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68532Y1 - 출입문 - Google Patents

출입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68532Y1
KR200368532Y1 KR20-2004-0023681U KR20040023681U KR200368532Y1 KR 200368532 Y1 KR200368532 Y1 KR 200368532Y1 KR 20040023681 U KR20040023681 U KR 20040023681U KR 200368532 Y1 KR200368532 Y1 KR 20036853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rail
ground
rail member
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2368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억진
Original Assignee
박억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억진 filed Critical 박억진
Priority to KR20-2004-002368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6853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6853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68532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11/00Means for allowing passage through fences, barriers or the like, e.g. stiles
    • E06B11/02Gates; Doors
    • E06B11/022Gates; Door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 E06B11/023Gates; Door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where the gate opens within the plane of the gate
    • E06B11/026Gates; Door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where the gate opens within the plane of the gate horizontal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at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출입구를 가로지르게 레일을 설치하지 않고도 사람이나 차량의 출입을 통제할 수 있게 슬라이딩 개폐토록 설치함으로써 시공비용 및 시간이 크게 절감됨은 물론 출입구에 레일이 없기 때문에 차량의 출입에 장애가 되지 않으며 심한 경우 레일이나 차량의 손상이 초래되던 문제점이 해소되게 한 출입문에 관한 것으로서,
다양한 형태로 제작되는 문짝부재와, 이 문짝부재의 하단에 착설되며 출입구의 폭의 대략 2배 정도의 길이로 되는 레일부재와, 상기 출입구를 완전히 열었을 때 상기 문짝부재가 위치하는 지면에 소정간격으로 설치되어 레일부재의 슬라이딩 이동을 안내하는 롤러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한 것이다.

