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05379B1 - 광성단케이블 분기장치 - Google Patents

광성단케이블 분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05379B1
KR100305379B1 KR1019990002324A KR19990002324A KR100305379B1 KR 100305379 B1 KR100305379 B1 KR 100305379B1 KR 1019990002324 A KR1019990002324 A KR 1019990002324A KR 19990002324 A KR19990002324 A KR 19990002324A KR 100305379 B1 KR100305379 B1 KR 1003053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optical
housing
fiber
cla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023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51728A (ko
Inventor
권오준
전용한
Original Assignee
김진찬
주식회사 머큐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진찬, 주식회사 머큐리 filed Critical 김진찬
Priority to KR10199900023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05379B1/ko
Publication of KR200000517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517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053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05379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33Details of mounting fibres in ferrules; Assembly methods; Manufacture
    • G02B6/3855Details of mounting fibres in ferrules; Assembly methods; Manufacture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anchoring or fixing the fibre within the ferrule
    • G02B6/3858Clamping, i.e. with only elastic deforma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1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of the ferrule type, e.g. fibre ends embedded in ferrules, connecting a pair of fibres
    • G02B6/3825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of the ferrule type, e.g. fibre ends embedded in ferrules, connecting a pair of fibres with an intermediate part, e.g. adapter, receptacle, linking two plug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33Details of mounting fibres in ferrules; Assembly methods; Manufacture
    • G02B6/3834Means for centering or aligning the light guide within the ferrule
    • G02B6/3835Means for centering or aligning the light guide within the ferrule using discs, bushings or the like
    • G02B6/3837Means for centering or aligning the light guide within the ferrule using discs, bushings or the like forwarding or threading methods of light guides into apertures of ferrule centering mea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33Details of mounting fibres in ferrules; Assembly methods; Manufacture
    • G02B6/3847Details of mounting fibres in ferrules; Assembly methods; Manufacture with means preventing fibre end damage, e.g. recessed fibre surfaces
    • G02B6/3849Details of mounting fibres in ferrules; Assembly methods; Manufacture with means preventing fibre end damage, e.g. recessed fibre surfaces using mechanical protective elements, e.g. caps, hoods, sealing membran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69Mounting ferrules to connector body, i.e. plugs
    • G02B6/387Connector plugs comprising two complementary members, e.g. shells, caps, covers, locked together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73Connectors using guide surfaces for aligning ferrule ends, e.g. tubes, sleeves, V-grooves, rods, pins, balls
    • G02B6/3874Connectors using guide surfaces for aligning ferrule ends, e.g. tubes, sleeves, V-grooves, rods, pins, balls using tubes, sleeves to align ferrules

Abstract

본 발명은 광성단케이블 분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광성단케이블로부터 분기된 각각의 단심광섬유 끝단에 소정의 광커넥터가 설치되어 ONU박스와 접속이 용이하도록 하는 것과, 분기장치를 설치하는 과정에서 비틀림 응력 등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내부에 출구쪽으로 빠지지 않도록 소정의 걸림턱이 형성된 수납부가 마련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걸림턱에 걸려져 수납부에 제자리 회동되도록 설치되고, 내부에는 길이방향으로 나란하게 형성된 다수개의 정열구멍과, 인장선 고정공 마련된 광코드고정기와, 상기 광코드고정기의 정열구멍에 끼워져 그 내부로 광성단케이블로부터 분기된 각각의 광섬유가 삽입되는 다수개의 플랙시블튜브와, 상기 각각의 광섬유 끝단에 설치된 다수개의 광커넥터와, 상기 하우징의 입구에 설치되고, 외측면에는 소정길이 돌출된 테이퍼부와 상기 테이퍼부로부터 중심선방향으로 연장되어 인입된 광성단케이블의 외피를 잡아주도록 이루어진 클램프부가 마련된 케이블클램프와, 내주면에는 상기 케이블클램프의 테이퍼부와 대응되는 소정의 가압부가 마련되어 상기 클램프부를 중심선방향으로 오므러들도록 가압하는 케이블어댑터로 이루어진 특징을 갖는다.
