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2315Y1 - 광케이블연결부재 - Google Patents

광케이블연결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2315Y1
KR200222315Y1 KR2019980003419U KR19980003419U KR200222315Y1 KR 200222315 Y1 KR200222315 Y1 KR 200222315Y1 KR 2019980003419 U KR2019980003419 U KR 2019980003419U KR 19980003419 U KR19980003419 U KR 19980003419U KR 200222315 Y1 KR200222315 Y1 KR 20022231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cord
optical cable
connecting member
optical co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0341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37614U (ko
Inventor
신중현
Original Assignee
유채준
대한전선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채준, 대한전선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유채준
Priority to KR201998000341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2315Y1/ko
Publication of KR1999003761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761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231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2315Y1/ko

Links

Landscapes

  • Light Guides In General And Applications Therefor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광케이블의 연결부재에 관한 것으로, 드럼에 감기는 광케이블의 선단부에 끼워넣는 광케이블연결부재에는 몸체의 일측에 케이블고정구와 지지부 및 케이블삽입구를 구성하고, 상기 몸체의 내측에는 루스튜브와 광코드를 연결 고정한 상태로 내측에 삽입되며, 몸체의 타측에는 광코드배출홀과 중심인장선고정구를 형성하여 광코드배출홀로부터 광코드를 배출시켜 광코드의 선단에 컨넥터를 연결하는 광케이블연결부재에 있어서, 코드배출구의 내측 선단에 수지몰딩부를 구성하고, 그 수지몰딩부의 중앙 선단에 중앙고정부를 구비하며, 중앙고정부의 선단에 광코드배출홀이 다수개 구비된 광코드지지부를 형성하며, 중앙고정부와 수지몰딩부의 외측에 합성수지를 도포하여 광코드배출홀을 통과한 광코드를 고정시키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광코드를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여 코드이탈을 방지하고, 광섬유가 진동되지 않도록 하여 신호를 안정적으로 전송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광케이블연결부재
본 고안은 광케이블연결부재에 관한 것으로, 특히 드럼의 외주면에 감싸여진 광케이블의 선단이 다른 연결부위에 연결되는 것을 용이하게 되도록 케이블의 선단부에 형성한 광케이블연결부재에 코드배출구의 중앙을 연장하고, 그 연장된 중앙고정부의 선단에 광코드지지부를 구성하며, 중앙고정부의 외주면을 수지몰드로 고정시켜 광코드가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되도록 하고, 광코드의 신호를 안정적으로 전송할 수 있도록 한 광케이블연결부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여러가지 신호를 빠르고 정확하게 전달하기 위하여 여러개의 광섬유를 실장한 광케이블을 선로에 설치하여 사용하여 왔다. 상기의 단결정으로 형성된 광섬유는 여러 신호를 동선등에 비하여 빠르게 전달이 가능하고, 잡음이 없어서 많은 사용자가 이용하고 있다.
종래에는 상기의 케이블을 제조하고 난 후에는 드럼에 감싸 이동하도록 하고, 설치장소로 이동된 케이블을 소정부위에 이동한 후에 연결하여 왔었다. 상기 소정부위로 이동된 광케이블에서 내측에 삽입된 코드의 광섬유를 벗겨내고, 그 광섬유를 다른 광섬유와 결합시켜 연결되도록 하였다.
종래 본원 출원인은 실용신안등록출원 제97-29179호로 광케이블연결부재를 제안한 바있다.
도 1 은 종래 고안의 광케이블연결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 는 종래 고안의 단면도로서, 드럼에 감긴 광케이블(2)의 선단부에 삽입할 수 있는 광케이블연결부재(1)를 형성하며, 그 광케이블연결부재(1)에는 몸체(15)를 구성하며, 광케이블연결부재(1)가 광케이블(2)에 삽입되는 몸체(15) 일측에는 케이블고정구(11)를 결합하며, 그 케이블고정구(11)의 상부에 덮개(14)를 덮어 고정할 수 있도록 구비하고, 그 덮개(14)는 몸체(15)에 볼트(14a)로 고정되도록 하며, 케이블고정구(11)는 원형에서 절반을 절개한 형상으로 구성하고, 그 절반으로 절개된 케이블고정구(11)는 내측으로 광케이블삽입구(12)를 구비하며, 케이블고정구(11)는 광케이블(2)의 외측으로 지지부(13)가 돌출되도록 형성한 것이었다.
