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2242Y1 - 폴리에틸렌관 연결용 슬리브 - Google Patents

폴리에틸렌관 연결용 슬리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2242Y1
KR200302242Y1 KR20-2002-0031979U KR20020031979U KR200302242Y1 KR 200302242 Y1 KR200302242 Y1 KR 200302242Y1 KR 20020031979 U KR20020031979 U KR 20020031979U KR 200302242 Y1 KR200302242 Y1 KR 20030224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ethylene
polyethylene pipe
connection
sleeve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3197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한석
Original Assignee
정한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한석 filed Critical 정한석
Priority to KR20-2002-003197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224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0224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2242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7/00Connecting arrangements or othe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be made of plastics or to be used with pipes made of plastics
    • F16L47/06Connecting arrangements or othe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be made of plastics or to be used with pipes made of plastics with sleeve or socket formed by or in the pipe en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Joints With Sleev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하수관등으로 사용되고 있는 다중층 및 여러 재질 소재로 구성되는 규격화된 폴리에틸렌관을 연결하여 결합함에 있어서, 연결하기 위한 양측 폴리에틸렌관들의 사이에 고무패킹을 장착한 연결용 슬리브를 양측에 삽입하여 통상의 소켓고정으로 마무리함으로서, 기존의 연결방법에 연결 결합이 용이하고 이탈을 방지할 뿐만아니라, 폴리에칠렌관의 연결부위내부에 연결용 슬리브가 삽입구성되므로 폴리에틸렌의 고유특성인 온도변화에 따라 일어나는 수축 팽창으로 인한 이탈현상을 방지에 탁월한 효과를 가질 뿐만 아니라 결합 작업이 용이하고 연결 후 누수로 인한 환경오염을 줄일 수 있는 폴리에틸렌관 연결용 슬리브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폴리에틸렌관 연결용 슬리브 {a connecting slive for polyethylene pipe}
본 고안은 폴리에틸렌관의 연결부재에 관한 것으로서, 현재 하수관으로 널리 사용되고있는 폴리에틸렌관의 접합 방법으로는 플렌지식, 소켓에 의한 연결방법이 있으나. 접합시 작업이 불편하며, 폴리에틸렌의 고유 물성인 온도에 의한 수축 팽창계수 때문에 폴리에틸렌관 사이의 연결부에서의 유동체의 누수가 많은 실정이다. 이러한 누수물은 지하로 스며들어 환경오염은 물론 식수원까지 오염시키는 등 그 폐해가 심각한 상태이다.
따라서, 보다 간편하게 폴리에틸렌관을 결합하면서도 누수현상을 근본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연결부재가 절실히 필요한 실정에 있다.
이에 본 출원인이 관련기술을 다수 출원하였는데 이중 관련된 기술을 도 1,2를 참고로 대략 살펴보면,
일측의 폴리에틸렌관(p)과 외측에서 결합하고 다른 일측의 폴리에틸렌관(p)이 내부에 삽입되는 연결기(50)를 구성하고, 연결기(50)의 내측공간에 삽입되는 고무질의 가스켓(60)과, 가스켓(60)을 사이에 두고 연결기(50)와 결합되는 접합부속(40)을 구성한 후, 연결기(50)의 일측 외부를 걸어 접합부속(40)의 결합구멍(43)을 통해 너트(N)와 볼트(P)로 연결 구성을 완성하는 폴리에틸렌관의 연결부재에 관한 것이다.
이상과 같은 기술들은 다소 구성상에 있어서 복잡한 문제가 있어 보다 단순한 구성을 이루면서도 폴리에틸렌관의 역할수행 중에 일어날 수 있는 문제점을 보안할 수 있는 연결부재가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고안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폴리에틸렌관을 상호 연결함에 있어 기존의 소켓방식의 연결구성에 있어, 폴리에틸렌관 연결상의 문제를 보안할 수 있도록, 고무패킹을 가지며 양측 폴리에틸렌관 사이의 내부로 삽입되어 구성되는 폴리에틸렌관 연결용 슬리브를 제공하는 데 본 고안의 기술적 과제를 두고 창안하였다
도1은 본 고안의 출원인의 선행기술을 보여주는 분해단면도
도2는 본 고안의 출원인의 선행기술을 보여주는 결합단면도
도3은 기존의 통상적인 결합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보여주는 분해사시도
도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보여주는 소켓결합시 사시도
도6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7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보여주는 결합 단면도
※ 도면에 주요 사용된 부호의 설명
1 : 슬리브 2 : 가이드판 3 : 결합원통부
10 : 고무패킹삽입홈 20 : 고무패킹 p : 폴리에틸렌관
s : 소켓
도1은
도로서 이를 통하여 본 고안의 폴리에틸렌관 연결용 슬리브구성과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도3에 도시된바와 같이, 기존에 있어서 일반적인 폴리에틸렌관을 연결 방법은 연결코자하는 폴리에틸렌관을 소켓의 양쪽으로 삽입하여 연결구성을 완료하는 방법이 주로 이용되고 있다. 위에서도 언급한바와 같이 이와같은 방법으로 제공된폴리에틸렌관 연결부는, 연결방법이 간편하나 폴리에틸렌 재질의 고유물성으로 인해 발생하는 온도변화에 따라 수축, 팽창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가 없어 누수가 자주 발생하여 환경오염에 큰 문제가 되었다.
따라서, 도 4,5에 도시된바와 본 고안에서는 규격화되어 기존에 생상되어져 나오는 하수관용 폴리에틸렌관(p)의 내부 원주면과 일치하는 원통형으로 중앙에 하수관용 폴리에틸렌관(p)의 두께와 일치하는 높이 만큼의 가이드판(2)이 구성된 슬리브(1)를 구성하였다.
가이드판(2)의 높이는 규격으로 생산되고 있는 폴리에틸렌관(p)의 두께와 일치시키는 이유는 도 5,6,7에도 보여지는 바와 같이 슬리브(1)를 이용하여 폴리에틸렌관(p)을 결합한 후 폴리에틸렌관(p)의 외부로 소켓을 이용하여 마무리 고정시 외부면이 일치되어야지만 외주면의 틈이 없이 완벽한 고정이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슬리브(1)는 가이드판(2)을 중심으로하여 양쪽으로 결합원통부(3)를 구성하는데 양측의 결합원통부(3)에는 고무패킹삽입홈(10)을 구성하여 고무패킹(20)이 외측으로 일부 돌출되도록 삽입구성한다.
결합원통부(3)의 외측으로 삽입되어 일부 돌출 구성되는 고무패킹(20)은, 폴리에틸렌관(p)에 결합원통부(3)가 삽입될시 고무패킹(20)은 탄성으로 눌리어져 삽입 고정되어 혹 발생할 수 있는 결합부 뒤틀림시의 폴리에틸렌과(p)의 내주면과 슬리브(1)의 틈새발생시에도 누수를 방지하고 측면인장력등으로 발생할 수 있는 폴리에틸렌관(p)의 빠짐 현상 등을 고무패킹(20)의 마찰력으로 인해 고정력을 높여 이를 줄일 수 있는 것이다.
도 6,7에서 도시된바와 같이 폴리에틸렌관(p)의 내부에 슬리브(1)를 삽입한 후에는 소켓(s)을 가이드판(2)을 중심으로 폴리에틸렌관(p) 외측으로 감싸 볼트와 너트로 결합하여 마무리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 상기 언급한 구성의 소켓(s)을 이용한 폴리에틸렌관(p)의 결합시 폴리에틸렌관(p)사이에 본 고안 슬리브(1)를 삽입구성함으로서 도7에 도시된바와 같이 결합부 단면이 두꺼워짐으로 인하여 관(p)내부로 흐르는 물질의 열등이 결합부면의 폴리에틸렌관(p)에 직접적으로 전달되지 않도록 함으로서 열에 의한 변형을 줄일 수 있으며, 슬리브(1)에 구성되는 고무패킹(20)으로 인하여 2중으로 누수를 차단함으로 보다 편리하고 안전하게 하수관등으로 사용되는 폴리에틸렌관(p)의 결합력을 높일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은 하수 및 폐수의 관으로 사용하는 폴리에틸렌관의 결합에 있어서 본 고안인 슬리브를 삽입함으로서 폴리에틸렌관의 결속력을 높임과 동시에 수축 팽창으로 인한 누수를 방지하여 줌으로서 환경오염을 줄일 수 있어 사회전반에서 널리 사용될 수 있는 파급적 효과가 다대한 발명이라 하겠다.

