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0433Y1 - 차량 통과높이 제한대용 지주의 높이 조절관 지지장치 - Google Patents

차량 통과높이 제한대용 지주의 높이 조절관 지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0433Y1
KR200220433Y1 KR2020000030300U KR20000030300U KR200220433Y1 KR 200220433 Y1 KR200220433 Y1 KR 200220433Y1 KR 2020000030300 U KR2020000030300 U KR 2020000030300U KR 20000030300 U KR20000030300 U KR 20000030300U KR 200220433 Y1 KR200220433 Y1 KR 20022043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guide tube
support
height
fixed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3030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현
Original Assignee
김재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재현 filed Critical 김재현
Priority to KR202000003030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043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043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0433Y1/ko

Links

Landscapes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주로 고속도로 출입구에 설치되는 차량 통과높이 제한대용 지주의 높이 조절관 지지장치에 관한것으로서 고정안내관에 끼워지는 조절관의 승강작동(제한대의 높이조절 작동)과 고정(제한대의 높이조절)을 용이하고 간편하게 할수 있도록 한것이다.
즉, 지면 고정용 고정판이 저면에 형성되는 고정안내관 내로 조절관을 승강가능케 삽입하여 결합하는 것에 있어서, 고정안내관과 조절관일측에 키이와 키이홈을 각각 형성하여 서로 접속되도록 한 후 조절관의 내부 일정위치에 지지판을 형성하여 그 중심에 나사공을 성형하고 고정안내관 중앙부에는 하측으로 피동축부와 지지축부가 차례로 형성되는 일정길이의 나사축을 세로로 구비하여 조절관의 나사공에 관통 체결되도록 하되, 지지축부를 고정안내관저부에 마련되는 지지부에 회전가능케 지지되도록 하며 피동축부에는 피동기어를 축설하여 직교방향에 회전 가능케 설치되면서 그 회전축을 외부에서 회전시킬수 있도록 한 구동기어 치합하여서된 것이다.

