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77808Y1 - 광케이블 연결부재 - Google Patents

광케이블 연결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77808Y1
KR200177808Y1 KR2019970029179U KR19970029179U KR200177808Y1 KR 200177808 Y1 KR200177808 Y1 KR 200177808Y1 KR 2019970029179 U KR2019970029179 U KR 2019970029179U KR 19970029179 U KR19970029179 U KR 19970029179U KR 200177808 Y1 KR200177808 Y1 KR 20017780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optical cable
cable
cord
connect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2917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15848U (ko
Inventor
신중현
Original Assignee
유채준
대한전선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채준, 대한전선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유채준
Priority to KR201997002917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77808Y1/ko
Publication of KR1999001584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584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7780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77808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33Details of mounting fibres in ferrules; Assembly methods; Manufacture
    • G02B6/3834Means for centering or aligning the light guide within the ferrule
    • G02B6/3838Means for centering or aligning the light guide within the ferrule using grooves for light guid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33Details of mounting fibres in ferrules; Assembly methods; Manufacture
    • G02B6/3847Details of mounting fibres in ferrules; Assembly methods; Manufacture with means preventing fibre end damage, e.g. recessed fibre surfaces
    • G02B6/3849Details of mounting fibres in ferrules; Assembly methods; Manufacture with means preventing fibre end damage, e.g. recessed fibre surfaces using mechanical protective elements, e.g. caps, hoods, sealing membranes

Landscapes

  • Light Guides In General And Applications Therefor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광케이블의 연결부재에 관한 것으로, 드럼에 감기는 광케이블에 있어서, 광케이블의 선단부에 광케이블연결부재를 끼워넣으며, 그 광케이블연결부재에는 몸체의 일측에 케이블고정구와 지지부 및 케이블삽입홈을 구성하고, 상기 몸체의 내측에는 루스튜브와 광코드를 연결 고정한 상태로 내측에 삽입되며, 몸체의 타측에는 광코드배출홀과 중심인장선고정구를 형성하여 광코드배출홀로부터 광코드를 배출시켜 광코드의 선단에 컨넥터를 연결함으로써, 케이블을 드럼에 감아 출하하는 공장 내에서 광케이블을 점퍼코드등의 다른 광케이블과 연결시켜 현장에서 광케이블과 점퍼코드를 연결하는 작업이 제거되며, 분배함과 연결되는 현장의 작업을 최대한 적게하여 현장작업이 간단하고 신속하게 진행되도록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광케이블연결부재
본 고안은 광케이블연결부재에 관한 것으로, 특히 드럼의 외주면에 감싸여진 광케이블의 선단이 다른 연결부위에 연결되는 것을 용이하게 되도록 케이블의 선단부에 광케이블연결부재를 형성하여 삽입하고, 그 광케이블연결부재에 의하여 광코드를 배출 다른 연결부위에 보다 간편하고 용이하게 연결이 가능하도록 하고, 그 연결이 저렴한 가격으로 가능하도록 한 광케이블연결부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여러가지 신호를 빠르고 정확하게 전달하기 위하여 여러개의 광섬유를 실장한 광케이블을 선로에 설치하여 사용하여 왔다. 상기의 단결정으로 형성된 광섬유는 여러 신호를 동선등에 비하여 빠르게 전달이 가능하고, 잡음이 없어서 많은 사용자가 이용하고 있다.
종래에는 상기의 케이블을 제조하고 난 후에는 드럼에 감싸 이동하도록 하고, 설치장소로 이동된 케이블을 소정부위에 이동한 후에 연결하여 왔었다. 상기 소정부위로 이동된 광케이블에서 내측에 삽입된 코드의 광섬유를 벗겨내고, 그 광섬유를 다른 광섬유와 결합시켜 연결되도록 하였다.
