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14307B1 - 미닫이 여닫이 겸용문을 가진 양개도어 및 사용방법 - Google Patents

미닫이 여닫이 겸용문을 가진 양개도어 및 사용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14307B1
KR100414307B1 KR10-2000-0066873A KR20000066873A KR100414307B1 KR 100414307 B1 KR100414307 B1 KR 100414307B1 KR 20000066873 A KR20000066873 A KR 20000066873A KR 100414307 B1 KR100414307 B1 KR 1004143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ding door
sliding
doors
door
vert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668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36615A (ko
Inventor
박영준
Original Assignee
(주)태원종합기술단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태원종합기술단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태원종합기술단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10-2000-00668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14307B1/ko
Publication of KR200200366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366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143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14307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50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more than one kind of movement
    • E06B3/505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more than one kind of movement where the sliding and rotating movements are independent of each other
    • E06B3/507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more than one kind of movement where the sliding and rotating movements are independent of each other the horizontal sliding wings having the possibility of an additional rotational move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00Knobs or handles for wings; Knobs, handles, or press buttons for locks or latches on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5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with successive different movements
    • E05D15/58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with successive different movements with both swinging and sliding mov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10Adjustable
    • E05Y2600/30Adjustment mo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Wing Frames And Configur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미닫이 여닫이 겸용문을 가진 양개도어 및 사용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미닫이 문(71), 상기 미닫이 문(71)과 한 조를 이루어 양개도어를 구성하는 미닫이 여닫이 겸용수단을 가진 미닫이 여닫이 겸용문(61)을 포함하는 양개도어 및 사용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구성요소 중 상기 미닫이 여닫이 겸용수단은 양개도어의 양측벽 중 한쪽 측벽 내부에 형성되되, 상기 측벽의 길이방향에 대해 수직하게 본 전체적인 단면이 하부에서 상부로 일정한 폭으로 내부측벽이 형성되다가 상부에서 한 단계 넓어지는 장폭부(13)를 가지며, 상기 내부측벽의 중간 높이에는 타 부재를 눌러 줄 수 있는 다수 개의 내부측벽롤러(15)가 설치되고, 상기 양개도어에 가까운 부분의 상부와 하부에는 동일 축 상에 수직 사각기둥 형상의 타부재가 삽입될 수 있는 수직삽입부가 대칭되게 형성되는 내부수납공간(11), 상기 내부수납공간(11)의 상부의 상기 장폭부(13)와 하부에 위치하되 바닥면과 평행하게 설치되는 상부레일(21)과 하부레일(23), 상기 내부수납공간(11)의 상부레일(21)과 하부레일(23)을 따라 좌우로 미닫이 방식으로 움직이되, 전체적으로 사각 기둥 형상이되 길이방향으로 바닥면에 대해 수직으로 선 형상이며, 상기 사각 기둥 형상 부재의 상단부와 하단부는 타 부재와의 결합을 위해 개방되게 형성되되 내부로 타 부재 삽입부를 가지고, 상기 상단부의 네 꼭지점으로부터 지면에 수평으로 연장된 롤러 축(35)이 형성되며 상기 롤러 축(35)의 단부에 상기 상부레일(21)을 따라 이동하는 다수 개의 상부롤러(37)가 형성되고, 상기 하단부의 네 꼭지점으로부터 상기 하부레일(23)을 따라 이동하는 다수 개의 하부롤러(39)가 형성되며, 상기 사각 기둥의 길이방향 네 면 중 상기 양개도어에 접하는 면의 한 쪽 측면에는 상기 양개도어 중 하나의 문이 결합하는 다수 개의 경첩(45)이 설치되고 상기 면의 상부와 하부에 대칭으로 형성되되 두 줄의 수직홈(41)이 형성되며 상기 수직홈(41)이 끝나는 부분에서는 타 부재의 일부인 손잡이가 고정될 수 있는 손잡이 고정홈(43)이 상기 수직홈(41)의 위와 아래에 대칭으로 형성되는 지주(30), 전체적으로 상기 지주(30) 보다 두 개의 작은 사각 기둥으로 형성되되 상기 지주(30)의 상기 타 부재 삽입부와 상기 내부수납공간(11)의 상기 수직삽입부 사이를 수직이동하며 상기 지주(30)의 상기 수직홈(41)과 접하는 면에는 수직이동용 손잡이(53)가 설치되되 상기 수직이동 손잡이(41)는 상기 수직홈(41)을 통해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도록 외부로 노출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장지주(51)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미닫이 여닫이 겸용문을 가진 양개도어 및 사용방법{Double opening hinged door also used as a sliding door and the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미닫이 여닫이 겸용문을 가진 양개도어 및 사용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미닫이 문(71), 상기 미닫이 문(71)과 한 조를 이루어 양개도어를 구성하는 미닫이 여닫이 겸용수단을 가진 미닫이 여닫이 겸용문(61)을 포함하는 양개도어 및 사용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장 또는 창고의 출입을 위한 개구부로 사용되는 양개도어는 금속 재질 또는 유사한 재질로 제작되며 미닫이 형식으로 제작되는 것이 보통이다. 양개도어의 무게가 무겁기 때문에 대체로 한 쪽 문안에 작은 여닫이 문을 더 만들어서 사용자의 편의를 꾀하는 것이 보통이다.
