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2262Y1 - 에어로졸 분사장치 - Google Patents
에어로졸 분사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222262Y1 KR200222262Y1 KR2020000032946U KR20000032946U KR200222262Y1 KR 200222262 Y1 KR200222262 Y1 KR 200222262Y1 KR 2020000032946 U KR2020000032946 U KR 2020000032946U KR 20000032946 U KR20000032946 U KR 20000032946U KR 200222262 Y1 KR200222262 Y1 KR 200222262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guide
- discharge pipe
- vertical
- horizontal
- nozzle
- Prior art date
Links
Landscapes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건 타입(gun type) 에어로졸 분사장치에 관한 것으로, 용기의 상단부에 형성된 환상 걸림턱에 하단부의 결합부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수평 안내부와 수직 안내부가 내부에 형성된 버튼 캡과, 수평부와 수직부를 가지는 ㄱ자형 몸체의 수직부에 상기 버튼 캡의 수직 안내부를 따라 직선 이동하는 안내부와 경사캠면이 형성되고, 상기 용기에 결합된 노즐장치의 노즐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배출관과, 파지부를 갖는 몸체의 양쪽면에 상기 버튼 캡의 수평 안내부를 따라 직선 이동하는 안내부가 구비되고, 몸체의 하부에 형성된 양쪽 날개부에는 상기 배출관의 경사캠면에 접촉동작되어 상기 배출관을 하향이동시키는 경사작동면이 구비되며, 상기 배출관의 수평부가 노출되는 통공구비된 작동버튼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본 고안은 작동버튼과 배출관의 수평 이동과 수직 이동에 의해 눌리는 노즐이 수직방향의 압하력을 받아 수직방향으로 원활하게 이동하게 되며, 이에 따라 노즐 개폐작용이 원활하게 되는 이점이 있고, 노즐이 회전 우력에 의해 기울어지게 눌림으로써 노즐장치 본체와 노즐 사이에 틈이 생겨 내용물이 누출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내용물의 손실을 방지하고, 안전성을 향상시키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건 타입 에어로졸 분사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작동버튼과 배출관의 수평 이동과 수직 이동에 의해 작동되는 노즐이 수직방향의 이동력을 받아 직선방향으로 원활하게 개폐되도록 함으로써 노즐 개폐작용이 원활하게 되고, 노즐이 회전 우력에 의해 기울어지면서 틈이 노즐장치 본체와의 사이에 틈이 생겨 내용물이 누출되는 현상을 방지하도록 한 에어로졸 분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에어로졸 제품은 방아쇠형 손잡이와 배출부가 구비된 조작구를 에어로졸 캡에 결합하고, 이 에어로졸 캡을 용기의 마운트에 결합한 후, 조작구의 손잡이를 잡아 당기게 되면 용기의 내용물이 용기의 노즐과 조작구의 배출부를 통하여 외부로 분사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은 에어로졸 캡의 한 실시형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에 공개번호 특1999-028324호(명칭: 에어로졸 분사 장치)에 알려지고 있는 바와 같이, 에어로졸 캡은 스템 삽입부, 분구부, 스템 삽입부와 분구부를 연통시키는 통로부 그리고 트리거부를 갖는 조작부 본체 및 입설부를 포함하고 있다. 또한, 에어로졸 캡의 바닥부는 용기의 상부에 마련된 마운트와 끼워맞춤하고 있다. 입설부는 이 바닥부에서 조작부 본체를 그의 양측에서 둘러싸도록 서서 형성되어 있다. 조작부 본체의 후방에는 입설부의 후방벽과 조작부 본체를 연결하는 굴곡부가 마련되어 있다. 이 구조에 의해 조작부 본체의 트리거부를 조작함에 따라스템 삽입부가 밸브 스템을 누를 수 있고, 그리고 용기의 에어로졸이 통로부를 통하여 분구부에서 분사된다.
이와 같은 종래의 에어로졸 분사장치는 조작부 본체의 트리거부를 손가락으로 잡아 당기면 입설부의 후방벽과 연결된 조작부 본체의 굴곡부가 휘어지면서 조작부 본체가 회전운동을 하게 되고, 이에 의해 조작부 본체의 스템 삽입부가 밸브 스템을 누르게 되어 용기의 내용물이 밸브 스템, 조작부 본체의 스템 삽입부, 통로부 및 분구부를 통하여 외부로 분사된다.
이와 같은 종래의 에어로졸 분사장치는 에어로졸 캡의 조작부 본체가 굴곡부에 의해 입설부에 연결되어 트리거부를 잡아 당기는 힘에 의해 회동하면서 밸브 스템을 누르도록 되어 있으므로, 즉 조작부 본체의 회전력에 의해 기구적으로 직선운동하도록 구성된 밸브 스템을 작동시키도록 되어 있으므로 밸브 스템에 회전 우력이 작용하여 원활하게 직선 이동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고, 밸브 스템이 기울어지면서 밸브 본체와의 사이에 틈이 생겨 내용물이 틈새를 통하여 누출되는 문제점이 유발되었다.