상기의 광섬유를 융착으로 접속하는 방법은 특허 공고91-4713에 나타난 것과 같이 복수의 광파이버 심선을 소정의 피치로 평면 위에 정렬시키는 광파이버 심선의 정렬장치에 있어서, 복수의 광파이버 심선을 재치하기 위한 홈부와, 이 홈내에 광파이버 심선을 인도하기 위하여 홈부의 일단부에 세워 설치된 안내부재와, 광파이버 심선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하여 홈부의 일단부에 세워설치된 복수의 위치결정부재와, 위치결정부재에 의하여 홈내에 수납되어 잡아늘린 점착테이프 위에 정렬된 광파이버 심선을 순차적으로 회전함으로써 임시 암압하는 회전판을 포함해서 이루어진 위치결정수단과, 이 위치결정수단에 의하여 정렬된 광파이버 심선의 선단부를 임시로 고정하는 단부고정수단과, 복수의 광파이버 신선을 병렬로 배치된 상태로 고정하기 위한 점착테이프를 점착면이 홈부에 대면하도록 광파이버 심선의 광축과 대체로 직교하는 방향에서 공급하는 테이프 공급수단을 갖추어서 구성한 것이다.
종래의 상기와 같은 구성 특징에 의하여 위치결정수단, 단부고정수단 및 테이프 공급수단의 상호작용에 의하여, 복수의 광파이버 심선을 소정의 피치 및 순서로 간단하게 정렬시킬 수 있었다. 여기서 위치결정수단은 광파이버 심선을 순차적으로 소정의 피치 및 순서로 정렬시키고, 단부 고정수단은 정렬된 광파이버 심선을 순차적으로 임시 고정하고, 테이프 공급수단은 정렬이 완료되어, 임시로 고정된 복수의 광파이버 심선을 병렬로 배치된 상태에서 고정할 수 있는 점착테이프를 공급하도록 작용하였다.
또한, 복수의 광파이버 심선을 소정의 평면 위에 정렬시키는 광파이버 심선의 정렬장치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광파이버 심선을 점착하기 위한 점착테이프를 공급하는 테이프 공급수단과, 상기 테이프 공급수단으로부터 잡아늘린 상기 점착테이프를 상기 평면 위에 고정하는 테이프 고정수단과, 상기 테이프 고정수단에 의하여 고정된 상기 점착테이프 위에 상기 복수의 광파이버 심선을 고정하기 위하여 상기 평면과 대체로 평행하게 형성되고 복수의 광파이버 심선을 순차적으로 수납하는 홈부를 가진 광파이버 심선의 위치결정수단을 갖추어서 구성함으로써, 테이프공급수단, 테이프고정수단 및 테이프 심선 위치결정수단의 상호작용에 의하여 광파이버 심선을 간단하게 정렬시킬 수 있다. 여기서 테이프공급수단은 점착테이프를 공급하고, 테이프고정수단은 공급된 점착테이프를 소정의 평면 위에 고정하며, 광파이버 심선의 위치결정수단은 이 소정의 평면 위에 고정된 점착테이프 위에 복수의 광파이버 심선을 순차적으로 병렬위치 시키도록 작용하게 되었다.