Description

출입문{Gate}
본 고안은 출입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사람이나 차량의 출입을 제한하거나 통제하기 위해 건조물의 출입구에 슬라이딩 개폐토록 설치하는 출입문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도 공장이나 병원 또는 학교나 관공서 등과 같은 대형 건조물의 출입구에 차량이나 사람의 출입을 제한하거나 통제하기 위해 좌·우로 슬라이딩 개폐토록 설치한 출입문이 있었는데, 이러한 출입문은 원활한 슬라이딩을 위해 출입구를 가로지르게 지면에 레일을 부설하고 출입문에는 레일상에서 활주되는 롤러를 착설하였다.
따라서, 출입구를 가로지게 레일을 시공하여야 됨에 따라 시공비용 및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등 비경제적이었으며, 특히 레일부재가 지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있기 때문에 차량이 출입할 때 장애가 됨은 물론 심한 경우에는 차량이나 레일의 손상이 초래되는 등 사용상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종래의 상기와 같은 점들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시공비용 및 시간이 크게 절감됨은 물론 차량의 출입에 장애가 되지 않는 출입문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차량이나 레일의 손상이 초래되지 않게 되는 출입문을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상기와 같은 목적들은 출입구를 가로지르게 지면에 레일을 설치하지 않고도 슬라이딩되어 출입구를 개폐하는 출입문을 제공함으로써 달성되는데, 이 출입문의 폭은 출입구의 폭과 같은 정도로 되며 그 하단에는 출입구의 폭의 2배 정도의 레일을 부설하고 출입구를 완전히 열었을때 문짝이 위치하는 지면에는 롤러를설치하여 문짝에 부설된 레일부재가 롤러상에서 활지되어 출입구를 개폐토록 하므로 출입구를 가로지르게 지면에 레일을 설치하지 않아도 되게 함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 실시예에 의한 출입문의 일 설치상태를 내부에서 본 배면도
도 2는 동 출입문을 열었을 때의 일부를 보인 확대도
도 3은 동 출입문에서 레일부재와 롤러부재를 발췌하여 보인 사시도
도 4는 동 롤러부재를 분리하여 보인 사시도
도 5는 동 레일부재와 롤러부재의 결합상태를 보인 확대 측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문짝부재 20 : 레일부재
22 : 격리부 23, 23' : 레일
30 : 롤러부재 31 : 대판
32 : 지주편 33, 33' : 축공
34, 34' : 주축 35, 35' : 롤러
이하, 본 고안 실시예에 의한 출입문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 실시예에 의한 출입문의 일 설치상태를 내부에서 본 배면도이고, 도 2는 동 출입문을 열었을 때 의 일부를 보인 확대도이며, 도 3은 동 출입문에서 레일부재와 롤러부재를 발췌하여 보인 사시도이고, 도 4는 동 롤러부재를 분리하여 보인 사시도이며, 도 5는 동 레일부재와 롤러부재의 결합상태를 보인 확대 측면도이다.
본 고안 실시예에 의한 출입문은 다양한 형태로 제작되는 문짝부재(10)와, 이 문짝부재의 하단에 착설되며 출입구의 양측 기둥사이 폭(f)의 대략 2배 정도의 길이(l)로 되는 레일부재(20)와, 출입구를 완전히 열었을 때 상기 문짝부재가 위치하는 지면에만 소정간격으로 설치되어 레일부재의 슬라이딩을 안내하는 롤러부재(30)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문짝부재(10)의 하단에 출입구의 폭(f)의 대략 2배 정도의 길이(l)로 되는 레일부재(20)를 착설하는 것은, 롤러부재(30)가 출입구측에는 설치되지 않고 상기 문짝부재가 열리는 측에만 설치되기 때문에 출입구를 완전히 닫아도 상기 레일부재가 롤러부재로부터 벗어나지 않도록 함으로써 문짝부재는 그 폭의 크기에 구애됨이 없이 롤러부재상에서 원활히 슬라이딩되게 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문짝부재(10)는 출입구를 완전히 닫으면 이 출입구를 가로지르는 레일부재(20)의 전반부(20a)측에만 설치하고 롤러부재(30)에는 상기 레일의 후반부(20b)만 위치하게 하여도 되는데, 이렇게 하면 상기 문짝부재의 하부는 출입구의 지면으로부터 격리되어 있게 되므로 문짝부재의 하중이 레일부재의 전반부에 가해져 눌려지게 되므로 상기 후반부가 들리게 되는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레일부재(20)가 롤러부재(30)에 걸어진 상태에서 슬라이딩되게 하면 후반부(20b)가 들리지 않게 되지만, 그 반면에 전반부(20a)를 눌러주는 문짝부재(10)의 하중은 상기 레일부재의 전·후반부의 사이, 즉, 중간부분(a)에 집중됨에 따라 이 부분에 균열등이 발생할 수도 있기 때문에 문짝부재의 하중을 분산시켜 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서는 출입구의 반대측 지면에 받침롤러(40)를 설치하여 문짝부재(10)를 완전히 닫으면 레일부재(20)의 전반부(20a)의 선단을 받쳐주게 하여도 되는데, 이 경우에는 상기 문짝부재를 완전히 닫아야만 받쳐주게 되는 것이므로 닫는 과정에서 또는 열어주는 과정에서는 전반부(20a)에 가해지는 하중을 분산시켜 주거나 받쳐줄 수 없게 된다.
따라서, 보다 바람직하게는 레일부재(20)의 후반부(20b)까지 문짝부재(10)로 되게 제작하거나 또는 상기 후반부에는 문짝부재의 후단으로부터 보강대(11)를 연결하여 하중을 분산시켜 주는 것이 좋다.
물론, 보강대(11)를 연결하여 하중을 분산시켜 주면, 레일부재(20)의 후반부(20b)까지 문짝부재(10)로 되게 제작하는 경우에 비하여 자재비가 크게 절감되고 전체적인 중량이 감소되는 이점이 있다.
레일부재(20)의 상면에는 문짝부재(10)의 하단과 착설되는 고정편(21)이 연장되고, 저면 중간에는 길이방향으로 격리부(22)가 형성되며, 상부의 내면 양쪽과 이에 대응하는 하부의 내면 양쪽에는 길이방향으로 레일(23)(23')이 돌출되어 있다.
롤러부재(30)는 지면에 고정되는 대판(31)과, 이 대판의 상면 중간에 직립되게 연장된 지주편(32)과, 이 지주편의 상측부 양쪽에 서로 높낮이가 다른 위치에 형성되는 축공(33)(33')과, 이들 축공을 각각 관통하게 결합되는 주축(34)(34')과, 이들 주축의 각 양단에 축착되며 외주면에는 레일(23)(23')이 접지되는 레일홈이 형성된 각각 한쌍의 롤러(35)(35')로 구성된다.
대판(31)은 기초 콘크리트에 매설되는 앵커볼트를 이용하여 지면에 고정설치 하면 되는 것이며, 출입구를 열었을 때 문짝부재(10)가 위치하게 되는 지면의 전·후측에 적정한 간격으로 한쌍의 롤러부재(30)만 설치하면 된다.
서로 격리되게 축착된 롤러(35)(35')들이 레일부재(20)의 내부에 삽입되면, 상측 위치의 롤러(35)는 상기 레일부재의 상측 내면에 근접하게 되어 그 레일홈에 레일(23)이 밀착되고 하측 위치의 롤러(35')는 상기 레일부재의 하부 양측내면에 근접하게 되어 그 레일홈에 레일(23')이 밀착된다.
이렇게 되면 레일부재(20)는 그 상하측 내면이 롤러(35)(35')들에 각각 밀착되어 지지되는 상태가 되기 때문에 슬라이딩 이동시 유동되지 않게 되는 것임은 물론 상기 레일부재의 하부 양측내면이 롤러(35')에 걸어지는 것이므로, 전반부(20a)에만 문짝부재(10)가 부설되어 있어도 레일부재의 후반부(20b)는 들리지 않게 된다.
한편, 상기의 실시예에서는 출입문이 대형 건조물의 출입구에 설치되는 것을 그 예로 설명되어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일반 가정의 대문에 적용하여도 되는 것임은 물론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 실시예에 의한 출입문은, 출입구의 지면을 가로지르게 레일을 설치하지 않고 출입문을 완전히 열었을 때 문짝부재가 위치하는 지면의 전후측에만 한쌍의 롤러부재를 설치하는 것이므로 시공비용 및 시간이 대폭 감소되는 효과가 있다.
특히, 출입구를 가로지르게 레일이 설치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차량의 출입에 장애가 되지 않게 됨은 물론 심한 경우 레일이나 차량의 손상이 초래되던 문제점이 해소되는 특징이 있다.

