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0018Y1 - 배관 연결클램프 - Google Patents

배관 연결클램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0018Y1
KR200220018Y1 KR2020000030739U KR20000030739U KR200220018Y1 KR 200220018 Y1 KR200220018 Y1 KR 200220018Y1 KR 2020000030739 U KR2020000030739 U KR 2020000030739U KR 20000030739 U KR20000030739 U KR 20000030739U KR 200220018 Y1 KR200220018 Y1 KR 20022001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clamp
fastening
connection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3073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상열
Original Assignee
김상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상열 filed Critical 김상열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001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0018Y1/ko

Links

Landscapes

  • Gasket Seals (AREA)
  • Flanged Joints, Insulating Joints, And Other Joi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실링납이 삽입된 배관 연결구에 고무패킹이 삽입된 주클램프와 지지클램프를 설치하여 연결부를 보강하여 체결력을 높이고, 내부에 고무패킹이 삽입되어 유체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며, 인체에 유해한 납성분이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토양 및 지하수오염을 방지하는 배관 연결클램프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배관 연결클램프{PIPING CONNECT CLAMP}
본 고안은 배관의 연결클램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히는 실링납이 삽입된 배관 연결부에 고무패킹이 삽입된 주클램프와 지지클램프를 설치하여 배관의 연결부를 보강하고, 납성분이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배관 연결클램프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배관을 연결하기 위해 배관의 일측부에 연결부가 설치된다. 상기 연결부는 배관의 일측으로 확장된 확장관이 형성되어 타측 삽입관을 내부에 수용한다. 상기 확장관의 내부 일측에는 납이 설치되어 삽입관과 결합되고, 상기 확장관의 외주면을 가압하며 그립핑(Gripping)하여 결합된다. 상기 확장관과 삽입관 사이에 압착된 실링납이 물이나 유체, 가스 내지는 기체등(이하 '유체'라 함)이 세거나 이물질이 관로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와 같이 결합된 배관은 땅속에 묻혀지고, 세월이 흐르면서 지상으로부터의 진동, 충격, 경미한 지진, 공사 시 충격, 지반함몰 또는 열에 의한 신축작용 등로 인해 배관의 휨 현상이 발생하여 유체가 누설된다.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해 상기 연결부의 실링납이 관 사이에서 물과 함께 지반으로 누출되어 토양과 지하수를 오염시키는 환경오염의 원인이 된다. 토양에 노출된 중금속 물질인 납성분은 식물의 성장을 저해하고 식물에 흡수된 납성분이 식생활을 통해 사람의 몸속에 누적되면 무서운 질병을 유발하게 된다. 