따라서, 종래에는 상기와 같은 종래의 발명에 의하여 광케이블 내에 있는 광파이버를 점퍼코드등과 서로 연결함으로써, 광케이블의 선단에서 다른 연결 부위인 배전함이나 분배함으로 연결되도록 하였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에는 광케이블이 다른 분배함등으로 연결되도록 하는 것에 있어서, 아크용접으로 광케이블을 점퍼코드와 서로 연결 고정시키거나 종래의 발명에 의하여 광케이블을 점퍼코드와 점착시키는 방법이 있었으나, 상기의 방법은 광케이블을 점퍼코드와 용접하는 장치가 워낙 고가의 장비이고, 그 부피가 커서 이동하기 불편하다고 하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광케이블의 심선을 점퍼코드와 점착 고정시키는 종래의 방법 역시 현장에 점착시켜야 하기 때문에 장비가 현장까지 이동되어야 하는 단점을 그대로 간직하고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종래에는 특허 공고97-2813호에 제안한 바와같이 광케이블의 결합구조체 내웨 광컨넥터를 접속하고, 다른 광커넥터를 결합구조체 내에 적층 연결함으로써 광케이블을 결합구조체 내에 광파이버를 수납하도록 하였으나, 상기와 같은 다른 종래의 방법에 의하여도 현장에서 다른 광컨넥터와 연결하여야 하며, 광코드의 광섬유를 수납할 수 있으나, 광케이블 자체를 수납하지는 못하는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사정을 고려하여 착안한 것으로 케이블을 드럼에 감아 출하하는 공장 내에서 광케이블을 점퍼코드등의 다른 광 케이블과 연결시켜 현장에서 광케이블과 점퍼코드를 연결하는 작업이 제거되도록 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분배함과 연결되는 현장의 작업을 최대한 적게하여 현장작업이 간단하고 신속하게 진행되도록 하는 것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드럼에 감기는 광케이블에 있어서, 광케이블의 선단부에 광케이블연결부재를 끼워넣으며, 그 광케이블연결부재에는 몸체의 일측에 케이블고정구와 지지부 및 케이블삽입홈을 구성하고, 상기 몸체의 내측에는 루스튜브와 광코드를 연결 고정한 상태로 내측에 삽입되며, 몸체의 타측에는 광코드배출홀과 중심인장선고정구를 형성하여 광코드배출홀로 부터 광코드를 배출시켜 광코드의 선단에 컨넥터를 연결함으로써, 분배함을 연결하는 현장의 작업을 간소하도록 하는 것이다.
제1도는 본 고안의 광케이블연결부재를 도시한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광케이블연결부재를 나타낸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광케이블연결부재 2 : 광케이블
11 : 케이블고정구 13 : 지지부
15 : 몸체 18 : 광코드배출홀
22 : 광코드
도 1은 본 고안의 광케이블연결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고안의 단면도로서, 드럼에 감긴 광케이블(2)의 선단부에 삽입할 수 있는 광케이블연결부재(1)를 형성하며, 그 광케이블연결부재(1)에는 몸체(15)를 구성하며, 광케이블연결부재(1)가 광케이블(2)에 삽입되는 몸체(15) 일측에는 케이블고정구(11)를 결합하며, 그 케이블고정구(11)의 상부에 덮개(14)를 덮어 고정할 수 있도록 구비하고, 그 덮개(14)는 몸체(15)에 볼트(14a)로 고정되도록 하며, 케이블고정구(11)는 원형에서 절반을 절개한 형상으로 구성하고, 그 절반으로 절개된 케이블고정구(11)는 내측으로 광케이블삽입구(12)를 구비하며, 케이블고정구(11)는 광케이블(1)의 외측으로 지지부(13)가 돌출되도록 형성한 것이다.
또한, 광케이블연결부재(1)의 몸체(15) 내측에는 내측홀(16)을 구성하고, 그 내측홀(16)에 광케이블(2)에 삽입되도록 하며, 상기의 광케이블(2)은 피복을 벗겨 루스튜브(Loose Tube)로 형성된 상태에서 다른 특수 광코드(22)에 연결 고정되도록 하고, 그 특수 광코드(22)는 몸체(15)의 외측인 타측으로 벗어나도록 한 것이다.