Claims (3)

  1. 다양한 형태로 제작되는 문짝부재와;
    상기 문짝부재의 하단에 착설되며, 출입구의 폭의 대략 2배 정도의 길이로 되는 레일부재와;
    상기 출입구를 완전히 열었을 때 상기 문짝부재가 위치하는 지면의 전후측에 소정간격으로 설치되어 레일부재의 슬라이딩 이동을 안내하는 롤러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입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문짝부재는,
    출입구를 완전히 닫으면 이 출입구를 가로지르게 되는 상기 레일부재의 전반부측에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입문,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부재는,
    하부의 중간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격리부와. 상부의 내면 양쪽과 이에 대응하는 하부의 양측 내면에 길이방향으로 돌출되는 레일을 구비하여 되며;
    상기 롤러부재는,
    지면에 고정되는 대판과, 상기 대판의 상면에 직립되게 연장된 지주편과, 상기 지주편의 상측부 양쪽에 서로 높낮이가 다른 위치에 형성되는 축공들과, 상기 축공들을 각각 관통하게 결합되는 주축들과, 상기 주축들의 각 양단에 축착되며 외주면에는 상기 레일들이 접지되는 레일홈이 형성된 각각 한쌍의 롤러들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입문.
KR20-2004-0023681U 2004-08-19 2004-08-19 출입문 KR20036853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3681U KR200368532Y1 (ko) 2004-08-19 2004-08-19 출입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3681U KR200368532Y1 (ko) 2004-08-19 2004-08-19 출입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68532Y1 true KR200368532Y1 (ko) 2004-11-20

Family

ID=494415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23681U KR200368532Y1 (ko) 2004-08-19 2004-08-19 출입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6853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8626Y1 (ko) 2011-02-10 2013-09-10 박억진 출입문 개폐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8626Y1 (ko) 2011-02-10 2013-09-10 박억진 출입문 개폐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60601B1 (en) Wind-resistant coiling door
US10876339B2 (en) Overhead garage door system with sealing feature
US20050262771A1 (en) Window and door sub-sill and frame adapter and method of attaching a sill
CA2393990A1 (en) A window with multi-way for opening
EP3596295B1 (de) Bodenschwellensystem für einen verschiebbaren flügel als schiebeflügel oder verschiebbaren hebe-schiebeflügel eines fensters oder einer tür
KR100829964B1 (ko) 슬라이딩 스윙 도어의 처짐 방지구조
KR20070058026A (ko) 실내 갇힘 방지용 도어 구조체 및 그것을 위한 도어개조부재
SK285079B6 (sk) Prestaviteľná stena
KR200368532Y1 (ko) 출입문
US6260305B1 (en) Gasket system for a horizontal door
KR101133264B1 (ko) 이탈방지용 샷시문
EP2476814B1 (de) Dachbodentreppe
EP1375805A2 (en) Acces door for sectional gates, with interchangeable sections
KR100828091B1 (ko) 슬라이딩 도어의 상부 지지체 결합구조
KR102409996B1 (ko) 알루미늄 샤시 구조의 슬라이딩 창호 시스템의 단열 구조
KR200440584Y1 (ko) 승,하강식 도어용 도어패널 및 가이드레일의 보강구조
EP2868849B1 (de) Schiebeelementen-Anordnung
DE202007006736U1 (de) Aufnahmevorrichtung zur Aufnahme einer Bedeckungseinrichtung
JP3184955B2 (ja) 袖部付き引戸
KR20170003977U (ko) 폴딩도어의 롤러식 힌지장치
EP3608485B1 (de) Bewegungsaufnahmeprofil
KR20180130762A (ko) 자성체를 이용하여 고정하는 문 구조
KR200163589Y1 (ko) 미닫이창의다중차단구조
JPS6023418Y2 (ja) 開口部の気密型アルミニウムサツシ障子
KR200294540Y1 (ko) 도어 폐쇄용 푸싱부재가 구비된 폴딩 도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1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3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