그러나 양개도어의 크기가 작으면 한 쪽 문안에 작은 여닫이 문을 더 만드는 것도 여의치가 않아서 그냥 미닫이 형식으로 사용할 수 밖에 없다. 처음에는 밀어서 열고 닫고 하면서 양개도어를 사용하나 시간이 경과되면 한 쪽 문을 열어놓은 상태로 양개도어가 방치되는 일이 많다. 따라서 보안이나 방범문제에서 많은 어려움을 겪게 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문의 개폐가 용이하고 잠금장치의 관리가 수월하여 보안이나 방범에 유리한 미닫이 여닫이 겸용수단을 가진 미닫이 여닫이 겸용문(61)을 포함하는 양개도어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미닫이 여닫이 겸용문을 가진 양개도어의 사시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미닫이 여닫이 겸용문의 구성요소인 미닫이 여닫이 겸용수단의 사시단면도로 여닫이 부분이 완전히 열려있는 상태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내부수납공간 13 : 장폭부
15 : 내부측벽롤러
21 : 상부레일 23 : 하부레일
30 : 지주 35 : 롤러 축
37 : 상부롤러 39 : 하부롤러
41 : 수직홈 43 : 손잡이 고정홈
45 : 경첩 51 : 연장지주
53 : 수직이동용 손잡이 61 : 미닫이 여닫이 겸용문
63 : 여닫이 손잡이 65 : 미닫이 손잡이
71 : 미닫이 문
첨부한 구체예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1도 및 제2도와 같이, 본 발명 미닫이 여닫이 겸용문을 가진 양개도어는 미닫이 문(71), 상기 미닫이 문(71)과 한 조를 이루어 양개도어를 구성하는 미닫이 여닫이 겸용수단을 가진 미닫이 여닫이 겸용문(61)을 포함한다.
상기 미닫이 여닫이 겸용문은 문의 개폐가 용이하게 해주므로 잠금장치의 관리가 수월해져서 보안이나 방범에 유리하게 하는 작용을 한다.
상기 미닫이 여닫이 겸용수단은 내부수납공간(11), 상부레일(21)과 하부레일(23), 지주(30), 연장지주(51)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내부수납공간(11)은 양개도어의 양측벽 중 한쪽 측벽 내부에 형성되되, 상기 측벽의 길이방향에 대해 수직하게 본 전체적인 단면이 하부에서 상부로 일정한 폭으로 내부측벽이 형성되다가 상부에서 한 단계 넓어지는 장폭부(13)를 가지며, 상기 내부측벽의 중간 높이에는 타 부재를 눌러 줄 수 있는 다수 개의 내부측벽롤러(15)가 설치되고, 상기 양개도어에 가까운 부분의 상부와 하부에는 동일 축 상에 수직 사각기둥 형상의 타부재가 삽입될 수 있는 수직삽입부가 대칭되게 형성될 수 있다.상기 내부수납공간(11)은 미닫이문(71)이 열려질 때와, 미닫이 여닫이 겸용 문(61)이 미닫이로 열려질 때 사용되는 통상의 벽체공간 중 미닫이 여닫이 겸용 문(61)을 위한 특수한 벽체 공간인 내부수납공간이다.
