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2953Y1 - 메니플레이터의 트러블방지장치 - Google Patents

메니플레이터의 트러블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2953Y1
KR200222953Y1 KR2020000029435U KR20000029435U KR200222953Y1 KR 200222953 Y1 KR200222953 Y1 KR 200222953Y1 KR 2020000029435 U KR2020000029435 U KR 2020000029435U KR 20000029435 U KR20000029435 U KR 20000029435U KR 200222953 Y1 KR200222953 Y1 KR 20022295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nipulator
air
line
splash cover
operation cylin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2943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공태환
김순교
Original Assignee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filed Critical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0002943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295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295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2953Y1/ko

Links

Landscapes

  • Manipulator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메니플레이터의 트러블을 방지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용광로의 출선구를 통해 배출되는 용융물의 복사열을 차단하는 스플레쉬커버를 취부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메니플레이터에 장착된 작동실린더의 트러블을 방지하여 스플레쉬커버의 착탈을 안전하게 수행할 수 있는 메니플레이터의 트러블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대탕도(9a)상에 배치된 중량물인 스플레쉬커버(3)를 취외할 수 있도록 선회축(6)에 조립된 빔(7)을 상하선회작동시키고, 상승,하강조작용 제어밸브(14)로부터 분기된 상승, 하강용 에어라인(13a)(13b)에 연결된 작동실린더(5)를 갖추어 레일(8)상을 주행하는 메니플레이터(4)에 있어서, 상기 작동실린더(5)의 상부챔버(A)의 내부압력을 검출하는 압력계(21); 상기 작동실린더(5)의 하부챔버(B)내의 에어를 드레인시킬수 있도록 하강용 에어라인(13b)에 연결되는 보조라인(22)및 상기 압력계(21)에서 검출한 측정값을 설정값과 비교하여 상기 보조라인(22)의 드레인밸브(24)를 개폐작동시키는 제어기(23);를 포함하는 메니플레이터의 트러블방지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메니플레이터의 트러블방지장치{device for preventing the trouble of manipulator}
본 고안은 메니플레이터의 트러블을 방지하기 위한 드레인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용광로의 출선구를 통해 배출되는 용융물의 복사열을 차단하는 스플레쉬커버를 취부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메니플레이터에 장착된 작동실린더의 트러블을 방지하여 스플레쉬커버의 착탈을 안전하게 수행할 수 있는 메니플레이터의 트러블방지용 드레인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철소의 제선공장에서는 도 1,2에 도시한 바와같이, 고로의 출선구(9)를 통하여 용융물이 출선하게 되고, 출선된 용융물이 흐르는 대탕도(9a)에는 용융물의 복사열을 차단하여 작업자 및 주변설비를 보호할수 있도록 복수개의 스프레쉬커버(3)가 연속하여 설치되어 있는데, 용융물의 출선말기가 되면, 레일(8)을 따라 주행되는 메니플레이터(4)를 이용하여 상기 스플레쉬커버(3)를 취외한 다음, 선회작작동되는 머드건(2)의 선단을 상기 출선구(9)에 근접시켜 이를 폐쇄하게 된다.
이때, 상기 머드건(2)을 이용하여 상기 출선구(9)를 폐쇄하는 작업전에 상기 메니플레이터(4)로서 스플레쉬커버(3)를 취외시키는 이유는 출선구폐쇄작업시 선회작동되는 상기 머드건(1)의 회전반경내에 상기 스플레쉬커버(3)가 배치되어 있어 상기 머드건(1)과 스플레쉬커버(3)가 서로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메니플레이터(4)는 도 3에 도시한 바와같이, 상기 스프레쉬커버(3)의 걸림고리(3a)에 선단이 걸리는 걸림플레이트(7a)를 선단에 형성하고, 길이중앙이 선회축(6)에 회동가능하게 조립된 빔(7)과, 상기 빔(7)의 후단에 로드선단이 장착된 작동실린더(5)를 갖추어 레일(8)상을 모터부재(10)에 연결된 체인(11)의 당김, 풀림에 의해서 왕복주행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작동실린더(5)는 상기 빔(7)의 후단을 상승,하강시켜 상기 걸림플레이트(7a)를 상하선회작동시킬수 있도록 작동에어를 공급하는 상승, 하강용 에어라인(13a)(13b)과 각각 연결되며, 상기 에어라인(13a)(13b)과 메인에어라인(15)사이에는 에어흐름을 절환시키는 제어밸브(14)를 갖추어 구성한다.
