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0933Y1 - 곡면 반사 금속 스크린(曲面 反射 金屬screen) - Google Patents

곡면 반사 금속 스크린(曲面 反射 金屬scree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0933Y1
KR200220933Y1 KR2020000031728U KR20000031728U KR200220933Y1 KR 200220933 Y1 KR200220933 Y1 KR 200220933Y1 KR 2020000031728 U KR2020000031728 U KR 2020000031728U KR 20000031728 U KR20000031728 U KR 20000031728U KR 200220933 Y1 KR200220933 Y1 KR 20022093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
reflective metal
scattering
curved
metal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3172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해용
Original Assignee
최해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해용 filed Critical 최해용
Priority to KR202000003172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093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093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0933Y1/ko

Links

Abstract

본 고안은 영사용 스크린에 있어서 산란면과 반사면을 별도로 분리 구성하되 산란면은 투과율 5 ∼ 90%의 플라스틱 투명 쉬트로 구성하고 반사면은 10 ∼ 95%의 반사면을 갖는 금속 쉬트로 구성하되 산란면과 반사면을 상호 결합하여 이를 일방 곡면 형태로 구성하여 밝기와 시야각을 현저히 증가시킨 곡면 반사 금속 스크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곡면 반사 금속 스크린(曲面 反射 金屬SCREEN){.}
본 고안은 영상을 결상하는 영상 스크린에 있어서 알루미늄이나 철판, 또는 스테인레스 등의 금속을 재료로 하여 표면을 반사면으로 형성하고 이를 투사거리에 적합한 곡면(曲面)으로 형성한 다음
PVC, 포리에스터와 같은 프라스틱 재질을 박판으로 형성 하고 그표면을 산란면으로 형성한 다음 상기 금속표면과 결합 하므로서 종래 표면스크린에 비해 밝기를 2배 이상 현저히 증가하고 시야각을 확대하며, 대형스크린 제작에 있어서 이음매 라인 현출이 현저히 감소 할 수 있게끔 고안한 스크린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스크린의 밝기 즉 반사율을 나타내는 지수 게인(GAIN)은 공지되어 있다.
스크린의 밝기와 좌우 시야각은 상호 반비례하는 것도 공지되어 있다.
통상 일반 극장에서 사용하는 스크린은 1게인 내외이다.
게인(GAIN)이 높은 반사스크린 일수록, 시야각은 비례하여 좁아진다.
게인수가 높은 스크린일수록 대형 스크린으로 구성시 이음매 형태가 반사율에 비례하여 현저히 나타난다.
따라서 스크린의 구성에 있어서 게인수가 높으면서 시야각을 확대하고 대형화면으로 구성시 이음매 표시를 감소할수 있게끔 금속반사면표면에 산란투과면을 형성하되 스크린 상하.또는 좌우 양방중 일방을 곡면으로 구성하여 밝기와 시야각 효율을 동시에 증대시킨 스크린 구조를 제시함에 있다.
도1은 본 고안의 구성 형태 설명도
도2는 단면 구성 설명도
도3은 본 고안의 작용 설명도
도4는 본 고안의 설치 실 예도
도5는 본 고안의 설치 실 예 설명도1
도6은 본 고안의 설치 실 예 설명도2
도면의 부호에 대한 명칭의 간략한 설명
1. 곡면 반사스크린 2. 산란투과면 3. 반사금속판 4. 후레임
5. 곡면후레임 6. 각도조정기 7. 스텐드 8. 벽걸이
9. 프로젝터 R. 곡률곡면
본 고안은 도1 및 도2와 같이 5% ∼ 90%의 투과율을 갖는 산란 투과면(2)을 투명 재질의 P.V.C. , P.P 등의 박막프라스틱 필름 재질에 형성한다.
반사금속판(3)은 스테인레스, 알루미늄, 스틸등의 금속 박막으로 구성하되 그 표면은 10% ∼ 95%의 반사율을 갖는 반사면으로 구성한다.
도2 및 도3과 같이 스크린의 형태는 설치장소에 따라 일방을 곡면(曲面) 형태로 구성하되 도6과 같이 그 곡면(R)의 구성은 프로젝터(9)와 곡면반사스크린(1)과의 간격인 투사거리(B)의 2배이내로 구성하여 프로젝터(9)의 위치가 곡면(R)이 이루는 초점거리(F)에 구성하게 한다.
상기와 같은 곡면반사스크린(1)의 상하, 좌우 중 일방은 직선의 후레임(4)으로 구성하고 일방은 곡면후레임(4)으로 구성하되 도4의 가도와 같이 각도 조정기(6)를 결합하고 스탠드(7)나, 도면 제4도의 나도와 같이 벽걸이(8)와 결합 구성한다.
대형 크기의 스크린으로 제작시는 반사금속판(3)을 여러장 결합 한 후 그 표면에 산란 투과면(2)을 부착 구성하여 대형스크린을 형성한다.
우선 산란투과면(2)의 투과율을 5%에서 90%사이로 하는 이유는 투과율이 5%이하일 경우는 후면의 반사금속판(3)에서 반사 광량투과가 미미하고 투과율이 90%이상일 경우는 거의 산란면이 없어 스크린의 좌우 시야각이 그대로 반사금속판(3)에 의해 소멸되므로 좌우 시야각이 좁아지기 때문이다.
