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1831Y1 - 가스실린더의 외통 받침판 구조 - Google Patents

가스실린더의 외통 받침판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1831Y1
KR200221831Y1 KR2019980027888U KR19980027888U KR200221831Y1 KR 200221831 Y1 KR200221831 Y1 KR 200221831Y1 KR 2019980027888 U KR2019980027888 U KR 2019980027888U KR 19980027888 U KR19980027888 U KR 19980027888U KR 200221831 Y1 KR200221831 Y1 KR 20022183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er cylinder
support plate
section
cylinder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2788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14563U (ko
Inventor
윤영기
Original Assignee
이세용
주식회사삼홍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세용, 주식회사삼홍사 filed Critical 이세용
Priority to KR201998002788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1831Y1/ko
Publication of KR2000001456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456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183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1831Y1/ko

Links

Landscapes

  • Fluid-Damp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가스실린더에 있어서 피스톤로드를 고정하는 받침판과 외통의 결합구조에 관련된 것으로써, 간단한 벤딩 및 커링 작업으로 외통과 받침판을 견고하게 고정하는 것을 목적으로한다.
본 고안은 외통(100)의 하부 단부면을 외통과 동축선상으로 잘게 커팅하여 제1절편(90a) 및 제2절편(90b)을 복수개 구성하고, 제1절편(90a)들을 외통의 내측으로 말아올려 벤딩한 후, 그 벤딩된 제1절편 위에 받침판(50)을 올려놓고, 제2절편(90b)들을 받침판 쪽으로 커링하여 고정한다.

