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1360Y1 - 버스의 에어 컨디셔너 덕트 고정구조 - Google Patents

버스의 에어 컨디셔너 덕트 고정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1360Y1
KR200221360Y1 KR2019990002568U KR19990002568U KR200221360Y1 KR 200221360 Y1 KR200221360 Y1 KR 200221360Y1 KR 2019990002568 U KR2019990002568 U KR 2019990002568U KR 19990002568 U KR19990002568 U KR 19990002568U KR 200221360 Y1 KR200221360 Y1 KR 20022136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ct
panel
support member
corner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0256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17221U (ko
Inventor
임희천
Original Assignee
이계안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계안,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계안
Priority to KR201999000256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1360Y1/ko
Publication of KR2000001722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722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136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1360Y1/ko

Links

Abstract

본 고안은 버스의 에어 컨디셔너 덕트 고정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덕트 본체를 루프 패널에 조립할 때 조립시간을 단축하고 조립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고안은 루프 아웃터 패널(1) 및 루프 인너 패널(2)과 코너 아웃터 패널(3) 및 코너 인너 패널(4)의 각 결합부분에 상부 지지부재(30)를 가로로 고정시켜 그 하방에 후크 부재(31)를 고정하고, 코너 아웃터 패널(3)과 코너 인너 패널(4)의 타단부에 하부 지지부재(32)를 가로로 고정함과 동시에 하부 지지부재(32)의 측벽에 커튼 레일(33)을 고정하여 상기 후크 부재(31)에 덕트 본체(7)의 상부에 형성한 상부 플랜지(7')를 끼워 지지시키고, 덕트 본체(7)의 하부에 형성한 하부 플랜지(7')는 커튼 레일(33)의 상면에 고정한 것이다.

