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5051Y1 - 차량용 공조품의 전력 계전기 취부구조 - Google Patents

차량용 공조품의 전력 계전기 취부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5051Y1
KR200225051Y1 KR2019980015422U KR19980015422U KR200225051Y1 KR 200225051 Y1 KR200225051 Y1 KR 200225051Y1 KR 2019980015422 U KR2019980015422 U KR 2019980015422U KR 19980015422 U KR19980015422 U KR 19980015422U KR 200225051 Y1 KR200225051 Y1 KR 20022505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relay
air conditioner
mounting structure
vehicle
moun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1542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04836U (ko
Inventor
박정길
Original Assignee
황한규
만도공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한규, 만도공조주식회사 filed Critical 황한규
Priority to KR201998001542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5051Y1/ko
Publication of KR2000000483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483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505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5051Y1/ko

Links

Landscapes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차량용 공조품의 전력 계전기 취부구조를 개시한다.
종래에는 전력 계전기를 공조품에 취부시 별도의 브라켓과 스크류를 사용하여 취부하였는 바, 작업공수가 많이 소요되고, 별도의 부품이 필요하므로 제품의 단가가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에서는 차량의 공조에 사용되는 히터 등과 같은 공조품에 전원을 공급 및 차단하는 전력 계전기를 취부함에 있어서, 상기 공조품 케이스(11)일측에 전력 계전기(12)의 일측이 끼워지는 삽입구멍(13a)을 갖는 장착부(13)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장착부(13)의 양측면 하부에는 상기 전력 계전기(12)의 걸림구멍(12a)에 체결되는 걸림돌기(14)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작업 공수 및 제품의 단가를 절감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차량용 공조품의 전력 계전기 취부구조
본 고안은 차량용 공조품(空造品)의 전력 계전기(power relay) 취부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차량의 공조(空造)에 사용되는 히터(heater)등과 같은 차량의 공조품(空造品)에 취부되는 전력 계전기(power relay) 취부구조에 관한 것이다.
전력 계전기(power relay)는 차량의 공조에 사용되는 히터(heater)등과 같은 차량의 공조품(空造品)에 취부되어 전원을 공급 및 차단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전력 계전기를 공조품의 케이스에 취부시킴에 있어서, 종래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같이 별도로 제작된 브라켓(5)을 공조품의 케이스(1)에 돌출형성된 고정부(1a)에 스크류(7)로 고정하고, 이 브라켓(5)의 일단에 형성된 결합편(6)을 전력 계전기(2)에 형성된 결합부(3)에 삽입하여 전력 계전기(2)를 공조품의 케이스(1)에 취부하였다.
그러나 이와같이 구성된 종래의 전력 계전기 취부구조는, 전력 계전기(2)를 공조품의 케이스(1)에 별도의 브라켓(5)을 이용하여 취부하여야 하므로, 작업 공수가 많이 소요될 뿐만아니라, 별도의 부품(브라켓, 스크류)이 필요하므로 작업 능률이 저하되고 제품의 제조단가가 상승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공조품의 케이스에 전력 계전기를 용이하게 취부할 수 있도록 한 차량용 공조품의 전력 계전기 취부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차량의 공조에 사용되는 히터 등과 같은 차량용 공조품에 전력 계전기를 설치함에 있어서,
상기 공조품의 케이스 일측에 전력 계전기의 일측이 끼워지는 삽입구멍을 갖는 장착부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장착부의 양측면 하부에는 상기 전력 계전기의 걸림구멍에 체결되는 걸림돌기가 형성된 차량용 공조품의 전력 계전기 취부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특징이 있다.
이에 따라 본 고안은, 공조품에 전력 계전기를 취부함에 있어서 별도의 부품을 사용하지 않으므로 작업공수가 감소되어 작업능률이 현저히 향상되고 제품의 단가를 절감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전력 계전기 취부구조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전력 계전기 취부구조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 3은 도 2의 결합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공조품의 케이스 12 : 전력 계전기(power relay)
12a : 걸림구멍 13 : 장착부
13a : 삽입구멍 14 : 걸림돌기
C : 전원 콘센트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공조품의 전력 계전기 취부구조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전력 계전기 취부구조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결합 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3 에 도시된 바와같이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공조품의 전력 계전기 취부구조는, 공조품 케이스(11)의 일측에 전력 계전기(12)의 일측이 끼워지는 삽입구멍(13a)을 갖는 장착부(13)가 돌출 형성되고, 이 장착부(13)의 양측면 하부에는 전력 계전기(12)에 형성된 걸림구멍(12a)에 끼워지는 걸림돌기(14)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전력 계전기 취부구조를 통해 전력 계전기를 공조품 케이스에 취부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공조품 케이스(11)의 일측에 돌출형성된 장착부(13)의 삽입구멍(13a)에 전력 계전기(12)의 일측을 위에서 아래를 향하여 삽입하게 되면, 전력 계전기(12)의 일측이 장착부(13)의 삽입구멍(13a)을 통해 삽입되면서 전력 계전기(12)에 형성된 걸림구멍(12a)에 장착부(13)의 하부 양측면에 돌출형성된 걸림돌기(14)가 끼워지게 됨에따라 전력 계전기(12)가 공조품 케이스(11)의 장착부(13)에 견고하게 취부되게 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공조품 케이스(11)의 장착부(13)에 전력 계전기(12)가 끼워진 상태에서 전력 계전기(12)에 전원 콘센트(C)가 연결되어 전원을 인가 하게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 차량용 공조품의 전력 계전기 취부구조에 의하면, 전력 계전기를 공조품 케이스에 형성된 장착부에 삽입하는 간단한 과정에 의하여 전력 계전기가 공조품의 케이스에 견고하게 취부되도록 되어 있으므로, 종래와 같이 별도의 부품 즉, 브라켓과 스크류를 사용하여 전력 계전기를 취부하던 방식에 비하여 작업이 간단하여 작업능률이 현저히 향상 되고, 제품의 단가를 절감할수 있게 된다.

