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0203Y1 - 외부클럭을 사용한 d-램의 카스, 라스신호의 지연시간안정화장치 - Google Patents

외부클럭을 사용한 d-램의 카스, 라스신호의 지연시간안정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0203Y1
KR200220203Y1 KR2019960015905U KR19960015905U KR200220203Y1 KR 200220203 Y1 KR200220203 Y1 KR 200220203Y1 KR 2019960015905 U KR2019960015905 U KR 2019960015905U KR 19960015905 U KR19960015905 U KR 19960015905U KR 200220203 Y1 KR200220203 Y1 KR 20022020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external clock
flip
cas
ra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1590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80005134U (ko
Inventor
이상엽
Original Assignee
박종섭
현대전자산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종섭, 현대전자산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박종섭
Priority to KR201996001590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0203Y1/ko
Publication of KR98000513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8000513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020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0203Y1/ko

Links

Landscapes

  • Dram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외부의 클럭발생기에서 발생된 외부클럭을 사용하여 D-램의 카스(CAS*), 라스(RAS*)신호의 지연 시간을 안정화시키는 장치로써 종래의 지연부에 외부클럭과 D 플립플롭을 부가 설계하여, 외부의 클럭발생기에서 출력된 외부클럭을 한 주기 간격으로 카스(CAS*)신호와 라스(RAS*)신호를 출력하여, 외부의 클럭발생기에서 출력되는 신호의 주기인 시간지연간격(33㎒)의 주파수간격으로 시간지연을 시켜주어, 카스신호와 라스신호의 지연간격(30ns(1/33㎒))을 일정하게 15ns∼35ns의 시간 간격범위내로 유지하여 카스신호와 라스신호를 생성할 경우 D-램을 안정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이점을 지니고 있다.