따라서, 종래의 에어로졸 분사장치는 작동이 원활하지 못하고, 내용물이 누출되어 손실되는 문제점으로 인하여 제품의 가치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외에 국내 실용신안공보 공고번호 89-7349호의 분무기용 분사구, 일본국 특허공보 평3-51468호(1991.8.6)의 다수 레버식 트리거구동분여 캡 및 단일 레버식 트리거 구동분여 캡,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평9-286476호(1997.11.4)의 트리거형 에어로졸 캡,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평8-169480호(1996.7.2)의 피슨톤 조작식 분사두 구조체,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평9-207976호(1997.8.12)의 에어로졸 캡 등의 여러 가지 에어로졸 분사장치가 알려지고 있으나, 종래의 모든 에어로졸 분사장치는 에어로졸 캡에 결합된 조작부 본체를 그 트리거부를 손가락으로 잡아 당겨 회전시킴에 의해 밸브 스템을 하향으로 이동시키는 형태로 되어 있으므로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밸브 스템의 직선 이동작용이 원활하게 되지 않고, 밸브 스템과 밸브 본체와의 사이에 생기는 틈새로 내용물이 누출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 및 결함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작동버튼과 배출관의 수평 이동과 수직 이동에 의해 작동되는 노즐이 수직방향의 이동력을 받아 직선방향으로 원활하게 개폐되도록 함으로써 노즐 개폐작용이 원활하게 되고, 노즐이 회전 우력에 의해 기울어지면서 틈이 노즐장치 본체와의 사이에 틈이 생겨 내용물이 누출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에어로졸 분사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도 1 내지 도 7은 본 고안의 에어로졸 분사장치에 관한 도면으로서,
도 1은 에어로졸 분사장치의 사시도.
도 2는 에어로졸 분사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용기에 결합된 형태를 보인 종단면도.
도 4는 도 3의 A-A선 단면도.
도 5는 도 4의 B-B선 단면도.
도 6 및 도 7은 작동버튼과 배출관의 구성 및 작용을 보인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용기 101 : 환상 걸림부
110 : 노즐장치 111 : 노즐
200 : 버튼 캡 201 : 결합부
210 : 수평 안내부 211,212 : 안내돌기
213 : 안내홈 220 : 수직 안내부
300 : 배출관 301 : 수평부
302 : 수직부 310 : 안내부
311,312 : 안내돌기 320 : 경사캠면
400 : 작동버튼 401 : 파지부
402 : 날개부 403 : 경사작동면
410 : 안내부 411,412 : 안내홈
413 : 안내편 420 : 작동돌기
421 : 안내홈 430 : 통공
500 : 무단사용 방지수단 501 : 리브
510 : 방지탭 520 : 삽입홈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의한 에어로졸 분사장치는 용기의 상단부에 형성된 환상 걸림턱에 하단부의 결합부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수평 안내부와 수직 안내부가 내부에 형성된 버튼 캡과, 수평부와 수직부를 가지는 ㄱ자형 몸체의 수직부에 상기 버튼 캡의 수직 안내부를 따라 직선 이동하는 안내부와 경사캠면이 형성되고, 상기 용기에 결합된 노즐장치의 노즐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배출관과, 파지부를 갖는 몸체의 양쪽면에 상기 버튼 캡의 수평 안내부를 따라 직선 이동하는 안내부가 구비되고, 몸체의 하부에 형성된 양쪽 날개부에는 상기 배출관의 경사캠면에 접촉동작되어 상기 배출관을 하향이동시키는 경사작동면이 구비되며, 상기 배출관의 수평부가 노출되는 통공구비된 작동버튼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 이와 같은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용기(100)의 상단부에 형성된 환상 걸림턱(101)에 하단부의 결합부(201)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수평 안내부(210)와 수직 안내부(220)가 내부에 형성된 버튼 캡(200)과, 수평부(301)와 수직부(302)를 가지는 ㄱ자형 몸체의 수직부(302)에 상기 버튼 캡(200)의 수직 안내부(220)를 따라 직선 이동하는 안내부(310)와 경사캠면(320)이 형성되고, 상기 용기(100)에 결합된 노즐장치(110)의 노즐(111)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배출관(300)과, 파지부(401)를 갖는 몸체의 양쪽면에 상기 버튼 캡(200)의 수평 안내부(210)를 따라 직선 이동하는 안내부(410)가 구비되고, 몸체의 하부에 형성된 양쪽 날개부(402)에는 상기 배출관(300)의 경사캠면(320)에 접촉동작되어 상기 배출관(300)을 하향이동시키는 경사작동면(403)이 구비되며, 상기 배출관(300)의 수평부(301)가 노출되는 통공(430)구비된 작동버튼(4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버튼 캡(200)의 수평 안내부(210)는 몸체의 내부 양측면 상단부와 중간부에 형성된 안내돌기(211),(212)와, 하단부에 형성된 안내홈(213)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작동버튼(400)의 안내부(410)는 몸체의 양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버튼 캡(200)의 안내돌기(211),(212)에 끼워지는 안내홈(411),(412)과 상기 안내홈(213)에 끼워지는 안내편(413)으로 이루어져 작동버튼(400)이 수평방향으로 직선 이동하도록 결합되어 있다.