또한, 광케이블연결부재(1)의 몸체(15) 내측에는 내측홀(16)을 구성하고, 그 내측홀(16)에 광케이블(2)이 삽입되도록 하며, 상기의 광케이블(2)은 피복을 벗겨 루스튜브(Loose Tube)로 형성된 상태에서 다른 광코드(22)에 연결 고정되도록 하고, 그 광코드(22)는 몸체(15)의 외측인 타측으로 벗어나도록 한 것이었다.
그리고, 광케이블연결부재(1)의 몸체(15) 타측에는 코드배출구(17)를 몸체(15)에 납작머리볼트(17a)로 결합 가능하게 형성하고, 그 코드배출구(17)에는 중앙에 중심인장선고정구(19)를 구성하며, 상기의 중심인장선 고정구(19)의 외측에는 다수의 광코드배출홀(18)을 구비한 것이다. 또한 중심인장선 고정구(19)는 외측으로 점점 벌어지는 형상으로 코드배출구(17)에 결합될 때 점점 내측으로 오므라질 수 있도록 중심인장선 고정구(19)가 외측으로 벌어지면서 갈라진 형상으로 구성한 것이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 고안은 드럼에 감긴 광케이블(2)의 일측 끝단을 광케이블연결부재(1)의 일측인 광케이블삽입구(12)에 삽입시키게 되었다. 이때, 광케이블삽입구(12)는 먼저 한쪽의 케이블고정구(11)를 광케이블연결부재(1)의 일측에 삽입한 후 광케이블(2)의 선단을 삽입하게 되고, 상기 광케이블(2)이 삽입된 후에는 다시 나머지 반쪽의 케이블고정구(11)를 올려놓은 후에 덮개(14)로 덮게 되었다. 상기와 같이 반쪽으로 갈라진 케이블고정구(11)를 광케이블연결부재(1)에 구성하여 광케이블(2)의 선단부를 삽입하게 될 때, 광케이블(2)이 광케이블연결부재(1)에 용이하게 삽입하게 되었다.
상기와 같이 광케이블(2)의 선단부가 광케이블연결부재(1)의 몸체(15) 내측으로 삽입되면 타측으로 그 광케이블(2)의 선단부가 돌출되었다. 광케이블(2)의 선단부 피복을 벗겨 낸 후에 노출된 루스튜브(21)의 광섬유와 다른 광코드(22)의 특수튜브(24)를 연결시키게 되었다. 이때, 광케이블연결부재(1)를 다시 광케이블(2)의 선단부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면 광코드(22)와의 연결부위가 몸체(15)의 내측인 내측홀(16) 내부로 삽입되었다.
광케이블연결부재(1)에 광케이블(2)이 삽입되면 상기의 광케이블연결부재(1) 타측으로 코드배출구(17)를 결합하게 되었다. 이때, 루스튜브(21)와 결합 고정하기 전 상태의 특수 광코드(22)를 미리 코드배출홈(18)에서 외측으로 길게 늘어놓게 되었다. 상기의 코드배출구(17)가 몸체(15)의 타측에 삽입하게 되면 납작머리볼트(17a)로 몸체(15)에 코드배출구(17)를 고정시키게 되었다. 또한, 중심인장선고정구(19)가 그 코드배출구(17)의 중앙에 나사 결합되었다. 이때, 중심인장선고정구(19)는 광케이블(2)의 중앙에 구성된 중심인장선이 외측으로 배출되도록 결합되었다.
