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08504B1 - 외부인장선형 광케이블 분기장치 - Google Patents

외부인장선형 광케이블 분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08504B1
KR100308504B1 KR1019980063859A KR19980063859A KR100308504B1 KR 100308504 B1 KR100308504 B1 KR 100308504B1 KR 1019980063859 A KR1019980063859 A KR 1019980063859A KR 19980063859 A KR19980063859 A KR 19980063859A KR 100308504 B1 KR100308504 B1 KR 1003085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nsion line
optical cable
branch member
external tension
exter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638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47095A (ko
Inventor
권오준
Original Assignee
김진찬
주식회사 머큐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진찬, 주식회사 머큐리 filed Critical 김진찬
Priority to KR10199800638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08504B1/ko
Publication of KR200000470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470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085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08504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4Mechanical structures for providing tensile strength and external protection for fibres, e.g. optical transmission cables
    • G02B6/4439Auxiliary devices
    • G02B6/4471Terminating devices ; Cable clamp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33Details of mounting fibres in ferrules; Assembly methods; Manufacture
    • G02B6/3834Means for centering or aligning the light guide within the ferrule
    • G02B6/3835Means for centering or aligning the light guide within the ferrule using discs, bushings or the lik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73Connectors using guide surfaces for aligning ferrule ends, e.g. tubes, sleeves, V-grooves, rods, pins, balls
    • G02B6/3885Multicore or multichannel optical connectors, i.e. one single ferrule containing more than one fibre, e.g. ribbon typ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9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fastening connecting plugs and sockets, e.g. screw- or nut-lock, snap-in, bayonet type
    • G02B6/3894Screw-lock typ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4Mechanical structures for providing tensile strength and external protection for fibres, e.g. optical transmission cables
    • G02B6/4401Optical cables
    • G02B6/441Optical cables built up from sub-bundl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4Mechanical structures for providing tensile strength and external protection for fibres, e.g. optical transmission cables
    • G02B6/4401Optical cables
    • G02B6/4429Means specially adapted for strengthening or protecting the cables
    • G02B6/443Protective covering
    • G02B6/4432Protective covering with fibre reinforce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ight Guides In General And Applications Therefor (AREA)
  • Mechanical Coupling Of Light Guid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외부인장선형 광케이블의 분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분기된 광케이블을 외부인장선에 의해 분기장치에 견고하게 고정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통상의 광케이블 분기장치에 있어서, 내부에 다수개의 광섬유와 외부인장선이 마련된 광케이블과, 원통형 부재의 내주면 일정 구간에 나선홈이 형성된 분기부재 결합부가 마련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분기부재 결합부에 나사 결합되고, 면상에는 상기 광케이블 내부의 광섬유가 통과되는 다수개의 정열구멍이 마련되며, 외주면 중앙부에는 소정 깊이의 밴딩홈이 형성되고, 상기 밴딩홈 일측면에는 광케이블의 외부 인장선이 끼워지는 인장선 인입공이 마련된 분기부재와, 상기 분기부재의 밴딩홈에 설치되어 상기 분기부재의 인장선 인입공을 통과하여 밴딩홈에 위치된 외부인장선을 가압 고정하는 밴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특징을 갖는다.
이상의 본 발명을 적용하게 되면, 상기 광케이블 분기장치는 외부인장선의 끝단이 인장선 삽입공에 끼워져 특수 접착제로 고정된 상태에서 밴드에 의해 상기 분기부재의 밴딩홈에 조여지므로 더욱 견고하게 고정 결합된다.

Description

외부인장선형 광케이블 분기장치.
본 발명은 외부인장선형 광케이블의 분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광케이블에 내장된 다수개의 광섬유를 각각의 광커넥터와 연결되는 단심광섬유로 분기하는 외부인장선형 광케이블의 분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광통신은 빛을 전송하여 정보를 교환하는 것으로, 유리 섬유로 된 광섬유가 매개체가 되어 현재의 동축케이블에 의한 전기 통신에 비해 수만배의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광케이블은 설치장소에 따라 옥외에 포설되는 옥외용 케이블과 옥내의 단자함으로부터 장비까지 연결되는 옥내용 케이블 및 옥외의 접속함으로부터 옥내의 단자함으로 인입되는 인입용 케이블로 크게 구분된다.
