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4906Y1 - 유아용 미술교재 - Google Patents

유아용 미술교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4906Y1
KR200224906Y1 KR2020000031827U KR20000031827U KR200224906Y1 KR 200224906 Y1 KR200224906 Y1 KR 200224906Y1 KR 2020000031827 U KR2020000031827 U KR 2020000031827U KR 20000031827 U KR20000031827 U KR 20000031827U KR 200224906 Y1 KR200224906 Y1 KR 20022490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cture
children
art
paper
backgr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3182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원구
Original Assignee
이원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원구 filed Critical 이원구
Priority to KR202000003182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490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490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4906Y1/ko

Links

Landscapes

  • Toy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유아용 미술교재에 관한 것으로, 특히 유아들의 창의력을 향상시키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는 유아용 미술교재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고안은, 바탕그림이 도안되어 있으며 양쪽으로 각각 형성된 바탕그림지와, 상기 바탕그림지의 가운데에 삽입되어 있어 상기 양쪽 바탕그림지 중 어느쪽의 바탕그림지와도 결합할 수 있도록 공통그림이 도안되어 있으며 투명 또는 불투명한 공통그림지로 구성되는 유아용 미술교재를 제공한다.
본 고안의 유아용 미술교재는 유아들이 무엇인가를 연상하도록 유도함으로써 유아의 생각의 폭을 넓히는데 도움을 줄 수 있으며, 연상된 것을 시각적 또는 언어적으로 표현하도록 유도함으로써 유아의 창의력을 개발할 수 있는 경험을 제공하게 된다.

