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2003Y1 - 추출 도구 - Google Patents

추출 도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2003Y1
KR200222003Y1 KR2020000024476U KR20000024476U KR200222003Y1 KR 200222003 Y1 KR200222003 Y1 KR 200222003Y1 KR 2020000024476 U KR2020000024476 U KR 2020000024476U KR 20000024476 U KR20000024476 U KR 20000024476U KR 200222003 Y1 KR200222003 Y1 KR 20022200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extraction tool
food
bent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2447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근
유영희
Original Assignee
김성근
유영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성근, 유영희 filed Critical 김성근
Priority to KR202000002447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200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200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2003Y1/ko

Links

Landscapes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추출 도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싱크대 하수구에 설치되어 주로 음식물 찌꺼기를 걸러내는데 사용되는 필터를 하수구로부터 추출하는데 사용되는 추출 도구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상단부에는 싱크대 하수구의 입구에 걸리는 원형의 턱이 형성되고 그 하부에 연장되어 액체는 외부로 통과되고 일정한 크기의 고체는 걸러질 수 있도록 하측방향으로 연장된 다수개의 살로 이루어진 원통형의 필터부가 형성되며 상기 필터부 하부에 일정 깊이로 연장되어 걸러진 고체가 수용되는 원통형의 용기로 이루어진 필터를 추출하는데 사용하는 추출 도구로, 긴 부재가 가운데 부분이 일정각도를 유지하도록 절곡된 형태로 이루어지고, 그 절곡부는 일정각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탄성력을 가지며, 양 끝단에는 외측으로 절곡되어 돌출된 돌기가 두 개씩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양 끝단에서부터 일정 길이 떨어진 위치에는 상기 절곡부가 일정각도 절곡되는 경우에 음식물 필터의 외측 둘레 면을 접촉할 수 있도록 원형으로 라운드지게 형성되어, 음식물 필터를 용이하게 싱크대의 하수구로부터 추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음식물 필터를 잡아 고정하고 뒤집어 음식물 찌꺼기를 배출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추출 도구 {Drawing out tool}
본 고안은 추출 도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싱크대 하수구에 설치되어 주로 음식물 찌꺼기를 걸러내는데 사용되는 필터를 하수구로부터 추출하는데 사용되는 추출 도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의 부엌 또는 음식점의 주방 등에서 사용되는 싱크대(1)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식기의 세척시 물이 배수되는 하수구(1a)가 형성되어 배수 호스(2)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하수구(1a)에는 식기의 세척시 발생되는 음식물 찌꺼기를 거르기 위한 음식물 필터(1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한 음식물 필터(10)는 통상적으로 상단부에는 싱크대(1) 하수구(1a)의 입구에 걸리는 원형의 턱(11)이 형성되고 그 하부에 연장되어 액체는 외부로 통과되고 일정한 크기의 고체인 음식물 찌꺼기는 걸러질 수 있도록 하측방향으로 연장된 다수개의 살(12a)로 이루어진 원통형의 필터부(12)가 형성되며 상기 필터부(12) 하부에 일정 깊이로 연장되어 걸러진 음식물 찌꺼기가 수용되는 원통형의 용기(13)로 이루어져 있다.
식기의 세척시, 식기에 담겨져 있는 음식물 찌꺼기의 대부분은 세척 전에 제거하고 세척을 시작하게 되나, 식기에는 소량의 음식물 찌꺼기가 잔존하게 된다. 이러한 잔존하는 음식물 찌꺼기는 식기의 세척시 식기로부터 분리되어 하수구(1a)로 물과 함께 씻겨 이동하게 되고, 이동된 음식물 찌꺼기 중에 일정한 크기의 음식물 찌꺼기는 상기 음식물 필터(10)의 살(12a)들 사이에 걸러져 음식물 필터(10) 내부에 잔존하게 된다.