이상의 본 발명을 적용하게 되면, 상기 광성단케이블로부터 분기된 각각의 단심광섬유 끝단에는 소정의 광커넥터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ONU박스에 접속하여 선로를 구성하는 작업이 매우 용이하며, 상기 분기장치를 설치하는 과정에서 광성단케이블로부터 분기된 각각의 단심광섬유에는 비틀림응력이 작용되지 않으므로, 광섬유가 훼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광성단케이블 분기장치{Splitter of optical cable}
본 발명은 광성단케이블 분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케이블 TV나 종합유선망 또는 중계유선 선로망의 ONU(optical network unit)박스에 접속되는 광성단케이블의 분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광통신은 빛을 전송하여 정보를 교환하는 것으로, 유리 섬유로 된 광섬유가 매개체가 되어 현재의 동축케이블에 의한 전기 통신에 비해 수만배의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광케이블은 설치장소에 따라 옥외에 포설되는 옥외용 케이블과 옥내의 단자함으로부터 장비까지 연결되는 옥내용 케이블 및 옥외의 접속함으로부터 옥내의 단자함으로 인입되는 인입용 케이블로 크게 구분된다.
옥외용 케이블은 다시 공중에 설치되는 케이블과, 지하에 매설되는 케이블, 및 해저에 설치되는 케이블로 구분된다. 옥내용 케이블은 빌딩과 같은 건축물의 내부 즉, 천장 혹은 바닥, 벽 등에 설치하는 케이블이고, 인입용 케이블은 옥외용 케이블과 옥내용 케이블간을 연결하는 케이블로서, 근거리 지역간 접속을 위해 사용된다.
상기 인입용 케이블은 옥외용 케이블의 접속함체로부터 옥내의 단자함으로 연결되는 광케이블로서 광성단케이블이 많이 사용되며, 이러한 광성단케이블은 그 내부에 내장된 각 광섬유가 구내 단자함의 접속단자에 일대 일로 대응되도록 접속되어야 하기 때문에 어느 지점에서 다수개의 단심광섬유로 분기되어야 하며, 이렇게 다심광섬유가 단심광섬유로 분기되는 지점의 광섬유를 보호하기 위해 일정 형태의 분기장치가 설치된다.
도 1은 종래의 ONU박스에 접속되는 광성단케이블 분기장치의 사시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상기 ONU박스(60)는 케이블TV 또는 중계유선 방송국으로부터 공급되는 프로그램을 다수의 가입자에게 공급해 주는 장치로서, 방송국으로부터 전송되는 메인 광케이블로부터 소정의 접속함체(80)에 의해 분기된 광성단케이블(50)에 접속되어 다수의 가입자에게 프로그램을 공급하게 된다.
이러한 광성단케이블(50)을 ONU박스(60)에 접속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광성단케이블(50)에 내장된 각각의 단심광섬유(53)가 ONU박스(60) 내부의 장비와 일대일로 접속되어야 한다.
따라서, 종래에는 상기 ONU박스(60)에 인입되는 광성단케이블(50)의 분기부에 원통형으로 된 소정의 분기장치(70)가 설치되어 분기부를 보호하도록 이루어진다.
그러나, 이러한 분기장치(70)는 단순히 광성단케이블(50)의 분기부를 둘러싸는 원통형 부재로 이루어지므로, 이러한 분기장치(70)에 의해 분기된 각각의 단심광섬유(53)는 ONU박스(60) 내부의 장비에 융착 접속되어야 한다.