상기와 같이 광케이블(2)의 선단부에 결합된 광케이블연결부재(1)는 드럼에 광케이블을 감는 공장에서 작업을 완료한 상태로 광케이블(2)이 배치되는 현장으로 이송되었다. 이때의 광케이블연결부재(1)는 별도의 수납기구에 의하여 포장된 상태로 이송되었다. 상기의 수납기구는 광코드(22)까지 포함하여 내장된 상태로 이송되었다.
현장으로 이송된 광케이블(2)은 다음과 같이 분배함등에 결합되었다. 먼저, 수납기구에서 광코드(22)만을 이탈시키게 되었다. 상기 광코드(22)의 선단부에 구성된 컨넥터(23)가 분배함의 후면에 설치된 다른 컨넥터에 결합하게 되면 광케이블(2)이 분배함에 간단히 결합되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광케이블연결부재는 케이블고정구의 길이가 길게 형성되어 광케이블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기 때문에 광케이블의 보호가 원할히 이루어지지만 코드배출구의 길이는 상대적으로 짧기 때문에 광코드의 보호에 미흡하였다. 게다가 다수의 광코드가 광코드배출홈을 통하여 배출되기 때문에 유동공간이 많이 있었으며, 그 유동공간에 의하여 광섬유가 진동하게 되었으며, 진동하게 된 광섬유는 빛의 손실이 발생하여 원거리까지 정확한 신호를 전달하기에 부족한 점이 있었다.
또한, 광코드가 고정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광케이블연결부재의 내측으로 삽입되거나 광케이블연결부재의 외측으로 광코드가 이탈되기 때문에 광코드의 길이가 유동적이게 되었다. 또한, 광코드를 연결부재의 외측에서 잡아당기게 되면 광코드가 루스튜브로부터 이탈될 가능성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사정을 고려하여 착안한 것으로 광코드를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여 코드이탈을 방지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광코드가 진동되지 않도록 하여 신호를 안정적으로 전송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드럼에 감기는 광케이블의 선단부에 끼워넣는 광케이블연결부재는 몸체의 일측에 케이블고정구와 지지부 및 케이블삽입구를 구성하고, 상기 몸체의 내측에는 루스튜브와 광코드를 연결 고정한 상태로 내측에 삽입되며, 몸체의 타측에는 광코드배출홀과 중심인장선고정구를 형성하여 광코드배출홀로부터 광코드를 배출시켜 광코드의 선단에 컨넥터를 연결한 광케이블연결부재에 있어서, 코드배출구의 내측 선단에 수지몰딩부를 구성하고, 그 수지몰딩부의 중앙에 중앙고정부를 구비하며, 중앙고정부의 선단에 광코드배출홀이 다수개 구비된 광코드지지부를 형성하며, 중앙고정부와 수지몰딩부의 외측에 합성수지를 도포하여 광코드를 고정시키도록 함으로써, 광코드를 진동없이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도 1 은 종래 광케이블연결부재를 도시한 사시도.
도 2 는 종래 광케이블연결부재를 나타낸 단면도.
도 3 은 본 고안의 주요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4 는 본 고안의 광케이블연결부재를 나타낸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광케이블연결부재 2 : 광케이블
31 : 수지몰딩부 32 : 수지몰드
33 : 중앙고정부 34 : 광코드지지부
35 : 중심인장선배출홀
도 3 은 본 고안의 주요부인 코드배출구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 는 본 고안의 광케이블연결부재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때, 본 고안의 도면에서 부여된 번호 중에서 종래의 것과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였다.