이러한 음식물 찌꺼기가 음식물 필터(10)에 많이 쌓이게 되면, 식기를 세척한 물의 배출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사용자는 음식물 찌꺼기를 음식물 필터(10)로부터 제거해야만 한다. 음식물 필터(10)로부터 쌓여 있는 음식물 찌꺼기를 배출할 때에는 음식물 필터(10)를 싱크대(1)의 하수구(1a)로부터 빼내고 뒤집어 음식물 찌꺼기를 배출하게 되고, 깨끗하게 세척한 다음 다시 싱크대(1)의 하수구(1a)에 설치한다.
그러나, 이러한 음식물 필터(10)에서의 음식물 찌꺼기 배출은 사용자가 음식물 필터(10)를 싱크대(1)의 하수구(1a)로부터 빼내는 작업이 용이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통상적으로 손을 하수구(1a)에 넣어 음식물 필터(10)를 빼내고 이를 뒤집어 음식물 찌꺼기를 제거하게 되므로 사용자에게 불결한 느낌을 주게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사용자가 손을 직접 음식물 필터에 접촉할 필요 없이 음식물 필터의 살들 사이와 턱 사이에 탄성적으로 돌기가 위치하도록 하여 음식물 필터를 용이하게 싱크대 하수구로부터 분리할 수 있는 동시에 음식물 필터를 잡고 뒤집을 수 있도록 형성된 음식물 필터의 추출 도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음식물 필터가 설치되어 있는 일반적인 싱크대의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제1실시 예에 의한 추출 도구의 정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제1실시 예에 의한 추출 도구의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제1실시 예에 의한 추출 도구가 음식물 필터에 끼워진 상태의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제1실시 예에 의한 추출 도구가 음식물 필터를 하수구로부터 추출할 수 있도록 음식물 필터의 살들 사이와 턱 사이에 끼워진 상태의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제1실시 예에 의한 추출 도구가 음식물 필터 내부의 음식물 찌꺼기를 배출하기 위하여 음식물 필터의 외측 둘레 면을 잡고 있는 상태의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의 제2실시 예에 의한 추출 도구의 사시도,
도 8은 본 고안의 제2실시 예에 의한 추출 도구가 음식물 필터를 하수구로부터 추출할 수 있도록 음식물 필터의 살들 사이와 턱 사이에 끼워진 상태의 사시도,
도 9는 본 고안의 제3실시 예에 의한 추출 도구의 정면도,
도 10은 본 고안의 제3실시 예에 의한 추출 도구의 사시도,
도 11은 본 고안의 제3실시 예에 의한 추출 도구가 음식물 필터를 하수구로부터 추출할 수 있도록 음식물 필터의 살들 사이와 턱 사이에 끼워진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10 : 음식물 필터 11 : 턱
12 : 필터부 12a : 살
13 : 용기 20, 30, 40 : 추출 도구
21, 31, 41 : 돌기 22, 32, 42 : 라운드부
23, 33, 43 : 절곡부 22a, 32a, 42a : 요철
본 고안에 의한 추출 도구는 상단부에 싱크대 하수구의 입구에 걸리는 원형의 턱이 형성되고 그 하부에 연장되어 액체는 외부로 통과되고 일정한 크기의 고체는 걸러질 수 있도록 하측방향으로 연장된 다수개의 살로 이루어진 원통형의 필터부가 형성되며 상기 필터부 하부에 일정 깊이로 연장되어 걸러진 고체가 수용되는 원통형의 용기로 이루어진 필터를 추출하는데 사용하는 추출 도구로, 상기 추출 도구는 긴 부재가 일정각도로 절곡되어 이루어지고 그 양 끝단에는 상기 살들 사이에 삽입될 수 있도록 돌기가 외측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돌기가 절곡된 부분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살들 사이와 상기 턱 사이에 안착됨으로써 상기 필터가 하수구로부터 추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한 추출 도구는 상기 필터의 외측 둘레 면을 잡을 수 있도록 그 양 끝단부로부터 일정거리 떨어진 부분이 외측 방향으로 라운드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한 추출 도구는 그 라운드지게 형성된 부분의 내측에 요철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한 추출 도구는 그 내측에 요철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 