따라서, 상기 광성단케이블(50)을 ONU박스(60) 내부의 장비와 접속하기 위해서는 작업자가 전주에 올라가 일일이 융착 접속하여야 하며, 특히, 이러한 접속작업은 광섬유 내부의 약 125㎛의 굵기로 된 코어를 서로 접속되도록 하여야 하므로 매우 정밀하게 이루어져야 하는데, 전주에 올라가 이러한 정밀한 접속작업을 하여야 하므로, 작업이 매우 까다로우며, 작업 효율이 현저히 저하된다.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광성단케이블로부터 분기된 각각의 단심광섬유 끝단에 미리 광커넥터가 설치되어 ONU박스와 접속이 용이하도록 된 광성단케이블의 분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분기장치를 설치하는 과정에서 비틀림 응력 등이 발생되지 않아 분기된 각각의 단심광섬유가 훼손되지 않도록 된 광성단케이블 분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ONU박스에 접속되는 광성단케이블 분기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광성단케이블 분기장치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광성단케이블 분기장치의 분리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광성단케이블 분기장치 변형예의 분리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광성단케이블 분기장치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광성단케이블 분기장치 변형예의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10 : 하우징11 : 수납부
11a : 요홈12 : 걸림턱
13 : 입구14 : 출구
15 : 결합부20 : 광코드고정기
21 : 인장선 고정공23 : 정열구멍
24 : 플랙시블튜브27 : 광커넥터
30 : 케이블클램프32 : 지지보스
34 : 테이퍼부35 : 클램프부
40 : 케이블어댑터44 : 조임부
50 : 광성단케이블51 : 중심인장선
53 : 광섬유60 : ONU(optical network unit)박스
65 : 인입구
본 발명은 광성단케이블을 다수개의 광섬유로 분기하는 광성단케이블 분기장치에 있어서, 일측단으로부터 소정구간 내주면에는 나선홈을 갖는 입구가 마련되고, 타측단에는 출구가 마련되며, 내부에는 출구쪽으로 빠지지 않도록 소정의 걸림턱이 형성된 수납부가 마련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걸림턱에 걸려져 수납부에 제자리 회동되도록 설치되고, 내부에는 길이방향으로 나란하게 형성된 다수개의 정열구멍과, 인장선 고정공 마련된 광코드고정기와, 상기 광코드고정기의 정열구멍에 끼워져 설치되고, 그 내부에는 광성단케이블로부터 분기된 각각의 광섬유가 삽입되도록 이루어진 다수개의 플랙시블튜브와, 상기 플랙시블튜브에 삽입되어 분기된 각각의 광섬유 끝단에 설치된 다수개의 광커넥터와, 상기 하우징의 입구에 설치되고, 외측면에는 소정길이 돌출된 테이퍼부와 상기 테이퍼부로부터 중심선방향으로 연장되어 인입된 광성단케이블의 외피를 잡아주도록 이루어진 클램프부가 마련된 케이블클램프와, 외주면상에 소정의 나사부가 마련되어 상기 하우징의 입구에 나선 결합되고, 내주면에는 상기 케이블클램프의 테이퍼부와 대응되는 소정의 가압부가 마련되어 상기 클램프부를 중심선방향으로 오므러들도록 가압하는 케이블어댑터로 이루어진 특징을 갖는다.
본 발명에서 상기 케이블클램프의 내측면에는 상기 광코드고정기를 향해 일정 길이 연장된 지지보스가 형성되어 상기 광코드고정기가 하우징의 걸림턱과 케이블클램프의 지지보스 사이에 위치되도록 이루어진 특징을 갖는다.
본 발명에서 상기 하우징의 수납부 내주면상에는 소정 깊이의 요홈이 형성되며, 상기 케이블클램프의 지지보스에는 길이방향으로 절개된 절결홈이 형성되고, 지지보스의 끝단부에는 상기 요홈에 결합되는 경사턱이 형성되어 상기 케이블클램프가 하우징 내부에 삽입되어 설치되면, 입구쪽으로 빠지지 않도록 이루어진 특징을 갖는다.
본 발명에서 상기 광코드고정기의 일측면에는 소정 깊이의 몰딩홈이 마련되어 각각의 광섬유심선이 삽입된 플랙시블튜브를 에폭시수지로 고정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특징을 갖는다.
본 발명에서 상기 하우징과 피고정물 사이 및 케이블클램프와 케이블어댑터사이에는 소정의 실링부재가 삽입되어 외부로부터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이루어진 특징을 갖는다.
본 발명에서 상기 하우징은 그 외형이 육각형으로 이루어져 상기 하우징을 피고정물에 나선결합하기 용이하도록 이루어진 특징을 갖는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광성단케이블 분기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광성단케이블 분기장치의 분리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광성단케이블 분기장치 변형예의 분리사시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상기 광성단케이블의 분기장치는 광성단케이블(50)에 내장된 다수개의 단심광섬유(53)를 광코드고정기(20)에 설치된 플랙시블튜브(24) 내부로 삽입하여 각각의 단심광섬유(53)로 분기하게 된다.