Description

외부클럭을 사용한 D-램의 카스, 라스신호의 지연 시간 안정화 장치
제1도는 종래의 CPU와 D-램간에 존재하는 카스(CAS*), 라스(RAS*) 신호가 발생되는 장치의 회로도.
제2도는 본 고안에 대한 제1도 지연부를 개선한 지연부의 회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CPU 2 : 주소 비교기
3 : 카스(CAS*), 라스(RAS*) 신호원의 클럭 입력부
4 : 카스(CAS*), 라스(RAS*)의 신호원부
5 : 지연부 6 : D-램
11 : 제 1 D플립플롭 12 : 제 2 D플립플롭
13 : 제 3 D플립플롭 14 : 제 4 D플립플롭
NOT : 낫게이트 AND : 앤드게이트
NOR : 노어게이트
본 고안은 외부클럭을 사용하여 D-램의 카스(CAS*), 라스(RAS*)신호의 지연 시간을 안정화시키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종래의 카스신호와 라스신호의 시간지연부에, 외부의 클럭발생기로부터 발생된 외부클럭 및, D 플립플롭을 부가 설치하여 지연 시간을 안정화시켜줌으로 D-램의 동작을 안정되게 수행하도록 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D-램 제어기를 설계하여 구현하고자 할 때, 램 접속시 라스(RAS*)신호의 시간지연은 15~35ns를 지켜야 함이 바람직하나, 종래에 사용된 D-램의 주소를 나타내는 신호를 동기시키는 카스신호와 라스신호간의 시간지연용으로 내장시킨 시간 지연 버퍼를 사용하면, 지연시간 범위외에서 동작이 이루어질 경우 D-램이 동작되지 못하거나 오류가 발생하고, 상기 오류발생으로 잘못된 데이타를 읽게 되어 원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없게 되는 일이 발생했었다.
종래 CPU와 D-램간의 존재하는 카스신호와 라스신호가 발생되는 장치를 보이는 첨부된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소신호, 리드온(read on)신호 및, 라이트온(write on)신호를 발생하여 다음부분의 회로로 신호를 진행하도록 하는 CPU(1)와; CPU(1)에서 전송된 주소신호를 통해 램의 주소값을 파악하는 주소비교기(2)와; 리드온신호와 라이트온신호의 입력을 받아 신호원부로 클럭을 입력하는 카스(CAS*), 라스(RAS*) 신호원의 클럭 입력부(이하 클럭입력부라 칭한다)(3)와; D-램의 카스신호 입력단으로 전송하기 위한 라스 신호인 Q*신호를 출력하고, 지연부(5)로 전송하기 위한 카스 신호(①)인 Q를 출력하는 카스(CAS*), 라스(RAS*)의 신호원부(이하 신호원부라 칭한다)(4)와; 상기 신호원부(4)에서 출력된 카스신호를 입력받아 라스신호와의 시간 간격을 부여하기 위하여 3단의 버퍼와 하나의 NAND 게이트로 하여금 각각 5ns의 시간 지연을 갖도록 하는 지연부(5) 및; 입력받은 카스신호와 라스신호로 주소 신호의 줄과 열을 파악하도록 하여 구동하는 D-램(6)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즉, 종래에는 D-램(6)으로 입력되는 카스신호, 라스신호에 일정 시간 간격을 부여하기 위하여 카스 신호단에 3단의 버퍼를 설치하고 마지막으로 앤드게이트를 설치하여 줌으로 각각의 게이트별로 5ns의 시간 지연이 있게 하므로써, 총 20ns의 시간지연 발생이 가능하지만, 실질적으로 종래에 구성된 지연부의 버퍼들은 온도나 습도 등에 영향을 받아 5ns의 실제 동작시 오차가 발생하여 4∼6ns로 작동하게 되어 총 15∼35ns의 지연시간 간격이 생기게 되고, 이러한 시스템을 운용하고자 할 시에 시스템 자체 내에서 오동작이 생기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은 외부의 발신기를 부여하고, 동작이 안정된 D 플립플롭을 이용하여 라스신호에 대한 일정 시간간격을 부여하며, 상기 시간 간격으로 시간지연을 정확히 발생시켜 D-램의 동작을 안정되게 실행토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즉, 본 고안은 신호원부에서 발생된 출력신호와 외부의 클럭발생기의 외부클럭으로 구동하는 제 1 D플립플롭과, 외부의 클럭발생기의 외부클럭과 제 1 D플립플롭 