예를 참조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참조된 도면, 도 2는 본 고안의 제1실시 예에 의한 추출 도구의 정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제1실시 예에 의한 추출 도구의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의 제1실시 예에 의한 추출 도구가 음식물 필터에 끼워진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제1실시 예에 의한 추출 도구가 음식물 필터를 하수구로부터 추출할 수 있도록 음식물 필터의 살들 사이와 턱 사이에 끼워진 상태의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고안의 제1실시 예에 의한 추출 도구가 음식물 필터 내부의 음식물 찌꺼기를 배출하기 위하여 음식물 필터의 외측 둘레 면을 잡고 있는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고안의 제2실시 예에 의한 추출 도구의 사시도이며, 도 8은 본 고안의 제2실시 예에 의한 추출 도구가 음식물 필터를 하수구로부터 추출할 수 있도록 음식물 필터의 살들 사이와 턱 사이에 끼워진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고안의 제3실시 예에 의한 추출 도구의 정면도이며, 도 10은 본 고안의 제3실시 예에 의한 추출 도구의 사시도이고, 도 11은 본 고안의 제3실시 예에 의한 추출 도구가 음식물 필터를 하수구로부터 추출할 수 있도록 음식물 필터의 살들 사이와 턱 사이에 끼워진 상태의 사시도이다.
본 고안에 의한 추출 도구(20)의 제1실시 예는 도 2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긴 부재가 가운데 부분이 일정각도를 유지하도록 절곡된 형태로 이루어지고, 그 절곡부(23)는 일정각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탄성력을 가지며, 양 끝단에는 외측으로 절곡되어 돌출된 돌기(21)가 두 개씩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양 끝단에서부터 일정 길이 떨어진 위치에는 상기 절곡부(23)가 일정각도 절곡되는 경우에 음식물 필터(10)의 외측 둘레 면을 접촉할 수 있도록 원형으로 라운드지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라운드지게 형성된 라운드부(22)로부터 양 끝단까지 내측에는 요철(22a)이 형성되어 있는 바, 상기 요철(22a)은 음식물 필터(10)를 용이하게 잡을 수 있게 할뿐만 아니라 다른 물체를 용이하게 잡을 수 있도록 도와준다.
여기서, 상기 음식물 필터(10)는 싱크대(1) 하수구(1a)의 입구에 걸리는 원형의 턱(11)이 형성되고 그 하부에 연장되어 액체는 외부로 통과되고 일정한 크기의 고체인 음식물 찌꺼기는 걸러질 수 있도록 하측방향으로 연장된 다수개의 살(12a)로 이루어진 원통형의 필터부(12)가 형성되며 상기 필터부(12) 하부에 일정 깊이로 연장되어 걸러진 음식물 찌꺼기가 수용되는 원통형의 용기(13)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한 추출 도구(20)를 사용한 동작은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추출 도구(20)의 절곡부(23)는 일정각도로 절곡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탄성력을 갖도록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내측방향 또는 외측 방향으로 힘을 받아 구부려지거나 펴지는 경우 그 힘이 제거되면 원래의 상태로 되돌아오게 된다.
따라서, 도 4에서와 같이 추출 도구(20)를 상기 절곡부(23)의 각도가 작아지도록 구부려 음식물 필터(10)에 넣게 되는 경우에는 상기 절곡부(23)의 탄성력에 의해 추출 도구(20)의 양 끝단은 펴지는 힘을 갖게 되어 양 끝단은 음식물 필터(10) 내측 면에 접하려는 힘을 나타내게 된다. 그리하여 그 힘에 의해 양 끝단의 돌기(21)들은 각각 음식물 필터(10)의 살(12a)들 사이에 끼워지게 되어 상기 살(12a)은 두 개의 돌기(21) 사이에 끼워진 상태이고, 그 상태에서 사용자가 위로 당기면 도 5와 같이 돌기(21)가 상기 살(12a)들 사이와 턱(11) 사이에 위치하게 되고, 이렇게 돌기(21)가 음식물 필터(10)에 완전히 걸린 상태에서 상측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용이하게 음식물 필터(10)가 싱크대(1)의 하수구(1a)로부터 분리된다.