그리고, 광케이블연결부재(1)의 몸체(15) 타측에는 코드배출구(17)를 몸체(15)에 납작머리볼트(17a)로 결합 가능하게 형성하고, 그 코드배출구(17)에는 중앙에 중심인장선고정구(19)를 구성하며, 상기의 중심인장선 고정구(19)의 외측에는 다수의 광코드배출홀(18)을 구비한 것이다. 광코드배출홀(18)의 형상은 원형이나 타원형 또는 사각형등으로 형성하여도 되고, 그 이외에 부채살 형상의 갈라진 모습을 하여도 되는 것으로 특수 광코드(22)가 광케이블연결부재(1)의 외측으로 이탈시킬 수 있는 형상이면 족하다. 또한 중심인장선 고정구(19)는 외측으로 점점 벌어지는 형상으로 코드배출구(17)에 결합될 때 점점 내측으로 오므라질 수 있도록 중심인장선 고정구(19)가 외측으로 벌어지면서 갈라진 형상으로 구성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다음과 같이 작용하게 된다.
본 고안이 결합되는 상태는 다음과 같다. 먼저, 드럼에 감긴 광케이블(2)의 일측 끝단을 광케이블연결부재(1)의 일측인 광케이블삽입구(12)에 삽입시키게 된다. 이때, 광케이블삽입구(12)는 먼저 한쪽의 케이블고정구(11)를 광케이블연결부재(1)의 일측에 삽입한 후 광케이블(2)의 선단을 삽입하게 되고, 상기 광케이블(2)이 삽입된 후에는 다시 나머지 반쪽의 케이블고정구(11)를 올려놓은 후에 덮개(14)로 덮게 된다. 상기와 같이 반쪽으로 갈라진 케이블고정구(11)를 광케이블연결부재(1)에 구성하여 광케이블(2)의 선단부를 삽입하게 될 때, 광케이블(2)이 광케이블연결부재(1)에 용이하게 삽입하게 된다. 이때, 광케이블(2)은 지지부(13)에 의하여 상기의 광케이블(2)이 광케이블연결부재(1)와 연결된 부위에서 꺽이게 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이중으로 광케이블(2)을 지지하기 때문에 상기의 광케이블(2)이 보다 안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광케이블(2)의 선단부가 광케이블연결부재(1)의 몸체(15) 내측으로 삽입되면 타측으로 그 광케이블(2)의 선단부가 돌출되도록 하게 된다. 광케이블(2)의 선단부 피복을 벗겨 낸 후에 노출된 루스코드(21)의 광섬유와 다른 광코드(22)의 특수튜브(24)를 연결시키게 된다. 이때, 광케이블연결부재(1)를 다시 광케이블(2)의 선단부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면 광코드(22)와의 연결부위가 몸체(15)의 내측인 내측홀(16) 내부로 삽입된다.
광케이블연결부재(1)에 광케이블(2)이 삽입되면 상기의 광케이블연결부재(1) 타측으로 코드배출구(17)를 결합하게 된다. 이때, 루스튜브(21)와 결합 고정하기 전 상태의 특수 광코드(22)를 미리 코드배출홈(18)에서 외측으로 길게 늘어놓게 된다. 상기의 코드배출구(17)가 몸체(15)의 타측에 삽입하게 되면 납작머리볼트(17a)로 몸체(15)에 코드배출구(17)를 고정시키게 된다. 또한, 중심인장선고정구(19)가 그 코드배출구(17)의 중앙에 나사 결합된다. 이때, 중심인장선고정구(19)는 광케이블(2)의 중앙에 구성된 중심인장선이 외측으로 배출되도록 결합된다.
상기와 같이 광케이블(2)의 선단부에 결합된 광케이블연결부재(1)는 드럼에 광케이블을 감는 공장에서 작업을 완료한 상태로 광케이블(2)이 배치되는 현장으로 이송된다. 이때의 광케이블연결부재(1)는 별도의 수납기구에 의하여 포장된 상태로 이송된다. 상기의 수납기구는 광코드(22)까지 포함하여 내장된 상태로 이송된다.
따라서, 광케이블(2)은 드럼에 감겨있는 상태에서 수납기구 및 광케이블연결부재(1)에 의하여 안전한 상태로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된다.