출력신호를 입력받아 구동하는 제 2 D플립플롭과, 상기 입력되는 신호를 반전시켜서 제 1 플립플롭의 입력신호와 반대로 에지(edge)되도록하여 제 3 플립플롭에 입력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는 낫게이트와, 상기 반전시킨 신호와 카스, 라스신호원부의 출력신호를 입력받아 구동되는 제 3 D플립플롭(13)과, 상기 반전된 신호와 상기 제 3 D플립플롭(13)의 출력신호를 입력으로 하는 제 4 D플립플롭과, 제 1 D플립플롭의 반전된 출력신호와 제 3 D플립플롭의 반전된 출력신호로 카스신호를 생성하는 앤드게이트 및, 제 2 D플립플롭의 출력신호와 제 4 D플립플롭(14)의 출력신호를 입력으로 하여 카스신호를 출력케하는 노어게이트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클럭을 사용한 D-램(6)의 카스(CAS*), 라스(RAS*)신호의 지연 시간 안정화 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상기 외부의 클럭발생기의 외부클럭은 계속적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입력되는 외부의 시간지연간격(33㎒)의 발진기를 설치하여 카스와 라스신호의 입력간에 30ns(1/시간지연간격(33㎒) ≒ 30ns)의 시간 간격을 유지토록하여 15ns∼35ns에 해당하는 카스신호와 라스신호간의 시간지연을 유지토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하 도면을 참조로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2도는 본 고안에 대한 제1도 지연부(5)를 개선한 회로도로써 신호원부(4)의 Q에서 출력된 신호(①)와 외부의 클럭발생기에서 출력된 외부클럭(②)의 입력을 받아 구동하는 제 1 D플립플롭(11)과; 외부의 클럭발생기에서 출력된 외부클럭(②)와 제 1 D플립플롭(11)의 Q출력신호와 외부의 클럭발생기에서 출력된 외부클럭(②)를 입력으로 하여 구동하는 제 2 D플립플롭(12)과; 외부의 클럭발생기에서 출력된 외부클럭(②)를 반전되도록 하는 낫게이트(NOT)와; 낫게이트(NOT)에서 반전시킨 신호와 신호원부(4)의 Q에서 출력된 신호(①)를 입력받아 구동하는 제 3 D 플립플롭(13)과; 낫게이트(NOT)에서 반전시킨 신호와 제 3 D플립플롭(13)의 Q출력신호를 입력으로 하는 제 4 D플립플롭(14)과; 제 1 D플립플롭(11)의 Q*신호와 제 3 D플립플롭(13)의 Q*신호를 수신하여 카스신호를 생성하는 앤드게이트(AND) 및; 제 2 D플립플롭(12)의 Q출력신호와 제 4 D플립플롭(14)의 Q출력신호를 입력으로 하여 카스신호를 출력하는 노어게이트(NOR)로 이루지는 지연부(5')를 특징으로 하는 카스신호, 라스신호간 지연시간 안정화 장치이다.
이와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동작을 설명하면, 상기 지연부(5')는 외부의 클럭발생기에서 출력된 외부클럭(②)가 상측으로 에지(Edge)되었을 시 에지된 클럭은 제 1 D플립플롭(11)과 제 3 D플립플롭(13)으로 입력되므로 외부클럭의 한 주기를 보장하는 직렬 전송 레지스터로 동작하여 신호를 발생하고, 상기 신호는 앤드게이트(AND)를 통해 라스신호로 출력이 되고, 외부의 클럭발생기에서 출력된 외부클럭(②)가 하측으로 에지(Edge)되었을 시 에지된 클럭은 낫게이트(NOT)에 의해 구동되어 2플립플롭(12)과 제 4 D플립플롭(14)으로 입력되어 제 2 D플립플롭(12)의 Q출력신호와 제 4 D플립플롭(14)의 Q출력신호를 노어게이트(NOR)를 통해 카스 신호로 출력하므로, 상기 동작은 외부클럭의 한 주기를 동안 직렬 전송 레지스터로 동작하여 라스 신호와 카스신호는 클럭의 한 주기인 1/시간지연간격(33㎒)의 시간간격을 두고 동기를 유지하므로 약 30ns의 지연시간 간격이 생성되어, 상기의 동작을 안정적으로 계속 행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외부의 클럭발생기에서 출력된 외부클럭의 주기 간격으로 각각 카스신호와 라스신호를 구동토록하여 15ns∼35ns의 주기를 갖는 외부의 클럭발생기를 부여하면 안정적인 시간지연을 가질 수 있다.