옥외용 케이블은 다시 공중에 설치되는 케이블과, 지하에 매설되는 케이블, 및 해저에 설치되는 케이블로 구분된다. 옥내용 케이블은 빌딩과 같은 건축물의 내부 즉, 천장 혹은 바닥, 벽 등에 설치하는 케이블이고, 인입용 케이블은 옥외용 케이블과 옥내용 케이블간을 연결하는 케이블로서, 근거리 지역간 접속을 위해 사용된다.
상기 인입용 케이블은 옥외용 케이블의 접속함체로부터 옥내의 단자함으로 연결되는 광케이블로서 광성단케이블이 많이 사용되며, 이러한 광성단케이블은 그 내부에 내장된 각 광섬유가 구내 단자함의 접속단자에 일대 일로 대응되도록 접속되어야 하기 때문에 어느 지점에서 다수개의 단심광섬유로 분기되어야 하며, 이렇게 다심광섬유가 단심광섬유로 분기되는 지점의 광섬유를 보호하기 위해 일정 형태의 분기장치가 설치된다.
도 1은 종래의 광케이블 분기장치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종래의 광케이블 분기장치의 단면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상기 광케이블 분기장치는 원통형의 하우징(10)과, 상기 원통형 하우징(10) 내부에 나선 결합된 상태에서 광케이블(80)에 내장된 단심광섬유(83)의 수와 대응되는 다수개의 보호튜브(74)가 설치된 분기부재(70)와, 상기 광케이블의 외피(82)를 잡아주는 인입부재(30)와 캡(4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하우징(10)은 그 일측단에 상기 광케이블(80)이 인입되는 입구(15)가 마련되고, 타측단에는 인입된 광케이블(80)이 일정하게 분기되어 배출되는 출구(17)가 마련되며, 내주면 소정 위치에는 일정 구간에 걸쳐 나선홈을 갖는 분기부재 결합부(12)가 마련되고, 입구(15)쪽 내주면상에는 단부로부터 내측으로 일정구간에 걸쳐 나선홈을 갖는 인입부재 결합부(13)가 형성된다.
분기부재(70)는 상기 하우징(10)의 분기부재 결합부(12)에 나선 결합된 상태에서 중심축선상에 관통된 중심인장선 결합공(71)이 마련되며, 면상에는 상기 중심인장선 결합공(71)과 나란한 방향으로 형성된 다수개의 정열구멍(73)이 마련된다.
이때, 상기 다수개의 정열구멍(73)에는 각각 하나씩의 보호튜브(74)가 끼워져 접착제로 고정 설치되며, 이러한 각각의 보호튜브(74) 내에는 광케이블(80)로부터 탈피되어 연장된 단심 광섬유(83)가 끼워져 삽입된다.
인입부재(30)는 선단부 외주면상에 상기 하우징(10)의 인입부재 결합부(13)에 결합되는 나사부(33)가 마련되고, 상기 나사부(33) 배면으로부터는 광케이블(80) 인입 반대방향으로 돌출된 클램프부가 마련된다.
상기 클램프부는 나사부(33) 배면으로부터 광케이블(80) 인입 반대방향으로 돌출되면서 중심선 방향으로 오므러들도록 소정 각도의 테이퍼를 이루는 경사면(35)과, 상기 경사면(35) 끝단에서 중심선방향으로 연장된 상태에서 그 중심부에는 상기 광케이블(80)이 인입되는 인입구(37)가 형성된 플랜지(36) 및 상기 인입구(37)로부터 하우징(10)의 내측방향으로 연장되어 인입된 광케이블(80)의 외주면에 밀착되는 보스(38)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클램프부에는 길이방향으로 절개된 다수개의 절개홈(39)이 형성되어 상기 캡(40)이 클램프부를 중심선 방향으로 가압할 때 일정하게 탄성 변형되면서 중심선 방향으로 오므러들도록 이루어진다.
캡(40)은 선단부 외주면상에 상기 하우징(10)의 인입부재 결합부(13)에 나선 결합되는 나사부(43)가 마련되고, 상기 나사부(43)의 선단으로부터는 인입부재의 경사면(35)과 대응되는 테이퍼를 이루는 조임부(45)가 형성된다.
