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3531Y1 - 타이어의 자동 출하장치 - Google Patents

타이어의 자동 출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3531Y1
KR200223531Y1 KR2020000034900U KR20000034900U KR200223531Y1 KR 200223531 Y1 KR200223531 Y1 KR 200223531Y1 KR 2020000034900 U KR2020000034900 U KR 2020000034900U KR 20000034900 U KR20000034900 U KR 20000034900U KR 200223531 Y1 KR200223531 Y1 KR 20022353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veyor
pallet
tire
tires
shipp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3490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장기
이상기
Original Assignee
전장기
이상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장기, 이상기 filed Critical 전장기
Priority to KR202000003490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353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353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3531Y1/ko

Links

Abstract

본 고안은 타이어의 자동 출하장치에 관한 것으로, 복수개의 타이어가 세워진 상태로 2열 및 다단으로 배열된 팔레트를 이동시키기 위한 출고 컨베이어와, 상기 출고 컨베이어로부터 이송된 팔레트의 이동 방향을 선택적으로 조절하기 위한 팔레트 방향 전환 컨베이어와, 상기 방향 전환 컨베이어로 이송된 팔레트를 진행 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후진 이송시키는 작업 컨베이어와, 상기 작업 컨베이어로 이송된 팔레트의 역방향 후진 이동시, 팔레트에 2열 및 다단으로 배열된 타이어 중, 최후방 양측 타이어부터 진행 방향에 대하여 직각 방향으로 각각 단계적으로 취출시키는 타이어 취출수단과, 상기 타이어 취출수단에 의하여 양측으로 각각 취출되는 타이어를 진행 방향으로 각각 이송시키는 출하 컨베이어와, 상기 팔레트 방향 전환 컨베이어로부터 빈 팔레트를 회수하기 위한 팔레트 회수 컨베이어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한 본 고안에 의하면, 보다 적은 작업 인원으로 타이어의 출하 작업을 보다 신속 정확하게 하여, 작업 능률의 향상에 크게 기여하고, 또한 작업자의 인원을 최소로 하면서 타이어 출하 작업을 신속 정확하게 함으로써 인건비를 크게 절감시킨다.

Description

타이어의 자동 출하장치{Apparatus for automatic shipping of tires}
본 고안은 타이어의 자동 출하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보다 적은 작업 인원으로 타이어의 출하 작업을 보다 신속 정확하게 하여, 작업 능률의 향상에 크게 기여함과 아울러 인건비를 크게 절감시킬 수 있게 한 타이어의 자동 출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타이어 제조 시스템에는 제작이 완료된 타이어를 출하시키기 위한 출하장치가 설치되어 있는 바, 타이어 출하를 보다 간편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자동 출하장치를 적용하고 있다.
종래 기술에 의한 타이어 자동 출하장치의 전형적인 실시 형태를 설명하면,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타이어 출고 기지로부터 복수개의 타이어(t)가 횡방향으로 다단으로 적재된 팔레트(1)를 이동시키기 위한 출고 컨베이어(2)와, 상기 출고 컨베이어(2)로부터 이송된 팔레트(1)의 이동 방향을 선택적으로 조절하기 위한 팔레트 방향 전환 컨베이어(3)와, 상기 방향 전환 컨베이어(3)로 이송된 팔레트(1)를 90도로 눕히기 위한 틸팅(tilting)수단(4)과, 상기 틸팅수단(4)에 의하여 눕혀진 타이어(t)를 양측으로 각각 이동시키는 타이어 방향 전환 컨베이어(5)와, 상기 방향 전환 컨베이어(5)에 의해 이송된 타이어(t)를 소정의 위치로 이송시키는 1쌍의 타이어 이송 컨베이어(6)(6')와, 상기 타이어 이송 컨베이어(6)(6')에 의하여 이송된 타이어(t)를 소정의 높이로 승하강시키는 받침대(7)(7')를 포함하는 리프팅(lifting)수단(8)과, 상기 리프팅수단(8)에 얹혀진 타이어(t)를 순차적으로 픽업하여 이송시키는 픽업 아암(pick up arm)(9)(9')을 각각 구비한 픽업수단(10)(10')과, 상기 픽업수단(10)(10')에 의하여 이송된 타이어(t)를 소정의 위치로 이송시키는 출하 컨베이어(11)(11')와, 상기 팔레트 방향 전환 컨베이어(3)로부터 빈 팔레트(1)를 회수하기 위한 팔레트 회수 컨베이어(12)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틸팅수단(4)은 유압 또는 공압으로 작동되는 실린더(13)와, 상기 탈레트 방향 전환 컨베이어(3)의 일측연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회전축(14)과, 상기 회전축(14)에 일체로 고정됨과 아울러 상기 실린더(13)와 연결되는 레버(15)와, 상기 회전축(14)의 양측에 직각을 이루며 고정되는 수평 받침부재(16) 및 수직 받침부재(17)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팔레트 방향 전환 컨베이어(3)에는 팔레트(1)의 방향을 전환하기 위하여 복수개의 방향 전환 롤러가 직각을 이루며 배치되어 있고, 상기 타이어 방향 전환 컨베이어(5)에도 타이어(t)의 방향을 전환시킴과 아울러 팔레트(1)를 후진시키기 위하여 복수개의 방향 전환 롤러가 직각을 이루며 배치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 의한 타이어의 자동 출하장치에 의하면, 타이어 출고 기지로부터 복수개의 타이어(t)가 횡방향으로 다단으로 적재된 팔레트(1)가 출고 컨베이어(2)를 타고 이송하여, 방향 전환 컨베이어(3)에서 정지하게 된다. 도 3a는 타이어(t)의 적재 상태를 보인 것으로, 도면에서는 팔레트(1)의 도시는 생략하였다.
