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2375Y1 - 시각장애인 유도용 블록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시각장애인 유도용 블록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2375Y1
KR200222375Y1 KR2020000031981U KR20000031981U KR200222375Y1 KR 200222375 Y1 KR200222375 Y1 KR 200222375Y1 KR 2020000031981 U KR2020000031981 U KR 2020000031981U KR 20000031981 U KR20000031981 U KR 20000031981U KR 200222375 Y1 KR200222375 Y1 KR 20022237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duction
block
visually impaired
layer
cement mort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3198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현채
Original Assignee
정현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현채 filed Critical 정현채
Priority to KR202000003198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237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237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2375Y1/ko

Links

Landscapes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Abstract

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
본 고안은 시각장애인의 보행을 위해 표면으로 점형 또는 선형의 돌기가 형성된 유도용 블록과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일반 시멘트 몰탈로 제조되는 보도용 블록의 표면으로 플라스틱을 일체로 성형토록 한 것이다.
나. 고안이 해결하려는 기술적 과제.
종래에 시각장애인의 보행을 유도하기 위해 표면으로 선형 및 점형의 돌기가 형성된 유도 블록은 대부분이 시멘트 몰탈을 성형틀에 투입한 뒤 성형틀에서 탈영시킨 후 돌기가 형성된 표면에 색채 페인트 등으로 도색 되어짐으로서 이동이나 충격으로 인해서 부서지거나 깨어지기 쉬운 문제점과 도색면이 쉽게 벗겨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다. 고안의 해결방법의 요지.
일반 시멘트 몰탈로 제조되는 보도 블록의 표층으로 강화 프라스틱 등의 수지액을 침투시켜 수지가 함침되어진 수지층을 형성하고 상기 수지층에는 동일 재료로 성형되는 유도돌기층을 일체로 성형토록 함으로서 견고한 부착이 되는 것이다.
라. 고안의 중요한 용도
시각장애자 유도용

Description

시각장애인 유도용 블록 및 그 제조방법{Guiding block for blind person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본 고안은 시각장애인의 보행을 위해 표면으로 점형 또는 선형의 돌기가 형성된 유도용 블록과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일반 시멘트 몰탈로 제조되는 보도용 블록의 표면으로 강화 플라스틱 수지를 침투 도포시킨 후 수지로 되는 유도돌기층을 일체로 성형토록 한 것이다.
종래에 시각장애인의 보행을 유도하기 위한 보도블록은 시멘트 몰탈을 이용하여 선형 및 점형의 돌기가 형성되게 한 후 돌기가 형성된 표면으로 페인트 등을 이용하여 도색토록 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의 유도블록은 이동이나 충격으로 인해서 도색된 부분이 부서지거나 깨어지기 쉬운 문제점과 도색된 도색면이 쉽게 벗겨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최근에는 세멘트 몰탈로 성형되는 보도블록에 수지로 점형과 선형이 형성되게 성형된 플라스틱 보드를 결합토록 하고 있으나, 시멘트 몰탈의 성형시에 발생되는 수하열로 인하여 플라스틱에 변형이 발생되는 문제점과 이러한 성형은 시멘트 몰탈과 플라스틱 보드가 각각으로 성형된 상태에서 결합되어짐으로 결합력이 저하되어 쉽게 탈리되어버리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 한 것으로,
시멘트 몰탈로 제조된 보도 블록의 표층으로 프라스틱의 수지액을 침투시켜 수지층을 형성한 후 상기 수지층에 플라스틱으로 점형과 선형이 형성되게 유도돌기층을 일체로 성형함으로서 유도돌기층이 수지층에 의하여 일체로 성형됨으로 부착이 견고하고 내충격성과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도 1은 수지층이 침투된 세멘블록에 유도용 블록이 결합된 상태의 단면도.
도 2는 도1의 유도용블록에 섬유보강제가 형성된 상태의 단면도.
도 3은 도2의 유도용블록에 규사가 형성된 상태의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외관사시도.
<도면의주요부분에대한부호의설명>
100: 시멘트블록 10: 수지층
20: 유도돌기층 30: 섬유보강제
40: 규사
이하에서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명세서 및 도면에 기재되는 구조상의 기능이 동일할 경우에는 부호 및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시각장애인 유도용 블록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낸 단면도로서, 공지의 보도블록용 시멘트 블록(100)의 표층으로 플라스틱 수지액을 침투시켜 수지층(10)을 형성하고 상기 수지층(10)에는 플라스틱으로 성형되는 점형 또는 선형의 유도 돌기가 형성된 유도돌기층(20)이 일체로 성형되는 구성이다.
상기 시멘트 블록(100)은 입자상의 시멘트와 모래와 물이 혼합되고 성형틀에 의해 성형되고 건조된 형상으로 시멘트와 모래사이로는 많은 공극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의 시멘트 블록(100) 일측 면에는 플라스틱 수지액을 침투시켜 수지층(10)을 형성하고 견고히 고착되어지는 유도돌기층(20)을 형성시키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 번째로, 표준규격으로 성형된 시멘트 블록(100)에 함수율이 10퍼센트 이하가 되도록 강제건조 시킨다.
강제 건조시 시멘트 블록(100)은 급속한 수분 증발로 인해 균열 등이 일어날 수 있으므로 직접 가열 등의 방법은 피하고 열풍 등의 간접 열로 건조함이 바람직하다.
두 번째로, 상기 건조된 시멘트 블록(100)의 일 표면을 플라스틱 등의 수지액이 담긴 용기에 침지시킨다.
이때 침지된 시멘트 블록(100)의 공극 사이로는 수지액이 침투하게 되고 침투된 수지액은 시멘트 블록(100)의 공극을 메우면서 표면으로는 수지액으로 이루어진 수지층(10)이 형성된다.
이때 침지 대신으로 분무토록 할 수 있는 것이다.
세 번째로, 상기의 수지층(10)과 가능하면 동일한 재료인 플라스틱을 사용하여 점형이나 선형이 형성되는 틀에 수지층(10)이 위치토록 한 후 틀에 수지를 주입하여 일체로 유도 돌기층(20)을 성형토록 하는 것이다.
이때 유도돌기층(20)을 형성하는 수지액에 보강용섬유(30), 규사(40), 색소, 자외선차단제 등을 적정량 혼합함으로서 보강용섬유(30)에 의하여 프라스틱의 깨어짐이나 균열을 방지하게 되고, 본 고안에서는 화이버 섬유나 유리섬유 등이 사용되었으며, 투입된 규사는 유도돌기층(20)의 표면으로 나타나도록 함으로서 이용자가 미끄러지지 않도록 하며, 투입된 색소에 의하여는 표현된 색상의 강조와, 탈색을 방지하기 위하여는 자외선 차단제가 사용된 것이다.
네 번째로, 성형된 것을 일정시간이 경과되어 수지층(10)과 유도돌기층(20)이 밀착된 상태로 경화토록 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의 방법으로 제조된 시각장애인 유도용 블록은 플라스틱으로 성형된 유도돌기층이 시멘트 몰탈로 제조되어진 블록의 표면으로 침투되어진 수지층에 의하여 일체로 성형됨으로 유도돌기층이 탈리되지 않게 됨으로 내구성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시각장애인 유도 블록은 충격 등에 강해서 내구력이 증대되고 색상의 탈색이 없으므로 유지관리를 위한 유지비의 절감과 도시 미관을 해칠 염려가 없다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3)