이에 따라 상기 메니플레이터(4)를 스플레쉬커버(3)에 근접시켜 하강작동된 상기 빔(7)의 걸림플레이트(7a)를 걸림고리(3a)에 결합한 상태에서, 상기 제어밸브(14)를 조작하여 상승용 에어라인(13a)측으로 에어를 공급함으로서 상기 작동실린더(5)의 상부챔버(A)에 작동에어가 충만되어 피스톤(5b)이 하강되면, 상기 선회축(6)에 조립된 빔(7)선단이 반대로 상승되면서 중량물인 상기 스플레쉬커버(3)를 들어올려 대탕도(9a)로부터 이격시킬수 있기 때문에, 상기 메니플레이터(4)를 원위치로 복귀후진시켜 상기 스플레쉬커버(3)를 취외할수 있는 것이다.
도 3에서 미설명부호 14a는 드레인라인이다.
한편, 이러한 메니플레이터(4)에 의해서 취외되는 스플레쉬커버(3)의 중량은 7톤(ton)정도였으나, 내화물의 조기마모방지등의 이유로 대형화되면서 그 중량이 13톤으로 증가하였다. 이때, 상기 스플레쉬커버(3)의 중량은 증가하는 반면에 교체시 비용이 많이 소요되어 교체가 곤란한 메니플레이터(4)의 용량은 그대로 유지하게 됨에 따라, 이러한 메니플레이터(4)로서 중량물이 스플레쉬 커버(3)를 취외할 때, 상기 메니플레이터(4)의 작동실린더(5), 특히 그 내부에서 상하왕복되는 피스톤(5b)의 피스톤링(5a)에 부하가 가중되면서 상기 피스톤링(5a)이 조기에 파손되고, 과다하게 마모되었다.
따라서, 중량물인 스플레쉬커버(3)를 취외하는 작업도중 상기 작동실린더(5)내부에서 서로 다른 용도의 작동에어가 유입되고, 배출되는 상,하부챔버(A)(B)사이를 밀봉하는 피스톤링(5b)이 파손되면, 상기 실린더(5)의 상부챔버(A)와 하부챔버(B)사이의 에어압력이 균압상태로 되면서 상기 스플레쉬커버(3)를 제대로 들어올린 다음 취외할 수가 없게 되고, 결과적으로 출선구(9)의 폐쇄가 불가능해져서 고로조업을 중단해야만 하는 중대한 설비사고를 유발하고, 작업생산성을 감소시키는 한편, 이를 수작업을 대체하는 경우 작업부하가 과다하게 증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써, 그 목적은 스플레쉬커버의 취외작업도중 피스톤링의 파손에 의해서 발생될수 있는 작동실린더의 트러블을 예방하여 안정적으로 스플레쉬커버 취외작업을 수행할수 있는 메니플레이터의 트러블방지장치를 제공하고자한다.
도 1은 일반적인 용광로의 출선작업을 도시한 개략도,
도 2는 일반적인 메니플레이터의 스플레쉬커버취외작업을 도시한 상태도,
도 3은 종래기술에 따른 매니플레이터의 구성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메니플레이터의 트러블방지장치를 도시한 전체구성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메니플레이터의 트러블방지장치의 작동순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 ..... 머드건 3 ..... 스플레쉬커버
4 ..... 메니플레이터 5 ..... 작동실린더
5a .... 피스톤링 5b .... 피스톤
13a ... 상승용 에어라인 13b ... 하강용 에어라인
21 .... 압력계 22 .... 보조라인
23 .... 제어기 24 .... 드레인밸브
27 .... 빠이롯트라인 A,B ... 상,하부챔버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인 구성으로써, 본 고안은,
대탕도상에 배치된 중량물인 스플레쉬커버를 취외할 수 있도록 선회축에 조립된 빔을 상하선회작동시키고, 상승,하강조작용 제어밸브로부터 분기된 상승, 하강용 에어라인에 연결된 작동실린더를 갖추어 레일상을 주행하는 메니플레이터에 있어서,
상기 작동실린더의 상부챔버의 내부압력을 검출하는 압력계; 상기 작동실린더의 하부챔버내의 에어를 드레인시킬수 있도록 하강용 에어라인에 연결되는 보조라인및 상기 압력계에서 검출한 측정값을 설정값과 비교하여 상기 보조라인의 드레인밸브를 개폐작동시키는 제어기;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메니플레이터의 트러블방지장치를 마련함에 의한다.