이러한 광성단케이블 분기장치는 내부에 원통형 수납부(11)가 마련된 하우징(10)과, 다수개의 정열구멍(23)이 마련되어 상기 하우징의 수납부(11)에 설치되는 광코드고정기(20)와, 상기 광코드고정기의 정열구멍(23)에 설치되어 각각의 단심광섬유(53)를 보호하는 다수개의 플랙시블튜브(24)와, 상기 플랙시블튜브(24)에 삽입되어 분기된 각각의 단심광섬유(53) 끝단에 설치되는 다수개의 광커넥터(27)와, 상기 하우징의 입구(13)에 설치되어 광성단케이블(50)의 외피를 잡아주는 케이블클램프(30)와, 상기 케이블클램프(30)의 클램프부(35)를 중심선방향으로 오므러들도록 가압하는 케이블어댑터(40)로 이루어진다.
상기 하우징(10)은 일측단으로부터 소정구간에 걸쳐 나선홈이 형성된 입구(13)가 마련되고, 타측단부에는 외주면상에 나사산이 형성된 소정의 결합부(15)가 마련되어 피고정물인 ONU박스의 인입구(65)에 나선 결합되며, 이러한 하우징의 결합부(15)쪽 내부에는 광성단케이블(50)로부터 분기된 각각의 단심광섬유(53)가 배출되는 출구(14)가 마련된다.
이러한 하우징(10)의 내부에는 소정 구간에 걸쳐 원통형의 수납부(11)가 마련되며, 상기 하우징(10)의 출구(14)쪽에는 수납부(11)에 설치된 광코드고정기(20)가 출구(14)쪽으로 빠지지 않도록 소정의 걸림턱(12)이 형성된다.
상기 광코드고정기(20)는 그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관통된 다수개의 정열구멍(23)과, 인장선 고정공(21)이 마련되어 상기 하우징(10)의 수납부(11)에 제자리 회동되도록 설치된다.
이러한 광코드고정기(20)의 일측에는 소정 깊이의 몰딩홈(25)이 마련되어 광성단케이블(50)로부터 분기된 각각의 단심광섬유(53)를 에폭시수지로 몰딩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플랙시블튜브(24)는 광코드고정기의 정열홈(23)에 끼워진 상태에서 경화제에 의해 고정되며, 그 내부를 통해 각각의 단심광섬유(53)가 끼워져 분기되도록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플랙시블튜브(24)를 통해 분기된 각각의 단심광섬유(53) 끝단에는 소정의 광커넥터(27)가 설치된다.
상기 케이블클램프(30)는 상기 하우징의 입구(13)에 삽입되어 설치되며, 외측면에는 소정길이 클램프부(35)가 마련되는 데, 이러한 클램프부(35)는 광성단케이블(50)이 인입되는 반대방향으로 돌출되면서 중심선 방향으로 오므러들도록 소정 각도의 테이퍼를 이루는 테이퍼부(34)와, 상기 테이퍼부(34) 끝단에서 중심선방향으로 연장된 상태에서 그 중심부에는 상기 광성단케이블(50)이 인입되는 인입구(37)가 형성된 플랜지(36) 및 상기 인입구(37)로부터 하우징(10)의 내측방향으로 연장되어 인입된 광성단케이블(50)의 외주면에 밀착되는 보스(38)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클램프부(35)에는 길이방향으로 절개된 다수개의 절결홈(39)이 마련되어 상기 케이블어댑터(40)가 클램프부(35)를 중심선 방향으로 가압하게 되면, 상기 클램프부(35)는 절개홈(39)을 중심으로 일정하게 탄성 변형되면서 중심선 방향으로 오므러들게 된다.