상기 상부레일(21)과 하부레일(23)은 상기 내부수납공간(11)의 상부의 상기장폭부(13)와 하부에 위치하되 바닥면과 평행하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지주(30)는 상기 내부수납공간(11)의 상부레일(21)과 하부레일(23)을 따라 좌우로 미닫이 방식으로 움직이되, 전체적으로 사각 기둥 형상이되 길이방향으로 바닥면에 대해 수직으로 선 형상이며, 상기 사각 기둥 형상 부재의 상단부와 하단부는 타 부재와의 결합을 위해 개방되게 형성되되 내부로 타 부재 삽입부를 가지고, 상기 상단부의 네 꼭지점으로부터 지면에 수평으로 연장된 롤러 축(35)이 형성되며 상기 롤러 축(35)의 단부에 상기 상부레일(21)을 따라 이동하는 다수 개의 상부롤러(37)가 형성되고, 상기 하단부의 네 꼭지점으로부터 상기 하부레일(23)을 따라 이동하는 다수 개의 하부롤러(39)가 형성되며, 상기 사각 기둥의 길이방향 네 면 중 상기 양개도어에 접하는 면의 한 쪽 측면에는 상기 양개도어 중 하나의 문이 결합하는 다수 개의 경첩(45)이 설치되고 상기 면의 상부와 하부에 대칭으로 형성되되 두 줄의 수직홈(41)이 형성되며 상기 수직홈(41)이 끝나는 부분에서는 타 부재의 일부인 손잡이가 고정될 수 있는 손잡이 고정홈(43)이 상기 수직홈(41)의 위와 아래에 대칭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장지주(51)는 전체적으로 상기 지주(30) 보다 두 개의 작은 사각 기둥으로 형성되되 상기 지주(30)의 상기 타 부재 삽입부와 상기 내부수납공간(11)의 상기 수직삽입부 사이를 수직이동하며 상기 지주(30)의 상기 수직홈(41)과 접하는 면에는 수직이동용 손잡이(53)가 설치되되 상기 수직이동 손잡이(41)는 상기 수직홈(41)을 통해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도록 외부로 노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손잡이 고정홈(43)과 상기 수직이동용 손잡이(53)은 여닫이 부분을 닫은 상태에서는 일부가 덮여 있게 되며, 상기 여닫이 부분을 열어야만 상기 수직이동용 손잡이(53)를 작동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여닫이 부분의 두께에 의해 손잡이 고정홈(43)과 수직이동용 손잡이(53)의 일부가 덮여있게 된다. 통상 문 두께는 경첩의 폭보다 약간이라도 더 넓게 되어 있으며 이러한 여닫이 부분의 두께로 손잡이 고정홈(43)과 수직이동용 손잡이(53)의 일부가 덮이게 된다. 이 기능을 위해 도면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첩(45)와 손잡이 고정홈(43)은 밀착되어 있다. 이는 미닫이 여닫이 겸용 문(61)의 여닫이 부분을 열지 않고서는 미닫이 기능을 작동할 수 없도록 하여 보안 및 방범 효과를 높인 것으로, 미닫이 문(71)의 일반적인 잠금장치를 불법적으로 해제하고 미닫이 문(71)만을 열었다 하더러도 미닫이 여닫이 겸용 문(61)은 다시 여닫이 부분의 일반적인 잠금장치를 불법적으로 해제하기 전에는 미닫이로 개방되기 어렵게 해서 전체문틀면적이 개방되어야 반출될 수 있는 큰 장비 등의 도난을 방지하게 된다.
본 발명 미닫이 여닫이 겸용문을 가진 양개도어 사용방법은 평상시 사용자만의 출입을 위한 경우에는 상기 미닫이 문(71)을 고정시키며, 상기 미닫이 여닫이 겸용문(61)도 고정시키고 여닫이로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 미닫이 여닫이 겸용문을 가진 양개도어 사용방법은 큰 물건의 출입을 위해 양개도어를 모두 미닫이로 여는 경우에는, 상기 미닫이 문(71)을 여는 1단계, 상기 미닫이 여닫이 겸용문(61)의 여닫이 부분을 여닫이 손잡이(63)로 여는 2단계, 상기 지주(30)의 상부와 하부에 위치한 제2항의 손잡이 고정홈(43)에 자리잡고 있던 상기 수직이동 손잡이(41)를 꺼내어 상기 연장지주(51)를 아래 또는 위로 수직이동 시켜 상기 지주(30)속으로 집어넣는 3단계, 상기 수직이동 손잡이(41)를 상기 손잡이 고정홈(43)에 고정시키는 4단계, 상기 미닫이 여닫이 겸용문(61)의 여닫이 부분을 여닫이 손잡이(63)로 닫는 5단계, 상기 미닫이 여닫이 겸용문(61)을 미닫이 손잡이(65)로 밀어 상기 내부수납공간(11)으로 집어넣는 6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방법으로 상기 미닫이 여닫이 겸용문(61)은 상기 여닫이 손잡이(63)가 있는 위치까지 열린다.