상기와 같이 음식물 필터(10)를 싱크대(1)의 하수구(1a)로부터 빼낸 상태에서, 추출 도구(20)를 음식물 필터(10)로부터 빼낸다. 음식물 필터(10) 내부에 걸러진 음식물 찌꺼기를 배출하기 위해서는 상기 음식물 필터(10)를 뒤집어 털어야 하는 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식물 필터(10)의 외측 둘레 면이 상기 추출 도구(20)의 라운드부(22) 사이에 끼워지도록 위치시킨 다음, 상기 절곡부(23)를 일정각도 구부려 상기 라운드부(22)가 상기 음식물 필터(10)의 외측 둘레 면에 접하도록 한다. 이때, 상기 라운드부(22)의 요철(22a)은 상기 음식물 필터(10)의 살(12a)들 사이에 맞물려 음식물 필터(10)를 더욱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상기 음식물 필터(10)를 잡은 상태에서, 뒤집고 털어 음식물 찌꺼기를 용이하게 음식물 필터(10)로부터 배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라운드부(22)로부터 양 끝단까지 요철(22a)이 형성되어 있어 다른 물체를 잡게 되는 집게로 사용되는 경우에도 요철(22a)에 의해 그 물체를 더욱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에 의한 추출 도구(30)의 제2실시 예는 도 7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실시 예와 마찬가지로 긴 부재가 일정각도 절곡되어 이루어져 절곡부(33) 및 라운드부(32)가 형성되는 동시에 상기 라운드부(32)로부터 양 끝단까지 요철(32a)이 형성되어 있으나, 양 끝단에 형성되는 돌기(31)가 제1실시 예와는 다르게 한 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다른 점이다.
이렇게 돌기(31)를 하나만 형성한 추출 도구(30)는 제1실시 예와 마찬가지로 동일하게 동작하나, 추출 도구(30) 제작시 돌기(31) 수의 저감에 따라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돌기(31)가 하나만 형성되기 때문에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싱크대(1)의 하수구(1a)로부터 음식물 필터(10)를 빼내는 경우 음식물 필터(10)가 제1실시 예에 비하여 고정되는 정도가 떨어진다.
한편, 본 고안에 의한 추출 도구(40)의 제3실시 예는 도 9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봉 형태의 긴 부재를 단순히 절곡된 것이 아니고 한 번 말려 절곡부(43)가 형성되고 양 끝단부는 제1, 2실시 예의 돌기(21, 31)의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외측으로 절곡되어 돌기(41)가 형성되어 있으며, 라운드부(42)도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제3실시 예는 상기한 실시 예들과는 달리 요철(22a. 32a)이 형성되어 있지 아니한 구조로 제작비가 상당히 많이 절감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추출 도구(40)는 제1, 2실시 예와 마찬가지로 동작되나 요철(22a, 32a)이 형성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음식물 필터(10)로부터 미끄러질 염려가 있다. 그러나 음식물 필터(10)를 추출하고 음식물 찌꺼기를 배출하는 동작에서는 그다지 큰 문제점을 나타내지는 않고 그 목적을 달성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추출 도구(20, 30, 40)는 그 양 끝단의 돌기(21, 31, 41)가 음식물 필터(10)의 살(12a)들과 턱(11) 사이에 위치하여 음식물 필터(10)를 추출하게 되므로 불결한 음식물 필터(10)를 손에 직접 접촉하지 않고 용이하게 추출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한 추출 도구(20, 30, 40)는 상기 라운드부(22, 32, 42)가 형성되어 음식물 필터(10)의 외측 둘레 면을 잡을 수 있기 때문에 음식물 필터(10)로부터 용이하게 음식물을 털어 낼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더불어, 본 고안에 의한 추출 도구(20, 30)는 상기 라운드부(22, 32)로부터 양 끝단까지 요철(22a, 32a)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음식물 필터(10)를 더욱 견고하게 고정하여 잡을 수 있는 동시에 다른 물체를 잡을 때에도 미끄러지지 않고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고안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고안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Claims (4)

