서버빌딩용 서버케이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5808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2357Y1 (ko) * 2008-12-05 2011-02-22 주식회사 동부휀스 서버빌딩용 서버케이지 고정구조
KR101429472B1 (ko) 2013-05-29 2014-08-13 김남호 서버 케이지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2357Y1 (ko) * 2008-12-05 2011-02-22 주식회사 동부휀스 서버빌딩용 서버케이지 고정구조
KR101429472B1 (ko) 2013-05-29 2014-08-13 김남호 서버 케이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25808Y1 (ko) 서버빌딩용 서버케이지
EP0878808B1 (de) Elektrische Umspannstation
US4799528A (en) Closure device
JPH10102643A (ja) 間仕切り構造
US3760861A (en) Door for hangars and other structures
EP3604725B1 (en) Break-in-resistant intelligent sliding enclosure
KR200425555Y1 (ko) 서버케이지
DE60016955T2 (de) Einheit zum unterbringen von mobilfunk ausrüstung
WO1995016844A1 (en) Door mounting system
EP0768741B1 (de) Transportable Raumzelle als Umspannstation
KR102339929B1 (ko) 복수사용자용 데이터센터를 위한 스마트케이지
KR20180109830A (ko) 바닥면 무철거 폴딩도어 시공방법
DE102005050066A1 (de) Außenbauteil und Außenaufzug zum Anbau an bestehende Gebäude
KR200452357Y1 (ko) 서버빌딩용 서버케이지 고정구조
CN209922689U (zh) 多扇门导轨及具有其的电梯门系统
KR100414307B1 (ko) 미닫이 여닫이 겸용문을 가진 양개도어 및 사용방법
CN113638643A (zh) 一种智能工作区域围栏安全管理系统
KR200163589Y1 (ko) 미닫이창의다중차단구조
DE202017107660U1 (de) Gebäudemodul und daraus hergestelltes Gebäude
JPS6046235B2 (ja) 引違い窓
KR102342684B1 (ko) 수납식 적층 도어 패널 구조체
JP6985069B2 (ja) 可動式制御盤を備えた駐車装置
DE102010022398A1 (de) Sanitärmodul
JP3145400U (ja) 網戸
JP3507952B2 (ja) ホームエレベー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322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