상기 도면에 도시한 바와같이 드럼에 감긴 광케이블(2)의 선단부에 삽입할 수 있는 광케이블연결부재(1)를 형성하며, 광케이블(2)이 삽입되는 광케이블연결부재(1)의 몸체(15) 일측에는 원형에서 절반을 절개한 형상으로 구성한 케이블고정구(11)를 결합하며, 그 케이블고정구(11)의 상부에 덮개(14)를 덮어 고정할 수 있도록 구비하고, 그 덮개(14)는 몸체(15)에 볼트로 고정되도록 하며, 내측으로 광케이블삽입구(12)를 구비한 케이블고정구(11)는 광케이블(2)의 외측으로 지지부(13)가 돌출되도록 형성하고, 상기의 광케이블(2)은 피복을 벗겨 루스튜브(Loose Tube)로 형성된 상태에서 다른 광코드(22)에 연결 고정되도록 하며, 그 광코드(22)는 몸체(15)의 외측인 타측으로 벗어나도록 하고, 광케이블연결부재(1)의 몸체(15) 타측에는 코드배출구(17)를 몸체(15)에 납작머리볼트로 결합 가능하게 형성하고, 그 코드배출구(17)에는 중앙에 중심인장선배출홀(35)을 구비한 중심인장선고정구(19)를 구성하며, 상기의 중심인장선고정구(19)의 외측에는 다수의 광코드배출홀(18)을 구비하고, 중심인장선고정구(19)는 외측으로 점점 벌어지는 형상으로 코드배출구(17)에 결합될 때 점점 내측으로 오므라질 수 있도록 중심인장선고정구(19)가 외측으로 벌어지면서 갈라진 형상으로 구성하도록 한 것은 종래와 동일하지만 본 고안에 있어서는 코드배출구(17)에서 광케이블연결부재(1)의 내측홀(16) 방향으로 수지몰딩부(31)를 구성하고, 그 수지몰딩부(31)의 선단 중앙에 중앙고정부(33)를 구비하며, 중앙고정부(33)의 선단에 광코드배출홀(18)이 다수개 구비된 광코드지지부(34)를 형성하며, 중앙고정부(33)와 수지몰딩부(31)의 외측에 합성수지를 도포한 수지몰드(32)에 의하여 광코드(22)가 고정되도록 한 것이다. 이때, 광코드지지부(34)에서 코드배출구(17)의 타측까지 중앙에는 중심인장선(19a)이 통과할 수 있도록 중심인장선배출홀(35)을 연장시켜 구성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다음과 같이 작용하게 된다.
본 고안이 결합되는 상태는 다음과 같다. 먼저, 드럼에 감긴 광케이블(2)의 일측 선단을 광케이블연결부재(1)의 일측인 광케이블삽입구(12)에 삽입시키게 된다. 이때, 광케이블삽입구(12)는 먼저 한쪽의 케이블고정구(11)를 광케이블연결부재(1)의 일측에 삽입한 후 광케이블(2)의 선단을 삽입하게 되고, 상기 광케이블(2)이 삽입된 후에는 다시 나머지 반쪽의 케이블고정구(11)를 올려놓은 후에 덮개(14)로 덮게 된다. 상기와 같이 반쪽으로 갈라진 케이블고정구(11)를 광케이블연결부재(1)에 구성하여 광케이블(2)의 선단부를 삽입하게 될 때, 광케이블(2)이 광케이블연결부재(1)에 용이하게 삽입하게 된다. 이때, 광케이블(2)은 지지부(13)에 의하여 상기의 광케이블(2)이 광케이블연결부재(1)와 연결된 부위에서 꺽이게 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이중으로 광케이블(2)을 지지하기 때문에 상기의 광케이블(2)이 보다 안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광케이블(2)의 선단부가 광케이블연결부재(1)의 몸체(15) 내측으로 삽입되면 타측으로 그 광케이블(2)의 선단부가 돌출된다. 광케이블(2)의 선단부 피복을 벗겨 낸 후에 노출된 루스튜브(21)의 광섬유와 다른 광코드(22)의 특수튜브(24)를 연결시키게 된다. 이때, 광케이블연결부재(1)를 다시 광케이블(2)의 선단부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면 광코드(22)와의 연결부위가 몸체(15)의 내측인 내측홀(16) 내부로 삽입된다.
광케이블연결부재(1)에 광케이블(2)이 삽입되면 상기의 광케이블연결부재(1) 타측으로 코드배출구(17)를 결합하게 된다. 이때, 특수튜브(24)로 광케이블(2)의 루스튜브(21)와 연결된 광코드(22)는 광코드지지부(34)의 광코드배출홀(18)을 통하여 중앙고정부(33)의 외측으로 이탈되고, 중앙고정부(33)의 외측으로 이탈된 광코드(22)는 코드배출구(17)의 광코드배출홀(18)을 통하여 코드배출구(17)의 외측으로 이탈된다.