상기 캡(40)의 나사부(43) 후방 외주면에는 캡(40)을 하우징(10)에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도록 볼트 머리모양의 회동부(44)가 마련되고, 상기 회동부(44)로부터 뒷쪽으로는 중심선 방향으로 오므러드는 연장부(47)가 마련된다. 상기 연장부(47) 끝단에는 상기 광성단케이블(80)이 하우징(10) 내부로 인입되는 소정의 입구(48)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캡(40)이 인입부재(30)에 밀착되도록 일정한 힘으로 결합하게 되면, 상기 캡(40)의 조임부(45)가 인입부재의 클램프부를 중심선방향으로 오므러들도록 가압하여 광케이블의 외피(82)를 고정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 구조의 광케이블 분기장치를 이용하여 외부인장선형 광케이블을 분기하려면, 상기 외부인장선형 광케이블에는 중심인장선이 없기 때문에 상기 광케이블이 분기장치에 견고히 고정되기 어려우며, 따라서 상기 광케이블에 외력이 작용하게 되면, 분기장치로부터 쉽게 빠져버릴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각각의 단심광섬유로 분기된 광케이블을 외부인장선에 의해 분기장치에 견고하게 고정하므로써, 상기 광케이블상에 외력이 작용하더라도 상기 광케이블이 분기장치로부터 쉽게 빠지지 않도록 된 외부인장선형 광케이블 분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광케이블 분기장치의 분리사시도,
도 2는 종래의 광케이블 분기장치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외부인장선형 광케이블 분기장치의 분리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외부인장선형 광케이블 분기장치의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하우징 12 : 분기부재 결합부
13 : 인입부재 결합부 20 : 분기부재
21 : 정열구멍 23 : 밴딩홈
24 : 인장선 인입공 25 : 인장선 삽입공
30 : 인입부재 40 : 캡
50 : 광케이블 53 : 단심광섬유
55 : 외부인장선 60 : 밴드
63 : 고정부 64 : 관통공
본 발명은 통상의 광케이블 분기장치에 있어서, 내부에 다수개의 광섬유와 외부인장선이 마련된 광케이블과, 원통형 부재의 내주면 일정 구간에 나선홈이 형성된 분기부재 결합부가 마련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분기부재 결합부에 나사 결합되고, 면상에는 상기 광케이블 내부의 광섬유가 통과되는 다수개의 정열구멍이 마련되며, 외주면 중앙부에는 소정 깊이의 밴딩홈이 형성되고, 상기 밴딩홈 일측면에는 광케이블의 외부 인장선이 끼워지는 인장선 인입공이 마련된 분기부재와, 상기 분기부재의 밴딩홈에 설치되어 상기 분기부재의 인장선 인입공을 통과하여 밴딩홈에 위치된 외부인장선을 가압 고정하는 밴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특징을 갖는다.
본 발명에서 상기 분기부재는 밴딩홈을 중심으로 상기 인장선 인입공 반대방향의 측벽면상에 소정 깊이의 인장선 삽입공이 마련되어 상기 인장선 인입공을 통해 밴딩홈상에 위치된 외부인장선의 끝단부가 상기 인장선 삽입공에 끼워지도록 이루어진 특징을 갖는다.
본 발명에서 상기 인장선 삽입공에 끼워진 외부 인장선의 끝단은 특수 접착제로 고정된 특징을 갖는다.
본 발명에서 상기 밴드는 양측 끝단부에 소정의 관통공이 형성된 고정부가 마련되되, 상기 밴드를 분기부재의 밴딩홈에 위치된 외부인장선 둘레면에 설치할 때 상기 고정부가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고정부는 별도의 볼트와 너트로 조여서 상기 밴드가 외부인장선을 가압하여 고정되도록 이루어진 특징을 갖는다.
본 발명에서 상기 밴딩홈은 인장선 인입공과 인장선 삽입공이 형성된 반경보다 작은 반경의 외주면을 갖도록 형성된 특징을 갖는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외부인장선형 광케이블 분기장치의 분리사시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상기 외부인장선형 광케이블 분기장치는 원통형 하우징(10) 내부에 나사 결합되어 광케이블(50)에 내장된 다수개의 단심광섬유(53)를 각각의 단심광섬유(53)로 분기하는 분기부재(20)와, 상기 분기부재의 밴딩홈(23)에 위치된 외부인장선(55)을 고정하는 밴드(60)와, 상기 하우징(10)의 입구(15)쪽에 설치되어 광케이블(50)을 잡아주는 인입부재(30)와 캡(4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하우징(10)은 그 일측단에 상기 광케이블(50)이 인입되는 입구(15)가 마련되고, 타측단에는 인입된 광케이블(50)이 일정하게 분기되어 배출되는 출구(17)가 마련되며, 내주면 소정 위치에는 일정 구간에 걸쳐 나선홈을 갖는 분기부재 결합부(12)가 마련되고, 입구(15)쪽 내주면상에는 단부로부터 내측으로 일정구간에 걸쳐 나선홈을 갖는 인입부재 결합부(13)가 형성된다.