또한, 지하수는 사람이 식수로 사용하여 인체에 심각한 중금속 질환을 발생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결합부에 주클램프와 보조클램프를 설치하여 보강하고 연결부의 체결력을 높이는 배관 연결클램프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목적은 확장관의 일측에 형성된 돌출테가 안내부에 삽입되면서 고무패킹을 압축시키게 되고 볼트가 조여짐에 따라 체결력이 증가되고 밀폐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는 배관 연결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배관 내부의 유체가 외부로 유출되거나 이물질이 배관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인체에 치명적인 납성분이 외부로 누출되어 토양 및 지하수를 오염시키는 것을 방지하는 배관 연결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배관 연결클램프의 중앙을 절개하여 도시한 중앙단면도.
도 2는 도 1의 A - A선을 따라 절개하여 도시한 좌측면도.
도 3은 도 1의 B - B선을 따라 절개하여 도시한 우측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제 2실시예에 따른 배관 연결구의 중앙을 절개하여 도시한 중앙단면도.
도 5는 도 4의 C - C선을 따라 절개하여 도시한 좌측면도.
도 6은 도 4의 D - D선을 따라 절개하여 도시한 우측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주클램프 11: 패킹홈
15: 안내부 20: 지지클램프
30: 고무패킹 32: 압착판
31,33: 고정테 34,36: 공간부
35: 압축홈 40: 배관
42: 돌출테 50: 삽입관
60: 실링납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흐트릴 수 있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참조번호 및 명칭을 사용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배관 연결클램프의 중앙을 절개하여 도시한 중앙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A - A선을 따라 절개하여 도시한 좌측면도이다. 그리고, 도 3은 도 1의 B - B선을 따라 절개하여 도시한 우측면도이다. 도 1, 도 2, 도 3을 참조하면, 배관(40)의 일측에 확장관(42)과 돌출테(44)가 형성된다. 상기 확장관(42)의 내부에 실링납(60)이 삽입되어 삽입관(50)과 체결된다. 본 고안은 반원형상의 주클램프(10)는 중앙에 삽입관(50)과 접하도록 반원의 요입부가 형성되고, 외주면의 중간부에 수직하게 체결턱(12)이 형성되며, 상기 체결턱(12)의 중앙에는 체결구멍이 형성된다. 상기 주클램프(10)의 양측 모서리에는 수평으로 체결턱(18)이 형성되어 중앙에 체결구멍이 형성된다. 상기 주클램프(10)의 일측 내부에 고무패킹(30)을 수용하는 패킹홈(11)가 형성되고 내측 원주면에는 전방으로 단부를 가지는 요입홈(13)이 형성된다.
상기 고무패킹(30)은 내부에 공간부(34)가 일측으로 개방되어 형성되고, 끝단부가 내측으로 경사지며 전방으로 돌출성형된 압착판(32)이 형성되며, 일측 외주면에는 반원의 고정테(31)가 형성된다. 상기 삽입관(50)의 패킹홈(11)에 고무패킹(30)이 삽입되고, 상기 고정테(31)가 요입홈(13)에 삽입되어 고정되며 상ㆍ하로 구비된 두개의 주클램프(10)의 평면부가 마주보며 도 2에서처럼, 체결턱(18)에 체결볼트(14)로 체결된다.
지지클램프(20)는 중앙에 형성된 반원의 요입부가 확장관(42)과 접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요입부의 일측 모서리가 둥글게 라운딩처리된다. 상기 지지클램프(20)는 외주면의 중간부에 수직하게 체결턱(22)이 형성되며, 상기 체결턱(22)의 중앙에는 체결구멍이 형성된다. 또한, 양측 모서리부에는 수평으로 체결턱(24)이 형성되어 중앙에 체결구멍이 형성된다. 상기 확장관(42)의 일측에 상ㆍ하로 두개의 지지클램프(20)의 평면부가 마주보며 도 3에서처럼, 체결턱(24)에 체결볼트(14)로 체결된다. 또한, 상기 주클램프(10)의 체결턱(12)과 지지클램프(20)의 체결턱(22)은 서로 마주보며 체결볼트(14)로 체결된다.
이때, 상기 고무패킹(30)의 압착판(32)은 상기 확장관(42)의 측면에 접하고 체결볼트(16)가 조여짐에 따라 상기 공간부(34)의 내부공기가 가압되며 팽창되어 상기 고무패킹(30)의 외주면이 접촉면과 밀착되고 상기 실링납(60)측으로 가압되면서 밀폐된다.