이 때, 팔레트(1)는 선단부가 수직 받침부재(17)에 의하여 지지되는 동시에, 수평 받침부재(16)의 상측에 얹혀진 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틸팅수단(4)을 구동하게 되면, 실린더(13)의 구동으로 레버(15)를 잡아당기게 되며, 따라서 회전축(14)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팔레트(1)를 회전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회전축(14)의 회전에 따른 수직 받침부재(17) 및 수평 받침부재(16)의 회전 동작에 의하여 팔레트(1)가 타이어 방향 전환 컨베이어(5)의 상면에 90도로 눕혀지게 되고(도 3b 참조), 상기 타이어 방향 전환 컨베이어(5)의 구동으로 팔레트(1)의 타이어(t)가 양측으로 타이어 이송 컨베이어(6)(6')로 각각 이송하게 된다. 도 2는 타이어 이송 컨베이어(6)(6')에 타이어(t)가 각각 이동된 상태를 보인 측면도이며, 도 3c는 일측의 타이어 이송 컨베이어(6)로 이송된 타이어(t)의 적재 상태를 보인 것이다.
이 때, 상기 타이어 방향 전환 컨베이어(5)에 얹혀진 팔레트(1)에는 타이어(t)가 모두 양측으로 타이어 이송 컨베이어(6)(6')를 향해 이동된 상태이므로 빈 팔레트(1)가 되며, 역으로 실린더(13)가 구동하여, 팔레트(1)를 팔레트 방향 전환 컨베이어(3)로 이송시키고, 그 방향 전환 컨베이어(3)에 수직 방향으로 배열된 롤러의 회전 동작으로 팔레트 회수 컨베이어(12)로 배출시키게 된다.
한편, 타이어 이송 컨베이어(6)(6')에 각각 이송된 타이어(t)는 롤러의 구동으로 최선단에 배열된 타이어(t)가 리프팅수단(8)의 받침대(7)(7')로 이송되며(도 3d 참조), 이와 같이, 리프팅수단(8)의 받침대(7)(7')에 얹혀진 타이어(t)는 픽업수단(10)(10')의 픽업 아암(9)(9')에 의하여 1개씩 픽업되어 각각의 출하 컨베이어(11)(11')를 타고 이송하게 된다.(도 3e 참조)
이 때, 받침대(7)(7')는 최상단의 타이어(t)가 픽업 아암(9)(9')의 높이와 균형을 이루어야 하므로, 실린더 등의 통상적인 작용에 의하여 소정의 높이로 상승하게 된다.
이 후, 받침대(7)(7')에 올려진 타이어(t)의 이송 동작이 완료되면, 다시 하강하여 초기 위치로 이송하게 되며, 타이어 이송 컨베이어(6)(6')의 구동으로 다음 열의 타이어(t)가 이송하여 받침대(7)(7')에 올려지고 앞에서 설명한 동일한 작용으로 타이어(t)를 출하 컨베이어(11)(11')로 이송시키는 작업을 반복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 의한 타이어의 자동 출하장치에 있어서는, 타이어 방향 전환 컨베이어(5)로부터 타이어(t)를 양측의 타이어 이송 컨베이어(6)(6')로 각각 이송시킨 후, 다시 그 타이어 이송 컨베이어(6)(6')를 타고 직선 이동시켜 하는 등, 타이어(t)의 이동시 타이어(t)가 쉽게 흔들려 타이어(t)가 제위치에서 벗어나는 현상이 빈번하게 발생하였으며, 심할 경우에는 적재된 타이어(t)가 쓰러져 다시 작업자들이 수작업으로 타이어(t)를 들어올려야 하는 결정적인 단점이 있는 것이었다.
