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3435Y1 - 넌-피브씨(Non-PVC)재질의 2관식 수액백 - Google Patents

넌-피브씨(Non-PVC)재질의 2관식 수액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3435Y1
KR200223435Y1 KR2020000032196U KR20000032196U KR200223435Y1 KR 200223435 Y1 KR200223435 Y1 KR 200223435Y1 KR 2020000032196 U KR2020000032196 U KR 2020000032196U KR 20000032196 U KR20000032196 U KR 20000032196U KR 200223435 Y1 KR200223435 Y1 KR 20022343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sap
port
chemical liquid
liquid inj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3219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상호
최학배
함은경
김동현
신동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중외제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중외제약 filed Critical 주식회사중외제약
Priority to KR202000003219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343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343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3435Y1/ko

Links

Abstract

본 고안은 인체에 무해한 폴리비닐클로라이드(PVC)가 아닌 고분자 재질을 사용하여 환경오염을 줄였으며, 수액 인출포트와 약액 주입포트를 별도로 형성하여 사용자의 편의성과 기능성을 추구한 2관식 수액백에 관한 것이다.
각종 수액을 저장하기 위한 밀폐 내부 공간을 가지는 본체(10)와, 이 본체(10)에 연결된 수액 인출포트(A)로 구성되는 수액백에 있어서, 상기 본체(10)는 수액 인출포트(A)와 별도 구성의 약액 주입포트(B)를 가지며, 수액 인출포트(A) 및 약액 주입포트(B)는, 상기 본체(10)에 열압착방식으로 부착되는 수액 인출관(40) 및 약액 주입관(50)과, 상기 수액 인출관(40) 및 약액 주입관(50)에 강제압착방식으로 부착되는 연결체(42),(52)와, 상기 연결체(42),(52)에 조립되는 고무체(44),(54)와, 상기 고무체(44),(54)의 상부에 장착되는 경질 합성수지재 캡(46),(56)으로 구성되며, 상기 연결체(42),(52)는 상부가 깔주기 형태로 폭이 넓게 형성되고 하부는 수액 인출관(40) 및 약액 주입관(50)의 지름과 대략 같게 형성되어 이룬다.
수액용기본체(10), 수액인출관(40) 및 약액주입관(50), 연결체(42),(52)의 재질로서 PVC가 아닌 고분자 재질을 선택하고 있으므로, PVC 소각시 발생하는 환경호르몬인 다이옥신의 배출을 적극 방지하면서, 본체로 사용되는 다층필름의 두께가 PVC 두께의 1/2이기 때문에 빈 수액백의 폐기 시 부피를 줄일 수 있어 환경오염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수액 인출포트와 약액 주입포트로 분리한 2관식이므로, 한개의 고무체를 사용했을때 같은 장소에 주사바늘과 스파이크를 꽂아 발생하는 오염의 위험성과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일일이 확인해야 하는 불폄함을 줄인 획기적인 고안이며, 각 포트의 상단에 박막의 알루미늄재나 합성수지재 밀봉지를 분리용이토록 점착하여 제조되므로, 사용자의 편리성을 도모하였고, 밀폐성 고무체 (44)를 사용하여 스파이크와의 밀착성을 극대화하여 누액방지에 효과가 크며, 스파이크 삽입용이성을 추구하였으며, 다양한 규격의 스파이크와 호환성이 높은 등의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넌-피브씨(Non-PVC)재질의 2관식 수액백{Non-PVC Multilayer Film Bag of I.V. Soiution with Two Ports}
본 고안은 2관식 수액백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인체에 무해하면서 환경오염을 최소화할 수 있는 고분자 재질을 사용하여 본체를 형성하고 수액 인출포트와 약액 주입포트를 별도로 형성하여 사용자의 편리성 및 기능성을 극대화시킨 2관식 수액백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환자를 치료하거나 수술행위를 하는 병원 등에서 사용하는 생리식염액, 포도당액 등의 수액은 일정형태의 용기에 사용전 보관되어 있다.
이러한 수액용기는 용기 재질에 따라 유리병, 폴리비닐클로라이드(PVC) 수액백, 폴리비닐클로라이드가 아닌(non-PVC) 고분자 다층필름수액백(multilayer film bag)으로 대별할 수 있다.