도 4는 본 고안의 제 2실시예에 따른 배관 연결구의 중앙을 절개하여 도시한 중앙단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C - C선을 따라 절개하여 도시한 좌측면도이다. 그리고, 도 6은 도 4의 D - D선을 따라 절개하여 도시한 우측면도이다. 도 4와, 도 5와, 도 6을 참조하면, 본 고안은 반원형상으로 일측이 평면을 이루는 주클램프(10)는 중앙에 삽입관(50)과 접하도록 반원의 요입부가 형성되고, 원주면에는 사각으로 형성된 복수개의 체결턱(12)이 형성되며, 상기 체결턱(12)의 중앙에는 체결구멍이 형성된다. 상기 주클램프(10)의 양측 모서리에는 수평으로 결합턱(18)이 형성되어 중앙에 체결구멍이 형성된다. 상기 주클램프(10)의 일측 내부에 고무패킹(30)을 수용하는 패킹홈(11)이 형성된다. 상기 패킹홈(11)의 내측 원주면 가장자리에 돌출성형된 돌출테(19)의 내측으로 요입홈(17)이 형성되고, 타측 전방으로 확장된 안내부(15)가 형성된다.
상기 고무패킹(30)은 중앙부에 삽입관이 삽입되는 구멍이 형성되고, 일측 원주면에 반원의 고정테(33)가 형성되어 상기 요입홈(17)과 결합되고, 일측면에는 소정의 폭과 깊이를 가지는 원형의 압축홈(35)이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압축홈(35)의 끝단부에는 공간부(36)가 형성된다.
상기 고무패킹(30)이 삽입관(50)의 일측에 결합되고, 상ㆍ하로 결합되는 두 개의 즉, 일개조의 주클램프(10)의 내측 패킹홈(11)에 상기 고무패킹(30)이 삽입되고, 고정테(33)가 요입홈(17)에 삽입되고 고정되며, 상기 체결턱(18)이 체결볼트(14)로 체결되어 도 5에서처럼, 삽입관(50)에 설치된다.
지지클램프(20)는 반원형상으로 일측이 평면을 이루며, 중앙에 반원의 요입부가 확장관(42)과 접하도록 형성되고, 일측 모서리가 둥글게 라운딩처리된다. 상기 지지클램프(20)의 원주면에는 사각으로 형성된 다수개의 체결턱(22)이 형성되며, 상기 체결턱(22)의 중앙에는 체결구멍이 형성된다. 상기 지지클램프(20)의 양측 모서리에는 수평으로 결합턱(24)이 형성되어 중앙에 체결구멍이 형성된다. 상기 확장관(42)의 일측에 상ㆍ하로 구비된 두 개의 즉, 일개조의 지지클램프(20)가 도 6에서처럼, 대접하며 결합턱(24)이 체결볼트(14)로 체결된다.
상기 주클램프(10)의 체결턱(12)과 지지클램프(20)의 체결턱(22)이 마주보며 볼트(16)로 체결된다. 이때, 상기 지지클램프(20)의 일측 둥근 모서리부가 돌출테(44)의 일측 둥근 모서리면을 따라 밀착되며 돌출테(44)의 전방 측면부가 상기 고무패킹(30)의 일측면과 압착되고, 상기 체결볼트(16)가 점차적으로 조여짐에 따라 상기 돌출테(44)가 결합부(15)를 따라 삽입되고, 상기 고무패킹(30)은 일부가 안내부(15)로 밀려들어가면서 패킹홈(11)의 내면과 삽입관(50)의 외주면과 압착되고, 공간부(36)와 압축홈(35)이 점차적으로 좁아지면서 밀폐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결합되어 배관의 연결부를 견고하게 체결하여 보강하고, 고무패킹으로 실링납을 긴밀히 밀폐시킴으로서 누설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인체에 유해한 중금속 성분의 납성분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상으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배관의 연결을 견고하게 결합하여 연결부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여 내부에 흐르는 물이나 가스등이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은 중금속 성분인 납성분이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토양 또는 지하수의 오염을 방지하여 자연이 회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고무패킹이 누설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밀착판이 측면과 밀착되면서 공기압이 작용하여 밀폐효율이 증가되고, 체결볼트가 조여짐에 따라