따라서, 작업자들이 항시 타이어(t)의 출하 동작을 감시하고, 상황에 따라 타이어(t)의 위치를 바로 잡아주어야 하는 등, 여러 명의 작업자를 항상 주변에 배치하여야 함으로써 인건비 상승 요인으로 작용하는 또 다른 단점이 있었다.
또한, 통상적인 타이어 출하 시스템은 두께 및 지름이 다른 여러 형태의 타이어(t)를 출하시키게 되는 바, 두께 및 지름이 상이한 타이어(t)가 이송될 경우에는 여러 작업자들이 타이어(t)의 위치를 바로 잡아 놓아도 픽업수단(10)(10')의 픽업 아암(9)(9')이 타이어(t)를 정확하게 픽업하지 못하여 역시 타이어(t)가 넘어지는 현상을 배제할 수 없으며, 실제로 타이어(t)의 출하장치에서 이 문제로 인하여 작업성을 현저하게 저하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주 목적은 보다 적은 작업 인원으로 타이어의 출하 작업을 보다 신속 정확하게 하여, 작업 능률의 향상에 크게 기여할 수 있도록 한 타이어의 자동 출하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작업자의 인원을 최소로 하면서 타이어 출하 작업을 신속 정확하게 함으로써 인건비를 크게 절감시킬 수 있도록 한 타이어의 자동 출하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도 1 및 도 2는 종래 기술에 의한 타이어의 자동 출하장치를 보인 것으로,
도 1은 평면도.
도 2는 측면도.
도 3a 내지 도 3e는 종래 기술에 의한 타이어의 자동 출하장치를 따라 이송되는 타이어의 배열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4 및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타이어의 자동 출하장치를 보인 것으로,
도 4는 평면도.
도 5는 측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의한 타이어의 자동 출하장치에 적용되는 팔레트의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에 의한 타이어의 자동 출하장치를 구성하는 타이어 취출수단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8은 본 고안에 의하여 팔레트의 타이어를 취출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9 및 도 10은 본 고안에 의하여 팔레트의 타이어를 취출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 및 평면도.
도 11a 내지 11c는 본 고안에 의한 타이어 자동 출하장치를 구성하는 타이어 받침부재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
도 12는 본 고안에 의한 타이어 자동 출하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팔레트 20 ; 출고 컨베이어
30 ; 팔레트 방향 전환 컨베이어 33 ; 힌지축
34 ; 승하강 실린더 40 ; 작업 컨베이어
50 ; 타이어 취출수단 51 ; 기둥
52 ; 구동모터 53 ; 회전봉
54 ; 취출부재 56 ; 구동 스프로킷
57 ; 종동 스프로킷 58 ; 체인
60,60' ; 출하 컨베이어 70 ; 팔레트 회수 컨베이어
80,80' ; 타이어 가이드 91 ; 실린더
92 ; 타이어 받침부재 110,120,130 ; 취출 안내 컨베이어
상기한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복수개의 타이어가 세워진 상태로 2열 및 다단으로 배열된 팔레트를 이동시키기 위한 출고 컨베이어와, 상기 출고 컨베이어로부터 이송된 팔레트의 이동 방향을 선택적으로 조절하기 위한 팔레트 방향 전환 컨베이어와, 상기 방향 전환 컨베이어로 이송된 팔레트를 진행 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후진 이송시키는 작업 컨베이어와, 상기 작업 컨베이어로 이송된 팔레트의 역방향 후진 이동시, 팔레트에 2열 및 다단으로 배열된 타이어 중, 최후방 양측 타이어부터 진행 방향에 대하여 직각 방향으로 각각 단계적으로 취출시키는 타이어 취출수단과, 상기 타이어 취출수단에 의하여 양측으로 각각 취출되는 타이어를 진행 방향으로 각각 이송시키는 출하 컨베이어와, 상기 팔레트 방향 전환 컨베이어로부터 빈 팔레트를 회수하기 위한 팔레트 회수 컨베이어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의 자동 출하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타이어 취출수단은 소정의 높이로 세워지는 기둥과, 상기 기둥에 팔레트의 타이어의 적재단수와 동일한 개수로 각각 설치되는 복수개의 구동모터와, 상기 기둥에 타이어의 각단 높이로 