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99412Y1 - 관 연결구조 - Google Patents

관 연결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99412Y1
KR200299412Y1 KR2020020028779U KR20020028779U KR200299412Y1 KR 200299412 Y1 KR200299412 Y1 KR 200299412Y1 KR 2020020028779 U KR2020020028779 U KR 2020020028779U KR 20020028779 U KR20020028779 U KR 20020028779U KR 200299412 Y1 KR200299412 Y1 KR 20029941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sealing member
connection structure
inner diameter
pipe conn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2877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종대
Original Assignee
조종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종대 filed Critical 조종대
Priority to KR202002002877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9941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9941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99412Y1/ko

Links

Abstract

본 고안은 관과 관 사이의 이음부 상에 발생할 수 있는 각종 누설 및 이물질이 침투됨을 방지하기 위한 관 연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관과 관 사이를 연결하는 관 연결구조에 있어서, 경질의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지고, 일측관의 일측 단부의 테이퍼진 내측면 상에 끼움결합되며, 일측 단부로부터 타측 단부로 직경이 감소되게 형성되고, 그 내경면에 타측관의 자유단부가 삽입고정되는 밀봉부재와; 일측의 내경이 타측의 내경보다 크게 형성되고, 일측관의 외측면 상에 형성된 수나사부 상에 체결되어 상기 밀봉부재를 일측관의 단부 상으로 가압하여 밀착고정시키는 가압너트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관 연결구조{Structure for jointing pipes}
본 고안은 관 연결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관과 관 사이의 이음부 상에 발생할 수 있는 각종 누설 및 이물질이 침투됨을 방지하기 위한 관 연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상, 하수도관, 각종 건물 내의 냉,온수관, 또는 유체의 공급이 필수적인 각종 기계장치 내에 구비되는 각종 파이프류 등은 주변 여건, 각종 설계 상황 등에 따라 관과 관 사이를 각종 이음수단에 의해 상호 연결하여 이용하고 있으며, 이러한 관과 관 사이의 연결구조는 통상 관의 양단부 상에 형성된 플랜지를 이용하여 체결하거나, 또는 각종 클램핑 수단을 이용하여 체결하여 왔었다.
또한,이러한 관의 연결구조는 관 내부를 흐르는 유체의 누설을 방지하기 위하여 각종 패킹, 또는 개스킷 등을 이용하여 그 밀봉기능을 달성하여 왔었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 기술에 따른 관 연결구조는 정밀한 밀봉기능에는 한계가 있으며, 또한 시간이 지남에 따라 관 내부를 흐르는 유체의 압력에 의해 각종 패킹, 또는 개스킷의 재질이 마모되거나 그 기능을 상실하게 되어, 그 밀봉성이 저하되고, 그로 인해 외부의 이물질이 쉽게 침투되는 단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관과 관 사이의 이음부 상에 발생할 수 있는 각종 누설 및 이물질이 침투됨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하기 위한 관 연결구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 연결구조를 도시한 부분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관 연결구조가 관체와 관체 사이에 적용된 상태를 도시한 제 1 사용 상태도.
도 3은 본 고안의 관 연결구조가 2 개의 단부를 가진 관 연결체 상에 적용된 상태를 도시한 제 2 사용 상태도.
도 4는 본 고안의 관 연결구조가 3 개의 단부를 가진 관 연결체 상에 적용된 상태를 도시한 제 3 사용 상태도.
도 5는 본 고안의 관 연결구조가 4 개의 단부를 가진 관 연결체 상에 적용된 상태를 도시한 제 4 사용 상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2 : 제 1 및 제 2 관 3 : 밀봉부재