  1. 시각장애인의 보행을 유도하기 위한 유도블록에 있어서, 보도 블록의 일면으로 프라스틱 수지액을 침투시킨 수지층과 상기 수지층에 일체로 성형되는 유도 돌기가 형성되는 유도돌기층으로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장애인용 유도블록.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돌기층에는 섬유보강제가 혼합되어짐을 특징으로 시각장애인용 유도블록.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유도돌기층에는 규사가 혼합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장애인용 유도블록.
KR2020000031981U 2000-11-15 2000-11-15 시각장애인 유도용 블록 및 그 제조방법 KR20022237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1981U KR200222375Y1 (ko) 2000-11-15 2000-11-15 시각장애인 유도용 블록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1981U KR200222375Y1 (ko) 2000-11-15 2000-11-15 시각장애인 유도용 블록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22375Y1 true KR200222375Y1 (ko) 2001-05-02

Family

ID=730916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31981U KR200222375Y1 (ko) 2000-11-15 2000-11-15 시각장애인 유도용 블록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2375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9624B1 (ko) * 2001-05-18 2007-05-21 석정철 시각장애인을 위한 접착형 점자유도블록 및점자유도블록의 접착방법
KR100795348B1 (ko) 2006-10-25 2008-01-17 황익현 맹인 보행안내용 점자블록 및 그 제조방법
KR20190032997A (ko) 2017-09-20 2019-03-28 주식회사 홍우비앤티 화재 발생시 안전하면서 용이하게 길안내 해주는 점자블럭 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9624B1 (ko) * 2001-05-18 2007-05-21 석정철 시각장애인을 위한 접착형 점자유도블록 및점자유도블록의 접착방법
KR100795348B1 (ko) 2006-10-25 2008-01-17 황익현 맹인 보행안내용 점자블록 및 그 제조방법
KR20190032997A (ko) 2017-09-20 2019-03-28 주식회사 홍우비앤티 화재 발생시 안전하면서 용이하게 길안내 해주는 점자블럭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22375Y1 (ko) 시각장애인 유도용 블록 및 그 제조방법
GB1236414A (en)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panels
KR101105881B1 (ko) 코팅층을 갖는 목재 거푸집 판넬 및 이 제조 방법
KR20010057885A (ko) 건축용 보강재 및 그 제조방법과 장치
KR100469292B1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방수처리방법
CN1169402A (zh) 一种防火防潮板及其生产方法
KR100640200B1 (ko) 시각장애인 유도블록 및 그 제조장치
KR980000991A (ko) 표층에 입체감을 주는 인조석재의 제조방법
KR100302125B1 (ko) 유리섬유 강화 시멘트를 이용한 고건축물의 내/외장재 제조방법및 그 조성물
JP2006213542A (ja) 建築外装材の補修構造および補修方法
JPS6313833B2 (ko)
JPH05309621A (ja) 建築用成形板の製造法
KR960003959A (ko) 샌드위치 판넬 및 그 제조방법
KR100232255B1 (ko) 복합재료 거푸집
KR890004165B1 (ko) 가구용 판재 표면에 f.r.p 를 도장하는 방법
JP4192006B2 (ja) 無機質板の製造方法
JP2521811B2 (ja) 化粧板の製造方法
KR20090038676A (ko) 폐자재를 활용한 경계블록 및 그 제조방법
KR100436216B1 (ko) 타일에 유리를 부착하는 방법
JP2568841B2 (ja) コンクリ−トパネルの製造方法
KR200198948Y1 (ko) 욕조용 보강패널
JPS6114424Y2 (ko)
JPS5938260Y2 (ja) 複合素材
JPS6424057A (en) Production of inorganic building material
JPS6019670Y2 (ja) 浴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216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