Description

차량 통과높이 제한대용 지주의 높이 조절관 지지장치{SUPPORTING DEVICE OF ADJUSTMENT PIPE FOR ADJUSTING HEIGHT OF STAT FOR RESTRICTING PASSABLE HEIGHT OF VEHICLES}
본 고안은 주로 고속도로 출입구에 설치되는 차량 통과높이 제한대용 지주의높이 조절관 지지장치에 관한것으로서 이를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고정안내관에 끼워지는 조절관이 나사축에 지지되도록 하고 나사축은 외부에서 정역회전 시킬수 있도록 하므로서 조절관의 승강작동(제한대의 높이조절 작동)과 고정(제한대의 높이조절)을 용이하고 간편하게 할수 있도록 한것이다.
일반적인 차량 통과높이 제한대용 지주(31)는 저면에 고정판(411)이 형성되는 고정안내관(41)과; 고정안내관(41)에 승강가능케 끼워짐과 동시에 상면에는 제한대(71)가 설치 고정되는 조절관(51)으로 구성되고 상기 조절관(51)은 조절관(51)의 일정위치에 형성되는 접속공(511)을 고정안내관(41) 표면에 길이방향으로 수개 뚫려지는 고정공(412)(413)들중 어느 하나의 고정공(412)과 보울트(61)관통 시키므로서 지지되도록 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조절관(51)의 보울트(61)고정방식은 접속공(511)을 고정공(412)과 동일선상으로 맞추는 작업과 보울트(61)관통 작업이 상당히 난이하여 조절관(51)의 지지작업(제한대 높이조절)에 두명이상이 동원되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고 뿐만 아니라 조절관(51)의 돌출길이(제한대 높이)가 고정안내관(41)표면에 형성되는 수개의 고정공(412)(413)들의 갯수와 간격에 의해 결정되므로 제한대(71)의 높이 조절에 대한 제약이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첨부도면 도 4의(나)에서와 같이 종설되는 안내봉(91)에 제한대(71)일측의 슬라이드관(81)을 끼워 보울트 고정시키므로서 제한대(71)의 높이를 임의로 조절할수 있도록 하는것이 개발되었으나 이는 제한대(71)의 높이 조절 위치가 견고하게 유지되지 못하는 결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위와같이 종래의 조절관 지지장치에서 나타나는 폐단들을 한꺼번에 해결하기 위하여 조절관의 지지를 견고하게 할수 있고 승강도 안정적이고 간헐적으로 할수있는 지지장치를 안출한 것인데 이를 첨부된 도면과 함께 더욱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이 적용된 제한대 사용상태 예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 예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키이 결합부 일부파절 확대 평단면 예시도
도 4는 종래의 조절관 지지장치 예시도이다.
*도면의 중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G : 지주 1 : 고정안내관
101 : 고정판 102 : 키이
103 : 관통공 104 : 간격유지봉
2 : 지지부 201 : 베어링
3 : 조절관 301 : 지지판
302 : 나사공 303 : 키이홈
4 : 나사축 401 : 피동축부
402 : 지지축부 5 : 피동기어
6 : 구동기어 601 : 회전축
602 : 각홈 7 : 전선안내관
8 : 패킹 9 : 제한대
지면 고정용 고정판(101)이 저면에 형성되는 고정안내관(1)내로 조절관(3)을 승강 가능케 삽입하여 결합하는것에 있어서, 고정안내관(1)과 조절관(3)일측에 키이(102)와 키이홈(303)을 각각 형성하여 서로 접속되도록 한 후 조절관(3)의 내부 일정위치에 지지판(301)을 형성하여 그 중심에 나사공(302)을 성형하고 고정안내관(1)중앙부에는 하측으로 피동축부(401)와 지지축부(402)가 차례로 형성되는 일정길이의 나사축(4)을 세로로 구비하여 조절관(3)의 나사공(302)에 관통 체결되도록 하되, 지지축부(402)를 고정안내관(1)저부에 마련되는 지지부(2)의 베어링(201)에 지지되도록 하며 피동축부(401)에는 피동기어(5)를 축설하여 직교방향에 회전 가능케 설치된 구동기어(6)와 치합하고 상기 구동기어(6)의 회전축(601)은 고정안내관(1)일측에 형성되는 관통공(103)과 동일선상에 위치되도록 하여 관통공(103)을 통해 회전축(601)이 노출되도록 한 후 외측면에 각홈(602)을 형성하므로서 구동기어(6)를 외부에서 회전시킬수 있도록 하며 또한 회전축(601)끝부에 각형부(도시하지 않음)를 형성한 다음 각형부를 관통공(103)에서 돌출시키므로서 구동기어(6)를 외부에서 회전시킬수도 있다.
이와같이된 본 고안은 조절관(3)중심의 나사공(302)으로 고정안내관(1)중앙에 마련되어 회전가능케 지지되는 나사축(4)이 관통 체결 되므로서 고정안내관(1)에 끼워지는 조절관(3)이 지지되며 이렇게 지지되는 조절관(3)은 나사축(4)을 정회전 또는 역회전 시키면 승강이 되는데 이때 나사축(4)은 하측의 피동축부(401)에 고정된 피동기어(5)가 구동기어(6)에 의거되어 정회전 또는 역회전 하게되며 그리고 상기 구동기어(6)는 회전축(601)의 각홈(602) 또는 각형부가 관통공(103)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어 있으므로 외부에서 별도의 회전공구를 이용하여 회전시킬수 있게된다.
상기와 같이 나사축(4)에 지지된 상태에서 나사축(4)을 정회전 또는 역회전시키면 승강이 되는 조절관(3)은 일측의 키이홈(303)이 고정안내관(1)의 키이(102)에 접속되어 있음은 물론 고정안내관(1)상단부 둘레에 수개 끼워지는 간격유지봉(104)에 의해 조절관(3)의 승강이 지지되어 있기때문에 조절관(3)이 승강할 시에 흔들림 또는 회전현상이 발생되지 않게된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이 고정안내관(1)에 삽입되는 조절관(3)의돌출높이(제한대 높이)가 나사축(4)을 회전시키고 정지시키므로서 조절되고 즉, 조절관(3)이 나사축(4)에 의해 지지되기 때문에 별도의 지지장치가 필요치 않게되는 이점이 있고 또한 조절관(3)의 높이조절을 간헐적으로 할수 있음은 물론 안정적으로 할수 있으며 한편 나사축(4)의 회전을 외부로 노출되는 구동기어(6)의 회전축(601)을 외부에서 회전시켜 주기만 하면 조절관(3)을 승강시키면서 지지하는 나사축(4)의 회전을 실현시킬수 있으므로 조절관(3)의 높이조절을 간편하고 용이하게 할수있고 뿐만 아니라 높이조절에 동원되는 인력을 줄일수 있게되는 효과도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지면 고정용 고정판(101)이 저면에 형성되는 고정안내관(1)내로 조절관(3)을승강 가능케 삽입하여 결합하는 것에 있어서, 고정안내관(1)과 조절관(3)일측에 키이(102)와 키이홈(303)을 각각 형성하여 서로 접속되도록 한 후 조절관(3)의 내부 일정위치에 지지판(301)을 형성하여 그 중심에 나사공(302)을 성형하고 고정안내관(1)중앙부에는 하측으로 피동축부(401)와 지지축부(402)가 차례로 형성되는 일정길이의 나사축(4)을 세로로 구비하여 조절관(3)의 나사공(302)에 관통 체결되도록 하되, 지지축부(402)를 고정안내관(1)저부에 마련되는 지지부(2)에 회전가능케 지지되도록 하며 피동축부(401)에는 피동기어(5)를 축설하여 직교방향에 회전 가능케 설치되면서 그 회전축(601)을 외부에서 회전시킬수 있도록 한 구동기어(6)를 치합하여서된 차량 통과높이 제한대용 지주의 높이 조절관 지지장치
KR2020000030300U 2000-10-25 2000-10-25 차량 통과높이 제한대용 지주의 높이 조절관 지지장치 KR20022043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0300U KR200220433Y1 (ko) 2000-10-25 2000-10-25 차량 통과높이 제한대용 지주의 높이 조절관 지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0300U KR200220433Y1 (ko) 2000-10-25 2000-10-25 차량 통과높이 제한대용 지주의 높이 조절관 지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20433Y1 true KR200220433Y1 (ko) 2001-04-16