4 : 가압너트 5, 6, 7 : 관 연결체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관과 관 사이를 연결하는 관 연결구조에 있어서, 경질의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지고, 일측관체의 일측 단부의 테이퍼진 내측면 상에 끼움결합되며, 일측 단부로부터 타측 단부로 직경이 감소되게 형성되고, 그 내경면에 타측관의 자유단부가 삽입고정되는 밀봉부재와; 일측의 내경이 타측의 내경보다 크게 형성되고, 일측관체의 외측면 상에 형성된 수나사부 상에 체결되어 상기 밀봉부재를 일측관의 단부 상으로 가압하여 밀착고정시키는 가압너트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일측관체와 타측관체는 그 외경이 서로 다르게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밀봉부재의 일측 단부 상에는 외측 반경방향으로 돌출형성된 테두리부를 더 구비한다.
바람직하게는, 일측관체는 단일의 유로가 형성된 관 연결체 형태이다.
바람직하게는, 일측관체는 상호 직교되는 2 개의 유로가 형성된 관 연결체 형태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 연결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관 연결구조는 다수의 관체(1, 2)을 상호 연결시키도록 밀봉부재(3)와 가압너트(4)를 구비한다.
제 1 관체(1)는 그 일측 단부 내측면이 테이퍼져 형성되며, 그 일측 단부의 외측면 상에는 수나사부(1a)가 형성된다.
제 2 관체(2)은 그 일측 자유단부가 후술하는 밀봉부재(3)의 내경면 상에 삽입고정된다.
밀봉부재(3)는 경질의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지고, 일측 단부로부터 타측 단부로 그 직경이 감소되는 테이퍼진 형상이고, 일측 단부 상에는 외측 반경방향으로 돌출형성된 테두리부(3a)를 구비한다.
가압너트(4)는 일측 단부의 내경이 타측 단부의 내경보다 작게 형성되고, 상술한 제 1 관체(1)의 일측 단부의 외주면 상에 형성된 수나사부(1a) 상에 체결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관 연결구조의 결합관계 및 그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제 2 관체(2)의 자유단부를 밀봉부재(3)의 내경면 상에 삽입고정한 후에, 제 1 관체(1)의 테이퍼진 내측면 상에 밀봉부재(3)를 끼움결합하여 제 1 관체(1) 및 제 2 관체(2)을 가결합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가압부재(4)를 제 1 관체(1)의 일측 단부의 외주면 상에 형성된 수나사부(1a) 상에 체결하면, 가압부재(4)는 제 1 관체(1) 및 제 2 관체(2) 사이를 견고히 고정함과 동시에, 밀봉부재(3)를 제 1 관체(1)의 내측면 상으로 가압하여 밀착고정시키게 된다.
한편, 이러한 밀봉부재(3)가 제 1 관체(1)의 테이퍼진 내측면 상으로 가압되어 밀착고정될 때, 밀봉부재(3)의 일측 단부 상에 형성된 테두리부(3a)는 밀봉부재(3)가 제 1 관체(1)의 내측면으로 깊숙히 유입됨을 방지함과 더불어 제 1 관체(1) 및 제 2 관체(2) 사이의 보다 확실한 밀봉을 보장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상술한 가압너트(4) 및 밀봉부재(3)의 테이퍼진 구조로 인해, 제 1 및 제 2 관체(1, 2) 사이의 연결구조가 보다 긴밀하여 내부를 흐르는 유체의 압력에 의해 누설됨이 방지됨과 더불어, 외부의 이물질이 침투됨이 방지되는 특징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밀봉부재(3)는 경질의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짐에 따라, 일정시간이 경과하여도 밀봉부재(3)의 변형이나 기능이 저하 또는 상실되지 않는 장점이 있다.
한편,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본 고안의 관 연결구조는 그 외경이 서로 다른 제 1 및 제 2 관체 사이를 연결하는 것으로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관체의 외경은 전혀 무관하며 단지 상술한 밀봉부재(3) 및 가압너트(4)에 의한 관 연결구조만을 달성한다면 상술한 관의 형태는 다양하게 변경가능할 것이다.
또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제 1 관체(1)는 단순한 관체 형태일 수도 있지만,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양한 형태의 관 연결체(5, 6, 7)의 형태에도 적용가능하다.
도 3에 도시된 관 연결체(5)는 내부에 유로가 형성되고, 그 양단부 상에 수나사부(5a)가 형성된다.
도 4에 도시된 관 연결체(6)는 3 개의 단부를 가지고, 그 내부에 형성된 유로가 상호 직교되게 형성되며, 각 단부에는 수나사부(6a)가 형성된다.
도 5에 도시된 관 연결체(7)는 4 개의 단부를 가지고, 그 내부에 형성된 유로가 상호 직교되게 형성되며, 각 단부에는 수나사부(7a)가 형성된다.
이러한 다양한 형태의 관 연결체(5, 6, 7) 상에 본 고안의 밀봉부재(3) 및 가압너트(4)가 밀봉적으로 결합되는 구조 및 각 구성요소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되고 설명된 바와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은, 관과 관 사이의 이음부 상에 발생할 수 있는 각종 누설 및 이물질이 침투됨을 보다 효율적으로 방지하는 매우 뛰어난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고안은 상술한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5)