상기 수액용기는 취급성의 면에서나 사용편의상, 유리병보다는 플랙시블한 재질로 된 수액백이 시장에서 선호되고 있다.
도 1은 수액백의 제 1종래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정면도, 도 3은 제 2종래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정면도이다. 이들 도면에서 부호 10은 수액백 본체를 나타낸다.
먼저 제 1종래예를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체(10)의 상단 중앙에는 1개의 밀봉캡(20)이 열압착 방식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밀봉캡(20)은 2개의 주사바늘삽입용 홈(24) 및 스파이크 삽입용 홈(26)이 형성되어 있는 고무체(22)를 내장하고 있다. 부호 12는 실제로 사용 시에 본체(10)를 거꾸로 매달아 사용할 때 사용되는 걸이구멍이다.
그러나, 이 제 1종래예는 1개의 고무체(22)에 스파이크 삽입용 홈(26)과 주사바늘삽입용 홈(24)이 좁은 면적에 형성되어 있어 사용할 때마다 사용자가 일일이 확인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고, 사용자의 취급부주의로 인하여 오염의 위험도가 높으며, 추가 약액 혼주시 스파이크가 꽂혀 있는 상태에서 주사바늘을 꽂아야 하기 때문에, 좁은 공간[고무체(22)의 작은 면적)에 울바른 꽂힘 부위를 선정하여 꽂기란 여간 불편한 일이 아니다.
상기 제 1종래예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은 구조의 수액백이 제공되었다. 도 3은 수액백의 제 2종래예로서, 이것은 2개의 관으로 구성한 포트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즉, 약액주입관(32)과 스파이크를 꽂기 위한 수액인출관(34)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수액인출관(34)은 스파이크(도시하지 않음)를 꽂기 위하여 절단 분리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중간부를 인위적으로 힘을 가하여 절단될 수 있도록 잠자리 날개 형상으로 된 2개 한쌍의 절단편(36),(37)을 형성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 절단편(36),(37)을 반대편으로 회전하여 힘을 가하면 절단편(36)과 절단편(37)은 분리되어 본체(10) 내부와 외부가 통하도록 관을 개방하게 되는데 그 절단시 한손으로 본체(10) 및 절단편(37)을 쥐고 다른 손으로 절단편(36)을 비틀어 절단행위를 하게 되는데, 이때 그 절단작업이 용이하지 않는 경우가 많고, 절단편을 분리후에도 스파이크를 꽂을 경우 스파이크와 수액인출관(34)의 밀착성으로 인해 삽입시 많은 힘이 들어가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본 고안은 상기 문제를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인체에 무해하며 환경오염의 부담을 줄인 고분자 재질을 사용하여 본체, 약액주입관 및 수액인출관, 연결관을 형성하고, 수액 인출포트와 약액 주입포트를 별도로 구성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도모함과 동시에 수액인출포트와 약액주입포트의 개방용이성을 갖추면서 스파이크 삽입용이성과 밀착성을 목적으로한 2관식 수액백을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수액백의 제 1종래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정면도,
도 3은 제 2종래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정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수액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6은 도 5의 분해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면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수액백 본체 12 : 걸이구멍
20 : 밀봉캡 22 : 고무체
24 : 주사바늘삽입용 홈 26 : 스파이크 삽입용 홈
32 : 약액주입관 34 : 수액인출관
36,37 : 절단편 40 : 수액 인출관
50 : 약액 주입관 42,52 : 연결체
44,54 : 고무체 46,56 : 경질 합성수지재 캡
48,58 : 밀봉지 A',B': 팁
A,B : 포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2관식 수액백은,
각종 수액을 저장하기 위한 밀폐 내부 공간을 가지는 본체와, 이 본체에 연결된 수액 인출포트와 약액주입포트로 구성되는 수액백에 있어서,
상기 수액인출 포트 및 약액 주입포트는,
상기 본체에 열압착방식으로 부착되는 유연한 재질의 수액 인출관 및 약액 주입관과,
상기 수액 인출관 및 약액 주입관에 강제압착방식으로 부착되는 연결체와,
상기 연결체에 조립되는 고무체와,
상기 고무체의 상부에 장착되는 경질 합성수지재 캡으로 구성되고,
상기 연결체는 상부가 깔주기 형태로 폭이 넓게 형성되고 하부는 수액 인출관 및 약액 주입관의 지름과 대략 같게 형성되어 이룬다.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 각 포트에는, 개방 편의성을 위하여 경질 합성수지재 캡 상면에 박막의 분리 가능한 점착력으로 점착 밀봉된 밀봉지를 추가로 부착한 것이 좋고,
상기 수액백 본체, 수액 인출관 및 약액 주입관, 연결체를 PVC가 아닌 고분자 재질로 형성하는 것이 좋으며, 상기 밀봉지는 박막의 알루미늄재나 합성수지재 중에서 선택하는 것이 좋다.