분기부재(20)는 그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결합부(22)가 마련되어 상기 하우징(10)의 분기부재 결합부(12)에 나선 결합된 상태에서 중심축선과 나란한 방향으로 형성된 다수개의 정열구멍(21)이 마련되며, 이러한 정열구멍(21)에는 각각 하나씩의 보호튜브(27)가 끼워져 접착제로 고정 설치되며, 이러한 각각의 보호튜브(27) 내에는 광케이블(50)로부터 탈피되어 연장된 단심광섬유(53)가 끼워져 삽입된다.
또한, 상기 분기부재(20)의 일측면에는 한 쌍의 연결바아(29)가 마련되어 상기 인입부재(30)와 일체로 연결된다.
또한, 상기 분기부재(20)의 외주면 중앙부에는 소정 깊이의 밴딩홈(23)이 형성되고, 상기 밴딩홈(23)의 일측면에는 상기 정열구멍(21)과 나란한 인장선 인입공(24)이 마련되고, 상기 밴딩홈(23)의 반대측면상에는 벽면 중간지점까지 파여진 인장선 삽입공(25)이 마련되어 상기 광케이블의 외부인장선(55)이 인장선 인입공(24)을 통해 밴딩홈(23)을 경유하여 상기 인장선 삽입공(25)에 끼워져 특수 접착제로 고정되도록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밴딩홈(23)은 인장선 인입공(24)과 인장선 삽입공(25)이 형성된 반경보다 작은 반경의 외주면을 갖도록 형성된다.
상기 분기부재의 밴딩홈(23)에 위치된 외부인장선(55) 둘레면에는 소정 형태의 밴드(60)가 설치된다.
상기 밴드(60)는 양측 끝단부에 소정의 관통공(64)이 형성된 고정부(63)가 마련되되, 상기 밴드(60)를 외부인장선(55) 둘레면에 설치할 때 상기 고정부(63)가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고정부(63)는 별도의 볼트(66)와 너트(67)로 조여서 상기 밴드(60)가 외부인장선(55)을 가압하여 고정되도록 이루어진다.
인입부재(30)는 선단부 외주면상에 상기 하우징(10)의 인입부재 결합부(13)에 결합되는 나사부(33)가 마련되고, 상기 나사부(33) 배면으로부터는 광케이블(50) 인입 반대방향으로 돌출된 클램프부가 마련되며, 일면에는 한쌍의 연결바아(29)가 마련되어 상기 분기부재(20)와 일체로 연결된다.
상기 클램프부는 나사부(33) 배면으로부터 광케이블(50) 인입 반대방향으로 돌출되면서 중심선 방향으로 오므러들도록 소정 각도의 테이퍼를 이루는 경사면(35)과, 상기 경사면(35) 끝단에서 중심선방향으로 연장된 상태에서 그 중심부에는 상기 광케이블(50)이 인입되는 인입구(37)가 형성된 플랜지(36) 및 상기 인입구(37)로부터 하우징(10)의 내측방향으로 연장되어 인입된 광케이블(50)의 외주면에 밀착되는 보스(38)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클램프부에는 길이방향으로 절개된 다수개의 절개홈(39)이 형성되어 상기 캡(40)이 클램프부를 중심선 방향으로 가압할 때 일정하게 탄성 변형되면서 중심선 방향으로 오므러들도록 이루어진다.
캡(40)은 선단부 외주면상에 상기 하우징(10)의 인입부재 결합부(13)에 나선 결합되는 나사부(43)가 마련되고, 상기 나사부(43)의 선단으로부터는 인입부재의 경사면(35)과 대응되는 테이퍼를 이루는 조임부(45)가 형성된다.