또, 상기 버튼 캡(200)의 수직 안내부(220)는 버튼 캡(200)의 내부 양측면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안내홈(221)이 이용되고, 상기 배출관(300)의 안내부(310)는 그 수직부(302)의 상,하단부에 형성된 안내돌기(311),(312)가 이용되어 배출관(300)이 수직방향으로 직선 이동하도록 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버튼 캡(200)과 작동버튼(400)에는 무단사용을 방지하기 위한 무단사용 방지수단(500)이 구비되어 있으며, 이 무단사용 방지수단(500)은 작동버튼(400)의 상단부에 한 쌍의 리브(501)가 일체로 형성되고, 리브(501)의 상측에 방지탭(510)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버튼 캡(200)의 상단부에는 상기 리브(501)가 삽입되는 삽입홈(520)이 일정 깊이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에어로졸 분사장치를 조립함에 있어서는 도 2와 같이 버튼 캡(200)의 하부에서 배출관(300)을 밀어 올려 도 5와 같이 그의 수직부(302)에 형성된 안내돌기(311),(312)가 버튼 캡(200)의 내부 양측면에 형성된 안내홈(221)에 끼워지도록 결합하고, 도 2와 같이 작동버튼(400)을 버튼 캡(200)의 내측으로 밀어 넣어 도 1 및 도 4와 같이 그의 양측면에 형성된 안내홈(411),(412)과 안내편(413)이 버튼 캡(200)의 내부 양측면에 형성된 안내돌기(211),(212)와 안내홈(213)에 끼워지도록 하고 그의 통공(430)에 상기 배출관(300)의 수평부(301)가 끼워지도록 하며, 방지탭(510)의 하측 리브(501)가 버튼 캡(200)의 삽입홈(520)에 끼워지도록 결합하여 조립을 완료한다.
도 1과 같이 조립된 본 고안의 장치는 도 3과 같이 버튼 캡(200)의 하단 결합부(201)가 용기(100)의 환상 걸림부(101)에 끼워져 걸리도록 결합하고, 도 1의 방지탭(510)을 절단한 후 사용하게 되며, 도 3과 같이 버튼 캡(200)을 용기(100)에 결합하게 되면 용기(100)에 결합된 노즐장치(110)의 내부 스프링력에 의해 노즐장치(110)의 노즐(110)이 배출관(300)의 수직부(302) 하단에 삽입되어 탄력적으로 밀착된다.
도 3 및 도 6과 같이 결합되고 방지탭(510)이 절단된 상태에서 용기(100)의 상측부와 버튼 캡(200)을 손으로 감싸 쥐고, 손가락으로 작동버튼(400)의 파지부(401)을 잡아 당기면 도 7과 같이 작동버튼(400)이 버튼 캡(200)의 내측으로 수평 이동하여 삽입되고, 이와 같이 삽입되는 작동버튼(400)의 양쪽 날개부(402)에 형성된 경사작동면(403)이 배출관(300)의 수직부(302)에 형성된 경사캠면(320)을 밀게 되므로 배출관(300)이 수직으로 이동하여 노즐장치(110)의 노즐(110)을 아래로 누르게 되며, 이에 의해 용기(100) 내부에 담긴 내용물이 내부 압력에 의해 노즐(110) 및 배출관(300)을 통하여 외부로 분사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은 버튼 캡에 작동버튼을 수평으로 이동하도록 결합함과 아울러 배출관을 수직으로 이동하도록 결합하고, 작동버튼의 양쪽 날개부에 경사작동면을 형성함과 아울러 배출관의 수직부에 경사캠면을 형성하여 작동버튼이 버튼 캡의 내측으로 수평 이동하게 되면 작동버튼의 경사작동면과 배출관의 경사캠면의 작용에 배출관이 수직으로 이동하여 노즐을 내려 누르도록 되어 있으므로 작동버튼과 배출관의 수평 이동과 수직 이동에 의해 눌리는 노즐이 수직방향의 압하력을 받아 수직방향으로 원활하게 이동하게 되며, 이에 따라 노즐 개폐작용이 원활하게 되는 이점이 있고, 노즐이 회전 우력에 의해 기울어지게 눌림으로써 노즐장치 본체와 노즐 사이에 틈이 생겨 내용물이 누출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내용물의 손실을 방지하고, 안전성을 향상시키는 이점이 있다.