이러한 케이블클램프(30)의 내측면에는 상기 광코드고정기(20)를 향해 일정 길이 연장된 지지보스(32)가 형성되어 상기 광코드고정기(20)가 하우징의 걸림턱(12)과 케이블클램프(30)의 지지보스(32) 사이에 위치되어 제자리 회동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케이블어댑터(40)는 선단부 외주면상에 상기 하우징(10)의 입구(13)에 나선 결합되는 나사부(43)가 형성되고, 상기 나사부(43)의 선단으로부터는 상기 케이블클램프의 테이퍼부(34)와 대응되는 형태의 조임부(44)가 마련되어 상기 케이블어댑터의 클램프부(35)를 중심선방향으로 오므러들도록 가압하게 된다.
상기 케이블어댑터(40)의 나사부(43) 후방 외주면은 하우징(10)의 외형과 대응되는 육각형의 플랜지(45)가 마련되고, 중심축선상에는 광성단케이블(50)이 인입되는 인입구(47)가 마련된다.
따라서, 상기 케이블어댑터(40)를 케이블클램프(30)에 밀착되도록 조이게 되면, 상기 케이블어댑터의 조임부(44)가 케이블클램프의 클램프부(35)를 중심선방향으로 오므러들도록 가압하여 광성단케이블의 외피(55)를 잡아줄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하우징의 결합부(15) 내측단부 및 케이블클램프(30)와 케이블어댑터(40) 사이에는 소정의 실링부재(16)(48)(49)가 삽입되어 외부로부터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이루어진다.
한편, 본 발명의 변형예에서는 상기 하우징의 수납부(11) 내주면상에 소정의 요홈(11a)이 형성된다.
상기 케이블클램프(30)의 지지보스(32)는 길이방향으로 절개된 절결홈(32a)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보스(32)의 끝단에는 내측으로 턱을 이루는 경사턱(31a)이 마련되어 케이블클램프(30)를 하우징(10)의 내부에 삽입하게 되면, 상기 지지보스(32)가 절결홈(32a)을 중심으로 자체의 탄성에 의해 오므러든 상태에서 삽입되고, 일단 설치되면 상기 경사턱(31a)이 수납부의 요홈(11a)에 걸려 다시 하우징의 입구(13)쪽으로 빠지지 않도록 이루어진다.
이상의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의 작용예에 대해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광성단케이블 분기장치의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광성단케이블 분기장치 변형예의 단면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분기장치에 의한 광성단케이블의 분기방법은 광성단케이블(50)의 외주면상에 케이블어댑터(40)와 케이블클램프(30)를 차례로 삽입하여 일정길이 내측에 위치되도록 하고, 상기 광코드고정기(20)의 정열구멍(23)에 플랙시블튜브(24)를 삽입하여 설치하게 된다.
이어서, 상기 광성단케이블(50)의 중심인장선(51)을 광코드고정기(20)의 중심인장선 고정홈(21)에 삽입하여 강력 접착제로 고정하고, 광코드고정기(20)에 설치된 플랙시블튜브(24) 내부로 광성단케이블(50)로부터 분기된 다수개의 단심광섬유(53)를 차례로 삽입하여 분기하며, 상기 광코드고정기의 몰딩홈(25)에 에폭시수지를 주입하여 플랙시블튜브(24)를 고정하게 된다.
이와 같이 플랙시블튜브(24)에 끼워져 분기된 각각의 단심광섬유(53) 끝단에 단심 광커낵터(27)를 설치하고, 이러한 단심광섬유(53)를 하우징(10)의 내부와, ONU박스의 인입구(65)를 통과하도록 하여 ONU박스(60) 내부에 접속하게 된다.
상기 하우징의 결합부(15)를 피고정물인 ONU박스의 인입구(65)에 나선 결합하여 설치하고, 이러한 하우징의 수납부(11)에 광코드고정기(20)가 위치되도록 한 상태에서 하우징의 입구(13)에 케이블클램프(30)를 삽입한 후 케이블어댑터(40)를 나선 결합하여 조립하게 된다.
이때, 상기 광코드고정기(20)는 하우징의 걸림턱(12)과 케이블클램프의 지지보스(32) 사이에 위치되어 고정되고, 상기 케이블어댑터의 조임부(44)가 케이블클램프의 클램프부(35)를 중심선방향으로 오무러들도록 가압하게 되므로, 케이블어댑터(40)와 케이블클램프(40)의 인입구(47)(37)를 통해 인입된 광성단케이블의 외피(55)를 상기 클램프부(35)가 일정한 힘으로 잡아주게 된다.