따라서, 수액용기(bag)의 본체재질로서 PVC가 아닌 고분자 다층필름을 선택하고 있으므로, PVC bag 소각 시 발생하는 환경호르몬인 다이옥신의 배출을 적극 방지할 수 있고, PVC 두께의 1/2인 다층필름이기 때문에 빈 수액백의 폐기 시 부피를 줄이고, 이 때 사용된 수액 인출관과 약액 주입관 역시 기존의 PVC가 아닌 고분자 재질의 튜브를 사용하므로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고, 유연한 재질이기 때문에 본체 재질과의 열압착시 접착력이 증대되어 누액문제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수액 인출포트와 약액 주입포트로 분리한 2관식이므로, 종례예에서 좁은 면적에서 추가바늘을 꽂기 위하여 겪는 불편함, 주사바늘에 의한 오염의 위험성을 줄인 획기적인 고안이다. 또한 각 포트의 상단에 박막의 알루미늄재나 합성수지재 밀봉지를 점착하여 제조되므로, 약액주사 바늘의 삽입 시, 밀봉지를 손쉽게 제거할 수 있어 간호사 등 사용자의 신체(손가락 등)를 보호할 수 있으며, 밀폐성 고무체를 사용하여 스파이크와의 밀착성을 극대화하여 누액방지에 효과가 크고, 스파이크의 삽입이 용이하며, 다양한 규격의 스파이크와 호환성이 높은 등의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2관식 수액백에 대하여 보다 자세하게 설명한다.
도 5는 본 고안의 수액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6은 도 5의 분해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이들 도면은 본 고안의 non- PVC-고분자 다층필름으로 된 2개의 포트를 가지는 2관식 수액백을 나타낸다.
이들 도면에서 부호 40은 수액 인출관, 50은 약액 주입관이다. 상기 수액 인출관(40)은 본체(10)에 열압착으로 부착되고 그 상부에 호퍼 형태의 연결체(42)를 강제삽입하였다. 상기 연결체(42)는 상부가 깔주기 형태로 폭이 넓게 형성되고 하부는 수액 인출관(40)의 지름과 대략 같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깔주기부에는 본 고안의 밀폐성 좋은 고무체(44)를 조립하고 있다. 상기 고무체(44)의 상부에는 경질 합성수지재 캡(46)이 장착된다.
마찬가지로, 상기 약액 주입관(50)은 열압착방식으로 본체(10)에 열압착으로 부착되고 그 상부에 호퍼 형태의 연결체(52)를 강제삽입하였다. 상기 연결체(52)는 상부가 깔주기 형태로 폭이 넓게 형성되고 하부는 약액 주입관(50)의 지름과 대략 같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깔주기부에는 본 고안의 밀폐성 좋은 고무체(54)를 조립하고 있다. 상기 고무체(54)의 상부에는 경질 합성수지재 캡(56)이 장착된다.
따라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결체(42),(52), 고무체(44),(54), 캡(46),(56) 및 밀봉지(48),(58)를 일군(一群)으로 한 구성을 팁(Tip)(A'),(B')라 하고, 이들 팁(A'),(B')과 본체(10) 사이에 유연한 재질의 튜브체, 즉 상기 수액 인출관(40) 및 약액 주입관(50)이 연결되며, 상기 팁(A'),(B')과 수액 인출관(40) 및 약액 주입관(50)의 구성을 일군으로 하여 포트(port)라 하여 즉, 수액인출포트(A) 및 약액주입포트(B)를 갖는 본 고안의 2관식 수액백을 이루는 것이다.