Description

버스의 에어 컨디셔너 덕트 고정구조 {AIR CONDITIONER DUCT FIXING MEANS OF BUS}
본 고안은 버스의 에어 컨디셔너 덕트 고정구조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버스의 에어 컨디셔너 덕트(Air Conditioner Duct)는 버스의 내부 양측에 설치하는 것으로서, 루프 패널상에 설치된 에어 컨디셔너에 블로어 커버(Blower Cover)를 통해 연결시키는 것이다. 상기 에어 컨디셔너를 작동하게 되면 공기가 블로어 커버내를 거쳐 덕트로 이동하게 되며, 덕트로 이동된 공기는 덕트의 측부에 형성된 노즐을 통해 실내로 토출되는 것이다.
상기한 종래의 에어 컨디셔너 덕트의 고정구조는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루프 아웃터 패널(1)과 루프 인너 패널(2)에 코너 아웃터 패널(3)과 코너 인너 패널(4)이 각각 결합되는 부분에 상부 지지부재(5)를 고정하고, 코너 아웃터 패널(3)과 코너 인너 패널(4)의 타단부에는 하부 지지부재(6)를 고정하는 것이다. 상기 상부 지지부재(5)와 하부 지지부재(6)는 버스의 길이방향으로 설치하는 것으로서, 등간격으로 배치하여 설치할 수 있는 것이며, 루프 패널(1,2) 및 코너 패널(3,4)을 지지함과 동시에 덕트 본체(7)를 지지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하부 지지부재(6)에는 덕트 본체(7)를 고정시키기 위한 ㄴ자형 고정 부재(8)를 고정하는 것이다.
상기한 상부 지지부재(5)와 고정 부재(8)에 덕트 본체(7)를 고정하는 것인 바, 덕트 본체(7)의 상부측 플랜지(7')를 상부 지지부재(5)의 저부측에 위치시키고, 덕트 본체(7)의 하부측 플랜지(7')를 고정 부재(8)의 저부측에 위치시킨 후 가조립을 하는 것이다. 상기한 가조립의 방법은 볼트를 이용하여 고정하는 것이다. 이때에는 루트 인너 패널(2)의 저부측과 고정 부재(8)의 저부측에 볼트가 노출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며, 도 3에서는 상기의 볼트가 도시되어 있지 않은 것이다.
상기와 같이 덕트 본체(7)를 가조립한 후, 천정의 외관상 미려함을 제공하기 위하여 고정된 실링(Ceiling) 패널(9)을 덕트 본체(7)의 상부측 플랜지(7')의 고정부분을 커버한다. 덕트 본체(7)의 상부측 플랜지(7')의 고정부분을 실링 패널(9)로 커버하여 알루미늄 몰드(10)를 위치시킨 후 그 부분에 볼트(11)고정을 하기 위하여 드릴링 작업을 하는 것이다. 드릴링 작업을 하여 덕트 본체(7)의 상부측 플랜지(7')와 상부 지지부재(5), 실링 패널(9) 및 알루미늄 몰드(10)에 홀(미도시)을 형성한 후 볼트(11)로 고정하는 것이다. 그 다음으로 외관상 미려함을 제공하기 위하여 커버(12)를 알루미늄 몰드(10)에 끼우는 것이다.
그리고, 덕트 본체(7)의 하부측 플랜지(7')의 고정은, 커튼 레일(13)을 덕트 본체(7)의 하부측 플랜지(7')의 저부측에 위치시킨 후 드릴링 작업을 하여 홀(미도시)을 형성한 후 그 부분에 볼트(11)로 고정하므로서, 덕트 본체(7)의 고정이 완료되는 것이다.
상기 덕트 본체(7)의 고정을 완료한 후, 루프 아웃터 패널(1)상에 설치된 에어 컨디셔너(14)와 덕트 본체(7)를 블로어 커버(15)로 연통시켜 설치하는 것이다.
그리고, 미설명 부호 16은 손잡이이고, 17은 빗물 받이이며, 18은 몰드 커버이고, 19는 글래스이다. 또한, 20은 노즐로서, 에어 컨디셔너(14)에서 블로어 커버(15)를 통해 덕트 본체(7)로 인입된 공기가 노즐(20)을 통해 버스의 실내로 토출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버스의 에어 컨디셔너 덕트의 고정구조는, 덕트 본체(7)를 조립하는 경우에 실링 패널(9) 및 알루미늄 몰드(10)와 함께 드릴링 작업을 하여야 하고 고정 부재(8)를 코너 인너 패널(4)에 고정하여야 하기 때문에 조립시간의 증가와 제작원가의 상승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알루미늄 몰드(10)의 외측에 커버(12)를 설치하여야 하기 때문에 조립비용이 증가하게 되는 단점도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시정하여 덕트 본체를 루프 패널에 조립할 때 조립시간을 단축하고 조립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한 버스의 에어 컨디셔너 덕트 고정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루프 아웃터 패널 및 루프 인너 패널과 코너 아웃터 패널 및 코너 인너 패널의 각 결합부분에 상부 지지부재를 가로로 고정시켜 그 하방에 후크 부재를 고정하고, 코너 아웃터 패널과 코너 인너 패널의 타단부에 하부 지지부재를 가로로 고정함과 동시에 하부 지지부재의 측벽에 커튼 레일을 고정하여 상기 후크 부재에 덕트 본체의 상부에 형성한 상부 플랜지를 끼워 지지시키고, 덕트 본체의 하부에 형성한 하부 플랜지는 커튼 레일의 상면에 고정한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의 정면도,
도 2a는 도 1의 A부 확대도,
도 2b는 도 1의 B부 확대도,
도 3은 종래의 것의 정면도,
도 4a는 도 3의 C부 확대도,
도 4b는 도 3의 D부 확대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1: 루프 아웃터 패널 2: 루프 인너 패널 9: 실링 패널
30: 상부 지지부재 31: 후크 부재 32: 하부 지지부재
33: 커튼 레일 34: 지지체
본 고안은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루프 아웃터 패널(1) 및 루프 인너 패널(2)에 코너 아웃터 패널(3) 및 코너 인너 패널(4)의 각 결합부분에 상부 지지부재(30)를 가로로 고정시켜 그 하방에 후크 부재(31)를 볼트(11)로 고정하고, 코너 아웃터 패널(3)과 코너 인너 패널(4)의 타단부에 하부 지지부재(32)를 가로로 고정함과 동시에 하부 지지부재(32)의 측벽에 커튼 레일(33)을 볼트(11)로 고정하여 덕트 본체(7)의 상부측 플랜지(7')를 절곡시켜 상기 후크 부재(31)에 끼워 지지시키고, 덕트 본체(7)의 하부측 플랜지(7')는 커튼 레일(33)의 상면에 위치시켜 볼트(11)로 고정한 것이다.
상기 덕트 본체(7)의 상부와 실링 패널(9) 사이의 공간에는 지지체(34)를 압입하여 설치하는 바, 상기 지지체(34)는 루프 인너 패널(2)에 고정된 실링 패널(9)과 후크 부재(31)에 지지된 덕트 본체(7)의 플랜지(7') 절곡부위를 압박하여 후크 부재(31)에 지지된 덕트 본체(7)가 이탈되지 않게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부 지지부재(30)와 하부 지지부재(32)에는 고정홀(미도시)을 형성한 상태에서 루프 패널(1,2) 및 코너 패널(3,4)에 설치하므로서, 후크 부재(31)와 커튼 레일(33)을 볼트(11)로 고정하는 경우에 별도의 드릴링 작업을 하지않고 고정하는 것이다. 이로 인해, 후크 부재(31)와 커튼 레일(33)의 조립시간이 종래에 비해 단축되는 것이다.
또한, 후크 부재(31)를 덕트 본체(7)의 상부측 플랜지(7')가 걸릴 수 있게 걸이형상의 턱으로 형성하고 있어, 덕트 본체(7)의 플랜지(7') 절곡부위를 후크 부재(31)에 걸치기만 하면 덕트 본체(7)가 지지되는 것이며, 지지체(34)를 간단히 그 부분에 끼우면 되는 것이다. 그리고, 실링 패널(9)의 단부가 후크 부재(31)의 내측으로 위치하여 루프 인너 패널(2)에 고정되게 되므로서, 후크 부재(31)와의 고정간섭이 발생하지 않는 것이다.
한편, 덕트 본체(7)의 하부측 플랜지(7')는, 하부 지지부재(32)의 측벽에 고정된 커튼 레일(33)의 상부측에 위치시켜 커튼 레일(33)과 함께 볼트(11)로 간단하게 고정하면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덕트 본체(7)의 상부측을 후크 부재(31)에 지지시킨 후 하부측을 커튼 레일(33)에 위치시켜 볼트(11)로 고정하면 덕트 본체(7)가 간단하게 고정되고, 마지막으로 지지체(34)를 덕트 본체(7)의 상부측 플랜지(7')와 실링 패널(9)의 하부측 사이에 끼우면 조립작업이 완료된다.
그리고, 미설명 부호 16은 손잡이이고, 17은 빗물 받이이며, 18은 몰드 커버이고, 19는 글래스이다. 또한, 20은 노즐로서, 에어 컨디셔너(14)에서 블로어 커버(15)를 통해 덕트 본체(7)로 인입된 공기가 노즐(20)을 통해 버스의 실내로 토출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덕트 본체를 루프 패널에 조립할 때 후크 부재와 커튼 레일을 상부 지지부재와 하부 지지부재에 고정시킨 후 덕트 본체의 상부측을 상부 지지부재에 지지시키고 덕트 본체의 하부측을 커튼 레일에 위치시켜 볼트로 고정하므로서, 조립시간을 단축하고 조립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2)