Description

가스실린더의 외통 받침판 구조
본 고안은 테이블, 의자 등에 사용할 수 있는 가스실린더에 관련된 것으로써, 더 상세히는 가스실린더의 외통과 받침판을 저렴한 비용으로 견고하게 고정하는 구조에 관련된 것이다.
상기 가스실린더는 도 1과 같이 외통(100)에 의하여 감싸여진 튜브가이드(30)의 내면을 따라 상기 외통과 동축선 방향으로 상하 습동자재한 스핀들(20)을 구비하고, 상기 스핀들과 연결된 피스톤로드(15)는 외통의 단부에 고정된 받침판(50)과 고정되어 있다. 상기 스핀들(20)은 공압 또는 유압의 조정에 의하여 상하 습동 할 수 있도록 피스톤로드의 한 단부와 고정된 피스톤(10)이 내장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가스실린더는 스핀들의 상단부에 테이블판이나 의자의 좌대를 고정하고, 외통 하부에 지지발을 삽입 고정하여 테이블이나 의자의 높이조절용 중심봉으로 많이 이용된다.
따라서, 스핀들에 걸리는 하중이 피스톤로드와 연결된 받침판(50)에 걸리는바, 그 하중으로 인한 충격을 흡수하고, 스핀들의 회전마찰력을 줄이기 위하여 피스톤로드(15)의 단부에 쿠션고무(36), 베어링서포트(40a),(40b) 사이에 개재된 볼 베어링(45)을 삽입한다. 상기 베어링서포트 등이 삽입된 피스톤로드의 단부는 클립(47)을 이용하여 받침판(50)과 고정된다.
그런데, 외통(100)의 단부와 받침판(50)이 고정되는 종래의 구조는 미국 특허 4969616호에서 알 수 있는 것처럼 미리 외통(100)의 내벽에 받침판(50)이 걸릴 수 있도록 엠보싱(embossing)을 형성하여 두고, 그 엠보싱 부분에서 연장된 림(rim)을 받침판(50)쪽으로 커링(curing)하여 고정하는 구조를 하고 있다.
또, 도 2와 같이 받침판(50)의 형상을 다르게 하여 외통의 단부를 엠보싱(60)하고, 그 외통의 하부 단부를 커링하여 고정하는 구조와, 도 3과 같이 외통(100)에 凹 형상의 받침판(50)을 끼워넣은 후 받침판(50)과 외통(100)에 엠보싱(60)을 동시에 형성하여 커링작업을 생략하는 방법으로 받침판과 외통을 고정하는 구조 등이 제안되어 있다.
상기 엠보싱 및 커링작업에 의하여 받침판과 외통을 고정하는 방법은 고전적인 고정방법 즉, 용접에 의하여 고정하였을 때 작업공정이 과다하게 소요되고 조립비용이 높아지는 단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이지만, 상기 도 1 및 도 2의 구조는 엠보싱(60)을 형성한 후 림(65)을 커링하여 받침판(50)을 고정하는 과정에서 엠보싱의 형태가 변형되어 받침판(50)의 흔들림 불량이 발생하거나 받침판이 틀어지고, 견고하게 고정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또, 도 3과 같이 외통과 받침판을 동시에 엠보싱하여 고정하는 구조에 있어서는 외통과 받침판의 고정 상태가 불안정하여 받침판(50)의 흔들림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써, 받침판이 고정되는 외통의 하부 단부면을 따라 일정한 간격을 두고, 그 외통과 동축상 방향으로 일정길이 만큼 커팅하여 복수개의 절편을 형성하고, 상기 절편을 제1절편과 제2절편으로 구분하여 제1절편과 제2절편이 서로 교대되도록 하고, 상기 제1절편을 먼저 외통의 내측으로 벤딩한 후 상기 벤딩된 제1절편 위에 받침판을 놓고, 상기 제2절편을 받침판쪽으로 커링하여 고정한다.
상기 제1절편의 폭은 제2절편의 폭과 같거나 작도록 형성하여 받침판에 걸리는 하중을 커링된 제2절편이 충분히 견딜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구조는 먼저 벤딩된 제1절편의 형상에 전혀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제2절편만을 커링하여 받침판을 고정하기 때문에 받침판이 틀어지거나 흔들리지 않고, 견고하게 고정된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간단한 벤딩 및 커링작업으로 외통과 받침판을 견고하게 고정하므로써, 저렴한 비용으로 품질이 향상된 가스실린더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종래의 가스실린더의 종단면도이고,
도 2, 도 3은 종래 가스실린더의 외통과 받침판의 다른 예의 결합 구조를 나타내는 요부 단면도이고,
4는 본 고안의 가스실린더의 요부 종단면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가스실린더의 외통과 받침판의 결합 구조를 나타내는 배면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의 가스실린더의 외통과 받침판이 결합되기 전 상태를 나타내는 요부 입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피스톤 15 - 피스톤로드
50 - 받침판 60 - 엠보싱(embossing)
65 - 림(rim) 90a - 제1절편
90b - 제2절편 100 - 외통
외통의 단부에 고정된 받침판에 상기 외통의 내측으로 연장되어 설치된 피스톤로드의 한 단부가 고정되고, 상기 피스톤로드의 다른 단부에 연결된 스핀들이 상기 피스톤로드를 따라 상기 외통과 동축선 방향으로 상하 습동자재하도록 된 가스실린더에 있어서,
상기 외통과 상기 받침판의 고정은 상기 외통의 단부면을 따라 형성되는 복수개의 제1절편과 복수개의 제2절편 중, 상기 제1절편을 상기 외통의 내측으로 벤딩하여 돌출부를 형성하고, 상기 돌출부와 접촉되도록 상기 받침판을 놓고 상기 제2절편을 상기 받침판쪽으로 커링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한다.
또, 상기 제1절편의 폭은 상기 제2절편의 폭과 같거나 작게 구성하고, 상기 받침판의 직경은 상기 외통의 직경보다 작게형성 된다.
이하, 도 4, 도 5, 도 6을 참고하여 본 고안의 가스실린더의 외통과 받침판의 고정 구조 및 방법 등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고안의 가스실린더의 요부 종단면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외통과 받침판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배면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의 외통과 받침판이 결합되기 전 상태를 나타내는 입체도이다.
상기 도면의 구조에서 알 수 있는 것처럼 외통(100)의 단부면을 외통과 동축선상으로 잘게 커팅하여 적어도 받침판(50)의 두께 t보다 큰 길이 d를 갖는 제1절편(90a) 및 제2절편(90b)이 복수개 구성된다.
상기 제1절편(90a)의 폭 W1은 상기 제2절편(90b)의 폭 W2와 같거나 더 좁게 형성하고 제1절편과 제2절편이 교대로 배치되도록한다.
본 고안의 제1절편 및 제2절편의 폭은 스핀들에 걸리는 하중을 고려하여 결정되므로 하중에 큰 문제가 없다면 제1절편이 제2절편의 폭보다 넓게 형성되어도 관계없다.
상기 외통의 제1절편(90a)들은 한 번에 외통의 내측으로 말아올려 벤딩하고, 그 벤딩된 제1절편 위에 피스톤로드의 고정홀(93)이 형성된 받침판(50)을 올려놓는다. 상기 받침판이 상기 말아올려진 제1절편에 접촉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받침판의 외경을 외통의 내경보다 약간 작게 형성하는 것이 좋다.
상기 외통(100)의 내부에서 벤딩된 제1절편(90a)에 의하여 받침판(50)이 지지되는 상태에서 제2절편(90b)들을 한 번에 외통의 안쪽 즉, 받침판 쪽으로 커링하여 받침판을 감싸도록 고정한다.
상기와 같이 받침판(50)을 외통(100)에 고정한 후, 외통에 형성된 고정홀(93)에 쿠션고무, 베어링서포터, 볼 베어링 등이 삽입된 피스톤로드(15)를 끼우고, 피스톤로드와 받침판을 클립(47)으로 고정한다.
본 고안은 외통(100)의 단부면에 제1절편(90a)과 제2절편(90b)을 형성한 후 제1절편을 먼저 외통의 내부로 말아올려 벤딩하고, 그 위에 받침판(50)을 올려놓고 제2절편을 커링하여 받침판을 감싸도록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한다.
상기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고안의 받침판 고정 구조는 제1절편과 제2절편이 완전히 분리되어 독립적으로 벤딩 및 커링되므로 종래의 엠보싱에 의한 고정구조와 비교하여 그 고정구조가 안정되고, 견고하여지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Claims (5)