따라서, 상기 광성단케이블의 외피(55)는 케이블클램프의 클램프부(35)에 의해 물려져 있는 상태이므로, 외피(55)가 외부의 온도변화에 의해 그 길이방향으로 수축되려하여도, 상기 클램프부(35)에 의해 고정되므로 수축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본 발명의 변형예에서는 상기 케이블클램프(30)의 지지보스(32)상에 길이방향으로 절개된 절결홈(32a)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보스(32)의 끝단에는 내측으로 턱을 이루는 경사턱(31a)이 마련되어 상기 케이블클램프(30)를 하우징의 수납부(11)에 삽입하게 되면, 상기 지지보스(32)가 절결홈(32a)을 중심으로 자체의 탄성에 의해 오므러든 상태로 삽입되어 설치되고, 상기 경사턱(31a)이 수납부의 요홈(11a)에 걸려 하우징의 입구(13)쪽으로 빠지지 않게 된다.
이러한 조립 과정에서 상기 광성단케이블(50)로부터 분기된 각각의 단심광섬유(53)는 꼬여지지 않게 되므로 조립과정에서 발생되는 불량율이 감소되고, 이러한 분기장치를 이용하여 광성단케이블(50)로부터 분기된 각각의 단심광섬유(53)의 끝단에는 소정의 광커넥터(27)가 설치되어 직접 ONU박스(60) 내부에 접속될 수 있으므로 선로 구성이 매우 용이하다.
이상의 본 발명을 적용하게 되면, 상기 광성단케이블로부터 분기된 각각의 단심광섬유 끝단에는 소정의 광커넥터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ONU박스에 접속하여 선로를 구성하는 작업이 매우 용이하다.
또한, 상기 분기장치를 설치하는 과정에서 광성단케이블로부터 분기된 각각의 단심광섬유에는 비틀림응력이 작용되지 않으므로, 광섬유가 훼손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Claims (6)

  1. 광성단케이블(50)을 다수개의 광섬유(53)로 분기하는 광성단케이블 분기장치에 있어서,
    일측단으로부터 소정구간 내주면에는 나선홈을 갖는 입구(13)가 마련되고, 타측단부에는 출구(14)가 마련되며, 내부에는 출구(14)쪽으로 빠지지 않도록 소정의 걸림턱(12)이 형성된 수납부(11)가 마련된 하우징(10)과;
    상기 하우징의 걸림턱(12)에 걸려져 수납부(11)에 제자리 회동되도록 설치되고, 내부에는 길이방향으로 나란하게 형성된 다수개의 정열구멍(23)과 인장선 고정공(21)이 마련된 광코드고정기(20)와;
    상기 광코드고정기의 정열구멍(23)에 끼워져 설치되고, 그 내부에는 광성단케이블(50)로부터 분기된 각각의 광섬유(53)가 삽입되도록 이루어진 다수개의 플랙시블튜브(24)와;
    상기 플랙시블튜브(24)에 삽입되어 분기된 각각의 광섬유(53) 끝단에 설치된 다수개의 광커넥터(27)와;
    상기 하우징의 입구(13)에 설치되고, 외측면에는 소정길이 돌출된 테이퍼부(34)와 상기 테이퍼부(34)로부터 중심선방향으로 연장되어 인입된 광성단케이블(50)의 외피(55)를 잡아주도록 이루어진 클램프부(35)가 마련된 케이블클램프(30)와;
    외주면상에 소정의 나사부(43)가 마련되어 상기 하우징의 입구(13)에 나선결합되고, 내주면에는 상기 케이블클램프의 테이퍼부(34)와 대응되는 소정의 조임부(44)가 마련되어 상기 클램프부(35)를 중심선방향으로 오므러들도록 가압하는 케이블어댑터(4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성단케이블 분기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클램프(30)의 내측면에는 상기 광코드고정기(20)를 향해 일정 길이 연장된 지지보스(32)가 형성되어 상기 광코드고정기(20)가 하우징의 걸림턱(12)과 케이블클램프의 지지보스(32) 사이에 위치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성단케이블 분기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수납부(11) 내주면상에는 소정 깊이의 요홈(11a)이 형성되며, 상기 케이블클램프(30)의 지지보스(32)에는 길이방향으로 절개된 절결홈(32a)이 형성되고, 지지보스(32)의 끝단부에는 상기 요홈(11a)에 결합되는 경사턱(31a)이 형성되어 상기 케이블클램프(30)가 하우징 내부에 삽입되어 설치되면, 입구(13)쪽으로 빠지지 않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성단케이블 분기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광코드고정기(20)의 일측면에는 소정 깊이의 몰딩홈(25)이 마련되어 각각의 광섬유(53)가 삽입된 플랙시블튜브(24)를 에폭시수지로 고정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성단케이블 분기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0)과 피고정물 사이 및 케이블클램프(30)와 케이블어댑터(40) 사이에는 소정의 실링부재(16)(48)(49)가 삽입되어 외부로부터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성단케이블 분기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0)은 그 외형이 육각형으로 이루어져 상기 하우징(10)을 피고정물에 나선결합하기 용이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성단케이블 분기장치.