  1. 루프 아웃터 패널 및 루프 인너 패널과 코너 아웃터 패널 및 코너 인너 패널의 각 결합부분에 상부 지지부재를 가로로 고정시켜 그 하방에 후크 부재를 고정하고, 코너 아웃터 패널과 코너 인너 패널의 타단부에 하부 지지부재를 가로로 고정함과 동시에 하부 지지부재의 측벽에 커튼 레일을 고정하여 상기 후크 부재에 덕트 본체의 상부에 형성한 상부 플랜지를 끼워 지지시키고, 덕트 본체의 하부에 형성한 하부 플랜지는 커튼 레일의 상면에 고정한 버스의 에어 컨디셔너 덕트 고정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덕트 본체의 상부와 실링 패널 사이에 지지체를 설치한 버스의 에어 컨디셔너 덕트 고정구조.
KR2019990002568U 1999-02-19 1999-02-19 버스의 에어 컨디셔너 덕트 고정구조 KR20022136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2568U KR200221360Y1 (ko) 1999-02-19 1999-02-19 버스의 에어 컨디셔너 덕트 고정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2568U KR200221360Y1 (ko) 1999-02-19 1999-02-19 버스의 에어 컨디셔너 덕트 고정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7221U KR20000017221U (ko) 2000-09-25
KR200221360Y1 true KR200221360Y1 (ko) 2001-04-16

Family

ID=547595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02568U KR200221360Y1 (ko) 1999-02-19 1999-02-19 버스의 에어 컨디셔너 덕트 고정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1360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7221U (ko) 2000-09-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21360Y1 (ko) 버스의 에어 컨디셔너 덕트 고정구조
JP3899976B2 (ja) 自動車用ドアのガラスガイド構造
ATE299813T1 (de) Deckenverkleidungs- und luftleitsystem
KR100315288B1 (ko) 자동차의 도어 인사이드 벨트 웨더스트립 고정구조
JPH10281495A (ja) 取付枠を一体化した窓用エアコン
JP3854443B2 (ja) 屋根切妻側装飾体
JP2580466Y2 (ja) エアインテークガーニッシュの取付構造
KR200489894Y1 (ko) 커튼월 고정장치
JP3822018B2 (ja) 軒樋補強構造
KR200329105Y1 (ko) 건축물의 천정패널 고정바
KR100820208B1 (ko) 차량용 글래스 몰딩 체결 어셈블리
KR100333876B1 (ko) 레저 차량의 리어 도어 가니쉬 구조물
JP3847034B2 (ja) 縦枠取付け金具
JP3200567B2 (ja) 換気部材
JP3679479B2 (ja) 外装材の取付け構造
JP2572895Y2 (ja) 樋受金具
KR100515150B1 (ko) 자동차용 리어 도어의 디비젼 채널 결합구조
KR100278105B1 (ko) 자동차의도어글래스런장착구조
KR960001110Y1 (ko) 자동차 범퍼 임팩트 비임의 취부구조
KR19980048001A (ko) 차량용 루프 사이드 패널과 도어 프레임 구조
KR19990006846U (ko) 루프 인테리어 패널 고정용 브라켓
KR200329104Y1 (ko) 건축물의 천정패널 고정바
JPH0514964Y2 (ko)
JPH0754431Y2 (ja)
JPH0210225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203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