Family

ID=730907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30300U KR200220433Y1 (ko) 2000-10-25 2000-10-25 차량 통과높이 제한대용 지주의 높이 조절관 지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0433Y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38328B1 (ko) 2004-03-09 2006-10-25 차충식 보행자 안내용 입출차 차단기를 구비한 주차관리시스템
KR101027274B1 (ko) 2010-10-13 2011-04-06 이정기 다단 전동 리프트
KR101580277B1 (ko) * 2015-04-14 2015-12-24 (주)와이앤제이이앤씨 배전선로용 조립식 전신주
KR102221649B1 (ko) * 2019-12-19 2021-03-02 주식회사 지인프로테크 횡단보도용 보행자 안전장치
CN112900311A (zh) * 2021-01-28 2021-06-04 张玉宝 一种道路桥梁安防限高装置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38328B1 (ko) 2004-03-09 2006-10-25 차충식 보행자 안내용 입출차 차단기를 구비한 주차관리시스템
KR101027274B1 (ko) 2010-10-13 2011-04-06 이정기 다단 전동 리프트
KR101580277B1 (ko) * 2015-04-14 2015-12-24 (주)와이앤제이이앤씨 배전선로용 조립식 전신주
KR102221649B1 (ko) * 2019-12-19 2021-03-02 주식회사 지인프로테크 횡단보도용 보행자 안전장치
CN112900311A (zh) * 2021-01-28 2021-06-04 张玉宝 一种道路桥梁安防限高装置
CN112900311B (zh) * 2021-01-28 2022-04-08 张玉宝 一种道路桥梁安防限高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66168A (en) Cylindrical foundation support drivable into ground with removable helix
EP0887507A2 (en) Tilting mechanism for a venetian blind
KR200220433Y1 (ko) 차량 통과높이 제한대용 지주의 높이 조절관 지지장치
CN204457067U (zh) 一种建筑施工专用工具
KR100824771B1 (ko) 파이프 천공장치
CN114000498B (zh) 竖向布置受弯剪作用的钢花管微型桩结构及实施方法
DE102018103201A1 (de) Verbauvorrichtung
CN115852972A (zh) 一种钢筋笼安装孔口固定架
CN213772849U (zh) 一种可快速调节钢丝绳的钢筋挂线桩
CN113914329B (zh) 一种支撑稳固的岩土隧道基坑支护结构
KR200297953Y1 (ko) 옥외용 조립식 소주택의 천막 장력조절구조
DE3731374C2 (ko)
KR101568167B1 (ko) 건축기초 흙막이용 합성토류벽
CN115198654A (zh) 一种钢结构桥梁施工方法
CN212427092U (zh) 一种装配式钢结构电梯的地锚
DE3734012A1 (de) Baukoerper
CN112323808A (zh) 一种浅基坑支撑板的防脱落装置
CN207336113U (zh) 土层取样装置
DE4402347A1 (de) Drehbarer Nivellierkopf
CN213448539U (zh) 一种桩基
DE3823784A1 (de) Verfahren, abdichtungselemente und vorrichtung zur herstellung einer abdichtungsschlitzwand
CN216811685U (zh) 一种隧道适用的长管棚施工装置
CN220909239U (zh) 一种用于钢结构安装的支撑结构
CN220889553U (zh) 立柱桩的格构柱定位装置
JPH0351418A (ja) ドレーンパイプの埋設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