상기 캡(40)의 나사부(43) 후방 외주면에는 캡(40)을 하우징(10)에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도록 볼트 머리모양의 회동부(44)가 마련되고, 상기 회동부(44)로부터 뒷쪽으로는 중심선 방향으로 오므러드는 연장부(47)가 마련된다. 상기 연장부(47) 끝단에는 상기 광성단케이블(50)이 하우징(10) 내부로 인입되는 소정의 입구(48)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캡(40)이 인입부재(30)에 밀착되도록 일정한 힘으로 결합하게 되면, 상기 캡(40)의 조임부(45)가 인입부재(30)의 클램프부를 중심선방향으로 오므러들도록 가압하여 광케이블의 외피(52)를 고정하게 된다.
이상의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의 작동예에 대해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외부인장선형 광케이블 분기장치의 단면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먼저 상기 광케이블(50)의 외주면상에 캡(40)과 클램프(30)를 차례로 삽입하여 일정길이 내측에 위치되도록 하고, 상기 분기부재(20)의 정열구멍(23)에 보호튜브(24)를 삽입하여 접착제로 고정하게 된다.
상기 보호튜브(24) 내에 광케이블(50)로부터 연장된 다수개의 단심광섬유(53)를 차례로 삽입하여 분기하며, 광케이블(50)로부터 연장된 외부인장선(55)을 분기부재의 인장선 인입공(24)을 통해 밴딩홈(23)을 경유하여 인장선 삽입공(25)에 끼우게 되며, 이러한 인장선 삽입공(25)에 끼워진 외부인장선(55)은 특수 접착제로 고정하게 된다.
이어서, 상기 밴드(60)를 밴딩홈(23)에 위치된 외부인장선(55) 둘레면에 위치되도록 하고, 밴드(60)의 양측단부의 고정부를 볼트와 너트를 이용하여 조여주므로써, 상기 외부인장선(55)이 밴딩홈(23)에 밀착되도록 하여 고정한다.
이와 같이, 광케이블 분기작업이 완료되면, 상기 분기부재(20)와 인입부재(30)를 각각 하우징(10)의 분기부재 결합부(12) 및 인입부재 결합부(13)에 나선 결합되도록 한다.
이어서, 상기 인입부재의 경사면(35)에 위치된 외부인장선 외주면(55)에 밴드(60)를 위치시킨 후 캡(40)을 인입부재(30)에 밀착되도록 조이게 되면, 상기 캡의 조임부(45)가 인입부재의 경사면(35)에 밀착되도록 가압하여 고정되며, 동시에 상기 인입부재(30)의 클램프부는 중심선 방향으로 오므러들면서 광케이블(50)의 외피를 잡아주게 된다.
이상의 본 발명을 적용하게 되면, 상기 광케이블 분기장치는 외부인장선의 끝단이 인장선 삽입공에 끼워져 특수 접착제로 고정된 상태에서 밴드에 의해 상기 분기부재의 밴딩홈에 조여지므로 더욱 견고하게 고정 결합된다.

Claims (5)

  1. 통상의 광케이블 분기장치에 있어서,
    내부에 다수개의 광섬유(53)와 외부인장선(55)이 마련된 광케이블(50)과;
    원통형 부재의 내주면 일정 구간에 나선홈이 형성된 분기부재 결합부(12)가 마련된 하우징(10)과;
    상기 하우징의 분기부재 결합부(12)에 나사 결합되고, 면상에는 상기 광케이블 내부의 광섬유(53)가 통과되는 다수개의 정열구멍(21)이 마련되며, 외주면 중앙부에는 소정 깊이의 밴딩홈(23)이 형성되고, 상기 밴딩홈(23) 일측면에는 광케이블의 외부인장선(55)이 끼워지는 인장선 인입공(24)이 마련된 분기부재(20)와;
    상기 분기부재의 밴딩홈(23)에 설치되어 상기 분기부재의 인장선 인입공(24)을 통과하여 밴딩홈(23)에 위치된 외부인장선(55)을 가압 고정하는 밴드(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인장선형 광케이블 분기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분기부재(20)는 밴딩홈(23)을 중심으로 상기 인장선 인입공(24) 반대방향의 측벽면상에 소정 깊이의 인장선 삽입공(25)이 마련되어 상기 인장선 인입공(24)을 통해 밴딩홈(23)상에 위치된 외부인장선(55)의 끝단부가 상기 인장선 삽입공(25)에 끼워지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인장선형 광케이블 분기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인장선 삽입공(25)에 끼워진 외부 인장선(55)의 끝단은 특수 접착제로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인장선형 광케이블 분기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밴드(60)는 양측 끝단부에 소정의 관통공(64)이 형성된 고정부(63)가 마련되되, 상기 밴드(60)를 분기부재의 밴딩홈(23)에 위치된 외부인장선(55) 둘레면에 설치할 때 상기 고정부(63)가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고정부(63)는 별도의 볼트(66)와 너트(67)로 조여서 상기 밴드(60)가 외부인장선(55)을 가압하여 고정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인장선형 광케이블 분기장치.