Description

유아용 미술교재{ART EDUCATIONAL BOOK FOR CHILD}
본 고안은 유아용 미술교재에 관한 것으로, 특히 유아들의 창의력을 향상시키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는 유아용 미술교재에 관한 것이다.
어린이에게 그림은, 자신을 드러내고 대화하기 시작하는 중요한 수단이다. 어린이는 자기가 본 것, 느낀 것을 가식없이 솔직하게 표현할 뿐 기교에 신경쓰거나 다른 사람에게 잘 보이려고 꾸미지도 않는다. 어린이는 어린이 나름대로 사물을 보고 독창적으로 표현할 뿐이다.
무조건 어른의 입장에서 일방적으로 정해놓은 몇 가지 기준, 예를 들면 화면에 꽉 차게 색칠을 해야 한다는 식의 기준으로 어린이의 그림을 평가하고, 장기적으로는 누구나 원근법에 충실한 그림을 그릴 것을 목표로 삼는 등의 경직된 미술 교육으로 인하여 많은 어린이들이 더 이상 자신의 방식대로 그리지 않거나 그림에 점점 흥미를 잃어가고 있다.
현재 유아들이 접할 수 있는 미술교재는 유아들이 여백에 그림을 그릴 수 있는 백지의 스케치북이나, 유아들이 색을 칠할 수 있도록 이미 밑그림이 그려져 있는 색칠공부 등이 전부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미술교재는 유아들의 흥미를 유발시키기 어렵고, 유아들의 창의력, 상상력 등을 향상시키기에는 부족하여 유아들의 창의력 및 상상력 등을 향상시키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는 미술교재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본 고안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유아용 미술교재를 유아들에게 제공하고, 본 고안의 미술교재를 유아들이 이용하도록 함으로써 유아의 창의력 및 상상력이 풍부해지도록 지원하는 미술교재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 예는, 바탕그림이 도안되어 있으며 양쪽으로 각각 형성된 바탕그림지와, 상기 바탕그림지의 가운데에 삽입되어 있어 상기 양쪽 바탕그림지 중 어느쪽의 바탕그림지와도 결합할 수 있도록 공통그림이 도안되어 있으며 투명 또는 불투명한 공통그림지로 구성되는 유아용 미술교재를 제공한다.
특히, 상기 양쪽 바탕그림지와 공통그림지는 하나의 세트를 이루며 상기 유아용 미술교재에는 상기 세트가 둘 이상 포함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유아용 미술교재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유아용 미술교재의 바탕그림지와 공통그림지에 도안되는 바탕그림과 공통그림의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고안의 유아용 미술교재의 바탕그림과 공통그림이 도안된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도 3의 바탕그림과 공통그림이 결합된 상태의 도면
도 5 내지 도 6은 도 3의 바탕그림과 공통그림이 결합된 그림을 보고 유아들이 연상되는 것을 그린 도면
〈도면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12, 20, 22 : 바탕그림지
30, 32 : 공통그림지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의 이해를 돕기 위해 유아가 표현하는 그림의 단계를 살펴보기로 한다.
처음 유아들은 손놀림이 어느 정도 정교해지면 볼펜 같은 것을 쥐고 방바닥에 마구 그을 때부터 아이들의 미술활동이 시작된다고 볼 수 있다. 물론, 처음에는 무엇인가를 표현하고자 하는 의도가 결여된, 단순히 근육 운동으로 야기된 흔적일 뿐이다.
근육 운동에서 시작된 낙서는 점차 단순하지만 서로 구별되는 몇 가지의 선 또는 형으로 분화되기 시작한다. 이리저리 팔을 휘둘러 마구 선을 만들어 내던 아이가 점점 자신의 손의 움직임을 조절하여 선의 형태를 다르게 그릴 수 있다는 것 을 알게 되는 것이다.
좀 더 나아가서 두뇌가 발달하고, 생각의 범위가 넓어짐에 따라 미완성의 그림을 보고 무엇인가를 유추(연상)할 수 있는 능력을 갖게 된다. 이때에 생각의 범위 및 연상 능력을 좀더 향상시키고 그에 따른 창의력을 발달시키는 데 도움을 주기 위한 것이 본 고안의 유아용 미술교재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유아용 미술교재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유아용 미술교재는 양 쪽의 바탕그림지(10, 20)와 상기 바탕그림지(10, 20) 가운데에 삽입되어 있는 공통그림지(30)로 구성된다.
상기 공통그림지(30)는, 공통그림지(30)에 도안되어 있는 공통그림이 바탕그림지(10, 20)의 바탕그림 어느 쪽과도 결합이 가능하도록 투명 또는 반투명한 재질이며, 상기 바탕그림지(10, 20)는 그 재질에 제한을 두지 않는다.상기 바탕그림지와 공통그림지의 일측에는 다수개의 체결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체결공에 체결 스프링이 끼워짐으로써 상기 바탕그림지와 공통그림지가 연결된다. 즉, 상기 유아용 미술교재는 스케치북과 유사한 형태일 수 있다.
상기 바탕그림지(10, 20)와 공통그림지(30)에 도안되는 그림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몇 가지의 기본 도형과 기본 도형에서 약간 변형된 형태의 도형과, 직선을 기본으로 하되, 기호, 숫자, 문자 등을 포함한다. 특히, 상기 공통그림지(30)에 도안되는 그림은 기하학적인 모양일 수 있다.
상기 공통그림지(30)에 도안되는 공통그림은 양쪽(좌, 우) 바탕그림지(10, 20)와 결합이 가능한 그림이어야 하며, 상기 공통그림지(30)에 도안되는 공통그림과 상기 바탕그림지(10, 20)에 도안되는 그림이 결합되었을 때, 유아들이 상기 결합된 그림을 보고 무엇인가를 연상할 수 있도록 도안되어야 한다.
도 3의 바탕그림지(12, 22)의 바탕그림 및 공통그림지(32)의 공통그림을 살 펴보면, 바탕그림은 삼각형 그림(좌)과, 직선 그림(우)이며, 공통그림은 두 개의 사각형이 나열된 그림이다.
상기 도 3에 도시된 바탕그림(좌)과 공통그림지(32)의 공통그림을 결합시키면, 첨부 도면 도 4a에 도시된 것과 같은 그림이 형성되며, 도 3에 도시된 바탕그림(우)과 공통그림지(32)의 공통그림을 결합시키면, 첨부 도면 도 4b에 도시된 그림이 형성된다.
상기 바탕그림지(12, 22)와 공통그림지(32)는 한 세트를 이루되, 하나의 미술교재에는 둘 이상의 세트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둘 이상의 세트가 포함될 때에는 전(前) 세트의 바탕그림지(12, 22)에 도안되었던 바탕그림의 어느 하나가 후(後) 세트 공통그림지(32)의 공통그림으로 도안되도록 미술교재를 제작할 수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하나의 형태(기본 도형)가 갖는 다양한 의미의 다양성을 확대시킬 수 있고, 교재 전체가 형태적인 고리로 연결되도록 한다.
바탕그림과 공통그림이 결합된 도 4)는 유아들에게 무엇인가를 연상하게 한다. 이때 아이들에게 연상되는 것을 말로써 표현하도록 유도하거나, 그림으로써 표현하도록 유도한다. 그림으로써 표현하도록 할 때는 상기 바탕그림과 공통그림이 결합된 그림이 도안된 것을 유아에게 주어, 바탕그림과 공통그림을 포함하는 그림을 그려보도록 제안할 수도 있다.
도 5 및 도 6은 유아들에게 상기 도 4a)와 도 4b)를 보고 연상한 것을 그리도록 하여 유아들이 그린 몇 가지 예시도이다.
도 4a) 그림을 본 다수의 유아들 중 어떤 아이는 도 5a)와 같이 사람을 그리고, 어떤 아이는 도 5b)와 같은 성을 그린 것을 볼 수 있다. 참고적으로, 상기 도 5a) 및 도 5b)의 그림을 그린 유아의 나이는 8세이다.
또한, 도 4b) 그림을 본 다수의 유아들 중 어떤 아이는 도 6a)와 같이 자동차가 경주하는 것을 그리고, 어떤 아이는 도 6b)와 같은 코끼리를 그린 것을 볼 수 있다. 참고적으로, 상기 도 6a) 및 도 6b)의 그림을 그린 유아의 나이는 7세와 8세이다.
도 5 및 도 6을 통해 알 수 있듯이, 하나의 그림을 보고 유아들은 어른들이 연상할 수 없는 다양한 것들을 연상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상의 본 고안은 상기에 기술된 실시예들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당업자들에 의해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을 가져올 수 있으며, 이는 첨부된 청구항에서 정의되는 본 고안의 취지와 범위에 포함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본 고안의 미술교재를 유아들에게 보여주고 유아들이 무엇인가를 연상하도록 유도함으로써 유아의 생각의 폭을 넓히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으며, 연상된 것을 시각적 또는 언어적으로 표현하도록 유도함으로써 유아가 생각한 것을 표현할 수 있는 경험을 제공하게 된다.