이하, 본 고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에 따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메니플레이터의 트러블방지장치를 도시한 전체구성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메니플레이터의 트러블방지장치의 작동순서도이다
본 고안의 장치(1)는 도 4와 5에 도시한 바와같이, 스플레쉬커버(3)를 취외시키는 메니플레이터(4)의 작동실린더(5)에 연결구성되어 작동실린더(5)내에 조립된 피스톤링(5a)의 파손에 따른 상,하부챔버(A)(B)사이의 균압발생시 피스톤(5b)의 하강작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상기 하부챔버(B)의 작동에어를 드레인시키는 것으로서, 이러한 장치(1)는 압력계(21), 보조라인(22) 및 제어기(23)등으로 구성된다.
즉, 상기 압력계(21)는 중량물인 스플레쉬커버(3)가 걸리는 빔(7)선단을 상방선회시킬 때 작동에어가 상승용 에어라인(13a)를 통하여 유입되는 작동실린더(5)의 상부챔버(A)에 장착되어 그 내부압력을 검출하도록 하며, 검출된 압력측정값은 변환기(23a)를 거쳐 상기 제어기(23)측으로 전송된다.
그리고, 상기 보조라인(22)은 상기 작동실린더(5)의 상부챔버(A)측으로 작동에어를 공급하여 피스톤(5b)을 하강작동시킬 때 하부챔버내(B)의 에어를 제어밸브(14)의 드레인라인(14a)을 통하여 외부로 드레인시키는 하강용 에어라인(13b)에 연결연결되며, 상기 보조라인(22)에는 상기 압력계(21)에서 검출한 압력측정값을 설정값과 비교하는 제어기(23)에 의해서 개폐작동되어 상기 하부챔버(B)내의 에어를 외부로 드레인시키는 드레인밸브(24)를 갖추어 구성한다.
또한, 상기 드레인밸브(24)는 제어기(23)의 직접적인 전기신호를 받아서 개폐작동되어도 좋지만, 고열이 발생되는 용광로에 갖추어지는 메니플레이터(4)의 설치조건을 고려하여 에어에 의해서 동작되는 차단변에 의해서 개폐작동되는 구성을 갖추어도 좋다.
즉, 상기 드레인밸브(24)는 메인에어라인(15)으로부터 분기된 빠이롯트라인(27)을 통해 유입되는 에어에 의해서 개폐작동되고, 상기 빠이롯트라인(27)에는 제어밸브(14)의 조작레버의 상승작동시 동작되는 리미트스위치(28)의 신호에 개방되는 제 1차단변(27a)과, 상기 제어기(23)의 개폐신호에 의해서 상기 드레인밸브(24)를 개폐작동하도록 작동되는 제 2차단변(27b)을 갖추어 구성한다.
여기서, 상기 제어기(23)는 상기 피스톤링(5a)의 파손 및 마모에 의해서 상기 상,하부챔버(A)(B)사이에 균압이 발생될 때 상기 드레인밸브(24)를 개방시키도록 작동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해서 설명한다.
용광로의 출선구(9)를 통한 출선작업이 완료되어 머드건(2)을 이용한 출선구 밀봉작업을 수행하기 위해서 스플레쉬커버(3)를 취외시키고자 하는 경우, 메니플레이터(4)를 전진이동시켜 취외하고자 하는 스플레쉬커버(3)의 걸림고리(3a)에 상기 메니플레이터(4)의 빔(7)선단의 걸림플레이트(7a)를 결합시킨다.
이와 동시에 상기 스플레쉬커버(3)를 상승시키기 위해서 작업자가 상승,하강조작용 제어밸브(14)의 조작레버를 상방으로 조작하면, 상승용 에어라인(13a)을 통하여 상기 메니플레이터(4)에 설치된 작동실린더(5)의 상부챔버(A)측으로 작동에어가 공급됨으로서 상기 작동실린더(5)의 피스톤(5b)은 하강작동된다.
이에 따라, 상기 피스톤(5b)의 하단과 후단이 연결되고, 선회축(6)이 길이중앙부근에 조립된 빔(7)의 선단인 걸림플레이트(7a)가 상방으로 들어 올려지면서 중량물인 스플레쉬커버(3)를 들어올릴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작동실린더(5)의 상부챔버(A)에 투입된 작동에어의 압력은 6 내지 7kg/cm2이상이어야한다.