Claims (1)

  1. 차량의 공조에 사용되는 히터 등과 같은 차량용 공조품에 전력 계전기를 설치함에 있어서,
    상기 공조품 케이스(11)일측에 전력 계전기(12)의 일측이 끼워지는 삽입구멍(13a)을 갖는 장착부(13)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장착부(13)의 양측면 하부에는 상기 전력 계전기(12)의 걸림구멍(12a)에 체결되는 걸림돌기(14)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품의 전력 계전기 취부구조.
KR2019980015422U 1998-08-17 1998-08-17 차량용 공조품의 전력 계전기 취부구조 KR20022505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5422U KR200225051Y1 (ko) 1998-08-17 1998-08-17 차량용 공조품의 전력 계전기 취부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5422U KR200225051Y1 (ko) 1998-08-17 1998-08-17 차량용 공조품의 전력 계전기 취부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4836U KR20000004836U (ko) 2000-03-15
KR200225051Y1 true KR200225051Y1 (ko) 2001-06-01

Family

ID=695162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15422U KR200225051Y1 (ko) 1998-08-17 1998-08-17 차량용 공조품의 전력 계전기 취부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5051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4836U (ko) 2000-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61446B2 (en) Light assembly for a vehicle
CA2142404C (en) Connector attachment component
CA2129605C (en) Conductive connector apparatus
KR200225051Y1 (ko) 차량용 공조품의 전력 계전기 취부구조
JP2002240651A (ja) ドアハーネスの配索構造
JP2001180268A (ja) 電装品付サンバイザの車体取付用ブラケット
KR20020085721A (ko) 자동차 윈도우의 열선 컨넥터 구조
KR100686414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200158342Y1 (ko) 와이어링 고정용 클립
CN210139927U (zh) 一种电动车部件无螺丝安装结构
JP4302656B2 (ja) 電気接続箱及びその製造方法
JPH09318133A (ja) 天井埋め込み型換気扇およびその取付方法
KR200147194Y1 (ko) 자동차의 릴레이 장착용 홀더
KR0129063Y1 (ko) 스마트 카드 케이스의 장착구조
KR19980012565U (ko) 버스용 에어컨 덕트의 취부구조
KR0127658Y1 (ko) 공기조화기의 코넥터장치
KR0120857Y1 (ko) Vcr의 접지구조
KR100247187B1 (ko) 스피커 고정장치
JPH019072Y2 (ko)
JPS6328124Y2 (ko)
KR19990025178U (ko) 선바이저의 장착구조
KR950006712Y1 (ko) 헤어드라이의 블로워 모터 장착구조
KR100193170B1 (ko) 헤드램프 스페이서의 취부구조
JPH0113299Y2 (ko)
KR0131995Y1 (ko) 반도체 제조설비의 냉각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123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