Claims (3)

  1. 배관(40)의 일측에 확장관(42)이 형성되고 상기 확장관(42)의 끝단에는 돌출테(44)가 형성되며, 상기 확장관(42)의 내부에 실링납(60)이 설치되어 삽입관(50)과 체결되는 배관 연결구에 있어서;
    주클램프(10)는 내부에 패킹홈(11)이 형성되고 고무패킹(30)이 결합되어 상기 배관(50)에 체결되며;
    지지클램프(20)는 상기 확장관(42)의 일측에 체결되어 돌출테(44)와 밀착되어면서 상기 주클램프(10)와 체결볼트(16)로 체결되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연결클램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무패킹(30)의 내부에 공간부(34)가 형성되고, 일측면에는 압착판(32)이 형성되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연결클램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클램프(10)의 내부에 패킹홈(11)이 형성되고, 상기 패킹홈(11)의 내측 원주면 가장자리에는 돌출테(19)가 형성되고, 상기 돌출테(19)의 전방으로는 확장된 안내부(15)가 형성되어 상기 돌출테(44)가 삽입되며;
    상기 고무패킹(30)의 일측면에는 내측으로 경사지게 절개되어 연속적으로 형성된 압축홈(35)의 끝단부에는 공간부(36)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연결클램프.
KR2020000030739U 2000-08-18 2000-11-03 배관 연결클램프 KR200220018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3447U KR200211158Y1 (ko) 2000-08-18 2000-08-18 배관 연결클램프
KR2020000023447 2000-08-1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20018Y1 true KR200220018Y1 (ko) 2001-04-16

Family

ID=73087380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3447U KR200211158Y1 (ko) 2000-08-18 2000-08-18 배관 연결클램프
KR2020000030739U KR200220018Y1 (ko) 2000-08-18 2000-11-03 배관 연결클램프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3447U KR200211158Y1 (ko) 2000-08-18 2000-08-18 배관 연결클램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021115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33342A (ko) * 2021-09-01 2023-03-08 (주)알더블유티 전선관이 적용된 조명기구용 실링장치 및 상기 실링장치가 구비된 조명기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33342A (ko) * 2021-09-01 2023-03-08 (주)알더블유티 전선관이 적용된 조명기구용 실링장치 및 상기 실링장치가 구비된 조명기구
KR102545347B1 (ko) * 2021-09-01 2023-06-20 (주)알더블유티 전선관이 적용된 조명기구용 실링장치 및 상기 실링장치가 구비된 조명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11158Y1 (ko) 2001-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90447Y1 (ko) 대형 배수관 연결용 볼클립 조인트
KR200220018Y1 (ko) 배관 연결클램프
KR100516798B1 (ko) 배관의 연결구조
KR100739228B1 (ko) 관 연결용 소켓
KR102159161B1 (ko) 관이탈 방지와 수밀성 및 안정성을 향상시킨 상하수도관 연결소켓
KR100521061B1 (ko) 배관 분기용 연결장치
KR101003293B1 (ko) 내구성이 강화된 관 연결장치
KR100919107B1 (ko) 파형강관 연결장치
KR100367098B1 (en) Pipe connection device
KR200318467Y1 (ko) 밸브 연결플랜지
JP4390342B2 (ja) 分割ケースのシール構造
KR200238545Y1 (ko) 파이프 연결구
CN219549840U (zh) 一种压力管道连接件
KR200218329Y1 (ko) 콘크리트관 이음용 수밀밴드 고정구
KR100453736B1 (ko) 고밀폐 관 접속구
KR200197297Y1 (ko) 파이프 배관용 연결구
KR20010088989A (ko) 파이프연결구
KR200352829Y1 (ko) 합성수지관용 연결구
KR100540783B1 (ko) 배관용 연결구
KR200254102Y1 (ko) 고밀폐 관 접속구
KR100316129B1 (ko) 관 연결장치
KR100684917B1 (ko) 맨홀의 관 접속장치
KR200296078Y1 (ko) 배수관용 파이프 연결구
KR200256669Y1 (ko) 이중관 파이프 연결 소켓트
KR200302242Y1 (ko) 폴리에틸렌관 연결용 슬리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127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