상기와 같이 광코드(22)가 광코드배출홀(18)을 통하여 코드배출구(17)의 외측으로 이탈되면 중앙고정부(33)와 수지몰딩부(31)의 외주면에 수지몰드(32)로 감싸게 된다. 상기의 수지몰드(32)는 용융체이기 때문에 중앙고정부(33)의 외주면과 광코드(22) 외주면의 인장력 보강재면을 흐르면서 감싸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중앙고정부(33)의 외주면부터 감싸도록 하여 광코드(22)를 전부 감싸게 된다. 이것에 의하여 광코드(22)는 수지몰드(32)로 고정되어 유동되지 않게 된다. 또한, 상기의 수지몰드(32)에 의하여 광코드(22)를 코드배출구(17)의 외측으로 잡아당기게 되어도 광코드(22)는 이동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광코드(22)는 선단부에 연결된 특수튜브(24)가 루스튜브(21)로부터 이탈되는 문제점이 제거된다.
그리고, 광코드(22)가 본 고안의 코드배출구(17)에 의하여 소정 거리 이상이 지지되도록 하여 광코드(22)가 보다 안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광코드(22)가 광코드배출홀(18)을 통하여 코드배출구(17)의 외측으로 이탈되면 중심인장선(19a)이 중심인장선배출홀(35)을 통하여 코드배출구(17) 외측으로 이탈되도록 하고, 중심인장선고정구(19)로 고정시키게 된다. 중심인장선고정구(19)는 코드배출구(17)의 중앙에 나사 결합된다. 이때, 중심인장선고정구(19)는 광케이블(2)의 중앙에 구성된 중심인장선(19a)이 외측으로 배출되도록 결합된다.
상기의 코드배출구(17)가 몸체(15)의 타측에 삽입하게 되면 납작머리볼트(17a)로 몸체(15)에 코드배출구(17)를 고정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이 광케이블(2)의 선단부에 결합된 광케이블연결부재(1)는 드럼에 광케이블을 감는 공장에서 작업을 완료한 상태로 광케이블(2)이 배치되는 현장으로 이송된다. 이때의 광케이블연결부재(1)는 별도의 수납기구에 의하여 포장된 상태로 이송된다. 상기의 수납기구는 광코드(22)까지 포함하여 내장된 상태로 이송된다.
따라서, 광케이블(2)은 드럼에 감겨있는 상태에서 수납기구 및 광케이블연결부재(1)에 의하여 안전한 상태로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된다.
현장으로 이송된 광케이블(2)은 수납기구에서 광코드(22)만을 이탈시킨 후에 광코드(22)의 선단부에 구성된 컨넥터(23)가 분배함의 후면에 설치된 다른 컨넥터에 결합하게 되면 광케이블(2)이 분배함에 간단히 결합된다. 따라서, 현장에서는 다른 작업 없이 간단하게 광코드(22)의 선단에 구성된 컨넥터(23)를 다른 컨넥터에 결합시킬 수 있게 된다.