현장으로 이송된 광케이블(2)은 다음과 같이 분배함등에 결합된다. 먼저, 수납기구에서 광코드(22)만을 이탈시키게 된다. 상기 광코드(22)의 선단부에 구성된 컨넥터(23)가 분배함의 후면에 설치된 다른 컨넥터에 결합하게 되면 광케이블(2)이 분배함에 간단히 결합된다. 따라서, 현장에서는 다른 작업 없이 간단하게 수납기구에서 광코드(22)만을 이탈시켜 그 광코드(22)의 선단에 구성된 컨넥터(23)를 다른 컨넥터에 결합시키기만 하면 된다.
이와같은 본 고안은 광케이블을 드럼에 감아 출하하는 공장내에서 광케이블을 점퍼코등의 다른 광케이블과 연결시켜 현장에서 광케이블과 점퍼코드를 연결하는 문제점을 제거하며, 분배함과 연결되는 현장의 작업을 최대한 적게하여 현장작업이 간단하고 신속하게 진행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드럼에 감기는 광케이블에 있어서, 광케이블의 선단부에 광케이블연결부재를 끼워넣으며, 그 광케이블연결부재에는 몸체의 일측에 케이블고정구와 지지부 및 케이블삽입홈을 구성하고, 상기 몸체의 내측에는 광케이블의 루스튜브와 광코드를 연결 고정한 상태로 삽입되며, 몸체의 타측에는 광코드배출홀과 중심인장선고정구가 형성된 코드배출구를 형성 결합하여 광코드배출홀로부터 광코드를 배출시켜 광코드의 선단이 컨넥터에 연결되도록 구성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광케이블연결부재.
KR2019970029179U 1997-10-21 1997-10-21 광케이블 연결부재 KR20017780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9179U KR200177808Y1 (ko) 1997-10-21 1997-10-21 광케이블 연결부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9179U KR200177808Y1 (ko) 1997-10-21 1997-10-21 광케이블 연결부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5848U KR19990015848U (ko) 1999-05-15
KR200177808Y1 true KR200177808Y1 (ko) 2000-04-15

Family

ID=195123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29179U KR200177808Y1 (ko) 1997-10-21 1997-10-21 광케이블 연결부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77808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5848U (ko) 1999-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674797B1 (en) Cable fixture assembly for fastening at least one cable at a cable carrier as well as a splitter comprising such cable fixture assembly
US20080069513A1 (en) Fiber optic cable entry device
JPS63287916A (ja) 複合ケ−ブルの端末部
KR200396499Y1 (ko) 광단자함
JP2004061713A (ja) 光ケーブル接続用クロージャ
WO2000008498A1 (fr) Dispositif de branchement d'un cable optique multifibre et procede d'embranchement mettant en oeuvre ledit dispositif
KR200177808Y1 (ko) 광케이블 연결부재
KR100320386B1 (ko) 고심선용광성단케이블분기장치및그것을이용한분기방법
JP4800085B2 (ja) 光クロージャ
KR200294692Y1 (ko) 광단자함
KR100320389B1 (ko) 광케이블 분기장치
GB2210472A (en) Optical fibre package termination assembly
KR100305379B1 (ko) 광성단케이블 분기장치
KR100271825B1 (ko) 광선단 케이블 처리구조
KR200222387Y1 (ko) 광케이블용 선단 고정구조
JPH0350242B2 (ko)
CN215494266U (zh) 一种室内光缆快速预端接接续到户到点盒
KR20020015186A (ko) 오엔유 케이블 접속장치
JP2001242323A (ja) 光ファイバケーブルの取付構造および取付方法
JP2004054148A (ja) 分岐ケーブル接続部用クロージャ
KR100274803B1 (ko) 광 케이블의 응급복구 장치
KR100308504B1 (ko) 외부인장선형 광케이블 분기장치
JPS6172204A (ja) 制御装置内の光フアイバ−布設法
KR20000047117A (ko) 광케이블 분기장치 및 그 사용방법
JP3955804B2 (ja) 光ケーブル接続用クロージャ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131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