Claims (4)

  1. 카스(CAS*)신호와 라스(RAS*)신호의 지연부에 있어서, 외부의 클럭발생기에서 출력된 외부클럭(②)이 동기되어 클럭의 한 주기를 보장하는 직렬 전송 레지스터로 동작함으로써 신호를 발생하는 제 1 및 3 D플립플롭(11)(13)과; 상기 제 1 및 3 D플립플롭(11)(13)에서 발생된 신호를 각각 입력받아 라스(RAS*)신호로 출력하는 앤드게이트(AND)와; 외부의 클럭발생기에서 출력된 외부클럭에 동기되어 낫게이트(NOT)를 통과한 신호를 입력받는 제 2 및 4 D플립플롭(12)(14)및; 상기 제 2 및 4 D플립플롭(12)(14)의 각각의 출력신호를 카스신호로 출력하는 노어게이트(NOR)로 이루어짐으로써 시간지연을 시켜서 회로가 안정화 되도록함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클럭을 사용한 D-램의 카스(CAS), 라스(RAS)신호의 지연 시간 안정화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외부클럭(②)은 라스(RAS*)신호와 카스(CAS*)신호의 시간간격내에 해당하는 주기를 갖는 외부의 클럭발생기를 부여하여 시간지연을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클럭을 사용한 D-램의 카스(CAS), 라스(RAS)신호의 지연 시간 안정화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D플립플롭(11), 제 3 D플립플롭(13)은 외부의 클럭발생기에서 출력된 외부클럭(②)이 동기되었을 시 클럭을 입력받아서 구동토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클럭을 사용한 D-램의 카스(CAS), 라스(RAS)신호의 지연 시간 안정화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2 플립플롭(12), 제 4 D플립플롭(14)은 외부의 클럭발생기에서 출력된 외부클럭(②)이 낫게이트(NOT)를 통과하고, 상기 통과된 신호에 동기되었을 시 제 1 및 3 플립플롭(11)(13)의 각각의 Q출력을 입력받아 구동토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클럭을 사용한 D-램의 카스(CAS), 라스(RAS)신호의 지연 시간 안정화 장치.
KR2019960015905U 1996-06-14 1996-06-14 외부클럭을 사용한 d-램의 카스, 라스신호의 지연시간안정화장치 KR20022020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15905U KR200220203Y1 (ko) 1996-06-14 1996-06-14 외부클럭을 사용한 d-램의 카스, 라스신호의 지연시간안정화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15905U KR200220203Y1 (ko) 1996-06-14 1996-06-14 외부클럭을 사용한 d-램의 카스, 라스신호의 지연시간안정화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5134U KR980005134U (ko) 1998-03-30
KR200220203Y1 true KR200220203Y1 (ko) 2001-09-17

Family

ID=609244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15905U KR200220203Y1 (ko) 1996-06-14 1996-06-14 외부클럭을 사용한 d-램의 카스, 라스신호의 지연시간안정화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0203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5134U (ko) 1998-03-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64710A (en) Meta-stable-resistant front-end to a synchronizer with asynchronous clear and asynchronous second-stage clock selector
KR100370293B1 (ko) 싸이클 독립형 데이타-대-에코 클럭 트래킹 회로
KR100540487B1 (ko) 데이터 출력제어회로
US6989695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ducing power consumption by a data synchronizer
KR950026113A (ko)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데이타 출력버퍼
KR100301056B1 (ko) 싱크로너스 데이터 샘플링 회로
KR100543937B1 (ko) 데이터 출력제어회로
US4945516A (en) Write control circuit for a high-speed memory device
EP0769783A2 (en) Synchronous semiconductor memory capable of saving a latency with a reduced circuit scale
KR0167683B1 (ko) 동기메모리의 고주파 동작용 데이타 출력버퍼 제어방법
KR100498473B1 (ko) 제어신호 발생회로 및 상기 제어신호 발생회로를 구비하는데이터 전송회로
KR200220203Y1 (ko) 외부클럭을 사용한 d-램의 카스, 라스신호의 지연시간안정화장치
US7042267B1 (en) Gated clock circuit with a substantially increased control signal delay
KR20010064407A (ko) 박막트랜지스터 액정표시 장치의 스타트 펄스신호 발생 회로
KR100498415B1 (ko) 클럭발생회로및이를구비하는동기식반도체장치
KR950024431A (ko) 스태틱 램(sram)의 어드레스 입력회로
JPS5538604A (en) Memory device
SU1274127A1 (ru) Генератор импульсов
KR0131448Y1 (ko) 데이타 직, 병렬 변환회로
KR890003404Y1 (ko) 클럭지연회로를 이용한 고속중앙처리장치의 저속 패리패얼 칩 억세스 회로
JPS57130135A (en) Timing control circuit
KR890002299Y1 (ko) 다이나믹 램(d-ram)제어신호 발생장치
KR970060226A (ko) 좁은 데이타 스큐를 갖는 동기형 반도체 메모리 장치
JPH06291615A (ja) インターフェース回路
KR19980029392A (ko) 동기식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시스템 클럭 발생 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211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