각각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타이어의 사이에 각각 형성된 공간으로 연장되는 회전봉과, 상기 구동모터의 동력을 회전봉으로 전달하기 위한 동력전달수단과, 상기 회전봉의 단부에 각각 고정되어, 회전 동작으로 타이어를 옆으로 밀어내는 복수개의 취출부재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동력전달수단은 구동모터의 회전축에 고정되는 구동 스프로킷, 상기 회전봉의 단부에 고정되는 종동 스프로킷과, 상기 구동 스프로킷과 종동 스프로킷을 연결하는 체인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팔레트 방향 전환 컨베이어의 선단부를 힌지축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하고, 그 후방측에는 승하강 실린더를 연결 설치하여, 상기 팔레트 방향 전환 컨베이어를 소정의 경사각으로 기울어지도록 하고, 상기 작업 컨베이어도 상기 팔레트 방향 전환 컨베이어와 동일한 경사각으로 경사지도록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출하 컨베이어의 외측면에 타이어가 취출 동작에 의하여 외측으로 튀어 이탈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별도의 타이어 가이드를 설치하고, 상기 팔레트 방향 전환 컨베이어와, 출하 컨베이어의 사이에 실린더를 각각 설치하며, 상기 실린더의 선단부에 실린더의 타이어 받침부재를 설치하여, 실린더의 구동으로 타이어 받침부재가 전,후 방향으로 직선 왕복 이동되면서 타이어의 낙하 위치를 일정하게 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적은 작업 인원으로 타이어의 출하 작업을 보다 신속 정확하게 하여, 작업 능률의 향상에 크게 기여하고, 또한 작업자의 인원을 최소로 하면서 타이어 출하 작업을 신속 정확하게 하여 인건비 절감에 기여하는 이점이 있다.
이하, 본 고안에 의한 타이어의 자동 출하장치를 첨부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에 따라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 및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타이어의 자동 출하장치를 보인 평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타이어의 자동 출하장치는, 타이어 출고 기지로부터 복수개의 타이어(t)가 횡방향으로 다단으로 적재된 팔레트(1)를 이동시키기 위한 출고 컨베이어(20)와, 상기 출고 컨베이어(20)로부터 이송된 팔레트(1)의 이동 방향을 선택적으로 조절하기 위한 팔레트 방향 전환 컨베이어(30)와, 상기 방향 전환 컨베이어(30)로 이송된 팔레트(1)를 진행 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후진 이송시키는 작업 컨베이어(40)와, 상기 작업 컨베이어(40)로 이송된 팔레트(1)의 역방향 후진 이동시, 팔레트(1)의 양측으로 배열된 타이어(t)(t') 중, 최후방 양측 타이어(t)(t')부터 진행 방향에 대하여 직각 방향으로 각각 순차적으로 취출시키는 타이어 취출수단(50)과, 상기 타이어 취출수단(50)에 의하여 양측으로 각각 취출되는 타이어(t)(t')를 진행 방향으로 각각 이송시키는 출하 컨베이어(60)(60')와, 상기 팔레트 방향 전환 컨베이어(30)로부터 빈 팔레트(1)를 회수하기 위한 팔레트 회수 컨베이어(70)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팔레트(1)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타이어(t)(t')가 세워진 상태로 2열 및 3단으로 배열되도록 제작되어 있다.
즉, 각 모서리 부위에 기둥(2)이 각각 세워져 있고, 상기 각 기둥(2)의 각 단에는 강도를 보강하기 위하여 횡방향으로 지지봉(3)이 각각 고정되어 있으며, 각 단에는 타이어(t)(t')의 하부 양측을 지지하기 위하여 4개의 받침봉(4)이 각각 길이 방향으로 고정되어 있고, 하부에는 지게차에 의한 운반이 가능하도록 별도의 받침봉(5)이 고정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한 팔레트(1)는 타이어(t)(t')의 사이에 소정의 공간(S)이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타이어(t)(t')의 각 열에는 약 10개 정도의 타이어(t)(t')가 놓이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타이어(t)(t')의 개수는 이에 꼭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펠리트(1)의 크기에 따라서 조절이 가능하다.