도 5에서 부호 48, 58은 수액 인출포트(A)와 약액 주입포트(B)의 개방 편의성을 위하여 박막의 알루미늄재나 합성수지재로 구성되어 있고, 분리 가능한 점착력으로 밀봉된 밀봉지이다.
이러한 구조의 non-PVC-고분자 다층필름으로 된 2관식 수액백은, 먼저 2장으로 겹쳐진 측면과 하단을 성형기로 열융착하여 본체(10)를 형성하고 상단에 2개의 관, 즉 수액 인출관(40)과 약액 주입관(50)을 삽입하여 열압착하고 있다.
이어서 연결체(42),(52)를 상기 수액 인출관(40)과 약액 주입관(50)에 강제압착하고 고무체(44),(54)를 상기 연결체(42),(52)에 조립한 후, 알루미늄 또는 경질의 합성수지 캡(46),(56)을 조립한다. 상기 밀봉지(48),(58)를 열압착으로 떼어내기가 용이하게 비교적 가벼운 점착력으로 점착하며, 이 밀봉지(48),(58)는 환자에게 본 고안의 수액용기를 사용할 때에 제거한다.
이러한 구조로 된 본 고안의 2관식 수액백은, 환자에게 각종 포도당, 생리식염액 등의 수액과 이에 혼주가능한 일정약물을 환자에게 투여하기 위하여, 수액 인출포트(A)의 고무체(44)에 스파이크를 삽입하거나, 약액 주입포트(B)의 고무체(54)에 약물 주입 주사바늘을 꽂아 사용한다.
약액 주입포트(B)의 고무체(54)를 이용한 약물 주입후 주사바늘을 빼고 수액인출포트(A)의 고무체(44)에 스파이크를 꽂아 약물이 혼주된 수액을 환자에게 투여한다.
특히, 상기 연결체(42),(52)는 수액 인출관(40) 및 약액 주입관(50)에 각각 강제압착되고, 고무체(44),(54)는 알루미늄 또는 합성수지재 캡(46),(56)에 둘러싸여 고정되며, 특히 고무체(44)는 스파이크와의 밀착성을 높여 누액현상을 해소하면서 스파이크와의 삽입용이성 및 호환성을 높여준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2관식 수액백에 의하면, 수액용기의 본체재질로서 PVC가 아닌 고분자 다층필름을 선택하고 있으므로, PVC 소각 시 발생하는 환경호르몬인 다이옥신의 배출을 적극 방지하고, PVC 두께의 1/2인 다층필름이기 때문에 빈 수액백의 폐기 시 부피를 줄이고, 이때 사용된 수액인출관 및 약액주입관, 연결체의 재질도 기존의 PVC가 아닌 고분자 재질을 사용하므로 환경오염을 방지하며, 수액 인출포트와 약액 주입포트로 분리한 2관식이므로, 종례예에서 좁은 면적에서 주사바늘을 꽂기 위하여 겪는 불편함, 주사바늘에 의한 오염의 위험성을 줄인 획기적인 고안이며, 각 포트의 상단에 박막의 알루미늄재나 합성수지재 밀봉지를 점착하여 제조되므로, 약액주사 바늘의 삽입 시, 간호사등 사용자의 신체를 보호할 수 있으며, 밀폐성 고무체(44)를 사용하여 스파이크와의 밀착성을 극대화하여 누액방지에 효과가 크며, 다양한 규격의 스파이크와 호환성이 높으면서 삽입용이성을 높이는 등의 효과가 있는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4)

  1. 각종 수액을 저장하기 위한 밀폐 내부 공간을 가지는 본체(10)와, 이 본체(10)에 연결된 수액 인출포트(A)와 약액인출포트(B)로 구성되는 수액백에 있어서,
    상기 수액인출 포트(A) 및 약액 주입포트(B)는,
    상기 본체(10)에 열압착방식으로 부착되는 유연한 재질의 수액 인출관(40) 및 약액 주입관(50)과,
    상기 수액 인출관(40) 및 약액 주입관(50)에 강제압착방식으로 부착되는 연결체(42),(52)와,
    상기 연결체(42),(52)에 조립되는 고무체(44),(54)와,
    상기 고무체(44),(54)의 상부에 장착되는 알루미늄 또는 경질 합성수지재 캡(46),(56)으로 구성되며,
    상기 연결체(42),(52)는 상부가 깔주기 형태로 폭이 넓게 형성되고 하부는 수액 인출관(40) 및 약액 주입관(50)의 지름과 대략 같게 형성되어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관식 수액백.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각 포트(A),(B)에는, 개방 편의성을 위하여 알루미늄 또는 경질 합성수지재 캡(46),(56) 상면에 박막의 분리 가능한 점착력으로 점착 밀봉된 밀봉지(48),(58)를 추가로 부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2관식 수액백.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액백 본체(10), 수액 인출관(40) 및 약액 주입관(50), 연결체(42),(52)는, 넌-피브이씨(non-PVC) 고분자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2관식 수액백.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지(48),(58)는, 박막의 알루미늄지 또는 합성수지재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2관식 수액백.