  1. 외통의 단부에 고정된 받침판에 상기 외통의 내측으로 연장되어 설치된 피스톤로드의 한 단부가 고정되고, 상기 피스톤로드의 다른 단부에 연결된 스핀들이 상기 피스톤로드를 따라 상기 외통과 동축선 방향으로 상하 습동자재하도록 된 가스실린더에 있어서,
    상기 외통의 단부면을 따라 형성되는 복수개의 제1절편과 복수개의 제2절편 중, 상기 제1절편으로 상기 외통의 내측에 돌출부를 형성하고, 상기 돌출부와 접촉되도록 상기 받침판을 놓고 상기 제2절편으로 상기 받침판을 고정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하는 가스실린더의 외통 받침판 고정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제1절편을 벤딩하여 형성되고, 상기 제2절편을 상기 외통의 내측으로 커링하여 상기 받침판이 감싸지도록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하는 가스실린더의 외통 받침판 고정구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절편의 폭은 상기 제2절편의 폭과 같거나 작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가스실린더의 외통 받침판 고정구조.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절편의 폭은 상기 제2절편의 폭보다 크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가스실린더의 외통 받침판 고정구조.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판의 직경은 상기 외통의 직경보다 작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가스실린더의 외통 받침판 고정구조.
KR2019980027888U 1998-12-30 1998-12-30 가스실린더의 외통 받침판 구조 KR20022183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7888U KR200221831Y1 (ko) 1998-12-30 1998-12-30 가스실린더의 외통 받침판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7888U KR200221831Y1 (ko) 1998-12-30 1998-12-30 가스실린더의 외통 받침판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4563U KR20000014563U (ko) 2000-07-25
KR200221831Y1 true KR200221831Y1 (ko) 2001-05-02

Family

ID=695064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27888U KR200221831Y1 (ko) 1998-12-30 1998-12-30 가스실린더의 외통 받침판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1831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4563U (ko) 2000-07-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078257C1 (ru) Распорный анкер и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распорной гильзы
US4904135A (en) Cone expansion wall-plug
KR920703924A (ko) 개량된 마모성 스크린용 플레이트(plate)와 그의 제조방법
KR101019783B1 (ko) 가로 요소를 구비한 구동 벨트 및 가로 요소를 제작하기위한 스탬핑 장치
KR200221831Y1 (ko) 가스실린더의 외통 받침판 구조
US6505493B2 (en) Support bar and method for forming a support bar
JP2008238276A (ja) 折り曲げシートメタル製のヒールドサポートバー
JPH06862Y2 (ja) スペ−サ
US5310130A (en) Cutting device for a winding machine for winding a web of material, particularly a paper web
US5833182A (en) Adjustable column
JP2506266B2 (ja) プレスブレ―キ
CA1042644A (en) Method of shaping a screw type clamping collar
JP2531971B2 (ja) アルミ角パイプの曲げ加工装置
KR20040060075A (ko) 앵커볼트의 슬릿 성형방법
KR890002981Y1 (ko) 펑탄도를 얻게한 드로잉금형
JP4531971B2 (ja) 固定パイプの化粧カバー装置
JPH07112704B2 (ja) プリプレグの製造方法
US20220174441A1 (en) Loudspeaker having wire damper with locally adjustable elasticit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102066581B1 (ko) 탱크 고정용 밴드 제조장치
JP3997579B2 (ja) 割型による缶胴の張出し成形方法及びその装置
JP2000211521A (ja) 架 台
KR20160116964A (ko) 날개형 고정 클립과 목재 데크의 설치 구조
KR970061385A (ko) 파이프용 연결구 제조방법
KR920006471Y1 (ko) 프랜지 제조용 평판 굴곡기
KR100217461B1 (ko) 차량용 헤드레스트의 홀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13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4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