큰 물건의 출입을 위해 양개도어를 모두 미닫이로 닫는 경우에는, 상기 제1단계에서 제6단계를 역순으로 시행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으로 문의 개폐가 용이하고 잠금장치의 관리가 수월하여 보안이나 방범에 유리한 미닫이 여닫이 겸용수단을 가진 미닫이 여닫이 겸용문(61)을 포함하는 양개도어를 제공하게 되었다.

Claims (3)

  1. 미닫이 문(71);
    상기 미닫이 문(71)과 한 조를 이루어 양개도어를 구성하는 미닫이 여닫이 겸용수단을 가진 미닫이 여닫이 겸용문(61);
    상기 미닫이 여닫이 겸용수단은 양개도어의 양측벽 중 한쪽 측벽 내부에 형성되는 내부수납공간(11), 상기 내부수납공간(11)에 설치되는 상부레일(21)과 하부레일(23), 상기 내부수납공간(11)의 상부레일(21)과 하부레일(23)을 따라 좌우로 미닫이 방식으로 움직이는 지주(30), 전체적으로 상기 지주(30) 보다 작은 두 개의 사각 기둥으로 형성되는 연장지주(51)을 포함하는 미닫이 여닫이 겸용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닫이 여닫이 겸용문을 가진 양개도어.
  2. 상기 미닫이 여닫이 겸용수단은 양개도어의 양측벽 중 한쪽 측벽 내부에 형성되되, 상기 측벽의 길이방향에 대해 수직하게 본 전체적인 단면이 하부에서 상부로 일정한 폭으로 내부측벽이 형성되다가 상부에서 한 단계 넓어지는 장폭부(13)를 가지며, 상기 내부측벽의 중간 높이에는 타 부재를 눌러 줄 수 있는 다수 개의 내부측벽롤러(15)가 설치되고, 상기 양개도어에 가까운 부분의 상부와 하부에는 동일 축 상에 수직 사각기둥 형상의 타부재가 삽입될 수 있는 수직삽입부가 대칭되게 형성되는 내부수납공간(11);
    상기 내부수납공간(11)의 상부의 상기 장폭부(13)와 하부에 위치하되 바닥면과 평행하게 설치되는 상부레일(21)과 하부레일(23);
    상기 내부수납공간(11)의 상부레일(21)과 하부레일(23)을 따라 좌우로 미닫이 방식으로 움직이되, 전체적으로 사각 기둥 형상이되 길이방향으로 바닥면에 대해 수직으로 선 형상이며, 상기 사각 기둥 형상부재의 상단부와 하단부는 타 부재와의 결합을 위해 개방되게 형성되되 내부로 타 부재 삽입부를 가지고, 상기 상단부의 네 꼭지점으로부터 지면에 수평으로 연장된 롤러 축(35)이 형성되며 상기 롤러 축(35)의 단부에 상기 상부레일(21)을 따라 이동하는 다수 개의 상부롤러(37)가 형성되고, 상기 하단부의 네 꼭지점으로부터 상기 하부레일(23)을 따라 이동하는 다수 개의 하부롤러(39)가 형성되며, 상기 사각 기둥의 길이방향 네 면 중 상기 양개도어에 접하는 면의 한 쪽 측면에는 상기 양개도어 중 하나의 문이 결합하는 다수 개의 경첩(45)이 설치되고 상기 면의 상부와 하부에 대칭으로 형성되되 두 줄의 수직홈(41)이 형성되며 상기 수직홈(41)이 끝나는 부분에서는 타 부재의 일부인 손잡이가 고정될 수 있는 손잡이 고정홈(43)이 상기 수직홈(41)의 위와 아래에 대칭으로 형성되는 지주(30);
    전체적으로 상기 지주(30) 보다 작은 두 개의 사각 기둥으로 형성되되 상기 지주(30)의 상기 타 부재 삽입부와 상기 내부수납공간(11)의 상기 수직삽입부 사이를 수직이동하며 상기 지주(30)의 상기 수직홈(41)과 접하는 면에는 수직이동용 손잡이(53)가 설치되되 상기 수직이동 손잡이(41)는 상기 수직홈(41)을 통해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도록 외부로 노출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장지주(51);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닫이 여닫이 겸용수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닫이 여닫이 겸용문을 가진 양개도어.