  1. 상단부에는 싱크대 하수구의 입구에 걸리는 원형의 턱이 형성되고 그 하부에 연장되어 액체는 외부로 통과되고 일정한 크기의 고체는 걸러질 수 있도록 하측방향으로 연장된 다수개의 살로 이루어진 원통형의 필터부가 형성되며 상기 필터부 하부에 일정 깊이로 연장되어 걸러진 고체가 수용되는 원통형의 용기로 이루어진 필터를 추출하는데 사용하는 추출 도구로,
    상기 추출 도구는 긴 부재가 일정각도로 절곡되어 이루어지고 그 양 끝단에는 상기 살들 사이에 삽입될 수 있도록 돌기가 외측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돌기가 절곡된 부분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살들 사이와 상기 턱 사이에 안착됨으로써 상기 필터가 하수구로부터 추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출 도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 도구는 상기 필터의 외측 둘레 면을 잡을 수 있도록 그 양 끝단부로부터 일정거리 떨어진 부분이 외측 방향으로 라운드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출 도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 도구는 그 라운드지게 형성된 부분의 내측에 요철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출 도구.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 도구는 그 내측에 요철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출 도구.
KR2020000024476U 2000-08-29 2000-08-29 추출 도구 KR20022200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4476U KR200222003Y1 (ko) 2000-08-29 2000-08-29 추출 도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4476U KR200222003Y1 (ko) 2000-08-29 2000-08-29 추출 도구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58054A Division KR20020017887A (ko) 2000-10-04 2000-10-04 추출 도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22003Y1 true KR200222003Y1 (ko) 2001-05-02

Family

ID=730877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4476U KR200222003Y1 (ko) 2000-08-29 2000-08-29 추출 도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2003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992746A2 (en) Waste trap/plug assembly for sinks
KR200222003Y1 (ko) 추출 도구
KR20020017887A (ko) 추출 도구
JP2008302188A (ja) お玉杓子
KR101911741B1 (ko) 음식물 거름망
US20040107489A1 (en) Sink drainer system
KR200235715Y1 (ko) 싱크대용 배수구 개폐장치
KR200414384Y1 (ko) 젓가락 선별기
KR102104939B1 (ko) 탈착이 용이한 플로우 드레인 여과판
JP2004116228A (ja) ヘアーキャッチャー
JP3229332U (ja) 生ごみ水切り器
JP2006326244A (ja) 流し台用水切り具
CN219240727U (zh) 一种角位隔渣去水器
KR200191889Y1 (ko) 음식물 쓰레기 수분 제거용 용기
CN208726843U (zh) 一种伞状过滤器
JPH0556803U (ja) 生ゴミ処理容器
KR200284590Y1 (ko) 싱크대용 바구니
KR200196677Y1 (ko) 개숫물 찌꺼기 여과망
KR100351006B1 (ko) 개숫물 찌꺼기 여과망
GB2260688A (en) Fluid receptacle with fluid release and containment mechanism
KR200241645Y1 (ko) 싱크대용 음식찌꺼기 수거망
KR200346556Y1 (ko) 잔반처리대
KR20100001549U (ko) 싱크대용 배수장치
EP0792611A1 (en) Moulded plastic vegetable cleaning tray used on sinks of different widths
KR200241164Y1 (ko) 싱크대 배수구용 오물 걸음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