상기 출고 컨베이어(20), 작업 컨베이어(40), 출하 컨베이어(60)(60') 및 팔레트 회수 컨베이어(70)는 진행 방향으로 팔레트(1)를 각각 직선 이동시키기 위하여 롤러(21)(41)(61)(61')(71)가 모두 동일한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으며, 상기 팔레트 방향 전환 컨베이어(30)는 팔레트(1)를 진행 방향 및 역방향으로 이송시키기 위한 복수개 롤러(31)와, 빈 팔레트(1)를 직각 방향으로 이송시키기 위한 복수개의 롤러(32)가 직각을 이루며 배열되어 있다.
상기 타이어 취출수단(50)은, 도 5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정의 높이로 세워지는 기둥(51)과, 상기 기둥(51)에 팔레트(1)의 타이어(t)(t')의 적재단수와 동일한 개수로 각각 설치되는 복수개의 구동모터(52)와, 상기 기둥(51)에 타이어(t)(t')의 각단 높이로 각각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타이어(t)(t')의 사이에 각각 형성된 공간(S)으로 연장되는 회전봉(53)과, 상기 구동모터(52)의 동력을 회전봉(53)으로 전달하기 위한 동력전달수단과, 상기 회전봉(53)의 단부에 각각 고정되어, 회전 동작으로 타이어(t)(t')를 옆으로 밀어내는 복수개의 취출부재(54)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구동모터(52)는 기둥(51)에 고정된 받침판(55)에 통상적인 고정수단으로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동력전달수단은 구동모터(52)의 회전축에 고정되는 구동 스프로킷(56)과, 상기 회전봉(53)의 단부에 고정되는 종동 스프로킷(57)과, 상기 구동 스프로킷(56)과 종동 스프로킷(57)을 연결하는 체인(58)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동력전달수단의 구성은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동력을 정확하게 전달하기 위한 구성이라면 변형이 가능하다.
상기 회전봉(53)은 회전 동작을 원활하게 하기 위하여 별도의 베어링(59)으로 지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팔레트 방향 전환 컨베이어(30)는 소정의 경사각을 유지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팔레트 방향 전환 컨베이어(30)로 이송된 팔레트(1)의 각 타이어(t)(t')를 전방측으로 소정의 경사각으로 기울어지도록 하여, 타이어(t)(t')를 전방측으로 정렬시키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하여, 상기 팔레트 방향 전환 컨베이어(30)의 선단부를 힌지축(33)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하고, 그 후방측에는 승하강 실린더(34)를 연결 설치하도록 한다.
상기 팔레트 방향 전환 컨베이어(30)의 경사각은 약 2 ~ 5 도 정도가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작업 컨베이어(40)는 팔레트 방향 전환 컨베이어(30)와 동일한 경사각으로 경사지도록 설치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출하 컨베이어(60)(60')의 외측면에는 타이어(t)(t')가 취출 동작에 의하여 외측으로 튀어 이탈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별도의 타이어 가이드(80)(80')가 소정의 높이로 각각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팔레트 방향 전환 컨베이어(30)와, 출하 컨베이어(60)(60')의 사이에는 각 단의 높이 차이로 인하여 타이어(t)(t')의 낙하 위치가 서로 차이가 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타이어 이동 안내수단(90)(90')이 각각 설치되어 있다.
상기 타이어 이동 안내수단(90)(90')은 상기 팔레트 방향 전환 컨베이어(30)와 출하 컨베이어(60)(60')의 사이에 각각 설치되는 실린더(91)(일측만 도시하였음)와, 상기 실린더(91)의 단부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실린더(91)의 구동으로 전,후 방향으로 직선 왕복 이동되면서 타이어(t)(t')의 낙하 위치를 일정하게 하는 타이어 받침부재(92)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에 의한 타이어 자동 출하장치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팔레트(1)에 통상적인 방법으로 복수개의 타이어(t)(t')를 세운 상태로 2열 및 다단으로 적재한다. 이하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서는 팔레트(1)에 타이어(t)(t')가 3단으로 적재된 경우를 설명하기로 한다. 타이어(t)(t')의 적재단수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꼭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한 팔레트(1)는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출고 컨베이어(20)를 타고 이송되는 바, 다시 팔레트 방향 전환 컨베이어(30) 및 작업 컨베이어(40)를 타고 진행 방향으로 계속 이송된다.