상기한 과정에서 상기 작동실린더(5)의 피스톤(5b)에 조립된 피스톤링(5a)이 파손 또는 마모가 되어 상기 작동실린더(5)에 설치된 압력계(21)에 의해서 측정되는 상부챔버(A)의 압력이 설정값 6 내지 7kg/cm2보다 낮은 압력값으로 측정되면, 상기 압력계(21)의 측정값은 변환기(23a)를 거쳐 제어기(23)로 전송된다.
이어서, 상기 제어기(23)에 의해서 상기 하강용 에어라인(13b)으로부터 분기된 보조라인(22)에 설치된 드레인밸브(24)가 개방되면, 상기 작동실린더(5)의 상부챔버(A)에 비하여 하부챔버(B)의 압력이 급격히 떨어져 상기 피스톤(5b)이 하강되기 때문에 상기 빔(7)선단의 상방선회작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져 상기 스플레쉬커버(3)의 취외작업을 원활하게 수행하여 상기 머드건(2)을 이용한 출선구 폐쇄작업을 안전하게 완료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드레인밸브(24)를 상기와 같이 제어기(23)를 통하여 직접적으로 제어하지 않고 에어에 의해서 동작되는 제 1,2차단변(27a)(27b)을 이용하여 개페작동시키는 경우, 상기 스플레쉬커버(3)를 상승시키기 위해서 제어밸브(14)의 조작레버를 상승조작하는 경우, 이와 동시에 조작레버가 리미트스위치(28)를 치게 되어 상기 스위치(28)의 신호에 의해서 메인에어라인(15)으로부터 분기된 빠이롯트라인(27)의 제 1차단변(27a)이 개방되어 상기 빠이롯트라인(27)의 제 2차단변(27b)까지 작동에어가 통입된다. 이때, 상기 작동실린더(5)의 상부챔버(A)내로 작동에어가 유입됨은 물론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와 같이 피스톤링(5a)이 파손되어 압력계(21)에서 검출되는 측정압력값이 설정값이하로 떨어지면, 이를 변환기(23a)를 거쳐 수신한 제어기(23)는 제 2차단변(27b)측으로 에어를 통입시켜 개방작동시키고, 이와 동시에 개방작동되는 제 2차단변(27b)에 의해서 보조라인(22)의 드레인밸브(24)를 개방시켜 이를 통하여 배출함으로서 상기 스플레쉬커버(3)의 상승을 위한 작동실린더(5)의 하강작동을 원활하게 수행한다.
반대로, 상기 작동실린더(5)의 피스톤링(5a)이 마모 또는 파손되지 않아 상기 상부챔버(A)내의 에어압력이 기준설정값 6 내지 7kg/cm2보다 크다는 것을 압력계(21)에서 검지하고, 제어기(23)에서 판단되면, 상기 보조라인(22)에 설치된 드레인밸브(24)의 개방작동은 이루어지지 않고 정상적인 피스톤(5a)의 하강작동이 이루어져 스플레쉬커버(3)의 취외가 정상적으로 이루어져 출선구(9)의 폐쇄작업이 완료된다.
상술한 바와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에 의하면, 작동실린더의 상부챔버내 압력을 검출하는 압력계를 갖추고, 측정되는 내부압력에 따라 개폐작동되는 드레인밸브를 하강용 에어라인으로부터 분기된 보조라인에 갖춤으로서, 중량물인 스플레쉬커버를 취외하는 메니플레이터에 설치된 작동실린더의 피스톤링이 파손 또는 마모되어 작동실린더가 정상적으로 하강작동되지 않을 때 드레인밸브를 개방작동시켜 작동실린더를 정상적으로 하강작동시켜 스플레쉬커버의 취외작업을 안전하게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머드건을 이용한 출선구의 폐쇄작업을 안정적으로 수행할수 있고, 종래와 같은 고로조업의 중단 및 치명적인 설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얻어진다.
본 고안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청구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고안의 정신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본 고안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수 있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는 용이하게 알수 있음을 밝혀두고자 한다.