또한 반사금속판(3)의 반사율을 10%이상에서 95%이하로 하는 이유는 반사율이 10%이하일 경우는 반사효율이 적어져 스크린의 밝기 제고에 한계가 있고 95%이상으로는 금속의 특성상 반사율을 더이상 올릴수 없는 한계가 있기 때문이다.
이와같은 산란투과면(2)과 반사금속판(3)의 작용효과는 다음과 같다.
스크린의 반사율(게인) = 산란투과면(2)의 투과율×반사금속판(3)의반사율×산란투과면(2)의 투과율÷2 가 된다.
즉, 산란투과면(2)의 투과율을 50%로하고 반사금속판(3)의 반사율을 80%로 구성하고 상하, 좌우 중 일방은 산란 목적으로 일방을 곡면으로 형성 할 경우 밝기를 구하는 공식은 0.5 ×0.8 ×0.5 ÷2 = 0.1로서 10%의 반사율이되며 따라서 스크린의 밝기는 10게인이 된다. 이와같은 스크린의 밝기는 일반스크린의 밝기가 1게인 이므로 약 10배의 밝기가 된다.
즉, 산란투과면(2)의 투과율과 반사금속판(3)의 반사율만 계산하면
0.5 ×0.8 ×0.5 = 0.2 = 20게인이되나 상하, 좌우 중 일방을 곡면화 하지않고 평면으로 구성하므로서 빛을 산란시키므로 밝기는 10게인으로 떨어지는 반면 시야각은 2배로 확대 되는 것이다.
투과면(2)의 최대 투과율 90%, 반사금속판(3)의 최대반사율 95%로 구성 할 경우 상기 공식에 의해 0.385의 반사율 즉, 38.5게인이 가능하다.
즉, 본 고안은 최대 38.5게인의 고휘도와 동시에 넓은 좌우시야각 확보가 가능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반사작용은 스크린의 화면 전체가 균일한 밝기를 유지함을 전제로 해야한다.
구면경의 초점거리는 구면경의 곡률이 이루는 반사경의위치인 것은 공지되여 있다.
즉 도6과 같이 구면촛점거리인 F위치에서 입사된 빛은 곡면에서 직진 반사되므로 역각의 범위인 A와 같이 영상화면의 전면이 균일하게 밝게 보이는 것은 공지되어 있다.
따라서 도6과 같이 투사거리와 동일한 초점거리 위치만큼 떨어져있는 프로젝터(9)에서 투사되는 광원은 곡면반사스크린(1)의 곡률(R)에 의해 직진 반사하므로 밝기가 균일하면서 화면의 전체가 밝아지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본 고안은
예로 들어 도3의 가와 같이 산란 투과면(2)의 투과율이 50%이고 반사 금속판(3)의 반사율을 80%로 할 경우 프로젝터(9)에서 입사된 빛은 산란 투과면에서 50%는 투과하고, 다시 반사면에서 80% 반사하고, 나머지 빛인 투과면의 50%의 빛과 반사면의 빛인 20%는 좌우로 산란하게 하는 것이다.
동반사된 50%의 80% 즉, 40%의 광량은 반사금속판(3)의 반사면에서 다시 반사되면서 산란투과면(2)에서 50% 투과하고 나머지 50%는 좌우로 산란하게 된다.
즉, 총 반사율은 20%가되나 이러한 밝기 20게인(반사율 20%)중 10게인은 밝기로 작용 하고 나머지 10게인의 반사량은 좌우시야각 확대의 광량으로 작용 하는 것이다.
즉 밝기는 일반 스크린 1게인에 비해 10배 밝기로 나타나면서 좌우로는 10게인의 광량이 산란되므로서 시야각이 확대되는 것이다.
본 고안은 도5의 '나'와 같이 스크린 좌우 크기 보다 시야각이 더 넓어야 할 필요가 있는 장소에서는 본 고안 도5의 가도와 같이 스크린의 상하를 곡면화하여 밝기를 증대하되 좌우는 평면으로 구성하여 시야를 확대하는 것이다.
같은 논리로 도6과 같이 본 고안이 스크린 좌우 크기 보다 설치 장소의 좌우가 좁은 경우는 좌우를 곡면화하고 상하를 평면으로 구성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스크린을 대형화하기 위해서는 이음매 형성이 불가피해진다.
밝기가 높은 스크린 일수록 표면의 감도가 높아져 이음매가 현출된다.
그러나 본 고안은 반사율이 높은 금속반사판(3)은 이면으로 구성하되 반사율이 낮은 산란투과면(2)을 표면에 형성하므로써 반사면의 이음매를 이면으로 감추는 효과를 갖어 오므로 이음매 현출을 현저히 감소 시킬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도1의 산란투과면(2)의 이면(2A)에 투명흑색이나 남색 코팅을하여 화면의 컨트라스트 효과를 제고할 수 있으며
상기 산란투과면(2) 이면(2A)과 반사금속판(3) 사이에 편광판(10)을 구성하여 입체용 스크린이나 외광에 대하여 일방을 편광으로 차단하는 스크린으로 사용 할수도 있다.
뿐만아니라 도3의 나도와 같이 반사금속판(3)의 반사면의 표면으로 상하 또는 좌우로 산란선(11)을 형성할시 좌우 시야각을 현저히 확대할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보고안은 전체 광량의 일부를 반사하므로 휘도를 높임과 동시 높아진 휘도의 필요 광량을 좌우 또는 상하 방향의 시야각으로 산란 하므로 종래 스크린 보다 배이상의 시야각 확대가 가능한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은
투과율 5% ∼ 90%의 산란투과면(2)을 표면으로, 반사율 10% ∼ 95%의 반사금속판(3)을 이면으로 구성 결합한 후 상하 좌우 중 일방은 곡면으로 밝기의 균일화를 이루워 밝기를 증대하고 나머지 일방은 평면으로 구성하여 좌우 시야각을 확보하므로서 반사율은 최대 38.5게인까지의 높은 반사율을 시현하면서 동시에 종래보다 2배이상의 넓은 시야각을 확보할수 있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대형스크린으로 적용시 반사면의 이음매를 산란면 이면에 형서하므로서 이음매 현출을 현저히 감소시킬수 있는 것이다.