이 때, 상기 팔레트(1)가 팔레트 방향 전환 컨베이어(30)에 도달하게 되면, 하부에 설치된 승하강 실린더(34)의 구동으로 팔레트 방향 전환 컨베이어(30)의 후단부를 약간 들어올려서 방향 전환 컨베이어(30)가 전방측의 힌지축(33)을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되어 전체적으로 소정의 경사각을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팔레트(1)에 적재된 복수개의 타이어(t)(t')는 전방측으로 쏠리게 되는 것이며, 따라서 타이어(t)(t')는 빈 공간이 없이 정렬을 하게 되는 것이다.
이 후, 작업 컨베이어(40)의 구동으로 팔레트(1)가 진행 방향으로 이송하게 되는데, 상기 작업 컨베이어(40)도 팔레트 방향 전환 컨베이어(30)와 동일한 경사각도를 유지하고 있으므로, 팔레트(1)의 각 타이어(t)(t')는 정렬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게 된다.
상기한 팔레트(1)는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으나 센서 등의 통상적인 구성에 의하여 작업 컨베이어(40)의 선단부에 도달하게 되면, 더 이상 이송하지 않고 정지된다.
이 때, 상기 팔레트(1)의 양측 타이어(t)(t')의 사이에는 소정의 공간(S)이 유지되어 있으므로,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타이어 취출수단(50)의 회전봉(53)이 상기 타이어(t)(t')의 사이에 위치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팔레트(1)의 로딩 동작이 완료된 상태에서 최하측의 구동모터(52)가 구동을 하여 회전봉(53)을 소정의 각도로 회전시킴으로써 그 회전봉(53)의 단부에 고정된 취출부재(54)가 소정의 각도 만큼 정방향 및 역방향 회전을 하여 최상단의 가장 후방 양측 타이어(t)(t')를 양측으로 밀어낸다.
이 후, 두 번째 구동모터(52)가 구동을 하여 동일한 방법으로 두 번째단의 양측 타이어(t)(t')를 양측으로 밀어 취출시키며, 소정 시간이 경과 후, 다시 최상측의 구동모터(52)가 구동하여 역시 최하단의 양측 타이어(t)(t')를 양측으로 밀어 취출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최후방측의 6개 타이어(t)(t')를 양측으로 취출시킨 후에는 작업 컨베이어(40)의 롤러(41)가 역방향으로 회전하여 도 10에 도시한 화살표 R방향으로 팔레트(1)를 소정 거리만큼 후진시켜 회전봉(53)의 취출부재(54)에 가장 인접한 위치로 다음의 타이어(t)(t')를 이송시키게 된다.
앞에서 설명한 동일한 방법으로, 팔레트(1)의 타이어(t)(t')를 양측으로 밀어서 모든 타이어(t)(t')를 취출시키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팔레트(1)로부터 양측으로 취출된 타이어(t)(t')는 출하 컨베이어(60)(60')를 타고 이송하게 되는데, 상기 출하 컨베이어(60)(60')에는 별도의 타이어 가이드(80)(80')가 소정의 높이로 각각 설치되어 있으므로, 타이어(t)(t')가 외측으로 튀어 이탈되는 현상을 방지하게 되며, 또한 도 11a 내지 11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취출되는 타이어(t)(t')의 단(段)에 따라서 실린더(91)가 구동하여 타이어 받침부재(92)를 전,후방으로 이동함으로써 타이어(t)(t')의 낙하 높이를 항시 일정하게 할 수 있으며, 따라서 각 단의 높이 차이로 인한 타이어(t)(t')의 낙하 충격을 완화하여 타이어(t)(t')의 이송 동작을 보다 안정하게 할 수 있다.
이와 동시에, 타이어(t)(t')가 취출 동작이 완료되는 시점에서는 팔레트(1)의 후진 동작이 완료되어 팔레트 방향 전환 컨베이어(30)의 상면에 위치하게 되며, 이 후, 진행을 위한 롤러(31)의 구동은 정지되고 직각 방향의 롤러(32)가 회전하여 빈 팔레트(1)를 팔레트 회수 컨베이어(70)로 배출시키게 되는 것이다.
한편, 도 12는 본 고안에 의한 타이어 자동 출하장치를 구성하는 타이어 이동 안내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것으로, 상기 팔레트 방향 전환 컨베이어(30)와 출하 컨베이어(60)(60')의 사이에 팔레트(1)로부터 취출되는 타이어(t)(t')를 상기 출하 컨베이어(60)(60')로 직접 이송시키는 가이드 수단(100)(일측만 도시함)을 각각 설치하여 구성한 것이다.