Claims (3)

  1. 규격 생산되는 폴리에틸렌관 연결소재에 있어,
    폴리에틸렌관의 내주면과 같은 크기의 원통형의 결합원통부(3) 상의 중앙에 가이드판(2)이 구성되고,
    가이드판(2) 양측의 결합원통부(3) 둘레에 고무패킹삽입홈(10)을 구성하여 고무패킹(20)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에틸렌관 연결용 슬리브
  2. 제1항에 있어서,
    가이드판(2)은 폴리에틸렌관(p)의 두께와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에틸렌관 연결용 슬리브
  3. 제1항에 있어서,
    가이드판(2)의 양측 결합원통부(3)의 둘레에 각각 1개 이상의 고무패킹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에틸렌관 연결용 슬리브
KR20-2002-0031979U 2002-10-26 2002-10-26 폴리에틸렌관 연결용 슬리브 KR20030224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1979U KR200302242Y1 (ko) 2002-10-26 2002-10-26 폴리에틸렌관 연결용 슬리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1979U KR200302242Y1 (ko) 2002-10-26 2002-10-26 폴리에틸렌관 연결용 슬리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2242Y1 true KR200302242Y1 (ko) 2003-02-05

Family

ID=493995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31979U KR200302242Y1 (ko) 2002-10-26 2002-10-26 폴리에틸렌관 연결용 슬리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2242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IE62593B1 (en) Secondary containment system and method
KR200302242Y1 (ko) 폴리에틸렌관 연결용 슬리브
JPH1019178A (ja) 管継手
KR200298099Y1 (ko) 폴리에틸렌관 연결부재
CN211875341U (zh) 一种锁紧式管道接口
KR100627322B1 (ko) 합성수지관의 연결구조
KR20050046508A (ko) 관 접속구조
KR200252819Y1 (ko) 수질오염 방지를 위한 콘크리트 하수관 연결구조
KR200306405Y1 (ko) 파이프 연결용 소켓
KR100256514B1 (ko) 유체 이송관의 연결접속부 누수방지 구조
KR200318955Y1 (ko) 관 조인트의 구조
KR200256669Y1 (ko) 이중관 파이프 연결 소켓트
KR200197297Y1 (ko) 파이프 배관용 연결구
CN217951534U (zh) 一种市政给排水管道连接结构
KR200347851Y1 (ko) 합성수지관 연결구조
KR200206360Y1 (ko) 관 조인트의 구조
KR200299412Y1 (ko) 관 연결구조
KR20050008349A (ko) 수밀 벨트
CN210739637U (zh) 一种给排水管连接装置
CN212960335U (zh) 一种锁扣式连接法兰
KR100316129B1 (ko) 관 연결장치
KR920007770Y1 (ko) 조립용 맨홀
KR200172174Y1 (ko) 이중벽 상,하수관 조임 구조
KR200204051Y1 (ko) 관 연결구
KR200211158Y1 (ko) 배관 연결클램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11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