이와같은 본 고안은 광코드를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여 코드이탈을 방지하게 되며, 광섬유가 진동되지 않도록 하여 신호를 안정적으로 전송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광케이블(2)의 선단부가 삽입되는 내측홈(16)이 구성된 광케이블연결부재(1)는 몸체(15)의 일측에 케이블고정구(11)와 지지부(13) 및 케이블삽입구(12)를 구성하고, 몸체(15)의 내측에는 광케이블(2)의 루스튜브(21)와 광코드(22)를 연결 고정한 상태로 삽입되며, 몸체(15)의 타측에는 광코드배출홀(18)과 중심인장선(19a)이 통과할 수 있도록 중심인장선배출홀(35)이 형성되어있는 중심인장선고정구(19)가 형성된 코드배출구(17)를 형성 결합하여 광코드배출홀(18)로부터 광코드(22)를 배출시켜 광코드(22)의 선단이 컨넥터(23)에 연결되도록 구성되며 광코드(22)를 지지할 수 있도록 지지부가 내부에 형성된 광케이블연결부재에 있어서,
    코드배출구(17)에서 광케이블연결부재(1)의 내측홀(16) 방향으로 수지몰딩부(31)를 구성하고, 그 수지몰딩부(31)의 선단 중앙에 중앙고정부(33)를 구비하며, 중앙고정부(33)의 선단에 광코드배출홀(18)이 다수개 구비된 광코드지지부(34)를 형성하며, 중앙고정부(33)와 수지몰딩부(31)의 외측에 합성수지를 도포한 수지몰드(32)에 의하여 광코드(22)가 고정되도록 구성하고, 광코드지지부(34)에서 코드배출구(17)의 타측까지 중앙에는 중심인장선(19a)이 통과할 수 있도록 중심인장선배출홀(35)을 연장시켜 구성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광케이블연결부재.
KR2019980003419U 1998-03-10 1998-03-10 광케이블연결부재 KR20022231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3419U KR200222315Y1 (ko) 1998-03-10 1998-03-10 광케이블연결부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3419U KR200222315Y1 (ko) 1998-03-10 1998-03-10 광케이블연결부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7614U KR19990037614U (ko) 1999-10-15
KR200222315Y1 true KR200222315Y1 (ko) 2001-05-02

Family

ID=697131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03419U KR200222315Y1 (ko) 1998-03-10 1998-03-10 광케이블연결부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2315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3079B1 (ko) 2013-06-10 2013-08-05 주식회사 재원하이텍 야전장비용 전선커넥터 및 그 제조방법
KR101356934B1 (ko) 2013-07-26 2014-01-28 김광찬 광케이블 인입 커넥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3079B1 (ko) 2013-06-10 2013-08-05 주식회사 재원하이텍 야전장비용 전선커넥터 및 그 제조방법
KR101356934B1 (ko) 2013-07-26 2014-01-28 김광찬 광케이블 인입 커넥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7614U (ko) 1999-10-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659959B2 (en) Cable closure which includes a cable sheath gripping assembly
US7228047B1 (en) Breakout and connector assemblies for use with high count fiber optic cables
RU2165095C2 (ru) Кожух в виде колпака для волоконно-оптических кабелей
EP2216662B1 (en) Splice protection device for optical splices and optical fibre cable assembly incorporating same
PL196633B1 (pl) Zespół szczelnego wlotu kabla światłowodowego
PT2772778E (pt) Ficha de fibra ótica
EP0392679B1 (en) Branch device for multi-core optical fiber
US5266742A (en) Longitudinal water-tight cable sleeve
KR200222315Y1 (ko) 광케이블연결부재
KR200396499Y1 (ko) 광단자함
KR200380997Y1 (ko) 광케이블 접속단자의 광케이블 고정장치
KR100320389B1 (ko) 광케이블 분기장치
JPH1010337A (ja) 光ケーブル接続用収納ケース
KR100904709B1 (ko) 광케이블 지지구
JP3013279B2 (ja) ケーブル収容布設具及びケーブル布設方法
KR200225338Y1 (ko) 광케이블의 분기함
TW357275B (en) Submarine fiber-optic cable joint with passive branching joint assembly
JP3798055B2 (ja) 光ファイバケーブルの分岐構造
KR100276071B1 (ko) 다심광섬유케이블용성단케이블
KR200177808Y1 (ko) 광케이블 연결부재
KR200222387Y1 (ko) 광케이블용 선단 고정구조
KR100276072B1 (ko) 다심 광섬유 케이블용 성단조립체
KR100308504B1 (ko) 외부인장선형 광케이블 분기장치
KR20050103678A (ko) 케이블 덕트 연결장치 및 이를 구비한 케이블 덕트
SU1638399A1 (ru) Захват дл установки волоконно-оптического кабел в кабельные трасс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221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