  3. 평상시 사용자만의 출입을 위한 경우에는 제1항의 미닫이 문(71)을 고정시키며, 제1항의 미닫이 여닫이 겸용문(61)도 고정시키고 여닫이로만 사용하는 방법;
    큰 물건의 출입을 위해 양개도어를 모두 미닫이로 여는 경우에는, 제1항의 미닫이 문(71)을 여는 1단계, 제1항의 미닫이 여닫이 겸용문(61)의 여닫이 부분을 여닫이 손잡이(63)로 여는 2단계, 제2항의 지주(30)의 상부와 하부에 위치한 제2항의 손잡이 고정홈(43)에 자리잡고 있던 제2항의 수직이동 손잡이(41)를 꺼내어 제2항의 연장지주(51)를 아래 또는 위로 수직이동 시켜 제2항의 지주(30)속으로 집어넣는 3단계, 제2항의 수직이동 손잡이(41)를 제2항의 손잡이 고정홈(43)에 고정시키는 4단계, 제1항의 미닫이 여닫이 겸용문(61)의 여닫이 부분을 여닫이 손잡이(63)로 닫는 5단계, 제1항의 미닫이 여닫이 겸용문(61)을 미닫이 손잡이(65)로 밀어 제1항의 내부수납공간(11)으로 집어넣는 6단계를 포함하는 양개도어를 모두 미닫이로 여는 방법;
    큰 물건의 출입을 위해 양개도어를 모두 미닫이로 닫는 경우에는, 상기 제1단계에서 제6단계를 역순으로 시행하는 것을 포함하는 양개도어를 모두 미닫이로 닫는 방법;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닫이 여닫이 겸용문을 가진 양개도어 사용방법.
KR10-2000-0066873A 2000-11-10 2000-11-10 미닫이 여닫이 겸용문을 가진 양개도어 및 사용방법 KR1004143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66873A KR100414307B1 (ko) 2000-11-10 2000-11-10 미닫이 여닫이 겸용문을 가진 양개도어 및 사용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66873A KR100414307B1 (ko) 2000-11-10 2000-11-10 미닫이 여닫이 겸용문을 가진 양개도어 및 사용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36615A KR20020036615A (ko) 2002-05-16
KR100414307B1 true KR100414307B1 (ko) 2004-01-07

Family

ID=196984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66873A KR100414307B1 (ko) 2000-11-10 2000-11-10 미닫이 여닫이 겸용문을 가진 양개도어 및 사용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1430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8134B1 (ko) 2010-04-30 2011-09-28 김인태 문의 비노출식 경첩구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0590B1 (ko) * 2005-07-07 2007-04-24 박홍열 여닫이와 미닫이 기능이 복합된 도어
KR200449525Y1 (ko) * 2008-07-29 2010-07-16 장웅기 판상 도자기 및 이를 이용한 도자기 세트
KR200477715Y1 (ko) * 2015-02-23 2015-07-13 안상현 슬라이딩 도어 조립체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38639B1 (ko) * 1993-12-24 1998-07-01 정장호 미여닫이 겸용 도어 개폐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38639B1 (ko) * 1993-12-24 1998-07-01 정장호 미여닫이 겸용 도어 개폐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8134B1 (ko) 2010-04-30 2011-09-28 김인태 문의 비노출식 경첩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36615A (ko) 2002-05-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294040A (en) Safety door for buildings and rooms
SK93497A3 (en) Movable wall
KR100414307B1 (ko) 미닫이 여닫이 겸용문을 가진 양개도어 및 사용방법
US4799528A (en) Closure device
US20050122014A1 (en) Container
KR20170001691A (ko) 바닥면을 철거하지 않고 시공이 가능한 폴딩도어
US4741186A (en) Locking mechanism for sliding doors or windows and method of installation
JP3577537B2 (ja) 吊戸におけるスライド式吊りレール構造
KR102247209B1 (ko) 수납장
JP4170275B2 (ja) 建物
KR200468626Y1 (ko) 출입문 개폐장치
KR102313132B1 (ko) 수납장
KR200347951Y1 (ko) 총기 보관함의 도어 구조
JP3470067B2 (ja) 自動ドアのこじ開け防止装置
JPH0341579Y2 (ko)
JPH0627734Y2 (ja) 防音引違いサッシ
JPH0747595Y2 (ja) オーバヘッドドア
JPS6340614Y2 (ko)
EP1167668A2 (en) Security device for movable closing elements of windows, doors and the like
KR20210157661A (ko) 수납장
JPH0138234Y2 (ko)
JP2531709Y2 (ja) 折畳み式伸縮扉
KR200368532Y1 (ko) 출입문
JPH077789Y2 (ja) 収納装置
KR930006475Y1 (ko) 호형레일에 따라 좌우로 개폐되는 셔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