  5. 제 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상기 밴딩홈(23)은 인장선 인입공(24)과 인장선 삽입공(25)이 형성된 반경보다 작은 반경의 외주면을 갖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인장선형 광케이블 분기장치.
KR1019980063859A 1998-12-31 1998-12-31 외부인장선형 광케이블 분기장치 KR1003085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63859A KR100308504B1 (ko) 1998-12-31 1998-12-31 외부인장선형 광케이블 분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63859A KR100308504B1 (ko) 1998-12-31 1998-12-31 외부인장선형 광케이블 분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47095A KR20000047095A (ko) 2000-07-25
KR100308504B1 true KR100308504B1 (ko) 2001-11-22

Family

ID=195704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63859A KR100308504B1 (ko) 1998-12-31 1998-12-31 외부인장선형 광케이블 분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0850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6934B1 (ko) * 2013-07-26 2014-01-28 김광찬 광케이블 인입 커넥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37517A (ja) * 1982-08-27 1984-03-01 Sumitomo Electric Ind Ltd 光フアイバケ−ブルの端末接続部
JPS59177504A (ja) * 1983-03-29 1984-10-08 Fujitsu Ltd 光ケ−ブル抗張力体の繋着方法
JPS63200103A (ja) * 1987-02-16 1988-08-18 Mitsubishi Cable Ind Ltd 光フアイバケ−ブル分岐部構造体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37517A (ja) * 1982-08-27 1984-03-01 Sumitomo Electric Ind Ltd 光フアイバケ−ブルの端末接続部
JPS59177504A (ja) * 1983-03-29 1984-10-08 Fujitsu Ltd 光ケ−ブル抗張力体の繋着方法
JPS63200103A (ja) * 1987-02-16 1988-08-18 Mitsubishi Cable Ind Ltd 光フアイバケ−ブル分岐部構造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47095A (ko) 2000-07-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13250B2 (en) Telecommunications cable inlet device
US6104855A (en) Terminal assembly for a multiple fiber optic cable
US5013125A (en) Pulling eye assembly for connectorized optical fiber cables
US5473718A (en) Fiber optic loose tube buffer to fan-out tube adapter system
WO2021018015A1 (zh) 一种光纤连接头以及光纤连接器
US20080069513A1 (en) Fiber optic cable entry device
JPH05142428A (ja) スプライスのないフアイバ分岐を有する光フアイバケーブ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S63287916A (ja) 複合ケ−ブルの端末部
KR100320389B1 (ko) 광케이블 분기장치
KR100308504B1 (ko) 외부인장선형 광케이블 분기장치
KR100320408B1 (ko) 광케이블분기장치및그사용방법
KR100320386B1 (ko) 고심선용광성단케이블분기장치및그것을이용한분기방법
KR200422298Y1 (ko) 계단식 광어댑터 패널이 구비된 광케이블 단자함
KR100305379B1 (ko) 광성단케이블 분기장치
KR20000047102A (ko) 광케이블 분기장치
KR20000047110A (ko) 광케이블 분기장치
KR100258547B1 (ko) 풀링아이 및 그 사용방법
CN109521531B (zh) 穿管式预端接跳线及穿管式预端接光缆连接装置
KR100272771B1 (ko) 외부인장선형 광케이블의 성단조립체
KR100276072B1 (ko) 다심 광섬유 케이블용 성단조립체
KR100276071B1 (ko) 다심광섬유케이블용성단케이블
KR100290181B1 (ko) 리본형 다심광섬유 분리형 광코드
KR100287767B1 (ko) 광케이블 외피 고정장치
KR100258549B1 (ko) 풀링아이
KR20020015186A (ko) 오엔유 케이블 접속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730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