상기한 가이드 수단(100)은 타이어(t)(t')의 취출 높이에 해당되는 높이로 타이어(t)(t')의 단수만큼 배치되는 취출 안내 컨베이어(110)(120)(130)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취출 안내 컨베이어(110)(120)(130)에는 타이어(t)(t')를 상기 취출 안내 컨베이어(110)(120)(130)로 안내하기 위한 안내 레일(111)(일측만 도시함)이 각각 설치되어 있으며, 아울러 타이어(t)(t')의 구름 이동시 충격을 받고서 눕혀지도록 하는 걸림부(112)(132)(중간 취출 안내 컨베이어(120)의 걸림부는 도시하지 않음)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상기한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별도의 실린더 및 구동수단 없이 팔레트(1)로부터 취출되는 타이어(t)(t')가 안내 레일(111) 및 각각의 취출 안내 컨베이어(110)(120)(130)를 통해 직접 출하 컨베이어(60)(60')로 이송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 때, 상기 취출 안내 컨베이어(110)(120)(130)는 타이어(t)(t')의 이송을 원활하게 하기 위하여 소정의 곡률로 형성하거나 직선 형태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취출 안내 컨베이어(110)(120)(130)의 형상은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에 한정하지 않으며 타이어(t)(t')를 별도의 구동수단 없이 출하 컨베이어(60)(60')로 이송시키는 구조라면 어떠하여도 무방하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한 타이어의 자동 출하장치는 상세한 설명에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본 고안의 청구항 및 그 종속항의 창작적 개념의 정신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이 가해질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타이어의 자동 출하장치는, 복수개의 타이어가 세워진 상태로 2열 및 다단으로 배열된 팔레트를 이동시키기 위한 출고 컨베이어와, 상기 출고 컨베이어로부터 이송된 팔레트의 이동 방향을 선택적으로 조절하기 위한 팔레트 방향 전환 컨베이어와, 상기 방향 전환 컨베이어로 이송된 팔레트를 진행 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후진 이송시키는 작업 컨베이어와, 상기 작업 컨베이어로 이송된 팔레트의 역방향 후진 이동시, 팔레트에 2열 및 다단으로 배열된 타이어 중, 최후방 양측 타이어부터 진행 방향에 대하여 직각 방향으로 각각 단계적으로 취출시키는 타이어 취출수단과, 상기 타이어 취출수단에 의하여 양측으로 각각 취출되는 타이어를 진행 방향으로 각각 이송시키는 출하 컨베이어와, 상기 팔레트 방향 전환 컨베이어로부터 빈 팔레트를 회수하기 위한 팔레트 회수 컨베이어를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보다 적은 작업 인원으로 타이어의 출하 작업을 보다 신속 정확하게 하여, 작업 능률의 향상에 크게 기여하고, 또한 작업자의 인원을 최소로 하면서 타이어 출하 작업을 신속 정확하게 하여 인건비 절감에 기여하는 등의 효과가 있다.

Claims (6)

  1. 복수개의 타이어가 세워진 상태로 2열 및 다단으로 배열된 팔레트를 이동시키기 위한 출고 컨베이어와,
    상기 출고 컨베이어로부터 이송된 팔레트의 이동 방향을 선택적으로 조절하기 위한 팔레트 방향 전환 컨베이어와,
    상기 방향 전환 컨베이어로 이송된 팔레트를 진행 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후진 이송시키는 작업 컨베이어와,
    상기 작업 컨베이어로 이송된 팔레트의 역방향 후진 이동시, 팔레트에 2열 및 다단으로 배열된 타이어 중, 최후방 양측 타이어부터 진행 방향에 대하여 직각 방향으로 각각 단계적으로 취출시키는 타이어 취출수단과,
    상기 타이어 취출수단에 의하여 양측으로 각각 취출되는 타이어를 진행 방향으로 각각 이송시키는 출하 컨베이어와,
    상기 팔레트 방향 전환 컨베이어로부터 빈 팔레트를 회수하기 위한 팔레트 회수 컨베이어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의 자동 출하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타이어 취출수단은 소정의 높이로 세워지는 기둥과, 상기 기둥에 팔레트의 타이어의 적재단수와 동일한 개수로 각각 설치되는 복수개의 구동모터와, 상기 기둥에 타이어의 각단 높이로 각각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타이어의 사이에 각각 형성된 공간으로 연장되는 회전봉과, 상기 구동모터의 동력을 회전봉으로 전달하기 위한 동력전달수단과, 상기 회전봉의 단부에 각각 고정되어, 회전 동작으로 타이어를 옆으로 밀어내는 복수개의 취출부재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의 자동 출하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수단은 구동모터의 회전축에 고정되는 구동 스프로킷과, 상기 회전봉의 단부에 고정되는 종동 스프로킷과, 상기 구동 스프로킷과 종동 스프로킷을 연결하는 체인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의 자동 출하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팔레트 방향 전환 컨베이어의 