Claims (3)
- 용기(100)의 상단부에 형성된 환상 걸림턱(101)에 하단부의 결합부(201)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수평 안내부(210)와 수직 안내부(220)가 내부에 형성된 버튼 캡(200)과, 수평부(301)와 수직부(302)를 가지는 ㄱ자형 몸체의 수직부(302)에 상기 버튼 캡(200)의 수직 안내부(220)를 따라 직선 이동하는 안내부(310)와 경사캠면(320)이 형성되고, 상기 용기(100)에 결합된 노즐장치(110)의 노즐(111)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배출관(300)과, 파지부(401)를 갖는 몸체의 양쪽면에 상기 버튼 캡(200)의 수평 안내부(210)를 따라 직선 이동하는 안내부(410)가 구비되고, 몸체의 하부에 형성된 양쪽 날개부(402)에는 상기 배출관(300)의 경사캠면(320)에 접촉동작되어 상기 배출관(300)을 하향이동시키는 경사작동면(403)이 구비되며, 상기 배출관(300)의 수평부(301)가 노출되는 통공(430)구비된 작동버튼(400)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로졸 분사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 캡(200)의 수평 안내부(210)는 몸체의 내부 양측면 상단부와 중간부에 형성된 안내돌기(211),(212)와, 하단부에 형성된 안내홈(213)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작동버튼(400)의 안내부(410)는 몸체의 양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버튼 캡(200)의 안내돌기(211),(212)에 끼워지는 안내홈(411),(412)과 상기 안내홈(213)에 끼워지는 안내편(413)으로 이루어져 작동버튼(400)이 수평방향으로 직선 이동하도록 결합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로졸 분사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 캡(200)의 수직 안내부(220)는 버튼 캡(200)의 내부 양측면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안내홈(221)이 이용되고, 상기 배출관(300)의 안내부(310)는 그 수직부(302)의 상,하단부에 형성된 안내돌기(311),(312)가 이용되어 배출관(300)이 수직방향으로 직선 이동하도록 결합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로졸 분사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00032946U KR200222262Y1 (ko) | 2000-11-24 | 2000-11-24 | 에어로졸 분사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00032946U KR200222262Y1 (ko) | 2000-11-24 | 2000-11-24 | 에어로졸 분사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222262Y1 true KR200222262Y1 (ko) | 2001-05-02 |
Family
ID=730920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00032946U KR200222262Y1 (ko) | 2000-11-24 | 2000-11-24 | 에어로졸 분사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222262Y1 (ko) |
-
2000
- 2000-11-24 KR KR2020000032946U patent/KR200222262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0222263Y1 (ko) | 에어로졸 분사장치 | |
JP5115932B2 (ja) | エアゾール容器用吐出装置 | |
US6669061B2 (en) | Pump dispenser and spraying apparatus | |
KR20090103914A (ko) | 에어졸 분사기의 트리거식 헤드 캡 | |
US11503859B2 (en) | Electronic atomizing device and atomizer and a liquid injection structure thereof | |
CA2245045C (en) | A manually-operated liquid discharge container having a finger knob | |
KR200222262Y1 (ko) | 에어로졸 분사장치 | |
JP3895828B2 (ja) | 混合液噴射用エアゾール装置 | |
JP2004329991A (ja) | トリガー式噴出器 | |
JP4049862B2 (ja) | カバーキャップ | |
JP3863347B2 (ja) | トリガ式液体噴出器 | |
JP3958497B2 (ja) | トリガ式液体噴出器 | |
JP3958498B2 (ja) | トリガ式液体噴出器 | |
JP4351580B2 (ja) | エアゾール製品用の噴射部材 | |
JP2002179167A (ja) | 2液混合型エアゾール容器用噴射器 | |
JP3177695B2 (ja) | 薬液噴射容器 | |
JP4366284B2 (ja) | エアゾール容器用の連続噴射装置 | |
JP3747347B2 (ja) | 噴出釦機構 | |
JP2003020085A (ja) | 噴出容器 | |
KR200246375Y1 (ko) | 에어로졸 연속분사 개폐장치 | |
JP2547137Y2 (ja) | 畳内噴射針のアダプタ | |
KR19980024833U (ko) | 분무기의 노즐 고정 구조 | |
EP0670186B1 (en) | Liquid spraying vessel | |
JP2004051171A (ja) | 長尺ノズル付噴射ボタン | |
JP2003154295A (ja) | エアゾール容器の噴射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T201 |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 ||
T701 |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91204 Year of fee payment: 10 |
|
EXPY | Expiration of ter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