KR1019990002324A 1999-01-26 1999-01-26 광성단케이블 분기장치 KR1003053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02324A KR100305379B1 (ko) 1999-01-26 1999-01-26 광성단케이블 분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02324A KR100305379B1 (ko) 1999-01-26 1999-01-26 광성단케이블 분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51728A KR20000051728A (ko) 2000-08-16
KR100305379B1 true KR100305379B1 (ko) 2001-09-26

Family

ID=195723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02324A KR100305379B1 (ko) 1999-01-26 1999-01-26 광성단케이블 분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0537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6934B1 (ko) 2013-07-26 2014-01-28 김광찬 광케이블 인입 커넥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15186A (ko) * 2000-08-21 2002-02-27 김기성 오엔유 케이블 접속장치
KR100385562B1 (ko) * 2001-03-23 2003-05-27 엘지전선 주식회사 광성단 케이블 분기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6934B1 (ko) 2013-07-26 2014-01-28 김광찬 광케이블 인입 커넥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51728A (ko) 2000-08-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75219B2 (en) Connector device and method for producing a furcated fibre optic cable
US7740409B2 (en) Multi-port optical connection terminal
RU2597075C2 (ru) Коннектор для телекоммуникационных корпусов
CN101636679B (zh) 光纤电缆入口器件以及通信封装件系统
WO2021018015A1 (zh) 一种光纤连接头以及光纤连接器
US9817195B2 (en) Cable sealing device
US20100202748A1 (en) hauling shroud for hauling fibre optic cable along a conduit
JP2008501153A (ja) 光ファイバ配線ケーブルの調節可能なテザー組立体
WO2000008498A1 (fr) Dispositif de branchement d'un cable optique multifibre et procede d'embranchement mettant en oeuvre ledit dispositif
KR100305379B1 (ko) 광성단케이블 분기장치
KR100320386B1 (ko) 고심선용광성단케이블분기장치및그것을이용한분기방법
KR100320389B1 (ko) 광케이블 분기장치
KR101132835B1 (ko) 광 커넥터
US11906795B2 (en) Fiber optic connector assembly with crimp tube subassembly and method of use
KR100320408B1 (ko) 광케이블분기장치및그사용방법
US6561700B1 (en) Fiber optic cable splice apparatus and method
KR100308504B1 (ko) 외부인장선형 광케이블 분기장치
GB2210472A (en) Optical fibre package termination assembly
KR20020015186A (ko) 오엔유 케이블 접속장치
KR20000047102A (ko) 광케이블 분기장치
KR100441661B1 (ko) 팬아웃코드
KR200222387Y1 (ko) 광케이블용 선단 고정구조
KR19990017500A (ko) 광선단 케이블 처리구조
KR20000047110A (ko) 광케이블 분기장치
KR100272771B1 (ko) 외부인장선형 광케이블의 성단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70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