  1. 관체과 관체 사이를 연결하는 관 연결구조에 있어서,
    경질의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지고, 일측관체의 일측 단부의 테이퍼진 내측면 상에 끼움결합되며, 일측 단부로부터 타측 단부로 직경이 감소되게 형성되고, 그 내경면에 타측관의 자유단부가 삽입고정되는 밀봉부재와;
    일측의 내경이 타측의 내경보다 크게 형성되고, 상기 일측관체의 외측면 상에 형성된 수나사부 상에 체결되어 상기 밀봉부재를 상기 일측관체의 단부 상으로 가압하여 밀착고정시키는 가압너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연결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일측관체와 타측관체는 그 외경이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연결구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부재의 일측 단부 상에는 외측 반경방향으로 돌출형성된 테두리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연결구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일측관체는 단일의 유로가 형성된 관 연결체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연결구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일측관체는 상호 직교되는 2 개의 유로가 형성된 관 연결체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연결구조.
KR2020020028779U 2002-09-26 2002-09-26 관 연결구조 KR20029941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8779U KR200299412Y1 (ko) 2002-09-26 2002-09-26 관 연결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8779U KR200299412Y1 (ko) 2002-09-26 2002-09-26 관 연결구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58267A Division KR20040026735A (ko) 2002-09-26 2002-09-26 관 연결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99412Y1 true KR200299412Y1 (ko) 2002-12-31

Family

ID=731288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28779U KR200299412Y1 (ko) 2002-09-26 2002-09-26 관 연결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99412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49005B1 (ko) 수지제관 이음매
JPH0452556Y2 (ko)
KR910002165Y1 (ko) 파이프 이음쇠 구조물
TWI621796B (zh) 管連接裝置
US3423111A (en) Plain end pipe joint
US7793989B2 (en) Locking connector with depressions
RU2483238C1 (ru) Узел соединения элемента трубопроводной арматуры с трубой из полимерного материала и элемент трубопроводной арматуры для него
JPH04248095A (ja) 流体機器の管継手構造
KR100942957B1 (ko) 배관용 분기관 연결 피팅
US8056939B2 (en) Plug connector for piping
US8096590B2 (en) Connecting structure for piping
KR101218352B1 (ko) 배관용 연결기구
KR200299412Y1 (ko) 관 연결구조
JP4597889B2 (ja) 管継手
KR101040230B1 (ko) 배관용 연결기구
CN210600609U (zh) 一种中低压管线带压堵漏装置
KR20040026735A (ko) 관 연결구조
KR200197297Y1 (ko) 파이프 배관용 연결구
KR200315555Y1 (ko) 배관 연결용 밴드구조
KR200419728Y1 (ko) 파이프 연결구
KR20240013325A (ko) 외경이 다른 파이프 보수 클램프용 실링 슬리브의 수밀구조
JP2519080Y2 (ja) 樹脂製管継手
KR200181262Y1 (ko) 동파이프 연결구
KR200298099Y1 (ko) 폴리에틸렌관 연결부재
KR200261467Y1 (ko) 관 이음쇠용 슬립인 조인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