Claims (3)

  1. 대탕도(9a)상에 배치된 중량물인 스플레쉬커버(3)를 취외할 수 있도록 선회축(6)에 조립된 빔(7)을 상하선회작동시키고, 상승,하강조작용 제어밸브(14)로부터 분기된 상승, 하강용 에어라인(13a)(13b)에 연결된 작동실린더(5)를 갖추어 레일(8)상을 주행하는 메니플레이터(4)에 있어서,
    상기 작동실린더(5)의 상부챔버(A)의 내부압력을 검출하는 압력계(21); 상기 작동실린더(5)의 하부챔버(B)내의 에어를 드레인시킬수 있도록 하강용 에어라인(13b)에 연결되는 보조라인(22)및 상기 압력계(21)에서 검출한 측정값을 설정값과 비교하여 상기 보조라인(22)의 드레인밸브(24)를 개폐작동시키는 제어기(23);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메니플레이터의 트러블방지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23)는 상기 상,하부챔버(A)(B)사이에 균압이 발생될 때 상기 드레인밸브(24)를 개방시키도록 작동됨을 특징으로 하는 메니플레이터의 트러블방지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드레인밸브(24)는 메인에어라인(15)으로부터 분기된 빠이롯트라인(27)을 통해 유입되는 에어에 의해서 개폐작동되고, 상기 빠이롯트라인(27)에는 제어밸브(14)의 조작레버의 상승작동시 동작되는 리미트스위치(28)의 신호에 개방되는 제 1차단변(27a)과, 상기 제어기(23)의 개폐신호에 의해서 상기 드레인밸브(24)를 개폐작동하도록 작동되는 제 2차단변(27b)을 갖추어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메니플레이터의 트러블방지장치.
KR2020000029435U 2000-10-23 2000-10-23 메니플레이터의 트러블방지장치 KR20022295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9435U KR200222953Y1 (ko) 2000-10-23 2000-10-23 메니플레이터의 트러블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9435U KR200222953Y1 (ko) 2000-10-23 2000-10-23 메니플레이터의 트러블방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22953Y1 true KR200222953Y1 (ko) 2001-05-15

Family

ID=730591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9435U KR200222953Y1 (ko) 2000-10-23 2000-10-23 메니플레이터의 트러블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295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81585B1 (ko) 2016-09-20 2017-10-23 주식회사 포스코 고로 대탕도의 스프레쉬 커버 기울임 방지 마그네틱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81585B1 (ko) 2016-09-20 2017-10-23 주식회사 포스코 고로 대탕도의 스프레쉬 커버 기울임 방지 마그네틱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313022C (en) Method of rapidly discharging a molten metal from its supply system of a pressurized holding furnace
CN113832276B (zh) 一种高炉出铁智能化堵铁口自动控制方法
KR200222953Y1 (ko) 메니플레이터의 트러블방지장치
CN100376345C (zh) 决定是再使用还是废弃耐火材料板的方法及为此的设备
KR20100050850A (ko) 래들 슬라이딩 게이트 유압 연결 장치
KR100901968B1 (ko) 고로의 대탕도 슬래그 차단장치
KR100605690B1 (ko) 고로의 출선구 압력제어장치
KR20020053508A (ko) 대탕도용 스키머제어장치
KR200293706Y1 (ko) 전로 정비용 안전장치
KR20010035573A (ko) 고로 출선구의 용선부착 방지장치
JPS6028661Y2 (ja) 高炉の連続出銑装置
KR19980041072U (ko) 용광로 출선구 개공기 체인의 그리스 자동도포장치
KR20120078219A (ko) 출강구의 슬리브 연와 파쇄장치
KR100829955B1 (ko) 용융물 분리가 가능한 탕도
KR100588528B1 (ko) 고로 용융물용 경주통 제어장치
KR200254191Y1 (ko) 턴디쉬 비상 크로스시의 노즐 막힘 방지장치
KR20090048963A (ko) 코크스 오븐의 상승관 열손상 방지장치
KR200295249Y1 (ko) 연속주조설비의래들노즐자동개공장치
KR101913404B1 (ko) 전기로 및 지금 제거 방법
KR19990017043U (ko) 전로의 부원료 투입관 관통장치
KR100766276B1 (ko) 고로의 출선구 센터 형성장치
KR19980065827U (ko) 침전지 수로의 게이트 실링장치
KR101009696B1 (ko) 버블링 가스의 드레인 장치
KR100784207B1 (ko) 원료유출 방지장치
JP2572187B2 (ja) 出銑樋残銑抜き装置およびそのストッパ操作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209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