Claims (3)

  1. 바탕그림이 도안되어 있으며 양쪽으로 각각 형성된 바탕그림지와, 상기 바탕그림지의 가운데에 삽입되어 있어 상기 양쪽 바탕그림지 중 어느쪽의 바탕그림지와도 결합할 수 있도록 공통그림이 도안되어 있으며 투명 또는 불투명한 공통그림지로 구성되는 유아용 미술교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양쪽 바탕그림지와 공통그림지는 하나의 세트를 이루되, 상기 세트가 둘 이상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미술교재.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바탕그림지와 공통그림지의 일측에 형성된 다수개의 체결공에 체결 스프링이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미술교재.
KR2020000031827U 2000-11-14 2000-11-14 유아용 미술교재 KR20022490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1827U KR200224906Y1 (ko) 2000-11-14 2000-11-14 유아용 미술교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1827U KR200224906Y1 (ko) 2000-11-14 2000-11-14 유아용 미술교재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67228A Division KR100330873B1 (ko) 2000-11-13 2000-11-13 유아용 미술교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24906Y1 true KR200224906Y1 (ko) 2001-05-15

Family

ID=730914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31827U KR200224906Y1 (ko) 2000-11-14 2000-11-14 유아용 미술교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490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70635A (ko) * 2021-11-15 2023-05-23 김영식 네모게임용 미술 연습교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70635A (ko) * 2021-11-15 2023-05-23 김영식 네모게임용 미술 연습교구
KR102563762B1 (ko) 2021-11-15 2023-08-07 김영식 네모게임용 미술 연습교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30873B1 (ko) 유아용 미술교재
KR200224906Y1 (ko) 유아용 미술교재
KR20170003111U (ko) 학습용 주사위
KR101510786B1 (ko) 캐릭터 종이 의상
KR101529815B1 (ko) 페이퍼 토이 북
KR20210091577A (ko) 역할놀이용 학습교구
Crosser When children draw
CN215505483U (zh) 一种趣味拼装玩具教具
Adu et al. Exploring childrens communication through art in the early years: The role of the teacher
Hoffman Creating learning environments in child care centers for young children with a visual impairment
KR100825375B1 (ko) 스케치북
KR20080044949A (ko) 학습용 완구
CN220543467U (zh) 一种积木式知识卡片
JP3118313U (ja) 教材双六ゲーム
JP6179753B2 (ja) 音楽知育玩具
TWM655988U (zh) 呼吸視覺動物教具
KR100782165B1 (ko) 쿠키상자
KR950006101Y1 (ko) 종이접기용 종이
Itczak Child development and artistic development in art therapy
Kárpáti et al. The Test for Creative Thinking: An authentic tool for art education to assess creativity through visual expression
KR20090009394U (ko) 유아용 학습교재
RU3557U1 (ru) Дидактическая игра
Salihodžic et al. LightSight: A Dice to Meet the Eyes
Klim-Klimaszewska The effect of fairy tales on the development of preschool children's imagination
Safarova et al. RECCOMENDATIONS FOR DEVELOPING OF CHILDRE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202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