선단부를 힌지축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하고, 그 후방측에는 승하강 실린더를 연결 설치하여, 상기 팔레트 방향 전환 컨베이어를 소정의 경사각으로 기울어지도록 하고, 상기 작업 컨베이어도 상기 팔레트 방향 전환 컨베이어와 동일한 경사각으로 경사지도록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의 자동 출하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출하 컨베이어의 외측면에 타이어가 취출 동작에 의하여 외측으로 튀어 이탈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별도의 타이어 가이드를 설치하고, 상기 팔레트 방향 전환 컨베이어와, 출하 컨베이어의 사이에 실린더를 각각 설치하며, 상기 실린더의 선단부에 실린더의 타이어 받침부재를 설치하여, 실린더의 구동으로 타이어 받침부재가 전,후 방향으로 직선 왕복 이동되면서 타이어의 낙하 위치를 일정하게 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의 자동 출하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팔레트 방향 전환 컨베이어와 출하 컨베이어의 사이에 상기 타이어의 취출 높이에 해당되는 높이로 타이어의 단수만큼 배치되는 복수개의 취출 안내 컨베이어를 설치하여, 상기 타이어가 취출 안내 컨베이어의 안내를 받으며 출하 컨베이어로 이송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의 자동 출하장치.
KR2020000034900U 2000-12-13 2000-12-13 타이어의 자동 출하장치 KR20022353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4900U KR200223531Y1 (ko) 2000-12-13 2000-12-13 타이어의 자동 출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4900U KR200223531Y1 (ko) 2000-12-13 2000-12-13 타이어의 자동 출하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75987A Division KR20020047525A (ko) 2000-12-13 2000-12-13 타이어의 자동 출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23531Y1 true KR200223531Y1 (ko) 2001-05-15

Family

ID=730613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34900U KR200223531Y1 (ko) 2000-12-13 2000-12-13 타이어의 자동 출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3531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5151B1 (ko) 2012-12-10 2014-02-28 신우코스텍 (주) 휠 자동 저장시스템
CN117326311A (zh) * 2023-11-13 2024-01-02 广州载德自动化智能科技有限公司 横移换向装置、输送线及输送方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5151B1 (ko) 2012-12-10 2014-02-28 신우코스텍 (주) 휠 자동 저장시스템
CN117326311A (zh) * 2023-11-13 2024-01-02 广州载德自动化智能科技有限公司 横移换向装置、输送线及输送方法
CN117326311B (zh) * 2023-11-13 2024-02-23 广州载德自动化智能科技有限公司 横移换向装置、输送线及输送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241396B (zh) 卷材码垛流水线
EP2393736B1 (en) Method and device for collecting different products forming part of an order
US7890206B2 (en) Automated store and relative storage method
EP3947205A1 (en) Storage system
US5064330A (en) Belt-shaped member taking-out and transfer apparatus
JP3924520B2 (ja) 自動倉庫
KR100802573B1 (ko) 블록 정렬장치
KR200223531Y1 (ko) 타이어의 자동 출하장치
US5700126A (en) Spool feeding method and spool feeder
KR20020047525A (ko) 타이어의 자동 출하장치
JP7216991B2 (ja) 物品搬送装置及び物品保管装置
JP4716468B2 (ja) 搬送機構及びこれを備えた自動倉庫
KR101289249B1 (ko) 자동창고
CN114655614A (zh) 自动装卸料设备
JPH06219511A (ja) ピッキング用自動倉庫
CN212739848U (zh) 阵列式重力拆垛装置
JP2002356205A (ja) 自動倉庫及びその移載装置
JP3389759B2 (ja) 物品移載装置
US8876457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tacking railroad ties
CN116332085B (zh) 一种智能仓储堆垛起重机
KR100425879B1 (ko) 스태커 크레인용 파렛트 피킹장치
CN217995610U (zh) 纸箱生产用存储装置
US11981505B2 (en) Storage system
JP7485411B2 (ja) 物品受け渡し手段
CN220055075U (zh) 分拣机器人及仓储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