Claims (3)

  1. 영사용 스크린에 있어서
    투명박막형태의 프라스틱 소재의 필름을 투과율 10% ∼ 90%의 산란투과면(2)으로 구성하고
    스테인레스나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 박막 소재의 표면을 반사율 10% ∼ 95%의 반사면으로 형성 하여 반사금속면(3)으로 구성하고
    상기 산란투과면(2)은 표면에 상기 반사금속판(3)은 이면에 밀착 구성하되 전체 형태의 상하, 좌우 중 일방을 곡면(曲面) 형태로 구성하므로서
    밝기가 증대 하면서 좌우 시야각도 동시에 현저히 확대한 것이 특징인 곡면반사금속스크린
  2. 제 1 항에 있어서
    산란투과면(2)과 반사금속판(3) 사이에 편광판(10)을 구성한 것이 특징인 곡면반사금속스크린
  3. 제 1 항에 있어서
    반사금속판(3) 표면 반사면에 상하 또는 좌우 중 일방향으로 산란선(11)을 형성한 것이 특징인 곡면반사금속스크린
KR2020000031728U 2000-11-09 2000-11-09 곡면 반사 금속 스크린(曲面 反射 金屬screen) KR20022093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1728U KR200220933Y1 (ko) 2000-11-09 2000-11-09 곡면 반사 금속 스크린(曲面 反射 金屬scre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1728U KR200220933Y1 (ko) 2000-11-09 2000-11-09 곡면 반사 금속 스크린(曲面 反射 金屬scree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20933Y1 true KR200220933Y1 (ko) 2001-04-16

Family

ID=730604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31728U KR200220933Y1 (ko) 2000-11-09 2000-11-09 곡면 반사 금속 스크린(曲面 反射 金屬scree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093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7192B1 (ko) * 2002-12-06 2005-03-21 최해용 고이득 하이컨트라스트 반사 스크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7192B1 (ko) * 2002-12-06 2005-03-21 최해용 고이득 하이컨트라스트 반사 스크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569632B2 (ja) 背面投影型ディスプレイ
JPH0456837A (ja) フロントプロジェクションテレビ用スクリーン
US4232939A (en) Screen with high luminance and wide angle
US6502942B2 (en) Rear projection display apparatus and translucent screen for use therein
TW200500784A (en) Reflection type screen
US6844969B2 (en) Front projection type screen
US10599029B2 (en) Projection screen
JP2007256307A (ja) 反射型映写スクリーンおよびこれを用いた反射型映写デイスプレイ
US4040717A (en) Projection screen for optical images
US3598470A (en) Projection screen and system
JP2004177427A (ja) 反射型スクリーン装置
TWM577512U (zh) Short focal length projection anti-light curtain
KR200220933Y1 (ko) 곡면 반사 금속 스크린(曲面 反射 金屬screen)
JP2003177466A (ja) 広視野高輝度映像システム
KR20070073543A (ko) 고선명 박막 반사 스크린
JPH04136885A (ja) リップマン・ホログラムを用いたプロジェクション・テレビ用の反射型スクリーン
JPH11288035A (ja) 表示装置
JP2004287377A (ja) 反射型スクリーン及び表示システム
KR200164933Y1 (ko) 반사성(反射性) 스크린
JP3249896B2 (ja) 液晶表示装置のバックライト構造
KR200421906Y1 (ko) 무반사 유리 스크린
CN214278644U (zh) 一种抗光凌空全息成像装置
JP3317944B2 (ja) 投射型ディスプレイ装置
JPH0743704A (ja) 液晶ディスプレイの視野角拡大方法
KR19990045906A (ko) 반사형영화스크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