KR2020000032196U 2000-11-17 2000-11-17 넌-피브씨(Non-PVC)재질의 2관식 수액백 KR20022343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2196U KR200223435Y1 (ko) 2000-11-17 2000-11-17 넌-피브씨(Non-PVC)재질의 2관식 수액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2196U KR200223435Y1 (ko) 2000-11-17 2000-11-17 넌-피브씨(Non-PVC)재질의 2관식 수액백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23435Y1 true KR200223435Y1 (ko) 2001-05-15

Family

ID=730917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32196U KR200223435Y1 (ko) 2000-11-17 2000-11-17 넌-피브씨(Non-PVC)재질의 2관식 수액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3435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8597B1 (ko) * 2001-10-16 2004-02-14 아성프라스틱공업 주식회사 의료용 수액백
KR100427220B1 (ko) * 2001-02-16 2004-04-17 화인.에프.에이 주식회사 넌-피브이씨 팩 제조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7220B1 (ko) * 2001-02-16 2004-04-17 화인.에프.에이 주식회사 넌-피브이씨 팩 제조장치
KR100418597B1 (ko) * 2001-10-16 2004-02-14 아성프라스틱공업 주식회사 의료용 수액백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929769T3 (es) Tapas desinfectantes para conectores médicos
ES2210441T3 (es) Una barrera hermetica protectora para una jeringuilla.
US5114421A (en) Medicament container/dispenser assembly
JP2021518182A (ja) 医療用コネクタのための消毒キャップ
ES2215359T3 (es) Procedimiento de transferencia de fluido.
US4270533A (en) Multiple chamber container for delivering liquid under pressure
JPS62139661A (ja) 可変容積型通気式容器
BRPI0408780A (pt) conector para embalagens contendo lìquidos medicinais e embalagem para lìquidos medicinais
JP2003265608A (ja) 回収器具
JPH053317B2 (ko)
JP2002518098A (ja) 容器用メンブレンポート
KR200223435Y1 (ko) 넌-피브씨(Non-PVC)재질의 2관식 수액백
JP4004106B2 (ja) 薬液注入器具
JP6417007B2 (ja) 接続具および医療用キット
JP4366131B2 (ja) 複室容器
KR200385235Y1 (ko) 수액백용 포트
WO1996025136A1 (en) Transfusion container
JP3839624B2 (ja) 複室容器
KR20090007179U (ko) 넌 피브이씨 재질의 수액백용 포트
CN216536139U (zh) 一种开塞露包装瓶
JPH066833Y2 (ja) 輸液バッグ
CN219462151U (zh) 加压止血防漏输液贴
JP4158446B2 (ja) 既充填蛇腹容器
CN213884242U (zh) 一种便于区分的葡萄糖注射液包装袋
JP3143802U (ja) 鼻腔洗浄用器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J210 Request for trial for objection to revocation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OF CANCELLATION REQUESTED 20020725

Effective date: 20030930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120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